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071B1 -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 Google Patents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071B1
KR100782071B1 KR1020010017912A KR20010017912A KR100782071B1 KR 100782071 B1 KR100782071 B1 KR 100782071B1 KR 1020010017912 A KR1020010017912 A KR 1020010017912A KR 20010017912 A KR20010017912 A KR 20010017912A KR 100782071 B1 KR100782071 B1 KR 100782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pipe
receiver
tank
condenser
weld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060A (ko
Inventor
강병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07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2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fixation of the receiver to the h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액기의 탱크를 이단으로 분리 성형하고, 상부캡이 필요없이 조립되도록 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가 형성된 제1헤더파이프와, 상기 제1헤더파이프와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는 제2헤더파이프와, 그 양단이 상기 제1헤더파이프 및 제2헤더파이프에 연통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파이프 및 출구파이프에 의해 상기 제2헤더파이프와 연통되는 수액기를 구비한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수액기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됨과 아울러 개방된 단부에 결합돌기(11)가 돌출형성된 상부탱크(10)와, 상기 상부탱크의 결합돌기(11)와 결합되도록 일단에 결합홈(21)이 형성된 하부탱크(20)와, 상기 하부탱크(20)의 타단에 결합되는 하부캡(30)과,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홈(21)이 웰드링(4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간에 개재되는 웰드링(40)으로 구성되며, 브레이징시 상기 웰드링(40)이 용융되어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홈(21)의 사이 틈새로 흘러들어가 상기 상,하부 탱크(10)(20)를 일체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응축기, 수액기, 웰드링, 상부탱크, 하부탱크

Description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RECEIVER DRIER - INTEGRATED CONDENSER}
도 1은 종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수액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수액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수액기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액기 10: 상부탱크
11: 결합돌기 20: 하부탱크
21: 결합홈 30: 하부캡
40: 웰드링
본 발명은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기 탱크을 이단으로 분리 성형하여 중간부위를 접합함으로서, 불량요인이 되던 상부캡(Upper cap)을 없애도록 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압송된 고온ㆍ고압의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 시켜 액화시키는 것이고, 수액기는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응축기에서 액화된 냉매를 냉방부하에 따라 필요한 양을 증발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자동차의 한정된 엔진룸의 공간활용 측면에서 응축기와 수액기를 일체화시킨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가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ㆍ고압의 냉매를 방열시키는 방열핀(1)이 개재된 다수의 튜브(2)를 상호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다수의 튜브(2) 양측에 제1헤더파이프(3) 및 제2헤더파이프(4)를 직립으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1, 제2헤더파이프(3)(4) 내부에는 격실을 형성하는 다수의 배플(6)이 고정되어 튜브(2)를 통해 상기 제1, 제2헤더파이프(3)(4) 사이를 지그재그로 냉매가 유동되면서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헤더파이프(3)에는 냉매유입구(7) 및 냉매유출구(8)가 형성되고, 제2헤더파이프(4)의 일측에는 수액기(5)를 일체로 연통시킨다.
상기 수액기(5)는 탱크(5a)와, 상기 탱크(5a)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캡(5b)과, 하측을 커버하는 하부캡(5c)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액기(5)는 탱크(5a)와 상부캡(5b) 사이를 브레이징 접합시켜 일체화 시키는데 상부캡(5b)의 형상 및 치수가 설계 도면대로 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에조립시 틈새(g)가 발생하고, 이 틈새(g)에 의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다.
즉, 브레이징 접합은 표면에 크래드 층이 형성된 알루미늄을 브레이징로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로 가열하도록 하여 융점이 낮은 크래드 층이 용융되어 모세관 현상 및 표면장력에 의하여 접합부로 흐르게 됨으로서 구성부품들 상호간에 접합이 이루어지는데, 탱크의 내부와 외부의 조건이 서로 다르고, 특히 내부에서 열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수액기 탱크(5a)와 상부캡(5b) 사이의 접합부에 크래드 층이 흘러 들어 가지 않아 불량의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액기의 탱크를 이단으로 분리 성형하고, 상부캡이 필요없이 조립되도록 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가 형성된 제1헤더파이프와, 상기 제1헤더파이프와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는 제2헤더파이프와, 그 양단이 상기 제1헤더파이프 및 제2헤더파이프에 연통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파이프 및 출구파이프에 의해 상기 제2헤더파이프와 연통되는 수액기를 구비한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수액기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됨과 아울러 개방된 단부에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된 상부탱크와, 상기 상부탱크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일단에 결합홈이 형성된 하부탱크와, 상기 하부탱크의 타단에 결합되는 하부캡과,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웰드링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간에 개재되는 웰드링으로 구성되며, 브레이징시 상기 웰드링이 용융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사이 틈새로 흘러들어가 상기 상,하부 탱크를 일체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액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액기(100)는 응축기의 헤더파이프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서, 상부탱크(10), 하부탱크(20) 및 하부캡(30)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상부탱크(10)는 일단이 폐쇄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단부에 결합돌기(11)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하부탱크(20)는 양단이 개방되도록 성형되고, 상기 상부탱크(10)와 대향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체결나사부(22)가 가공되어 있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탱크(20)의 결합홈(21)에 상부탱크(10)의 결합돌기(11)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홈(21)이 결합되는 부위의 외주에 웰드링(Weld-ring)(4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홈(21)을 웰드링(4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한 후, 상기 공간에 웰드링(4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브레이징로에 투입하여 가열하게 되면 웰드링(40)이 용융되여 결합홈(21) 사이의 틈새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ㆍ하부 탱크의 길이는 동일한 것이 본 발명에서는 보다 바람직하다.
하부캡(30)은 상기 하부탱크(20) 내부에 내장되어 수분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건조제 등을 일정기간 사용후에 교체하기 쉽도록 하부탱크(20)의 체결나사부 (22)에 대응하는 나사부(31)가 가공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23은 헤더파이프와 연동되는 관통공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액기(100)의 상ㆍ하부 탱크(10)(20)를 임펙트(impact) 및 프레스가공으로 형상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상부탱크(10)의 일단을 폐쇄한 구조로 성형하여 종래의 상부캡이 필요 없고, 상부탱크(10)의 하측에는 상ㆍ하부가 개방된 하부탱크(20)를 설치한다.
또한, 상ㆍ하부 탱크(10)(20)의 사이에는 웰드링(40)을 개재시키고, 상ㆍ하부탱크(10)(20)에는 응축기의 헤더파이프와 연통되는 관통공(23)을 천공한다.
상기 관통공(23)에는 각각 연결파이프 및 출구파이프를 삽입시킨다.
이렇게 응축기와 수액기를 가조립한 후에 브레이징로에 투입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상ㆍ하부 탱크(10)(20) 사이의 웰드링(40)이 용융되어 수액기(100)의 상ㆍ하부탱크(10)(20)를 일체로 접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면 웰드링(40)이 외부에서 용융되어 모세관 및 표면장력에 의해 틈새 사이로 스며들어 불량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는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압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위치하여 통상의 냉동싸이클을 이루도록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의하면, 제조과정에서 불량의 원인이 되던 상부캡과 탱크 사이의 브레이징 접합을 없애고, 수액기 탱크를 이단으로 분리 성형한 후 이를 접합하도록 하여 불량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불량률이 저하됨으로서 불량에 의한 수정작업을 없앨 수 있다.

