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888B1 -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인상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인상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888B1
KR100780888B1 KR1020070073087A KR20070073087A KR100780888B1 KR 100780888 B1 KR100780888 B1 KR 100780888B1 KR 1020070073087 A KR1020070073087 A KR 1020070073087A KR 20070073087 A KR20070073087 A KR 20070073087A KR 100780888 B1 KR100780888 B1 KR 10078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jack
support
main bod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성
Original Assignee
민경기술 주식회사
김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기술 주식회사, 김준성 filed Critical 민경기술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좌장치 교체를 위한 인상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그 교체작업의 실시가 가능하고, 또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이 효율적이 되도록 브라켓 구조를 간단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을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보다 1~2 스트로크 높게 설치하고,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그 위에 유압 잭(116c)을 설치한 구성이고,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는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을 설치하며. 본체 브라켓(110) 및 보조 브라켓(120)의 지지강판(112)(122)은 교각 상단면(2)과 거의 일치되게 형성한 구성이다.
본체 브라켓, 보조 브라켓, 지지강판, 잭 버팀판, 승강용 스크류 잭, 안정용 스크류 잭, 유압 잭,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

Description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시공방법{Bracket structure for replacing the old shoe with new one continuously and method lifting the bridge slab}
본 발명은 교량상판을 인상시켜 교량을 보수하거나 교좌장치를 교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교량상판의 인상작업은 교각상단에 설치된 유압 잭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교각상단은 유압 잭을 설치할 공간이 없으므로 유압 잭 공간을 확보하기위하여 통상 브라켓를 설치한다.
유압 잭 공간을 위한 브라켓 구조를 설명하기위해 편의상 도1의 종래기술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등록 특허 10-0499978호의 브라켓 구조이다.
단위 교량상승 브라켓(20)은 교각(1)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브라켓 지지강판(25)에는 앵카홈(28)과 그 상단 돌출부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강판(25)의 앵카홈(28)에 앵카 볼트가 삽입되어 교각(1)과 견고하게 고정되고, 지지강판(25)의 상단 돌출부의 고정홈에는 브라켓 연결지지 강봉(26)이 너트(30)로 고정되어있다.
잭 받침판(40)에는 유압 잭이 설치된다. 잭 받침판(40)의 하부에는 하부 수직판(21)이 설치되어있다.
교량상판은 유압 잭에 의하여 인상된다. 유압 잭의 인상높이는 피스톤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정해진다. 한번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교량상판인상작업이 완료된다면 유압 잭은 그 크기가 대형이어야 한다. 유압 잭이 대형이면 그 중량도 크다. 그런데 교량상판인상작업은 교각상단의 좁은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형의 유압 잭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없다.
여기에다 인상작업이 수행되는 교각상단은 지상이 아닌 높은 곳에 위치되어있다. 그렇다고 대형장비로 이를 수행하기에는 그 규모가 너무 작다.
이러한 이유를 감안한다면 유압 잭은 경량이어야 한다. 높은 곳으로 이송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실제 소형 유압 잭을 사용하고 있다. 소형 유압 잭이란 한번의 스트로크로 인상작업을 완료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2~3회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인상작업이 완료되는 그러한 것을 소형이라 부르기로 한다.
종래 브라켓 구조위에서 소형 유압 잭에 의하여 교량상판이 인상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압 잭의 스트로크를 S라하고 교좌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인상높이는 2회 스트로크 2S = S1 + S2라 가정한다. S1은 1회째 스트로크이고, S2는 2회째 스트로크를 나타낸다.
잭 받침판(40)에 설치된 유압 잭은 교량상판을 1회 스트로크 S1만큼 인상시킨다. 2회 스트로크 S2만큼 인상하기위해서는 먼저 1회 인상된 스트로크 S1을 그대로 유지시켜야한다. 스트로크 S1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잭 받침판(40)위에 고임판을 교량상판까지 차곡차곡 쌓아올려야 한다. 고임판은 두꺼운 강판이다.
고임판에 의하여 교량상판을 스트로크 S1을 유지시킨 다음 유압 잭의 피스톤을 하강시키고 다시 유압 잭이 놓여진 잭 받침판(40)에도 고임판을 쌓아올린다. 고임판의 높이는 유압 잭이 2회 스트로크 S2를 인상시킬 수 있는 높이까지 쌓는다. 다시 유압 잭은 2회 스트로크 S2를 인상시키게 되면 교좌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교체높이에 이르게 된다.
