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010B1 -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트랙 - Google Patents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010B1
KR100783010B1 KR1020060072943A KR20060072943A KR100783010B1 KR 100783010 B1 KR100783010 B1 KR 100783010B1 KR 1020060072943 A KR1020060072943 A KR 1020060072943A KR 20060072943 A KR20060072943 A KR 20060072943A KR 100783010 B1 KR100783010 B1 KR 10078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edestal
rail
wedge member
horizont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최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최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최은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to KR102006007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05Rails or support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쐐기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된 구조물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물 지지용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이 개시된다. 상기 받침대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점점 좁아지게 배치된 상면과 저면을 갖는 쐐기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접촉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같은 경사도의 상면을 가지는 쐐기저면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상면과 같은 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저면을 구비하여 상기 쐐기부재의 좌우 이동위치에 따라 높이가 변하는 쐐기상면부재 및 상기 쐐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쐐기부재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쐐기부재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볼트 또는 너트를 돌려서 쐐기부재를 당겨 레일의 수직변위를 조정하므로 레일의 수직변위 및 수평변위 조정이 매우 용이하고, 변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변위 조정에 큰 힘이 필요치 않으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자기부상열차, 레일, 트랙, 받침대, 교좌장치, 구면형, 베어링

Description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트랙 {Bearing with a wedge member and track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utilizing the bearing}
도 1은 종래의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높이조절용 테이퍼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형 예를 나타낸 받침대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다른 변형 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위치 조절용 받침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도 8 레일구조물의 사시도,
도 10은 도 5 받침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200a ~200e : 받침대 210 : 쐐기부재
220 :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 222 : 수나사부재
223, 224 : 너트 230 : 쐐기상면부재
237 : 오목홈 250 : 쐐기하면부재
270 : 유동부재 280 : 수평위치 조절구
290 : 돌기부재 292 : 볼록돌기
본 발명은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에 관한 것으로, 특히 쐐기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된 구조물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물 지지용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은 교각과 교각상에 설치되는 거더와 거더상에 지지되는 레일구조물을 구비한다. 자기부상열차용 레일구조물은 고속의 자기부상열차가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매우 정밀하게 시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의 시공과정에서,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박판의 라이너를 레일구조물을 지지하는 부분에 삽입하거나 그 지지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테이퍼 블록을 사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높이조절용 테이퍼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부상열차용 트랙(100)은 교각(110)과 교각(110) 상에 설치되는 거더(120) 및 거더(120) 상에 설치되는 레일구조물(130)을 구비한다. 레 일구조물(13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레일(13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구조물(130)은 높이 조절용 테이퍼 블록(140)을 통해 거더(120) 상에 지지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높이 조절용 테이퍼 블록(14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142, 147)이 형성된 제 1테이퍼 블록(141)과 제 2테이퍼 블록(146)을 상하로 겹쳐서 배치하고 상부의 제 1테이퍼 블록(141)을 좌, 우로 이동시켜 그 높이를 조정한 다음 슬롯(142)에 설치된 볼트(145)를 레일구조물(130)에 형성된 구멍 등으로 삽입하여 너트(149)로 레일구조물(1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퍼 블록(140)을 사용하는 경우, 상부 쪽에서 큰 힘을 받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제 1테이퍼 블록(141)이 경사면을 타고 아래 쪽으로 이동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제 1테이퍼 블록(141) 등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높이 조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자기부상열차용 트랙(100)은 레일(132)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높이가 낮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뿐만 아니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기부상열차용 트랙(100)은 그 수평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기도 어렵고, 그 조정에 시간도 많이 걸린다.
