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408B1 -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408B1
KR100671408B1 KR1020050121939A KR20050121939A KR100671408B1 KR 100671408 B1 KR100671408 B1 KR 100671408B1 KR 1020050121939 A KR1020050121939 A KR 1020050121939A KR 20050121939 A KR20050121939 A KR 20050121939A KR 100671408 B1 KR100671408 B1 KR 100671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e
busbar
die
mold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명
Original Assignee
대진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정공(주) filed Critical 대진정공(주)
Priority to KR102005012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 H01B19/04Treating the surfaces, e.g. applyin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AL) 및 동(CU) 재질의 부스바에 폴리염화비닐수지(PVC)를 코팅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전기의 절연에 탁월하고, 그로 인해 전기 전도도 향상되며, 종래의 부스바 코팅 제조방식(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절연보호필름을 부스바에 감고 테이프를 부치는 방식)에 비해 생산효율(약 50%이상)과 안전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인 비용도 절감되고, 다양한 크기의 부스바에 맞춰 금형다이스를 손쉽게 바꿀수 있어 경제적이고, 생산효율 향상 및 제작기간이 감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스바, 폴리염화비닐수지, 금형다이스, 이송장치, 냉각장치

Description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Insulation Busbar of Coating Manufactu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금형다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금형다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4다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1의 압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냉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스바 11 : 폴리염화비닐수지
20 : 이송장치 21 : 이송롤러
22 : 측면롤러 23 : 라운딩홈
24 : 컨베이어벨트 25 : 모터
30 : 금형다이스 31 : 제 1다이스
31a : 연결홀 32 : 제 2다이스
33 : 제 3다이스 34 : 제 4다이스
34a : 부스바홀 35 : 제 1금형판
36 : 제 2금형판 37 : 돌출부
38 : 삽입홀 38a : 유로
39 : 연결공 40 : 압출기
41 : 투입구 50 : 냉동장치
51 : 냉각수파이프 51a : 노즐
52 : 쿨러 53 : 냉각수통
54 : 배수파이프
본 발명은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AL) 및 동(CU) 재질의 부스바에 폴리염화비닐수지(PVC)를 코팅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전기의 절연에 탁월하고, 그로 인해 전기 전도도 향상되며, 종래의 케이블로 할 수 없는 대용량의 전기에너지 전달 장치로 사용되고, 다양한 크기의 부스바에 맞춰 금형다이스를 손쉽게 바꿀수 있어 경제적이고, 생산효율 향상 및 제작기간이 감축될 수 있는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스바(Busbar)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상기 부스바의 많은 장점 때문에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많이 사용을 하고 있다.
상기 부스바와 케이블은 구조상으로 비교할 때에 비슷한 점은 도체와 절연체를 가진다는 것이지만, 상기 부스바의 큰 장점은 같은 부피의 도체로 더욱 많은 전기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도체를 보호하거나 절연하기 위하여 비닐이나 고무를 사용하지만, 상기 부스바는 금속덕트(Steel Housing)를 사용하여 도체(Conductor)와 절연체(Insulator)를 보호하고 있는 형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기 부스바는 대용량의 시스템에서의 장점이 인식되면서 급속한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예전에 비해서 현재의 건축물 시스템은 점점 대형화 되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용도의 건축물로 되어 있고,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부스바는 안전하고 에너지의 손실이 적어서 현대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는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터널 반도체, LCD공장, 초고층빌딩, 초고압변전소, 신공항, 항만 등에 다양한 분야의 건축물에 다각도로 공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부스바는 표면에 수작업으로 절연보호필름을 감고 테이프로 부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고 있어 생산효율이 떨어지고, 절연을 위한 보호필름이 약해 안전성에서도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는 알루미늄(AL) 및 동(CU) 재질의 부스바에 폴리염화비닐수지(PVC)를 코팅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전기의 절연에 탁월하고, 그로 인해 전기 전도도 향상되며, 종래의 부스바 코팅 제조방식에 비해 생산효율과 안전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인 비용도 절감되고, 다양한 크기의 부스바에 맞춰 금형다이스를 손쉽게 바꿀수 있어 경제적이고, 생산효율 향상 및 제작기간이 감축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스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10)는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고, 몸체 의 단면이 '⊂⊃'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몸체의 전체가 알루미늄(Aluminium)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스바(10)의 몸체는 일정길이의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10)의 표면에는 절연재인 폴리염화비닐수지(Polyvinyl Chloride, 11)로 코팅되고, 상기 부스바(10)에서 분기되는 부스바(10)가 접합될 때 상기 폴리염화비닐수지(11)를 쉽게 분리가능하고(일반적인 전선과 같이 피복이 쉽게 벗겨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스바(10)는 6T의 두께와 폭은 40, 50, 75, 100, 125, 150, 175, 185, 240mm로 구성된다.(상기의 칫수는 제작단계에서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에서는 비록 상기 부스바(10)의 재질을 알루미늄(AL)으로 사용하였으나, 상기 부스바(10)의 재질을 동(CU)으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의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20)는 부스바(10)가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2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러(21)와 수직되게 설치되는 측면롤러(2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측면롤러(22)는 중앙 외주면에 부스바(10)의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라운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롤러(21)는 모터(25)에 연결된 컨베이어벨트(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24)에 의해 이송롤러(21)가 작동되어 상기 이송롤러(21)의 상부에서 부스바(10)가 이송된다.