유압 잭에 의하여 스트로크를 2~3회 반복하는 과정에서 고임판에 의하여 스트로크를 유지시켜야하고 또한 다음 스트로크를 위하여 유압 잭도 고임판을 받쳐야하기 때문에 인상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인상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인상작업의 공기가 길어지게 되고 협소한 고공에서의 작업이 위험하고 비효율적이다.
여기에다 고임판에 대한 구조적인 검증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설계 시에도 이에 대하여 어떠한 기술적인 제약이나 기술적인 구체적인 지침도 제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상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안전에 대한 사각지대에 있다. 바로 여기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교량상판인상작업 시 사용하는 보조 인상장치를 포함하는 브라켓 구조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인상작업과 안전성이 확보된 교좌장치 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브라켓 구조를 창안한 것이다.
연속적인 인상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공사기간이 추가로 늘어날 뿐만 아니라 공사비용의 추가가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안전성이 확보된 교좌장치 교체작업은 교각 상부로 돌출되는 브라켓 지지판의 돌출부를 생략하고 브라켓 지지판의 높이를 교각 상부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한 것이다.
브라켓 지지판의 높이가 교각 상단면과 같으므로 교좌장치교제를 위한 시야가 전혀 가려지지 않아 작업이 확실하고 용이하다. 여기에다 보조 브라켓에 놓인 안전용 스크류 잭이 교체작업을 위한 인상된 교량상판을 그대로 지지하게 되므로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에 놓인 유압 잭이 제거되는 구조이다. 유압 잭이 제거되면 교좌장치교체를 위한 시야가 더욱 확실하게 되어 교체작업에 안전성이 확보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상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첫 번째 목적이 있고,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교좌장치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이 효율적이 되도록 브라켓 구조를 간단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① 인상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본 발명의 수단으로는 본체 브라켓(1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보조 브라켓(120)을 설치하되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이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보다 1~2 스트로크 높게 설치한 구성이다.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그 위에 유압 잭(116c)이 설치된다.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유압 잭(116c)사이에는 스틸플레이트(116b)가 개재되어있다.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는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설치된다.
②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교좌장치(140)교체작업을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본 발명의 수단으로는 지지강판(112)(122)을 교각 상단면(2)과 거의 일치되게 형성하면서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가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고정되게 하였다.
여기서 안전성이 확보란 교량이 인상되는 것은 교좌장치(140)를 교체하려는 목적이므로 작업자가 교각상단 중앙부에 위치된 교좌장치(140)를 바라볼 수 있을 정도로 시야가 확보되어야함을 의미한다.
본체 브라켓(110)과 보조 브라켓(120)은 종래와 같이 돌출부가 없으므로 교좌장치(140)교체시공을 위한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게 된다.
여기에다 보조 브라켓(120)에 놓인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교체작업을 위한 인상된 교량상판(3)을 그대로 지지하게 되므로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 놓인 유압 잭(116c)이 제거되는 구조이다. 유압 잭(116c)이 제거되면 교좌장치(140)교체를 위한 시야가 더욱 확실하게 되어 교체작업에 안전성이 확보되게 되는 것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브라켓 구조는 브라켓 연결지지 강봉(26)을 고정하기 위하여 브라켓의 지지강판(25)이 상부로 돌출되어있다. 이 돌출부는 교좌장치(140)교체시공을 위한 시야를 완전히 가리고 있기 때문에 교좌장치(140)교체작업을 어렵게 만들뿐만 아니라 작업도구의 사용이 어렵게 만들어 공기가 길어지는 원인이 된다.
③ 브라켓 구조를 간단하도록 하기위한 본 발명의 수단으로는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을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을 지나 하단까지 양측에 형성하였고,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은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을 지나 하단까지 형성하였고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에 접면되는 곳에만 형성되어있다.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과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을 볼트(114b)에 의하여 고정하기위해서다.
