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911Y1 -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 Google Patents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911Y1
KR200227911Y1 KR2020000036386U KR20000036386U KR200227911Y1 KR 200227911 Y1 KR200227911 Y1 KR 200227911Y1 KR 2020000036386 U KR2020000036386 U KR 2020000036386U KR 20000036386 U KR20000036386 U KR 20000036386U KR 200227911 Y1 KR200227911 Y1 KR 200227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welded
fastening
hydraul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만
Original Assignee
박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만 filed Critical 박재만
Priority to KR2020000036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911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교각 및 교대의 코핑부와 같은 제1 대상물과 교각 위에 설치되는 PC빔 등의 주빔과 같은 제2 대상물의 사이에 유압잭과 같은 유압장치를 설치하여 제2 대상물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그들 사이의 중간부에 가로질러 고정되는 중간요소를 피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간섭방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유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버팀부가 상기 제2 대상물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분할요소와, 상기 양쪽 분할요소를 결합되는 길이를 가변시켜 체결하기 위한 가변체결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교각과 교대의 코핑부 상단을 덮는 형태로 구조물 손상과 교통통제 없이 받침부에 조립, 설치하여 잭을 설치한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인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버팀판을 추가 설정하여 단부판과의 충분한 용접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내하력이 증가되어 더 큰 잭킹력에 견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형하공간 및 연단거리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연결판의 볼트 채움에 의하여 조립식 브래키트를 폭이 다른 교각에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 및 실처가 용이하도록 2개 부분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시공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ASSEMBLING BRACKET TO LIFT UP UPPER STRUCTURE}
본 고안은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좌장치의 보수, 교체 등으로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인상 작업할 때에 잭의 설치공간이 부족하거나 응력 부족으로 인한 코핑부 손상 등이 우려가 되어 잭을 코핑부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 그리고 형하공간 및 연단거리가 부족한 경우에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을 용이하게 인상할 수 있도록 한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의 상부에 걸쳐 설치되는 교량빔와 상판 등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그 교량 상판과 빔은 설치 후 작용하는 신축응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 작용이 가능하도록 교각과 빔 및 교량상판의 가동간 사이에는 고정식 교좌 또는 진동 흡수식 합성교좌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교량은 설치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교량 구조체나 교좌장치가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 들면, 교량상판의 조인트 부분에서의 누수 등으로 인한 교좌장치의 부식이나, 파괴, 교좌장치에 주입된 그리스의 기능 마비 현상 등이 일어나고, 이로 인하여 교각의 균열이나 상판 및 빔의 균열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예 이외에도 지반의 부동침하 현상으로 인한 교각의 침하와 상판의 위치 변동, 빔이 충격하중으로 파괴되어 상판이 부분적으로 가라앉아 상판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 기타 교량의 당초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중차량의 등장으로 인한 교좌장치의 단면 부족과 교량 상판의 교체 필요성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요인으로 교량을 보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파손 또는 변형된 교량을 보수함에 있어서는 파손 정도에 따라서 교량 전체 또는 일부분을 철거하고 다시 복구하거나, 혹은 부분적 보수작업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구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교량 구조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철거하고, 재 구축하는데는 많은 중장비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보수 공사비가 막대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복구작업이 완료될 때까지는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차량 통행의 폐쇄 또는 우회로 인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교량 보수시 교량상판이나 빔 구조물을 철거 또는 해체함이 없이 보수를 요하는 부위만을 상하 방향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보수하는 작업으로서, 유압잭을 사용하여 교량 빔이나 상판을 들어 올려서 보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있다.
