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535B1 -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535B1
KR100780535B1 KR1020060050277A KR20060050277A KR100780535B1 KR 100780535 B1 KR100780535 B1 KR 100780535B1 KR 1020060050277 A KR1020060050277 A KR 1020060050277A KR 20060050277 A KR20060050277 A KR 20060050277A KR 100780535 B1 KR100780535 B1 KR 10078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piston
shock absorber
passage
piston
oper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777A (ko
Inventor
다까시 데라오까
다쯔야 마사무라
후또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64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60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3221A external-priority patent/JP4644572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차체와 차량 휠 사이의 현가 스프링과 병렬로 개재된 완충 장치는 실린더(11)를 제1 작동실(R1)과 제2 작동실(R2)로 구획하고 피스톤 로드(8)에 연결된 주 피스톤(2)을 포함한다. 제1 작동실(R1)과 제2 작동실(R2)은 제1 유동 저항 하에 적층식 리프 밸브(V1, V2)에 의해 연결된다. 통로(4a)는 제2 유동 저항 하에 제1 작동실(R1)을 자유 피스톤(5)에 의해 구획된 압력실(R3A, R3B) 중 하나와 연결한다. 통로(4b)는 제3 유동 저항 하에 제2 작동실(R2)을 압력실(R3A, R3B) 중 다른 하나(R3B)와 연결한다. 완충 장치는 스프링(S)이 자유 피스톤(5)을 소정의 중립 위치에 지지하는 결과로 안정적인 감쇠력 특성을 나타낸다.
완충 장치, 작동실, 압력실, 감쇠력, 자유 피스톤

Description

완충 장치 {Shock Absorbe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완충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2는 완충 장치의 팽창 스트로크시에 작동유의 흐름을 설명하는 구성도.
도3은 완충 장치의 진동주파수(F)와 전달 게인(gain)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완충 장치의 진동주파수(F)와, 변위의 위상(Φ)과, 주파수 전달함수 G (j·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5는 완충 장치의 부분 단면을 포함하는 측면도.
도6은 완충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7은 도6과 유사하지만, 하우징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도6과 유사하지만, 하우징의 또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의 팽창 스트로크시에 작동유의 흐름을 설명하는 구성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12a 내지 도12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리피스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13은 도11과 유사하지만, 관통 구멍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도11과 유사하지만, 오리피스 및 환형 홈의 배치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완충 장치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문헌 1] 미국 특허 공개 제2005/0011712호 공보
[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평)07/019642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56237호 공보
본 발명은, 차량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청이 2005년에 발행한 공개 특허공보 제2005/0011712호, 일본 특허청이 1995년에 발행한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평)07/019642호, 및 일본 특허청이 2000년에 발행한 공개 특허공보 제2000/356237호에는 각각 완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완충 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2개의 작동실로 구획하는 주 피스톤과, 상기 주 피스톤에 제공되고 2개의 작동실과 연결되는 통로와, 2개의 작동실과 각각 연결되고 자유 피스톤에 의해 구획된 압력실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완충 장치들은 작은 진폭의 진동에 대해서는 자유 피스톤의 변위에 응 답하여 압력실과 작동실 사이의 작동유의 이동에 의해 비교적 작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다른 한편, 대진폭의 진동에 대해서는 자유 피스톤이 스트로크 단부까지 이동하므로, 각 작동실과 그에 응답하는 압력실 사이에서 작동유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작동유는 주 피스톤을 관통하여 제공된 통로를 통해 2개의 작동실 사이를 직접 이동한다. 상기 통로 내에 리프 밸브(leaf valve)와 같은 저항 요소를 제공하여 큰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자유 피스톤이 스트로크 단부에 이르면, 완충 장치는 감쇠력을 급격히 증가시킨다. 종래 기술의 완충 장치는 감쇠력이 급격한 변동을 부드럽게하기 위해서 자유 피스톤의 변위 방향으로 돌출하는 쿠션을 마련하고 있다. 자유 피스톤이 거의 스트로크 단부에 이르면, 쿠션은 압력실의 벽과 인접한다. 결과적으로, 자유 피스톤의 변위는 점진적으로 차단되고 감쇠력은 서서히 증가한다.