④ 오일 방지턱(116d)(126b)을 형성한 것이므로 유압 잭(116c)이나 스크류 잭에서 유출되는 기름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100)를 이용한 교량인상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 교각(1)의 양단에 본체 브라켓(110)과 그 양쪽에 보조 브라켓(120)을 대칭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 본체 브라켓의 지지강판(112)에 앵카를 박아 본체 브라켓(110)을 교각(1)에 고정시키는 단계;
⒞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에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을 볼트(114b)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보조 브라켓의 지지강판(122)에 앵카를 박아 교각(1)에 고정시키는 단계;
⒟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를 교각(1) 상단부를 가로질러 교각(1)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보조 브라켓(120)의 안전용 스크류 잭(126a) 버팀판에 견고하게 너트(132)로 고정시키는 단계;
⒠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을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보다 1~2 스트로크 높게 설치하고,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스틸플레이트(116b)와 그리고 그 위에 유압 잭(116c)의 순서로 설치하며,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는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을 설치하는 단계;
⒡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설치된 안전용 스크류 잭(126a)과,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 설치된 승강용 스크류 잭(116a)은 피치가 제로인 상태에서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만 스트로크 S1만큼 인상시키는 단계;
⒢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설치된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을 S1만큼 인상시켜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 S1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
⒣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피스톤을 S1에서 제로로 하강시킨 다음 승강용 스크류 잭(116a)을 S1만큼 인상시키는 단계;
⒤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을 다시 스트로크 S2까지 인상시키는 단계;
⒥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설치된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을 S2만큼 인상시켜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 S2를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
⒦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피스톤을 S2에서 제로로 하강시킨 다음 유압 잭(116c)을 제거하는 단계;
⒧ 유압 잭(116c)을 제거함으로써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교좌장치(140)를 교체하는 단계;
⒨ 승상 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100)를 이용한 교량인상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은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을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보다 1~2 스트로크 높게 설치하면서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과 그 위에 유압 잭을 설치하고,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에는 안전용 스크류 잭을 설치한 구성이므로 유압 잭과, 승강용 스크류 잭과, 그리고 안전용 스크류 잭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인상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작업으로 인하여 높은 위치의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브라켓의 유압 잭을 제거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안전하고 확실하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기에다 지지강판의 높이를 교각 상단면과 일치되게 한 구조이므로 시야확보가 확실하게 되어 작업이 그만큼 효율적이고 안전하다. 한 유용한 발명이다.
오일 방지턱을 형성한 것이므로 유압 잭이나 스크류 잭에서 유출되는 기름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교각(1)상단의 교좌장치(140)를 중심으로 교각(1)의 양단에 본체 브라켓(110)과 그 양쪽에 보조 브라켓(120)을 대칭으로 설치하고 본체 브라켓의 지지강판(112)에 앵카를 박아 교각(1)에 고정시킨 다음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에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을 볼트(114b)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보조 브라켓의 지지강판(122)에 앵카를 박아 교각(1)에 고정시킨다.
본체 브라켓(110)과 보조 브라켓(120)은 수평지지판과, 앵카홀을 갖는 수직지지판과, 잭 버팀판과, 잭 버팀판을 지지하는 하부수직판과, 브라켓 지지벽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다만 브라켓의 지지벽이 한쪽에만 있느냐 양쪽에 다 있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본체 브라켓(110)은 양측면에 브라켓의 지지벽이 다 있고, 좌우측 보조 브라켓(120)은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과 접면되는 곳에만 지지벽이 있고 그 바깥면에는 지지벽이 없다. 지지벽이 없는 대신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견고하게 고정된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가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는 교각 상단면(2)를 가로질러 교각(1)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견고하게 너트(132)로 고정한다.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는 좌우측 보조 브라켓(120)에 있는 수평 지지판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좌우측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 역할을 수행한다.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가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각(1)의 상단에서 브라켓의 수평 지지판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가 좌우측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이다.
좌우측 보조 브라켓(120)의 바깥면에는 좌우측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이 없기 때문에 그 만큼 경제적이다.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는 현장 여건에 맞도록 그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b와 같이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를 1개만 사용하여도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본체 브라켓(110)의 잭 버팀판(116)에는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가 설치되지 않는다. 작업공간을 그만큼 더 확보하기위해서다.