그리고, 교좌장치의 보수, 교체등으로 교량 상부 구조물을 유압장치로 들어 올리는 인상작업을 행할 때에는 교좌장치의 교체시 잭 설치의 공간을 확보하는 교좌장치와 교각 끝단까지의 거리인 연단거리와, 빔의 하단에서 교각의 상단까지의 거리인 형하공간 등의 유압잭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부족하거나 응력부족으로 인하여 교량의 코핑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우려되어 유압잭을 코핑부에 설치하지 못할 경우 시도되는 공법들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기존공법들의 경우 구조물에 손상을 주게 되어 보수, 보강의 목적외의 추가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장기적인 교량 구조물 유지, 관리의 측면에서 손상으로 인한 하자발생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종래 조립식 브래키트를 이용한 보수공법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들어 보면, 시공할 때에 최소 8cm 이상의 형하공간 및 철근덮개 이상의 연단거리가 확보되어야 만이 적용이 가능하고, 큰 잭킹력이 작용할 때에 버팀판의 개수의 증가로 인하여 용접시 시공성이 떨어지며, 연단거리 및 형하공간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모든 교량에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도로교 시방서에 소개된 잭 설치기준을 보면, 연단거리는 들보의 지간길이가 10m 이하인 경우에는 경간 30m 기준으로 35cm이고, 형하공간은 40cm를 확보하여야 하므로 현실적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종래 단면확대 인상법의 문제점은 공기 및 공사비에서 타 공법과 비교하여 비경제적이고, 미관이 좋지 못하며, 기존 교량에 앙카를 사용한 후 철근을 배근하므로 기존 교량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교좌장치의 보수, 교체 등으로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인상 작업할 때에 잭의 설치공간이 부족하거나 응력 부족으로 인한 코핑부 손상 등이 우려가 되어 잭을 코핑부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 그리고 형하공간 및 연단거리가 부족한 경우에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을 용이하게 인상할 수 있게 되는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브래키트가 교량에 설치된 형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교각용 브래키트가 교량에 설치된 형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교각용 브래키트의 일 형태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교각용 브래키트의 일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교각용 브래키트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교대용 브래키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각 2 : 주빔
4 : 코핑부 10 : 제1 대상물
20 : 제2 대상물 30 : 중간요소
101 : 버팀부 110 : 분할요소
111, 111' : 상면판 111a : 간섭방지홈
111b :유압장치 수용홈 111c : 연결부
111d : 체결공 112, 112' : 측면판
112a : 절결부 113 : 지지판
114 : 버팀판 115, 116 : 보강판
117 : 수직 고정판 117a : 체결공
118 : 보강판 120 : 가변체결요소
121 : 고정 체결판 121a, 122a : 체결공
122 : 조립 체결판 123 : 고장력볼트
123 : 고장력볼트 200 : 유압장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는 교량의 교각 및 교대의 코핑부와 같은 제1 대상물과 거더와 같은 제2 대상물의 사이에 유압잭과 같은 유압장치를 설치하여 제2 대상물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그들 사이의 중간부에 가로질러 고정되는 중간요소를 피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간섭방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유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버팀부가 상기 제2 대상물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분할요소와, 상기 양쪽 분할요소를 결합되는 길이를 가변시켜 체결하기 위한 가변체결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쪽 분할요소는 상면판의 하면에 측면판이 용접되고, 상면판과 측면판의 외측으로 버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판은 상기 중간요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방지홈이 내측부에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유압장치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은 상기 상면판의 간섭방지홈과 유압장치 수용홈 사이의 연결부에 하측으로 용됨과 아울러, 상기 버팀부는 상기 상면판의 하면과 측면판의 외면 사이에 한 쌍의 지지판이 용접되고, 양쪽 지지판의 사이에는 상기 유압장치가 올려지는 버팀판이 용접되며, 상기 측면판의 양쪽 지지판 외측, 그리고 버팀판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보강판이 용접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변체결요소는 상기 양쪽 분할요소의 내측단부에 상기 간섭방지홈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고정 체결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 사이에 복수개의 조립 체결판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 체결판과 조립 체결판에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고장력볼트로 체결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 조립식 브래키트의 단점인 최소 형하공간 및 연단거리의 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보다 큰 잭킹력에 견딜 수 있으며, 착탈이 가능한 잭 받침장치로 제작하여 교각과 교대의 코핑부 상단을 덮는 형태로 구조물 손상이 없고, 교통통제 없이 교좌 받침부에 조립, 설치한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인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브래키트가 교량에 설치된 형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교각용 브래키트가 교량에 설치된 형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교각용 브래키트의 일 형태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교각용 브래키트의 일 형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교량의 교각(1)에 복수개의 주빔(2)이 교좌장치(11)를 개재하여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주빔(2)의 상부에 슬라브(3)가 결합되며, 상기 교각(1)의 코핑부(4) 상측에는 주빔(2)을 인상하기 위한 복수개의 조립식 브래키트(100)가 결합되고, 상기 각 조립식 브래키트(100)의 버팀부(101)와 주빔(2)의 하면 사이에는 유압장치(200)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브(3)와 주빔(2)을 유압장치(200)로 인상시킬 수 있도록 시공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교각(1)의 코핑부(4)와 주빔(2)의 사이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조립식 브래키트(100)가 결합되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교량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교대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브래키트(100)가 결합되어 유압장치(200)를 설치하도록 이용된다.
