KR100783129B1 - 부스바 코팅장치 - Google Patents

부스바 코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129B1
KR100783129B1 KR1020060082715A KR20060082715A KR100783129B1 KR 100783129 B1 KR100783129 B1 KR 100783129B1 KR 1020060082715 A KR1020060082715 A KR 1020060082715A KR 20060082715 A KR20060082715 A KR 20060082715A KR 100783129 B1 KR100783129 B1 KR 10078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busbar
cooling water
bus ba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섭
Original Assignee
이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섭 filed Critical 이준섭
Priority to KR102006008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바 표면을 절연 피복하는 부스바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복다이스 후방에 냉각장치를 연결 설치하여 피복다이스를 거치면서 표면이 코팅된 고온의 부스바를 작업이 용이한 온도로 냉각하여 다음 공정이 연속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부스바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부스바 표면을 절연 피복하기 위해 코팅재를 공급하는 코팅성형기와 상기 코팅성형기와 연결 설치되는 피복다이스로 구성되는 부스바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다이스 후방에는, 피복다이스를 거처 표면이 코팅된 부스바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피복다이스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면서 고온의 부스바가 잠길 수 있을 정도로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저장탱크와; 상기 냉각수저장탱크에 저장된 냉각수에 잠긴 상태로 양단이 상기 냉각수저장탱크의 내부 측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로 나란히 배열 설치되어 부스바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장치가 연결 설치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부스바, 냉각장치, 벨트컨베이어, 피복다이스, 피복

Description

부스바 코팅장치 {Coating apparatus of bus bar}
도 1은 종래의 피복다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부스바 2:코팅성형기 3:피복다이스
4:냉각장치 5:벨트컨베이어 40:냉각수저장탱크
41:냉각수 42:이송롤러 43:통체
44:급수관 45:분사공 50:상측 컨베이어
51:하측 컨베이어 53:베이스롤러 54:벨트
55:헬리컬기어
본 발명은 부스바 표면을 절연 피복하는 부스바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복다이스 후방에 냉각장치를 연결 설치하여 피복다이스를 거치면서 표면이 코팅된 고온의 부스바를 작업이 용이한 온도로 냉각하여 다음 공정이 연속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부스바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스바(Bus bar)는 발전소, 대형건물, 대형공장, 대형 백화점, 지하철, 신공항 등에서 전류 용량이 큰 대형 송배전선, 전기기기용 도체 및 통신 케이블의 송전회로를 구성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부스바의 큰 장점은 케이블에 비해 같은 부피의 도체로 더욱 많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어 안전하고 에너지의 손실이 적어서 현대의 대용량송전 시스템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다.
한편, 부스바의 표면을 절연 피복하기 위한 코팅성형기와 연결설치되는 피복다이스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등록 제10-0463789호로 등록된바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전후단이 관통되어 부스바가 인입 및 인출 안내되는 가이드공(112)과, 상기 가이드공(112)과 인접하는 상기 몸체(111)의 소정부위 면이 상기 가이드공(112)과 평행하게 관통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흡기공(114)과, 상기 가이드공(112)의 내경 을 이루는 상기 몸체(111)의 소정부위가 상기 가이드공(112)과 동일한 길이로써 상하단 절취 된 장홈상의 가이드홈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된 가이드프레임(110);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삽입단과 상기 부스바의 일측면을 가이드하는 안내단을 구비하는 로드형상으로서, 임의의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삽입단이 삽입되어 규격별 부스바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을 내부에 밀폐 수용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전면 외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된 이격부와, 외주면 소정부위가 관통되어 피복재가 유입되는 피복재유입공과, 상기 피복재유입공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피복재를 상기 이격부로 안내하는 피복재안내공을 구비하는 피복재 안내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110)과 상기 피복재 안내프레임의 전후단면에 각각 위치하여 체결볼트(105)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110)과 상기 피복재 안내프레임과 각각 체결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110)의 전후단이 각각 삽입 관통되는 통공(181a, 181b)을 구비하는 제1고정틀(180a) 및 제2고정틀(180b);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그리나 피복다이스를 통과하면서 표면이 코팅된 부스바는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정도의 고온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온의 부스바를 다른 공정으로 옮기기가 불가능하여 부스바의 온도가 작업이 가능한 온도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피복다이스를 거처 부스바의 표면이 코팅된 상태 이후로는 공정이 일시 중단되기 때문에 고정이 중단된 만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피복다이스 바로 후방에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피복다이스를 거치면서 코팅이 이루어진 고온의 부스바 온도를 저온을 떨어뜨려 다음 