뿐만 아니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퍼 블록(140)은 높이 조정에 큰 힘이 필요하고, 그 설치와 유지보수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 조정이 용이하고 자기부상열차의 트랙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한 높이 조정이 용이하고 자기부상열차의 트랙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변위 조정이 용이하고 자기부상열차의 트랙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위 조정에 큰 힘이 필요치 않고 미세조정이 가능하고 자기부상열차의 트랙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과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자기부상열차의 트랙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번 설치 후에는 변위발생이 작아서 안정성이 뛰어하고 자기부상열차의 트랙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일의 높이와 좌우 수평위치를 조정하기가 용이한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하기가 용이하고 시공한 후에는 레일의 높이와 좌우 수평위치의 변위 발생이 작은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 및 좌우 수평위치의 변위를 조정하는 데 힘이 작게 소요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점점 좁아지게 배치된 상 면과 저면을 갖는 쐐기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접촉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같은 경사도의 상면을 가지는 쐐기저면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상면과 같은 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저면을 구비하여 상기 쐐기부재의 좌우 이동위치에 따라 높이가 변하는 쐐기상면부재 및 상기 쐐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쐐기부재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쐐기부재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은 쐐기부재에 연결된 수나사부재와 상기 수나사부재에 결합되고 다른 부재에 걸려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볼트를 당겨주는 너트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쐐기부재에는 상기 쐐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은 일단은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고 다른 부재에 걸려 회전되면서 상기 쐐기부재를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수나사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쐐기부재, 쐐기저면부재, 쐐기상면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쐐기부재, 상기 쐐기저면부재 및 상기 쐐기상면부재가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고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쐐기상면부재상에 유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에는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양 측면과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과 상기 돌출부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유동부재의 수평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을 향해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위치 조절구는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 사이에 미끄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쐐기상면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상부표면에 구면의 표면을 갖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상면부재상에 구면의 표면을 구비하여 상기 오목홈에 결합되는 볼록돌기를 갖는 돌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재상에 유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에는 상기 돌기부재의 양 측면과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부재의 측면과 상기 돌출부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유동부재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구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을 향해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위치 조절구는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상기 돌기부재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돌기부재의 측면 사이에 미끄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돌기부재의 측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은 레일지지대,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레일을 갖는 레일구조물 및 상기 레일지지대와 상기 레일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에 있어서, 상기 레일구조물의 양측 하단에 좌우로 장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레일구조물을 높이조정 가능케 지지하고 상기 장공들을 통해 상기 레일구조물을 좌우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높이 조절용 제 1받침대 및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용 제 1받침대 사이의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고정되는 하고정부재와 상기 하고정부재상에 좌우로 유동 가능케 탑재되고 상기 레일구조물과는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유동부재 및 상기 하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유동부재의 좌우의 수평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구를 구비하는 수평위치조절용 제 2받침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 1받침대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받침대이고, 상기 유동부재에는 상기 하고정부재의 양 측면과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하고정부재의 측면을 향해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위치 조절구는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하고정부재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은 레일지지대,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레일을 갖는 레일구조물 및 상기 레일지지대와 상기 레일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레일구조물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높이 조절기능 및 수평위치 조절기능을 겸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은 레일구조물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대와 상기 레일지지대를 지지하는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지지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에 있어서, 상기 레일지지대는 높이 조절기능, 수평위치 조절기능을 겸비하면서 구면형 오목홈과 볼록돌기를 구비하여 지지되는 구조물의 회전을 허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를 통해 상기 교각상에 지지된 구성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200)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점점 좁아지게 배치된 상면과 저면을 갖는 쐐기부재(210)를 구비한다. 이 쐐기부재(2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모두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좋지만, 경우에 따라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는 수평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이 쐐기부재(210)에는 좌우의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12)이 형성되어 있 다. 이 관통공(212)에는 수나사부재(222)가 결합되어 있고, 수나사부재(222)의 양단에는 너트(223, 224)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일측의 너트(223)는 쐐기부재(210)의 넓은 면에 걸려 있고, 타측의 너트(224)는 쐐기부재(210)가 아닌 쐐기상면부재(230) 및 쐐기저면부재(250)와 같은 다른 부재들에 걸려있다. 타측의 너트(224)와 쐐기상면부재(230) 및 쐐기저면부재(250) 사이에 제 1삽입판(225), 로드셀(226) 및 제 2삽입판(227)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타측의 너트(224)는 제 1삽입판(225), 로드셀(226) 및 제 2삽입판(227)을 통해 쐐기상면부재(230) 및 쐐기저면부재(250)에 걸린다. 로드셀(226)은 수나사부재(222)에 걸리는 인장력을 알 수 있도록 하여 받침대(200)에 걸리는 하중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삽입판(225), 로드셀(226) 및 제 2삽입판(227)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쐐기상면부재(230) 또는 쐐기저면부재(250)의 일측이 우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서 하측으로 또는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형성하여 그 부분에 너트(224)가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고, 여타의 다른 부재에 너트(224)가 지지되어 회전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너트(224)가 임의의 부재에 걸려 제자리에서 회전되면서 수나사부재(222)를 당겨줄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수나사부재(222) 및 너트(223, 224)는 쐐기부재(210)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220)이다.