상기 조립식 브래키트(100)는 교각(1)의 코핑부(4)와 같은 제1 대상물(10)과, 교각(1) 위에 설치되는 PC빔 등의 주빔(2)과 같은 제2 대상물(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대상물(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대상물(20)을 인상시키기 위한 유압장치(200)를 지지하기 위한 버팀부(101)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브래키트(100)는 한 쌍의 양쪽 분할부재(110)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양쪽 분할부재(110)는 상기 교좌장치(11)와 같이 제1 대상물(10)과 제2 대상물(20)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중간요소(30)를 기준으로 양쪽에서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체결요소(120)에 의해 체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 브래키트(100)의 양쪽 분할부재(110)는 상면판(111)의 하면에 측면판(112)이 용접되고, 상면판(111)과 측면판(112)의 외측으로 버팀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판(111)은 상기 중간요소(3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방지홈(111a)이 내측부에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유압장치 수용홈(111b)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112)은 상기 상면판(111)의 간섭방지홈(111a)과 유압장치 수용홈(111b) 사이의 연결부(111c)에 하측으로 용접된다.
상기 버팀부(101)는 상기 상면판(111)의 하면과 측면판(112)의 외면 사이에 한 쌍의 지지판(113)이 용접되고, 양쪽 지지판(113)의 사이에는 상기 유압장치(200)가 올려지는 버팀판(114)이 용접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측면판(112)의 양쪽 지지판(113) 외측, 그리고 버팀판(114)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보강판(115),(116)이 용접된다.
상기 가변체결요소(120)는 상기 양쪽 분할부재(110)의 내측단부에 상기 간섭방지홈(111a)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고정 체결판(121)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 체결판(121) 사이에 복수개의 조립 체결판(122)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 체결판(121)과 조립 체결판(122)에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121a),(122a)에 끼워지는 고장력볼트(123)로 체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교각용 브래키트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조립식 브래키트(100)의 양쪽 분할부재(110)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상면판(111')이 중간 상측부에 절결부(112a)를 가지는 측면판(112')의 상단부에 용접되고, 상면판(111')과 측면판(112')의 외측으로 버팀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양쪽 상면판(111') 사이에 간섭방지홈(1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팀부(101)는 상기 상면판(111')의 하면과 측면판(112')의 외면 사이에 한 쌍의 지지판(113)이 용접되고, 양쪽 지지판(113)의 사이에는 버팀판(114)이 용접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측면판(112)의 양쪽 지지판(113) 외측, 그리고 버팀판(114)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보강판(115),(116)이 용접된다.
도 6은 교대용 브래키트의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조립식 브래키트(100)는 간섭방지홈(111a)과 유압장치 수용홈(111b)을 가지는 상면판(111)에 측면판(112)이 고정되고, 상면판(111)과 측면판(112)에 버팀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판(111)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간섭방지홈(111a)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수직 고정판(117)이 용접됨과 아울러 보강판(118)이 고정되고, 상기 상면판(111)에는 교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11d)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판(117)에는 교대의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1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브래키트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교량의 상판을 인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조립식 브래키트(100)의 양쪽 분할부재(110)를 교각(1)의 코핑부(4)와 주빔(2)의 사이에 설치된 교좌장치(11)의 양쪽에서 밀어 넣어 양쪽 분할부재(110)의 측면판(112)을 교각(1)의 코핑부(4)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후, 양쪽 분할부재(110)의 상면판(111)의 내측단부에 구비된 고정 체결판(121)에 조립 체결판(122)를 삽입하고, 고정 체결판(121)과 조립 체결판(122)의 서로 연통되는 체결공(121a),(122a)으로 고장력볼트(123)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한다.