공정으로 바로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 부스바 코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냉각장치 후방에 벨트컨베이어를 연결설치하여 표면이 절연 피복된 완제품의 부스바를 원하는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부스바 코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스바 표면을 절연 피복하기 위해 코팅재를 공급하는 코팅성형기와 상기 코팅성형기와 연결 설치되는 피복다이스로 구성되는 부스바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다이스 후방에는, 피복다이스를 거처 표면이 코팅된 부스바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피복다이스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면서 고온의 부스바가 잠길 수 있을 정도로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저장탱크와; 상기 냉각수저장탱크에 저장된 냉각수에 잠긴 상태로 양단이 상기 냉 각수저장탱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로 나란히 배열 설치되어 부스바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장치가 연결 설치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저장탱크 상부 중앙에는, 냉각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통체와, 상기 통체 내부와 연통되도록 통체 상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통체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통체 내부로 공급된 냉각수를 냉각수저장탱크로 배출하여 부족분의 냉각수를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통체 저면에 다수개의 미세한 분사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 후방에는, 전후로 일정간격 떨어져서 설치된 베이스롤러와, 폭이 넓고 이음매 없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후로 설치되는 베이스롤러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하측 컨베이어와; 부스바가 이동할 수 있는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하측 컨베이어의 상측에 대응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측 컨베이어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벨트컨베이어가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측 컨베이어 벨트는 시계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하측 컨베이어 벨트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 하측 컨베이어의 베이스롤러 일측 끝단에 맞물림 설치되는 헬리컬기어를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부스바 코팅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바(1) 표면을 절연 피복하기 위해 코팅재를 공급하는 코팅성형기(2)와 상기 코팅성형기(2)와 연결 설치되는 피복다이스(3)로 구성되는 부스바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다이스(3)의 후방으로 피복다이스(3)를 거처 표면 코팅이 완료된 고온의 부스바(1)를 냉각하는 냉각장치(4)와, 상기 냉각장치(4) 후방으로 벨트컨베이어(5)가 연결 설치됨에 그 특징으로 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장치(4)는 냉각수(41)가 저장되는 냉각수저장탱크(40)와, 상기 냉각수저장탱크(40)의 상측에 설치되는 통체(43)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저장탱크(40)는 피복다이스(3)를 거치면서 코팅과정을 통해 온도가 상승된 고온의 부스바(1)를 수냉식으로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는 냉각수(41)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에는 고온의 부스바(1)가 잠길 수 있도록 냉각수(41)가 가득 채워진다.
따라서, 부스바(1)가 냉각수저장탱크(40)를 지나갈 경우 냉각수(41)에 의해 부스바(1)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저장탱크(40) 내부에는 양단이 냉각수저장탱크(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롤러(42)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4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나란히 배열 설치되며 이 이송롤러(42)를 따라 이동하는 부스바(1)가 냉각수(41)에 잠긴 상태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이 이송롤러(42) 또한 냉각수(41)에 잠긴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냉각수저장탱크(40)는 전방부위의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부수바(1)가 통과할 수 있는 진입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이송롤러(42)와 같은 높이의 수평으로 부수바(1)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냉각수저장탱크(40)의 절개된 부위를 부스바(1)가 통과할 때 냉각수저장탱크(40) 내의 냉각수(41)가 이 절개된 부위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부스바(1) 이외의 나머지 틈을 직물 등으로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저탱크(40)의 일측 바닥에는, 도면상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으나 부스바(1)를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되어 냉각수(41)로서 더 이상 재역할을 할 수 없는 데워진 냉각수(41)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냉가수저장탱크(40)의 내부와 연통 설치된다.
한편, 냉각수저장탱크(40)의 상측 중앙에는 도 5와 같이 이송롤러(42) 위를 지나는 부스바(1) 상측에 냉각수를 뿌려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냉각수저장탱크(40) 내부의 부족분의 냉각수(41)를 보충하는 통체(43)가 설치된다.
상기 통체(43) 상측에는, 통체(43) 내부와 연통되어 냉각수를 통체(43) 내부로 공급하는 수개의 급수관(44)이 형성되고, 통체(43) 저면에는 급수관(44)을 통해 공급된 냉각수가 분출되는 미세한 구멍의 분사공(45)이 형성된다.
따라서, 급수관(44)을 통해 통체(43) 내부로 공급된 냉각수가 통체(43) 저면에 설치된 수개의 분사공(45)을 통해 분사되어 부스바(1)의 표면에 골고루 뿌려짐에 따라 냉각수저장탱크(40)에서 배출된 부족분의 냉각수(41)가 보충된다.