쐐기부재(210)에 반드시 관통공(212)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나사부재(222)가 용접 등에 의해 쐐기부재(210)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쐐기부재(210)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수나사부재가 그 암나사부에 결합 되어 수나사부재의 회전에 따라 쐐기부재(210)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200)는 쐐기저면부재(250)를 구비한다. 이 쐐기저면부재(250)는 쐐기부재(210)의 저면과 접촉되고 쐐기부재(210)의 저면과 같은 경사도의 상면을 가진다. 이 쐐기저면부재(250)는 거더와 같은 레일지지대에 설치되는 기초너트(252)에 볼트(254) 등을 통해 레일지지대에 고정된다.
쐐기부재(210) 위쪽으로는 쐐기상면부재(2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쐐기상면부재(230)는 쐐기부재(210)의 상면과 접촉되고 쐐기부재(210)의 상면과 같은 경사도를 가지며 쐐기부재(210)의 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저면을 구비한다. 이 쐐기상면부재(230)는 쐐기부재(210)의 좌우 이동위치에 따라 높이가 바뀐다. 이러한 쐐기상면부재(230)의 상면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레일구조물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공과 같은 다른 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부(2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232)로는 수나사부재가 용접 등에 의해 쐐기상면부재(230)의 상면에 부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레일구조물 등 지지되는 구조물이 좌우로 수평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쐐기상면부재(230)는 용접 등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쐐기부재(210)와 쐐기상면부재(230) 사이 및 쐐기부재(210)와 쐐기하면부재(250) 사이에 불소수지판(233, 256)과 스테인리스 스틸판(214)과 같은 미끄럼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일측의 너트(223, 224)를 잠그면 쐐기부재(210)는 우측으로 힘을 받아 이동되고, 이에 따라 쐐기상면부재(230)는 위쪽으로 상승한다. 반대로 일측의 너트(223, 224)를 풀면 쐐기상면부재(230)와 쐐기저면부재(250)간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쐐기부재(210)는 후퇴하고 이에 따라 쐐기상면부재(230)는 하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에서는 단순히 너트(223, 224)를 잠그거나 푸는 것만으로 지지된 구조물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너트(223, 224)를 1바퀴 회전시키면 수나사부재(222)에 형성된 나선의 1피치만큼 쐐기부재(210)가 이동하기 때문에 매우 세밀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작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조정해야할 높이와 수평이동 위치는 최대 약 10㎜ 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받침대(200a)는 도 3의 받침대(200)에 수평위치 조정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높이 조정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은 도 3 받침대(200)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여기에서는 도 3의 받침대와 차이 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상면부재(230) 상에는 유동부재(270)가 탑재되어 있다. 이 유동부재(270)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면 어느 방향으로도 유동 가능하다. 이 유동부재(270)는 경우에 따라 전후방향으로는 유동 가능하여도 되고 다른 부분에 구속되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유동부재(270)의 상측은 지지하고자하는 구조물에 용접, 볼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유동부재(270)와 쐐기상면부재(230) 사이에는 스테인리스 스틸판(272)과 불소수지판(234)과 같은 미끄럼부재들이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부재로 는 테프론판, 황동판, 디유테이프 등 다른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크롬, 몰리브덴 등이 도금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270)에는 쐐기상면부재(230)의 양 측면과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돌출부(2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74)에는 쐐기상면부재(230)의 측면을 향해 볼트공(27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트공(276)을 통해 쐐기상면부재(230)의 측면과 돌출부(274)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유동부재(270)의 좌우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구(28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좌우의 돌출부(274)가 마주보는 방향과 수평위치 조절구(280)가 설치되는 방향은 쐐기부재(210)의 이동방향과 일치할 필요는 없고, 쐐기부재(210)의 좌우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도 된다. 그 이유는 쐐기부재(210)와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220)은 지지되는 구조물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어느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되기 때문이다.