또한, 교량의 교대쪽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립식 브래키트(100)를 밀어 넣어 상면판(111)과 수직 고정판(117)에 형성된 체결공(111d),(111e)을 통하여 삽입되는 고장력볼트(123)를 교대와 측벽에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되는 양쪽 분할부재(110)의 버팀부(101)의 버팀판(114) 위에 유압장치(200), 예를 들어 유압잭(201)을 설치하여 교량의 주빔(2)을 인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교각(1)의 코핑부(4)와 같은 제1 대상물(10)과 주빔(2)과 같은 제2 대상물(20)의 사이에 교좌장치(11)와 같은 중간요소(30)가 가로막고 있는 경우에도 조립식 브래키트(100)에 간섭방지홈(11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간요소(30)에 간섭됨이 없이 제1 대상물(10)과 제2 대상물(20)의 사이로 조립 체결할 수 있으므로 형하공간에 구애됨이 없고, 또한 유압장치(200)를 설치하기 위한 버팀부(101)가 측면판(11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대상물(20)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연단거리에 구애됨이 없이 유압장치(200)를 자유롭게 설치하여 교량의 상판과 같은 대상물을 간편용이하게 인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교각과 교대의 코핑부 상단을 덮는 형태로 구조물 손상과 교통통제 없이 받침부에 조립, 설치하여 잭을 설치한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인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버팀판을 추가 설정하여 단부판과의 충분한 용접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내하력이 증가되어 더 큰 잭킹력에 견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형하공간 및 연단거리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연결판의 볼트 채움에 의하여 조립식 브래키트를 폭이 다른 교각에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동 및 실처가 용이하도록 2개 부분으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시공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교량의 교각 및 교대의 코핑부와 같은 제1 대상물과, 교각 위에 설치되는 PC빔 등의 주빔과 같은 제2 대상물의 사이에 유압잭과 같은 유압장치를 설치하여 제2 대상물을 인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물과 제2 대상물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그들 사이의 중간부에 가로질러 고정되는 중간요소를 피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간섭방지홈이 구비되며, 상기 유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버팀부가 상기 제2 대상물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분할요소와, 상기 양쪽 분할요소를 결합되는 길이를 가변시켜 체결하기 위한 가변체결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분할요소는 상면판의 하면에 측면판이 용접되고, 상면판과 측면판의 외측으로 버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판은 상기 중간요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방지홈이 내측부에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유압장치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은 상기 상면판의 간섭방지홈과 유압장치 수용홈 사이의 연결부에 하측으로 용됨과 아울러, 상기 버팀부는 상기 상면판의 하면과 측면판의 외면 사이에 한 쌍의 지지판이 용접되고, 양쪽 지지판의 사이에는 상기 유압장치가 올려지는 버팀판이 용접되며, 상기 측면판의 양쪽 지지판 외측, 그리고 버팀판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보강판이 용접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결요소는 상기 양쪽 분할요소의 내측단부에 상기 간섭방지홈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고정 체결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 사이에 복수개의 조립 체결판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 체결판과 조립 체결판에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고장력볼트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분할요소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상면판이 중간 상측부에 절결부를 가지는 측면판의 상단부에 용접되고, 상면판과 측면판의 외측으로 버팀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쪽 상면판 사이에 간섭방지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버팀부는 상기 상면판의 하면과 측면판의 외면 사이에 한 쌍의 지지판이 용접되고, 양쪽 지지판의 사이에는 버팀판이 용접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의 양쪽 지지판 외측, 그리고 버팀판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보강판이 용접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홈과 유압장치 수용홈을 가지는 상면판에 측면판이 고정되고, 상기 상면판과 측면판에 유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버팀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판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간섭방지홈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수직 고정판이 용접됨과 아울러 보강판이 고정되고, 상기 상면판과 수직 고정판에는 고장력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KR2020000036386U 2000-12-26 2000-12-26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KR200227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386U KR200227911Y1 (ko) 2000-12-26 2000-12-26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386U KR200227911Y1 (ko) 2000-12-26 2000-12-26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158A Division KR20020012899A (ko) 2000-08-09 2000-08-09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911Y1 true KR200227911Y1 (ko) 2001-06-15