상기 통체(43) 저면에 설치되는 분사공(45)은 통체(43) 저면 전면에 형성하여 냉각수가 골고루 넓게 분사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각장치(4) 후방에는 부수바(1)의 자동 이동을 위한 벨트컨베이어(5)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5)는 상하로 설치되는 상, 하측 컨베이어(50, 51)로 구성된다.
상기 하측 켄베이어(51)는, 일정간격을 두고 전후로 설치되는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이스롤러(53)와, 상기 전후 베이스롤러(53)를 경유하여 이음매 없는 고리 모양으로 설치되는 벨트(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컨베이어(50)는, 부스바(1)가 상, 하측 컨베이어(51) 사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켄베이어(51)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간격 떨어져서 설치되며 그 구성은 하측 컨베이어(5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 하측 컨베이어(51)의 전후 베이스롤러(53) 사이에는 보조롤러를 설치하여 벨트(54)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벨트(54)의 처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 하측 컨베이어(50, 51)의 일측 베이스롤러(53)의 일단은 헬리컬기어(55)와 맞물림되게 설치하여 헬리컬기어(55)의 회전에 의해 벨트(54)가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 하측 컨베이어(50, 51)의 베이스롤러(53)의 일단과 각각 맞물림 설치되는 헬리컬기어(55)는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한다.
즉, 하측 컨베이어(51)의 베이스롤러(53)와 맞물림 설치되는 헬리컬기어(55)는 벨트(54)의 회전이 시계회전방향(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하고, 상측 컨베이어(50)의 베이스롤러(53)와 맞물림 설치되는 헬리컬기어(55)는 벨트(54)의 회전이 시계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상, 하측 컨베이어(51) 사이로 부스바(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바 코팅장치는, 피복다이스(3) 후방으로 냉각장치(4)를 설치하여 피복다이스(3)를 거치면서 표면에 코팅층 이 형성된 부스바(1)의 온도를 강제로 떨어뜨려 부스바(1)를 다음 공정에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각장치(4)에서의 부스바(1)의 이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다이스(3)를 거치면서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부스바(1)는 냉각장치(4)를 지나면서 온도가 급속도로 떨어지게 된다.
즉, 냉각장치(4)로 이동된 고온의 부스바(1)는 냉각수저장탱크(40) 내부의 냉각수(41)에 완전히 담긴 상태로 이송롤러(42)를 따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온도가 급속도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냉각수저장탱크(40)에 저장된 냉각수(41)는 부스바(1)의 온도를 빼앗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되고 이온도가 상승된 냉각수(41)는 부스바(1)의 냉각에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도면상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냉각수저장탱크(40) 저면에 연결된 배출관을 따라 배출된다.
그리고 배수관을 따라 배출된 냉각수(41)의 부족분은 냉각수저장탱크(40)의 상측에 설치된 통체(43) 내부의 냉각수 즉, 급수관(44)을 따라 통체(43) 내부로 공급된 냉각수가 통체(43) 저면의 분사공(45)을 통해 분사되어 냉각수저장탱크(40) 내부의 부족분의 냉각수(41)를 계속해서 채워주기 때문에 냉각장치(4)로 이송되는 부스바(1)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다음은 벨트컨베이어(5)에서의 부스바(1)의 이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냉각장치(4)를 거친 부스바(1)는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부스바(1)의 후방을 벨트컨베이어(5) 즉, 상, 하 컨베이어(50,51) 사이로 밀어 넣으면 베이스롤러(53)의 일단과 맞물림 된 헬리컬기어(55)의 회전이 베이스롤러(53)을 거처 벨트(54)로 전달됨에 따라 부스바(1)가 상, 하 컨베이어(50,51) 사이로 자동 이송된다.
이때, 상측 컨베이어(50)의 베이스롤러(53)와 맞물림 된 헬리컬기어(55)는 벨트(54)가 시계회전방향의 반대방향(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하측 컨베이어(51)의 베이스롤러(53)와 맞물림 된 헬리컬기어(55)는 벨트(54)가 시계회전방향(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어 부스바(1)가 상, 하 컨베이어(50,51)의 벨트(54) 사이로 원활히 이송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바 코팅장치는 피복다이스 후방에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피복다이스를 거치면서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고온의 부스바를 급속히 냉각함으로써 후속 공정이 끊기지 않고 바로 진행할 수 있어 부스바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장치의 후방에 벨트컨베이어가 연결설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원하는 곳까지 부스바를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부스바 표면을 절연 피복하기 위해 코팅재를 공급하는 코팅성형기와 상기 코팅성형기와 연결 설치되는 피복다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피복다이스 후방에는, 피복다이스를 거쳐 표면이 코팅된 부스바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피복다이스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면서 고온의 부스바가 잠길 수 있을 정도로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저장탱크와; 상기 냉각수저장탱크에 저장된 냉각수에 잠긴 상태로 양단이 상기 냉각수저장탱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 개로 나란히 배열 설치되어 부스바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장치가 연결 설치되는 부스바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 후방에는,
    전후로 일정간격 떨어져서 설치된 베이스롤러와, 폭이 넓고 이음매 없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후로 설치되는 베이스롤러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벨트로 이루어지는 하측 컨베이어와;
    부스바가 이동할 수 있는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하측 컨베이어의 상측에 대응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측 컨베이어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벨트컨베이어가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코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컨베이어 벨트는 시계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하측 컨베이어 벨트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 하측 컨베이어의 베이스롤러 일측 끝단에 맞물림 설치되는 헬리컬기어를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코팅장치.