수평위치 조절구(280)는 볼트공(276)에 결합되는 볼트(282)와 볼트(282)의 끝단에 결합되어 볼트(28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쐐기상면부재(230)의 측면에 접촉되어 쐐기상면부재(230)를 밀어주어 그 반발력으로 유동부재(270)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접촉부재(284)로 이루어져 있다. 접촉부재(284)와 그에 대응되는 쐐기상면부재(230)의 접촉면에도 불소수지판(286)과 스테인리스 스틸판(236)과 같은 미끄럼부재를 부착하여 상하로 또는 전후로 서로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쐐기상면부재(230) 및 유동부재(270)의 높이 조정하는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유동부재(270)의 좌우 수평위치의 조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하면 된다.
도 4에서 유동부재(270)와 받침대에 지지된 구조물을 우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좌측의 볼트(282)를 풀어 유동부재(270)가 우측으로 이동할 여유를 준 다음 우측의 볼트(282)를 잠그면 유동부재(270)는 우측 볼트(282)가 쐐기상면부재(230)의 측면을 미는 힘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된다. 유동부재(270)가 우측으로 이동하다가 좌측 볼트(280)의 끝단에 설치된 접촉부재(284)가 쐐기상면부재(230)의 좌측면에 걸리면 우측 볼트(282)의 잠금동작을 멈춘다. 작업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조정해야할 수평위치의 거리는 최대 약 10㎜ 정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받침대는 자기부상열차의 레일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 적당하다.
도 5는 도 4의 변형 예를 나타낸 받침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다른 변형 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200b, 200c)는 쐐기상면부재(230)의 상면에 구면의 오목홈(237)을 형성하고, 쐐기상면부재(230)와 유동부재(270)의 사이에 오목홈(237)에 결합되는 구면의 볼록돌기(292)를 갖는 돌기부재(290)를 설치하여 지지되는 구조물이 회전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쐐기상면부재(230)와 쐐기저면부재(250)에는 쐐기부재(210)의 양측면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쐐기부재(210)가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턱(238, 25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턱(238, 257)의 설치위치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안내턱(238, 257)은 쐐기부재(210), 쐐기저면부재(250), 쐐기상면부재(23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안내턱(238, 257)은 쐐기부재(210), 쐐기저면부재(250) 및 쐐기상면부재(230)가 쐐기부재(210)의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볼록돌기(292)로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고력황동이나 이와 유사한 성질의 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이 볼록돌기(292)의 표면에는 미세홈(293)들이 형성되고, 이 미세홈(293)들에 흑연(294)이 충전되어 있다. 흑연(294)은 오목홈(237)의 표면과 볼록돌기(292)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서로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볼록돌기(292)는 그 상부와는 분리하여 별도의 재료로 만들 수 있고, 같은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도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돌기(292) 위쪽으로 돌기부재(290)의 양측면에는 수평위치 조절구(280)의 접촉부재(284)가 접촉되어 있고, 접촉부재(284)와 돌기부재(290)의 측면 사이에 미끄럼부재(286, 296)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재(290)의 상면과 유동부재(270)의 저면 사이에 불소수지판(295)과 스테인리스 스틸판(272)과 같은 미끄럼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도 6의 수나사부재(222)는 그 일단에 머리(224a)를 갖는 것을 사용한 점에서 도 5의 것과 차이가 있다.