Claims (3)

  1.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가 형성된 제1헤더파이프와, 상기 제1헤더파이프와 평행하게 이격 설치되는 제2헤더파이프와, 그 양단이 상기 제1헤더파이프 및 제2헤더파이프에 연통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튜브들과, 상기 튜브들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핀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파이프 및 출구파이프에 의해 상기 제2헤더파이프와 연통되는 수액기를 구비한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에 있어서,
    상기 수액기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됨과 아울러 개방된 단부에 결합돌기(11)가 돌출형성된 상부탱크(10)와,
    상기 상부탱크의 결합돌기(11)와 결합되도록 일단에 결합홈(21)이 형성된 하부탱크(20)와,
    상기 하부탱크(20)의 타단에 결합되는 하부캡(30)과,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홈(21)이 웰드링(4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공간에 개재되는 웰드링(40)으로 구성되며,
    브레이징시 상기 웰드링(40)이 용융되어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홈(21)의 사이 틈새로 흘러들어가 상기 상,하부 탱크(10)(20)를 일체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2. 삭제
  3. 삭제
KR1020010017912A 2001-04-04 2001-04-04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782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912A KR100782071B1 (ko) 2001-04-04 2001-04-04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912A KR100782071B1 (ko) 2001-04-04 2001-04-04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060A KR20020078060A (ko) 2002-10-18
KR100782071B1 true KR100782071B1 (ko) 2007-12-04

Family

ID=2769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912A KR100782071B1 (ko) 2001-04-04 2001-04-04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123B1 (ko) * 2002-05-30 2004-09-30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에어콘용 서브쿨 콘덴서
KR100450122B1 (ko) * 2002-05-30 2004-09-30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에어콘용 서브쿨 콘덴서
KR200451822Y1 (ko) * 2009-05-15 2011-01-13 류광훈 내부 회전체에 회동수단을 구비하는 현금지급기의 부스
CN201852383U (zh) 2010-11-17 2011-06-01 浙江三花汽车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热交换器及其贮液器
CN109931727A (zh) 2017-12-18 2019-06-25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集液器以及具有该集液器的换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132U (ko) * 1997-11-24 1999-06-15 신영주 수액기
KR20000032409A (ko) * 1998-11-14 2000-06-15 신영주 수액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132U (ko) * 1997-11-24 1999-06-15 신영주 수액기
KR20000032409A (ko) * 1998-11-14 2000-06-15 신영주 수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060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044B2 (en) Heat exchanger
KR101344520B1 (ko) 열교환기
US6904770B2 (en) Multi-function condenser
JP4307933B2 (ja) 熱交換器の冷媒漏れ防止構造の形成方法
KR100782071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130101743A (ko) 라디에이터의 제조방법
JP4167397B2 (ja) 熱交換器
JP5146245B2 (ja) 熱交換器
KR100284855B1 (ko) 열교환기및그제조방법
US7024884B2 (en) Condenser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406575Y1 (ko)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KR20070108078A (ko) 중간 조립체 및 열교환기에 연결하는 방법
KR100376559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83011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214357B1 (ko) 관체 접합방법
KR101332711B1 (ko)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1140494B1 (ko) 공조 시스템용 응축기 및 그 연결 구조
US20230068291A1 (en) Heat exchanger
KR100450123B1 (ko) 에어콘용 서브쿨 콘덴서
JPS6082790A (ja) 熱交換器
KR20010063071A (ko) 냉매 유입,배출관 연결부의 강성이 증대된 열교환기
KR100528244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WO2006033371A1 (en) Integrated heat exchange apparatus
KR100484632B1 (ko) 수액기를 일체로 갖는 에어콘용 콘덴서
KR20220022025A (ko) 열교환기용 입출구 파이프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