또한, 상기 측면롤러(22)는 이송롤러(21)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부스바(10)가 좌,우로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부스바(10)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측면롤러(22)는 다양한 부스바(10)의 폭에 맞춰 좌,우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금형다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금형다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4다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형다이스(30)는 이송장치(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부스바(10)가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관통홀이 형성된 제 1다이스(31)와, 상기 제 1다이스(31)의 측면부의 연결홀(31a)에 일치되도록 일측 단부가 부착되는 제 2다이스(32)와, 상기 제 2다이스(32)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3다이스(33)와, 상기 제 1다이스(31)의 관통홀에 부스바(10)가 삽입되는 일단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바(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부스바홀(34a)이 중앙에 형성된 제 4다이스(34)로 구성된다.(이하에서의 관통홀은 상기 관통홀과 같다.)
여기서, 상기 제 1다이스(31)는 일측면부에 연결홀(31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31a)은 제 1다이스(31) 내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상,하로 나누어지고, 상기 나누어진 연결홀(31a)은 부스바(10)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수직되게 굽혀져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다이스(34)는 제 1금형판(35)과 제 2금형판(36)의 일단면이 밀착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금형판(35)과 제 2금형판(36)의 모서리 부위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금형판(35)은 제 2금형판(36)과 밀착되는 일단면의 중앙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돌출부(3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7)의 상,하로 제 1다이스(31)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홀(31a)과 연결되는 연결공(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금형판(36)은 제 1금형판(35)에 형성된 돌출부(3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38)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38)은 돌출부(37)가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돌출부(37)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38)과 연결공(39)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금형판(35)과 밀착되는 제 2금형판(36)의 일측면에 유로(38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는 도 1의 압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냉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출기(40)는 금형다이스(30)에 형성된 제 3다이스(33)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3다이스(33)가 설치된 일단부의 반대측 상부에 코팅제의 원료인 폴리염화비닐 콤파운드(Polyvinyl Chloride Compound)를 삽입하기 위한 투입구(41)가 설치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 콤파운드가 내부에서 160 ~ 200℃의 높은 열에 의해 변형된 폴리염화비닐수지(PVC,11)가 상기 제 3다이스(33)를 통해 압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동장치(50)는 금형다이스(30)의 일측에 연결되어 금형다이스(30)에서 코팅되어 나온 부스바(10)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이송롤러(21)와, 상기 이송롤러(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코팅된 부스바(10)를 냉각하기 위해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노즐(51a)이 부착된 냉각수파이프(51)와, 상기 냉각수파이프(51)의 일측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주입하는 냉각수쿨러(5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동장치(50)의 하부에는 냉각수통(53)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통(53)은 부스바(10)를 냉각시킨 냉각수가 다시 쿨러(52)로 보내지기 위해 상기 냉동장치(50)의 하부면 양측으로 각각의 배수파이프(54)가 연결되어 상기 배수파이프(54)의 일측이 냉각수통(5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파이프(54)를 통해 냉각수가 냉각수통(53)으로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상기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는 몸체의 단면이 '⊂⊃'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몸체의 전체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부스바(10)가 이송장치(20)의 상부에 놓고 상기 이송장치(20)에 설치된 이송롤러(21)를 통해 이송되어 금형다이스(30)에 삽입되고, 상기 부스바(10)는 금형다이스(30)를 관통하면서 압출기(40)에서 압출된 폴리염화비닐수지(PVC,11)가 금형다이스(30)의 제 3다이스(33)와 제 2다이스(32)를 통해 제 1다이스(31)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홀(31a)에 주입되고, 상기 연결홀(31a)에 주입된 폴리염화비닐수지(PVC,11)는 연결홀(31a)과 연결된 연결공(39)으로 배출되어 제 4다이스(34)의 제 2금형판(36)에 형성된 유로(38a)를 통해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홀(38)과 돌출부(37)의 사이로 배출되어 상기 돌출부(37)의 부스바홀(34a)에 관통되는 부스바(10)의 표면에 접촉되어 코팅된다.