도 5와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받침대(200b, 200c)는 도 1에서 설명한 교각상에 설치되어 거더를 지지하는 교좌장치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나머지 사항은 도 3과 도 4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도, 좌우의 돌출부(274)가 마주보는 방향과 수평위치 조절구(280)가 설치되는 방향은 쐐기부재(210)의 이동방향과 일치할 필요는 없고, 쐐기부재(210)의 좌우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도 된다. 그 이유는 쐐기부재(210)와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220)은 지지되는 구조물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어느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되기 때문이다. 이는 뒤의 실시 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위치 조절용 받침대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받침대(200d)는 도 3에 나타낸 받침대(200) 한 쌍과 협력하여 자기부상열차용 레일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거더 등의 레일지지대 상에 고정되는 하고정부재(210a)와 하고정부재(210a)상에 좌우로 유동 가능케 탑재되는 유동부재(270) 및 하고정부재(210a)에 대한 유동부재(270)의 좌우의 수평위치를 조정하여 세팅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구(280)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재(270)에는 하고정부재(210a)의 양 측면과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돌출부(274)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274)에는 하고정부재(210a)의 측면을 향해 볼트공(27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동부재(270)의 상측은 레일구조물 등의 지지되는 구조물에 고정된다.
돌출부(274)에는 볼트공(276)에 결합되는 볼트(282)와 볼트(282)의 끝단에 결합되어 볼트(28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하고정부재(210a)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284)를 구비하여 구성된 수평위치 조절구(280)가 설치되어 있다.
하고정부재(210a)의 상면과 유동부재(270) 사이, 접촉부재(284)와 하고정부재(210a)의 측면 사이 접촉면 상호간의 원활한 미끄럼운동을 위해 불소수지판, 스테인리스 스틸판과 같은 미끄럼부재(S)가 대응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 레일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용 트랙(3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자기부상열차용 트랙(300)은 교각(310), 교각(310) 상에 설치되는 거더 등의 레일지지대(320) 및 레일구조물(330)을 구비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레일구조물(330)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자기부상열차용 레일(332)이 배치되어 있고, 이 레일구조물(330)의 양측 하단을 따라서는 폭방향으로 장공(334)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레일(332)들은 전후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부재(336)들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일구조물(330)의 양측 하단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334)들은 이 연결부재(336)의 양측 하단의 수평부로 배치된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36)의 양측 하단의 수평부로 배치된 부분은 레일구조물(330)의 양측 하단에 위치한다.
레일구조물(330)과 레일지지대(320) 사이 및 레일지지대(320)와 교각(310) 사이에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들이 설치되는 데, 이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지지대(320) 상에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도 3을 통해 설명한 높이 조절용 제 1받침대(20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좌우 중앙부의 레일지지대(320) 상에는 도 7을 통해 설명한 좌우 수평변위 조절용 제 2받침대(200d)가 설치되어 있다.
제 1받침대(200)는 앞에서 도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일(332)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1받침대(200)는 레일구조물(330)에 형성된 장공(334)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232a)를 통해 레일구조물(330)을 고정한다. 물론, 제 2받침대(200d)를 통해 레일구조물(33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할 때에는 볼트(232a)는 풀려있어야 된다.