또한 본체 브라켓의 지지강판(112) 및 보조 브라켓의 지지강판(122)의 상부 돌출부를 제거하여 교각 상단면(2)과 거의 일치시켰기 때문에 작업시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체 브라켓(110)에 가해지는 힘을 교각(1)에 전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가 있는 좌우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과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에 볼트(114b)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체 브라켓(110)에 가해지는 힘은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과 좌우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교량 인상작업 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그 위에 유압 잭(116c)이 설치된다.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유압 잭(116c)사이에는 스틸플레이트(116b)가 개재되어있다.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는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인상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좌장치(140)의 교체를 위한 교량 인상높이가 유압 잭(116c) 스트로크 기준으로 2 x 스트로크 = 2S라고 가정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다.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 위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유압 잭(116c)이 설치되어있고,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 위에는 안정용 스크류 잭(126a)만 설치되어있다.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가 S이고, 또 2회의 스트로크 S1, S2에 의하여 교좌장치(140)의 교체를 위한 교량 인상높이에 도달한다고 하면,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 위의 승강용 스크류 잭(116a)의 피치와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관계는 다음과 같다.
이에 대한 관계는 도3a~k에 도시되어있다. 이에 의하여 설명한다.
⑴ 도3a는 교각(1)위에 본체 브라켓(110)과 보조 브라켓(120)을 설치한 상태로서 교좌장치(140)가 그대로 나타나있다.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116a)만이 설치되어있는 상태이다.
⑵ 도3b는 본체 브라켓(110)과 보조 브라켓(120) 각각에 유압 잭(116c)과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설치되어있는 상태이다.
⑶ 도3c는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이 교량상판(3)을 1회 스트로크 S1만큼 인상시킨 상태이다.
⑷ 도3d는 보조 브라켓(120)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S1만큼 인상되어 교 량상판(3)을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대신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⑸ 도3e는 보조 브라켓(120)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S1만큼 인상된 교량상판(3)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를 제로로 하강시킨 상태를 보이고 있다.
⑹ 도3f는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가 제로로 하강된 상태에서 본체 브라켓(110)의 승강용 스크류 잭(116a)을 S1만큼 인상시키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⑺ 도3g는 본체 브라켓(110)의 승강용 스크류 잭(116a)이 S1만큼 인상된 상태에서 그 위에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 S2를 인상시키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⑻ 도3h는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 S2로 인상된 상태에서 보조 브라켓(120)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S2만큼 인상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⑼ 도3i는 보조 브라켓(120)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S2만큼 인상된 교량상판(3)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를 제로로 하강시킨 상태를 보이고 있다.
⑽ 도3j는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교체된 작업을 완료하고 교체된 새로운 교좌장치(140) 가 보이고 있다.
⑾ 도3k는 본체 브라켓(110)의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보조 브라켓(120)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을 제거하기위하여 본체 브라켓(110)의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보조 브라켓(120)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의 스트로크를 제로로 하강시키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3a~k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승강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도1 종래 기술의 브라켓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
도2a 본 발명의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b 본 발명의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c 본 발명의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의 한쪽면만 나타낸 사시도
도3a ~ 도3k 본 발명의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를 이용한 교량인상 시공방법을 나타낸 단계별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교각, 2; 교각 상단면, 3; 교량상판
100;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110; 본체 브라켓
112; 본체 브라켓의 지지강판, 112a; 앵카구멍
114;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 114a; 볼트구멍, 114b; 볼트
116;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 116a; 승강용 스크류 잭, 116b; 스틸플레이트, 116c; 유압 잭 116d; 오일 방지턱
120; 보조 브라켓
122; 보조 브라켓의 지지강판, 122a; 앵카구멍