상기 코팅된 부스바(10)는 냉동장치(50)로 이송되어 노즐(51a)을 통해 분사 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부스바(10)를 냉각시킨 냉각수는 냉동장치(50)의 하부면에 설치된 배수파이프(54)를 통해 냉각수통(53)으로 배출되고, 상기 냉각수통(53)에 모인 냉각수는 다시 쿨러(52)로 송출되고, 상기 냉각된 부스바(10)는 냉동장치(50)에서 배출되어 폴리염화비닐수지(PVC,11)가 코팅된 절연 부스바(10)로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는 알루미늄(AL) 및 동(CU) 재질의 부스바에 폴리염화비닐수지(PVC)를 코팅함으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전기의 절연에 탁월하고, 그로 인해 전기 전도도 향상되며, 종래의 부스바 코팅 제조방식에 비해 생산효율과 안전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인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부스바에 맞춰 금형다이스를 손쉽게 바꿀수 있어 경제적이고, 생산효율 향상 및 제작기간이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고, 몸체의 단면이 '⊂⊃'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몸체의 전체가 알루미늄 및 동 재질로 형성된 부스바(10)와;
    상기 부스바(10)가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21)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러(21)와 수직되게 설치되는 측면롤러(2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측면롤러(22)는 중앙 외주면에 부스바(10)의 일단부가 지지되도록 라운딩홈(23)이 형성되어 구성된 이송장치(20)와;
    상기 이송장치(20)의 일측에 연결되어 부스바(10)가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제 1다이스(31)와, 상기 제 1다이스(31)는 측면부에 연결홀(31a)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31a)이 내부에서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하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상기 제 1다이스(31)의 측면부의 연결홀(31a)에 일치되도록 일측 단부가 부착되는 제 2다이스(32)와, 상기 제 2다이스(32)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3다이스(33)와, 상기 제 1다이스(31)의 관통홀에 부스바(10)가 삽입되는 일단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스바(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부스바홀(34a)이 중앙에 형성된 제 4다이스(34)와, 상기 제 1,2,3,4다이스(31,32,33,34)가 볼트로 체결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된 금형다이스(30)와;
    상기 금형다이스(30)에 형성된 제 3다이스(33)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3다이스(33)가 설치된 일단부의 반대측 상부에 코팅제의 원료인 폴리염화비닐 콤파운드를 삽입하기 위한 투입구(41)가 설치되고, 상기 폴리염화비닐 콤파운드가 내부에서 높은 열에 의해 변형된 폴리염화비닐수지(11)가 상기 제 3다이스(33)를 통해 압출되도록 구성된 압출기(40)와;
    상기 금형다이스(30)의 일측에 연결되어 금형다이스(30)에서 코팅되어 나온 부스바(10)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이송롤러(21)와, 상기 이송롤러(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코팅된 부스바(10)가 냉각되기 위해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노즐(51a)이 부착된 냉각수파이프(51)와, 상기 냉각수파이프(51)의 일측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주입하는 냉각수쿨러(52),로 구성된 냉동장치(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다이스(30)의 제 4다이스(34)는 제 1금형판(35)과 제 2금형판(36)의 일단면이 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금형판(35)은 제 2금형판(36)과 밀착되는 일단면의 중앙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돌출부(3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37)의 상,하로 제 1다이스(31)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홀(31a)과 연결되는 연결공(39)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금형판(36)은 제 1금형판(35)에 형성된 돌출부(3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38)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38)과 연결공(39)이 연결될 수 있도록 유로(3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KR1020050121939A 2005-12-12 2005-12-12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KR100671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39A KR100671408B1 (ko) 2005-12-12 2005-12-12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39A KR100671408B1 (ko) 2005-12-12 2005-12-12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408B1 true KR100671408B1 (ko) 2007-01-19