Family

ID=7309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386U KR200227911Y1 (ko) 2000-12-26 2000-12-26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911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701B1 (ko) * 2001-06-14 2003-10-08 조영철 교량상부 인상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95159A (ko) * 2002-06-24 2003-12-18 김해영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KR100440826B1 (ko) * 2001-09-01 2004-07-21 유니슨 주식회사 교량받침 교체를 위한 상판 리프팅 장치 및 상판 리프팅 공법
KR100450863B1 (ko) * 2002-04-01 2004-10-06 (주)알티에스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장치
KR100544334B1 (ko) * 2002-10-15 2006-01-23 김해영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 받침장치
KR100780888B1 (ko) 2006-11-15 2007-11-30 민경기술 주식회사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인상 시공방법
KR101847174B1 (ko) 2017-07-26 2018-04-09 주식회사우암시스템 컴퓨터 제어 방식의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1863819B1 (ko) * 2017-07-26 2018-06-01 (주)우암건설 컴퓨터 제어 방식의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보수공법
KR101883423B1 (ko) 2018-03-30 2018-07-30 (주)우암건설 컴퓨터 제어 방식의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보수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701B1 (ko) * 2001-06-14 2003-10-08 조영철 교량상부 인상방법 및 그 장치
KR100440826B1 (ko) * 2001-09-01 2004-07-21 유니슨 주식회사 교량받침 교체를 위한 상판 리프팅 장치 및 상판 리프팅 공법
KR100450863B1 (ko) * 2002-04-01 2004-10-06 (주)알티에스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95159A (ko) * 2002-06-24 2003-12-18 김해영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KR100544334B1 (ko) * 2002-10-15 2006-01-23 김해영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 받침장치
KR100780888B1 (ko) 2006-11-15 2007-11-30 민경기술 주식회사 안전성이 개선된 연속작업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인상 시공방법
KR101847174B1 (ko) 2017-07-26 2018-04-09 주식회사우암시스템 컴퓨터 제어 방식의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1863819B1 (ko) * 2017-07-26 2018-06-01 (주)우암건설 컴퓨터 제어 방식의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보수공법
KR101883423B1 (ko) 2018-03-30 2018-07-30 (주)우암건설 컴퓨터 제어 방식의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 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0566665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보수용 가시설
KR101026012B1 (ko) 교각과 일체화시킨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해체공법
KR200227911Y1 (ko)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KR102024665B1 (ko)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0214387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용 잭 받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 보수방법
KR101214528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KR100214386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용 잭 받침장치
KR101068299B1 (ko) 교량 인상에서 차량 통행을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85573A (ko) 신축 이음 프리캐스트의 중력식 레벨링 공법
KR200439935Y1 (ko) 교량용 타워크레인 고정장치
KR20020012899A (ko) 상부 구조물 인상을 위한 조립식 브래키트
KR100478701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승상 및 보수, 보강방법
KR102085928B1 (ko) 스플라이스 파일캡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605011B1 (ko) 교량 하부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0450863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및 그 장치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KR101214531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KR102490192B1 (ko)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KR100478702B1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순차적 교체 방법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200233610Y1 (ko) 교량 상부구조 보강장치
KR100214389B1 (ko) 가교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454387B1 (ko) 상부구조물 인상용 부축식 가벤트 및 그 형성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JP2005350979A (ja) 仮締切構造体および仮締切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