124;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 124a; 볼트구멍
126;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 126a; 안전용 스크류잭, 126b; 오일 방지턱
130;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
132; 너트
140; 교좌장치

Claims (2)

  1. 본체 브라켓(1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보조 브라켓(120)이 설치되어있으면서 앵카로 고정되고 또 교각(1)에 대하여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고 이를 브라켓 연결지지 강봉으로 연결ㆍ고정시킨 브라켓 구조에 있어서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이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보다 높게 설치되고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그 위에 유압 잭(116c)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스틸플레이트(116b)가 개재되어있으며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는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이 설치되어있고, 본체 브라켓(110) 및 보조 브라켓(120)의 잭받침판(116)(126)은 지지강판(112)(122) 및 지지벽(114)(124)과 서로 연결ㆍ고정되며, 본체 브라켓(110) 및 보조 브라켓(120)의 지지강판(112)(122)은 교각 상단면(2)과 거의 일치되게 형성되어있으며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은 양측에 형성되어있고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은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과 접면되어있는 곳에만 형성되어있으며 본체 브라켓(110) 및 보조 브라켓(120)의 지지강판(112)(122)은 본체 브라켓(110) 및 보조 브라켓(120)의 지지벽(114)(124)과 용접ㆍ고정되고,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는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고정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2. ⒜ 본체 브라켓(110) 및 보조 브라켓(120)의 잭 받침판(116)(126)을 지지강판(112)(122) 및 지지벽(114)(124)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 교각(1)의 양단에 본체 브라켓(110)과 그 양쪽에 보조 브라켓(120)을 대칭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 본체 브라켓의 지지강판(112)에 앵카를 박아 본체 브라켓(110)을 교각(1)에 고정시키는 단계;
    ⒟ 본체 브라켓의 지지벽(114)에 보조 브라켓의 지지벽(124)을 볼트(114b)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보조 브라켓의 지지강판(122)에 앵카를 박아 교각(1)에 고정시키는 단계;
    ⒠ 브라켓 연결지지인장재(130)를 교각 상단면(2)를 가로질러 교각(1)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견고하게 너트(132)로 고정시키는 단계;
    ⒡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을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보다 높게 설치하고,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는 승강용 스크류 잭(116a)과 스틸플레이트(116b)와 그리고 그 위에 유압 잭(116c)의 순서로 설치하며,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는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을 설치하는 단계;
    ⒢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설치된 안전용 스크류 잭(126a)과, 본체 브라켓의 잭 버팀판(116)에 설치된 승강용 스크류 잭(116a)은 피치가 제로인 상태에서 본체 브라켓의 유압 잭(116c)만 스트로크 S1만큼 인상시키는 단계;
    ⒣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설치된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을 S1만큼 인상시켜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 S1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
    ⒤ 본체 브라켓의(110) 유압 잭(116c)의 피스톤을 S1에서 제로로 하강시킨 다음 승강용 스크류 잭(116a)을 S1만큼 인상시키는 단계;
    ⒥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을 다시 스트로크 S2까지 인상시키는 단계;
    ⒦ 보조 브라켓의 잭 버팀판(126)에 설치된 안전용 스크류 잭(126a)을 S2만큼 인상시켜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스트로크 S2를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
    ⒧ 본체 브라켓(110)의 유압 잭(116c)의 피스톤을 S2에서 제로로 하강시킨 다음 유압 잭(116c)을 제거하는 단계;
    ⒨ 유압 잭(116c)을 제거함으로써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교좌장치(140)를 교체하는 단계;
    ⒩ 승상 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100)를 이용한 교량인상 시공방법
KR1020070073087A 2006-11-15 2007-07-20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인상 시공방법 KR100780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2873 2006-11-15
KR1020060112873 2006-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888B1 true KR100780888B1 (ko) 2007-11-30

Family

ID=3908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087A KR100780888B1 (ko) 2006-11-15 2007-07-20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인상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8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0539A (zh) * 2013-03-22 2014-09-24 财团法人中华顾问工程司 桥梁顶升千斤顶支撑托座
CN104947607A (zh) * 2015-06-29 2015-09-30 实用动力(中国)工业有限公司 一种缝隙减震梁顶升装置
KR101914261B1 (ko) * 2018-02-06 2018-11-01 주식회사 미래안전기술단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승강방법
KR102072664B1 (ko) * 2019-05-08 2020-02-03 브릿지테크(주) 컴퓨터 제어 기반의 교량 인상 시스템 및 공법