제 2받침대(200d)는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일구조물(33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2받침대(200d)는 상부의 유동부재(270)는 레일구조물(330)의 저면에 고정되고 그 아래의 하고정부재(210a)는 레일지지대(320) 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제 2받침대(200d)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레일구조물(330)의 좌우 위치만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의 자기부상열차용 트랙(300)에서 레일구조물(330)의 높이 및 좌우 위치 조정은 다음의 과정으로 하면 된다.
볼트(232a)가 풀린 상태에서 제 2받침대(200d)의 수평위치 조절구(280)를 이용해 레일구조물(330)의 좌우의 수평위치를 조정한다. 레일구조물(330)의 양측 하단에는 좌우로 장공(334)이 형성되어 있고 또 거기에 결합된 볼트(232a)가 풀려있기 때문에 레일구조물(330)은 좌우로 힘을 받아 좌우로 수평 이동한다. 좌우의 수 평위치를 맞춘 후에는 제 1받침대(200)의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280)을 이용해 제 1받침대(200)의 높이를 조정한다. 그런 다음 볼트(232a)를 잠가 레일구조물(330)이 제 1받침대(200)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높이를 먼저 맞추고 좌우 수평위치를 조정한 다음에 볼트(232a)를 고정하여 레일구조물(330)의 높이와 좌우 수평위치를 맞추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용 트랙(300)은 레일의 높이 및 좌우 수평위치의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교각(310)과 레일지지대(320) 사이에는 도 5와 도 6을 통해 설명한 받침대(200b, 200c)를 사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레일지지대(330) 역시 그 높이 및 좌우 수평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레일지지대(320)의 처짐이나 자기부상열차의 통과 시에 발생하는 동하중 및 지진 등에 의해 레일지지대(320)가 회전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도 8과는 달리 제 2받침대(200d)를 사용치 않고 도 4의 받침대(200b)를 레일지지대(320)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레일구조물(33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레일(332)의 높이 및 좌우 수평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도 5 받침대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볼록돌기(292a)를 일반 강재나 주철 등의 일반재료로 만들고 그 표면에 흑연의 충전을 위한 미세홈을 형성하지 않는 대신에 오목홈(237)에 불소수지판, 테프론판, 황동판, 스테인리스 스틸판 등의 미끄럼부재(237a)를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200e)를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5와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은 볼트 또는 너트를 돌려서 쐐기부재를 당겨 레일의 수직변위를 조정하므로 수직변위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레일의 수평변위 역시 볼트를 돌려 조정하므로 그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볼트 또는 너트를 돌려서 레일의 수직변위 또는 수평변위를 조정하므로 변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의 수직변위 및 수평변위 조정에 큰 힘이 필요치 않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Claims (15)

  1. 일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점점 좁아지게 배치된 상면과 저면을 갖는 쐐기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접촉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같은 경사도의 상면을 가지는 쐐기저면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상면과 같은 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저면을 구비하여 상기 쐐기부재의 좌우 이동위치에 따라 높이가 변하는 쐐기상면부재; 및
    상기 쐐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쐐기부재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쐐기부재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상면부재상에 유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에는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양 측면과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과 상기 돌출부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유동부재의 수평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은 쐐기부재에 연결된 수나사부재와 상기 수나사부재에 결합되고 다른 부재에 걸려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볼트를 당겨주는 너트를 구비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에는 상기 쐐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은 일단은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고 다른 부재에 걸려 회전되면서 상기 쐐기부재를 당겨주거나 밀어주는 수나사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 쐐기저면부재, 쐐기상면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쐐기부재, 상기 쐐기저면부재 및 상기 쐐기상면부재가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고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을 향해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위치 조절구는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 사이에 미끄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쐐기상면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 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8. 일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점점 좁아지게 배치된 상면과 저면을 갖는 쐐기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접촉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같은 경사도의 상면을 가지는 쐐기저면부재;