KR1020060082715A 2006-08-30 2006-08-30 부스바 코팅장치 KR100783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715A KR100783129B1 (ko) 2006-08-30 2006-08-30 부스바 코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715A KR100783129B1 (ko) 2006-08-30 2006-08-30 부스바 코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129B1 true KR100783129B1 (ko) 2007-12-07

Family

ID=3913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715A KR100783129B1 (ko) 2006-08-30 2006-08-30 부스바 코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798B1 (ko) 2012-08-22 2013-05-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팅 겸용 자동 이송장치
KR101956100B1 (ko) * 2018-08-14 2019-03-11 이규명 부스바의 중첩 및 처짐 방지용 이송기와 금형 교체형 멀티 다이스를 이용한 절연부스바 코팅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104A (ja) * 1996-06-06 1997-12-16 Gonda Kinzoku Kogyo Kk 銅ブスバー、銅棒等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20004310A (ko) * 2000-07-04 2002-01-16 류정열 자동차 제조용 자동용접장치
KR100567755B1 (ko) 2005-08-30 2006-04-05 청진산전 주식회사 디핑법에 의한 지중저압 분전함용 부스바 절연방법
KR100671408B1 (ko) 2005-12-12 2007-01-19 대진정공(주)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104A (ja) * 1996-06-06 1997-12-16 Gonda Kinzoku Kogyo Kk 銅ブスバー、銅棒等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20004310A (ko) * 2000-07-04 2002-01-16 류정열 자동차 제조용 자동용접장치
KR100567755B1 (ko) 2005-08-30 2006-04-05 청진산전 주식회사 디핑법에 의한 지중저압 분전함용 부스바 절연방법
KR100671408B1 (ko) 2005-12-12 2007-01-19 대진정공(주)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798B1 (ko) 2012-08-22 2013-05-0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팅 겸용 자동 이송장치
KR101956100B1 (ko) * 2018-08-14 2019-03-11 이규명 부스바의 중첩 및 처짐 방지용 이송기와 금형 교체형 멀티 다이스를 이용한 절연부스바 코팅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129B1 (ko) 부스바 코팅장치
CH652758A5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39;elettroplaccatura di pezzi piani discreti.
CN104781021B (zh) 铅输送设备
CN103943354A (zh) 变压器绕线机上料装置及上料方法
BRPI0909701B1 (pt) dispositivo e processo para formação de feixes de barras laminadas
DE1993175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Gepäckstücken in Flughafenanlagen
DE102016116453B4 (de) System und Verfahren zum Verstauen von Kabeln
JP4014525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めっき装置
KR20120138353A (ko) 초코액 코팅장치
CN115341259A (zh) 电镀装置
DE102007054350A1 (de) Rahmensystem für eine Gegenstandaufbewahrungsvorrichtung
KR100376515B1 (ko) 스트립 아연도금용 잉고트의 도금조 투입장치
ES2710712T3 (es) Instalación y procedimiento para el revestimiento metálico de una pared de perforación
CN104959682B (zh) 一种节能的全自动四轴卧式攻牙机
DE3133162A1 (de) Vorrichtung zum galvanischen abscheiden von aluminium
KR101540073B1 (ko) 분사형 기판 솔더링 장치
KR200442462Y1 (ko) 열간압연선재의 수냉각장치
KR100783128B1 (ko) 부스바 코팅장치
CN116994837B (zh) 一种低烟无卤高阻燃隔氧层中压线缆及生产工艺
CN214733395U (zh) 一种物料输送装置和包装设备
CN216100348U (zh) 一种线缆加工的冷却水槽
CN218486410U (zh) 一种用于抗腐蚀螺栓的涂油装置
CN115921152B (zh) 一种可适用于不同直径电缆的涂覆设备
CN216851097U (zh) 一种铜包铝线用铝杆剥皮装置
RU2000200C1 (ru) Конвейерна лини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мелкоштучных 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