KR20210026561A (ko) * 2019-08-30 2021-03-10 (주)에스티특수보강 개선된 교량인상용 유압잭 설치 강재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공법
CN114481870A (zh) * 2022-03-19 2022-05-13 北京市市政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桥梁支座更换装置及更换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911Y1 (ko) 2000-12-26 2001-06-15 박재만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KR200303279Y1 (ko) 2002-10-28 2003-02-06 노윤근 강판을 이용한 단위 교량승상 브라켓
KR200322332Y1 (ko) 2002-11-01 2003-08-06 노윤근 강판을 이용한 단위 내측 및 외측 브라켓으로 이루어진교량인상장치
KR20030066205A (ko) * 2002-02-05 2003-08-09 우경건설 주식회사 강재 정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공법
KR200337552Y1 (ko) 2003-04-23 2004-01-03 노윤근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KR200345807Y1 (ko) 2003-12-29 2004-03-24 주식회사 선우건설 교량상판 인상장치
KR20050030381A (ko) * 2003-09-25 2005-03-30 최은철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단면확대 그 방법
KR100499978B1 (ko) 2002-10-28 2005-07-07 노윤근 강판을 이용한 단위 교량승상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교량승상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911Y1 (ko) 2000-12-26 2001-06-15 박재만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KR20030066205A (ko) * 2002-02-05 2003-08-09 우경건설 주식회사 강재 정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공법
KR200303279Y1 (ko) 2002-10-28 2003-02-06 노윤근 강판을 이용한 단위 교량승상 브라켓
KR100499978B1 (ko) 2002-10-28 2005-07-07 노윤근 강판을 이용한 단위 교량승상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교량승상 시공방법
KR200322332Y1 (ko) 2002-11-01 2003-08-06 노윤근 강판을 이용한 단위 내측 및 외측 브라켓으로 이루어진교량인상장치
KR200337552Y1 (ko) 2003-04-23 2004-01-03 노윤근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KR20050030381A (ko) * 2003-09-25 2005-03-30 최은철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단면확대 그 방법
KR200345807Y1 (ko) 2003-12-29 2004-03-24 주식회사 선우건설 교량상판 인상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0539A (zh) * 2013-03-22 2014-09-24 财团法人中华顾问工程司 桥梁顶升千斤顶支撑托座
CN104947607A (zh) * 2015-06-29 2015-09-30 实用动力(中国)工业有限公司 一种缝隙减震梁顶升装置
KR101914261B1 (ko) * 2018-02-06 2018-11-01 주식회사 미래안전기술단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하이브리드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승강방법
KR102072664B1 (ko) * 2019-05-08 2020-02-03 브릿지테크(주) 컴퓨터 제어 기반의 교량 인상 시스템 및 공법
KR20210026561A (ko) * 2019-08-30 2021-03-10 (주)에스티특수보강 개선된 교량인상용 유압잭 설치 강재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공법
KR102246225B1 (ko) * 2019-08-30 2021-04-29 (주)에스티특수보강 개선된 교량인상용 유압잭 설치 강재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공법
CN114481870A (zh) * 2022-03-19 2022-05-13 北京市市政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桥梁支座更换装置及更换方法
CN114481870B (zh) * 2022-03-19 2022-09-06 北京市市政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桥梁支座更换装置及更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888B1 (ko)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인상 시공방법
KR100964729B1 (ko) 거더 측면공간을 이용한 교량인상장치
KR100726163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지지장치
KR100707312B1 (ko)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KR100977280B1 (ko) 교각의 빔 인상 플레이트
CN111877345B (zh) 用于水域内钢栈桥施工的钢管桩定位装置及施工方法
KR101004795B1 (ko) 강판형교의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구조
CN112942808A (zh) 一种结合机械化施工的组合模板施工方法
KR101066837B1 (ko) 받침기능을 보유하고 탈락방지가 가능한 탈착식 교량용 인상장치
KR200439935Y1 (ko)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
WO2024077880A1 (zh) 一种大倾角斜墙收分顶升式钢平台施工装置及方法
KR100499978B1 (ko) 강판을 이용한 단위 교량승상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교량승상 시공방법
JP2012102468A (ja) 橋梁下面補修用移動式足場および該足場の設置方法
KR100348632B1 (ko) 역방향 가설 브래키트를 이용한 교량빔의 인상장치 및 그방법
KR100760833B1 (ko) 개별 조립식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지지인상방법
CN210500860U (zh) 二次结构构造柱顶部植筋辅助器
KR20040076348A (ko) 아이형강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설치방법
KR100526995B1 (ko) 강판을 이용한 단위 내측 및 외측 브라켓으로 이루어진교량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보수보강 시공방법
CN113738156A (zh) 一种有限空间内的临时支撑结构及其拆除方法
JP4573355B2 (ja) 床版の剥がし方法及び床版剥がし装置
JP3115544B2 (ja) 橋台用支承装置の搬入方法
CN219604133U (zh) 一种深基坑支撑梁与塔吊基础间钢连桥平台
CN219195648U (zh) 一种空间异型拱肋支撑调节装置
KR200303279Y1 (ko) 강판을 이용한 단위 교량승상 브라켓
CN211283556U (zh) 一种预制混凝土柱顶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