    상기 쐐기부재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쐐기부재의 상면과 같은 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쐐기부재의 저면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저면을 구비하여 상기 쐐기부재의 좌우 이동위치에 따라 높이가 변하는 쐐기상면부재; 및
    상기 쐐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쐐기부재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쐐기부재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쐐기부재 이동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상부표면에 구면의 표면을 갖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상면부재상에 구면의 표면을 구비하여 상기 오목홈에 결합되는 볼록돌기를 갖는 돌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재상에 유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에는 상기 돌기부재의 양 측면과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부재의 측면과 상기 돌출부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유동부재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쐐기상면부재의 측면을 향해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위치 조절구는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상기 돌기부재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돌기부재의 측면 사이에 미끄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돌기부재의 측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돌기의 표면에는 미세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세홈에는 흑연이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12. 레일지지대,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레일을 갖는 레일구조물 및 상기 레일지지대와 상기 레일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에 있어서,
    상기 레일구조물의 양측 하단에 좌우로 장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레일구조물을 높이조정 가능케 지지하고 상기 장공들을 통해 상기 레일구조물을 좌우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 쌍의 높이 조절용 제 1받침대; 및
    상기 한 쌍의 높이 조절용 제 1받침대 사이의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고정되는 하고정부재와 상기 하고정부재상에 좌우로 유동 가능케 탑재되고 상기 레일구조물과는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유동부재 및 상기 하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유동부재의 좌우의 수평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위치 조절구를 구비하는 수평위치조절용 제 2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에는 상기 하고정부재의 양 측면과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하고정부재의 측면을 향해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위치 조절구는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고정부재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
  14. 레일지지대,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양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레일을 갖는 레일구조물 및 상기 레일지지대와 상기 레일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레일지지대 상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레일구조물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청구항 1의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
  15. 레일구조물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대와 상기 레일지지대를 지지하는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지지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에 있어서,
    상기 레일지지대는 청구항 8의 받침대를 통해 상기 교각상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용 트랙.
KR1020060072943A 2006-08-02 2006-08-02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트랙 KR10078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943A KR100783010B1 (ko) 2006-08-02 2006-08-02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트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943A KR100783010B1 (ko) 2006-08-02 2006-08-02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트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010B1 true KR100783010B1 (ko) 2007-12-07

Family

ID=3913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943A KR100783010B1 (ko) 2006-08-02 2006-08-02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01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48B1 (ko) 2007-07-26 2008-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위치조절장치