Family

ID=3801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939A KR100671408B1 (ko) 2005-12-12 2005-12-12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4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29B1 (ko) 2006-08-30 2007-12-07 이준섭 부스바 코팅장치
KR100783128B1 (ko) 2006-08-30 2007-12-07 이준섭 부스바 코팅장치
KR101444813B1 (ko) * 2013-05-24 2014-09-26 한국전기연구원 일체형 실리콘 부스바의 제조를 위한 사출금형
KR101956100B1 (ko) 2018-08-14 2019-03-11 이규명 부스바의 중첩 및 처짐 방지용 이송기와 금형 교체형 멀티 다이스를 이용한 절연부스바 코팅제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5071A (en) 1975-10-06 1977-04-08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Insulation tube coating device
JPS6296564A (ja) 1985-10-23 1987-05-06 Nippon Hikari Fiber Kk 導電化プラスチツク成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900001844Y1 (ko) * 1987-08-24 1990-03-10 이경섭 부수바 코팅 성형압출 다이스
KR970004548B1 (ko) * 1994-06-15 1997-03-29 변제현 알루미늄 동 부스바의 제조방법
KR20050038685A (ko) * 2003-10-22 2005-04-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은(Ag)도금된 통전용 부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5071A (en) 1975-10-06 1977-04-08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Insulation tube coating device
JPS6296564A (ja) 1985-10-23 1987-05-06 Nippon Hikari Fiber Kk 導電化プラスチツク成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900001844Y1 (ko) * 1987-08-24 1990-03-10 이경섭 부수바 코팅 성형압출 다이스
KR970004548B1 (ko) * 1994-06-15 1997-03-29 변제현 알루미늄 동 부스바의 제조방법
KR20050038685A (ko) * 2003-10-22 2005-04-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은(Ag)도금된 통전용 부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29B1 (ko) 2006-08-30 2007-12-07 이준섭 부스바 코팅장치
KR100783128B1 (ko) 2006-08-30 2007-12-07 이준섭 부스바 코팅장치
KR101444813B1 (ko) * 2013-05-24 2014-09-26 한국전기연구원 일체형 실리콘 부스바의 제조를 위한 사출금형
KR101956100B1 (ko) 2018-08-14 2019-03-11 이규명 부스바의 중첩 및 처짐 방지용 이송기와 금형 교체형 멀티 다이스를 이용한 절연부스바 코팅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950B1 (ko) 내화용 절연 부스바 제조장치
US11760217B2 (en) Liquid cooled charging cable system
KR100671408B1 (ko) 절연 부스바 코팅 제조장치
CN110087936B (zh) 用于将电缆与机动车的电气装置电连接的连接元件和连接设备
CN203351264U (zh) 水冷绝缘管母线
CN209805363U (zh) 空气型母线槽
CN214153939U (zh) 一种增强绝缘保护的空气型母线槽
US2960674A (en) Multiphase power distributing apparatus
CN109087750A (zh) 一种安装有散热片的电缆用冷却装置
KR200408718Y1 (ko) 니켈(Ni)도금된 통전용 부스바
CN108173214A (zh) 一种母线槽
CN210271905U (zh) 一种超导电缆
CN217642601U (zh) 一种绝缘型低压母槽
KR100688336B1 (ko) 은(Ag)도금된 통전용 부스바의 제조방법
CN207283959U (zh) 一种带防水装置的电动自行车电机控制器
CN217334982U (zh) 一种异形弯通母线槽
CN2183625Y (zh) 分置式全绝缘输电母线槽装置
CN212917043U (zh) 一种用于电线电缆制造高质量连续退火拉丝设备
CN108173217A (zh) 一种无转接板的母线槽接头压板
CN218214780U (zh) 电线电缆加工用冷却装置
CN218566059U (zh) 一种电缆生产用电缆干燥装置
CN215265682U (zh) 易剥离复合铜芯铝绞线
CN214505786U (zh) 超高低温pvc电子线
CN2310368Y (zh) 10千伏铝芯塑料分阶绝缘电力电缆
CN215732262U (zh) 一种用于母线槽与变压器连接的连接母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