KR101023310B1 (ko) 2008-08-28 2011-03-18 한국철도시설공단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 위치 조절장치
KR101068899B1 (ko) * 2009-08-28 2011-09-30 최형교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
CN102493994A (zh) * 2011-12-21 2012-06-13 上海三一科技有限公司 一种填补式间隙调整装置及调整方法
KR101187964B1 (ko) * 2009-12-10 2012-10-04 (주)대우건설 자기부상열차용 침목의 위치조정 및 체결장치
US20160348751A1 (en) * 2014-02-18 2016-12-01 Yeoung Cheol CHO Seismic isolator utilizing wedge
CN110939028A (zh) * 2019-12-18 2020-03-3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磁浮轨道的可调支座
CN110939027A (zh) * 2019-12-18 2020-03-3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磁浮轨道梁系统
CN113026436A (zh) * 2021-03-24 2021-06-25 陶应林 一种轨道路基结构
KR20220062944A (ko) * 2020-11-09 2022-05-17 (주)엘더스티앤엘 철도 레일 시공용 가받침 장치
KR20220073347A (ko) * 2020-11-26 2022-06-03 김효철 스프링클램프를 이용한 2-점 지지방식의 레일 받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2021U (ko) 1976-06-02 1977-12-08
KR100198968B1 (en) 1995-02-20 1999-06-15 Matsuo Engineering Co Ltd Bridge raising supporting method and bearing devicde for the method
KR20060114589A (ko) * 2005-05-02 2006-11-07 (주)알티에스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교좌장치
KR100660035B1 (ko) 2005-08-02 2006-12-20 (주)알티에스 교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2021U (ko) 1976-06-02 1977-12-08
KR100198968B1 (en) 1995-02-20 1999-06-15 Matsuo Engineering Co Ltd Bridge raising supporting method and bearing devicde for the method
KR20060114589A (ko) * 2005-05-02 2006-11-07 (주)알티에스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교좌장치
KR100660035B1 (ko) 2005-08-02 2006-12-20 (주)알티에스 교좌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48B1 (ko) 2007-07-26 2008-09-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위치조절장치
KR101023310B1 (ko) 2008-08-28 2011-03-18 한국철도시설공단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 위치 조절장치
KR101068899B1 (ko) * 2009-08-28 2011-09-30 최형교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
KR101187964B1 (ko) * 2009-12-10 2012-10-04 (주)대우건설 자기부상열차용 침목의 위치조정 및 체결장치
CN102493994A (zh) * 2011-12-21 2012-06-13 上海三一科技有限公司 一种填补式间隙调整装置及调整方法
US9829063B2 (en) * 2014-02-18 2017-11-28 Yeoung Cheol CHO Seismic isolator utilizing wedge
US20160348751A1 (en) * 2014-02-18 2016-12-01 Yeoung Cheol CHO Seismic isolator utilizing wedge
CN110939028A (zh) * 2019-12-18 2020-03-3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磁浮轨道的可调支座
CN110939027A (zh) * 2019-12-18 2020-03-3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磁浮轨道梁系统
KR20220062944A (ko) * 2020-11-09 2022-05-17 (주)엘더스티앤엘 철도 레일 시공용 가받침 장치
KR102483093B1 (ko) * 2020-11-09 2023-01-03 (주)엘더스티앤엘 철도 레일 시공용 가받침 장치
KR20220073347A (ko) * 2020-11-26 2022-06-03 김효철 스프링클램프를 이용한 2-점 지지방식의 레일 받침
KR102410208B1 (ko) * 2020-11-26 2022-06-20 김효철 스프링클램프를 이용한 2-점 지지방식의 레일 받침
CN113026436A (zh) * 2021-03-24 2021-06-25 陶应林 一种轨道路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010B1 (ko) 쐐기부재를 가지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트랙
KR101881104B1 (ko) 현수 보도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39328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WO2003021043A1 (fr) Palier reglable
US4087191A (en) Large motion expansion joint
CN207812283U (zh) 大吨位可调高程式临时支座
CN107268450A (zh) 用于顶推建造组合桥梁的减阻导向卸载装置及顶推方法
CN107063896A (zh) 一种可调节压剪综合试验系统技术平台
KR101391060B1 (ko) 프리캐스트 거더의 횡지지력 보강 기구
CN105926931A (zh) 建筑模板支撑用的自适应可调早拆顶托
CN111350126A (zh) 一种螺旋组合式可调桥梁支座
KR20020024307A (ko) 계류식 레일 체결 조립체
JP4225644B2 (ja) 構造物を直動及び揺動自在に案内支持する沓装置
CN207812179U (zh) 一种跨座式单轨半固定连续梁
CN107988856B (zh) 一种跨座式单轨全固定连续梁
CN216786882U (zh) 一种桥梁变高截面钢梁顶推的调坡装置
CN216243425U (zh) 一种悬挂式楔块调节支撑机构
KR102393722B1 (ko) 수평변위 제어가능한 전단키
CN212582310U (zh) 空铁锁梁装置及空铁轨道
CN209853576U (zh) 一种多向可调式轨道固定装置
EP0826127B1 (en) Machine leveler
CN112878168B (zh) 一种变摩阻大跨长联连续梁体系
CN209584823U (zh) 一种悬挂式单轨桥墩与轨道梁的抗拉连接结构
KR101187964B1 (ko) 자기부상열차용 침목의 위치조정 및 체결장치
CN111749132B (zh) 拱梁组合式连续刚构桥下弦梁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