차량용 완충 장치는 차량이 굽은 도로를 주행할 때 상기 완충 장치에 입력되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진동 입력에 대해서 큰 감쇠력을 발생하여 차량의 롤링을 억제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 차량이 노면의 요철부를 주행하여 생기는 비교적 높은 진동 입력에 대해서는 작은 감쇠력을 발생하여, 차량 현가 시스템에 대한 스프링 중량으로서 차량 본체에 진동 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의 완충 장치는 입력 충격의 진폭에 응답하여 감쇠력을 변동시킴으로써, 상기 요구를 실질적으로 충족시킨다. 그러나, 진폭에 응답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이러한 완충 장치는 예컨대 작은 진폭을 가지는 입력 충격에 대하여 큰 감쇠력을 발생시키고자 한 경우에는 대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의 주파수에 응답하여 감쇠력을 변동시키고 그러한 진동의 특성에 대처하도록 완충 장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11712호에 있어서, 자유 피스톤의 중립 위치가, 주 피스톤의 중립 위치와 반드시 대응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감쇠력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시기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완충 장치는 팽창 및 압축 스트로크 중에 하나의 작동실과 다른 작동실 사이에 수 메가 파스칼의 압력 차이가 생긴다. 자유 피스톤에 장착된 쿠션에 의한 감쇠력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쿠션의 스프링 상수를 큰 값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요구되는 내구성 특성을 가지는 쿠션을 설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계를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감쇠력의 급격한 변화를 정밀하게 억제하는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휠과 본체 사이의 현수 스프링과 병렬로 개재된 완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완충 장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제1 작동실과 제2 작동실로 구획하는 주 피스톤과, 제1 유동 저항 하에서 상기 제1 작동실과 제2 작동실을 연결하는 제1 연결 기구와, 소정의 압력 수용 면적을 가지는 자유 피스톤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압력실과, 제2 유동 저항 하에서 제1 작동실을 상기 2개의 압력실 중 하나와 연결하는 제2 연결 기구와, 제3 유동 저항 하에서 제2 작동실을 상기 2개의 압력실 중 다른 하나와 연결하는 제3 연결 기구와, 소정의 스프링 상수를 가지고 상기 자유 피스톤을 소정의 중립 위치에 탄 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과 세부 사항들은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제시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다.
도면의 도1을 참조하면, 차량용 완충 장치는 실린더(l)와, 상기 실린더(1) 내에서 활주하고 상기 실린더(1)를 2개의 작동실에 구획하는 주 피스톤(2)과, 상기 실린더(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주 피스톤(2)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8; piston rod)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작동실은 주 피스톤(2) 위에 있는 상부 작동실(R1)과 주 피스톤(2)의 아래에 있는 하부 작동실(R2)로 칭한다.
상부 작동실(Rl)과 하부 작동실(R2)은 주 피스톤(2)에 제공된 제1 통로(3)를 통해 연결된다.
원통형 압력실(R3)은 주 피스톤(2) 내에 제공되고, 자유 피스톤(5)이 상기 압력실 내에 하우징된다. 압력실(R3)은 자유 피스톤(5)에 의해 상부 압력실(R3A)과 하부 압력실(R3B)로 구획된다. 상부 작동실(R1), 하부 작동실(R2), 상부 압력실(R3A), 및 하부 압력실(R3B)에는 작동유가 충전된다.
자유 피스톤(5)은 스프링(S)에 의해 중립 위치에서 탄성 지지된다.
상부 압력실(R3A)과 상부 작동실(R1)은 오리피스(11)가 제공된 제2 통로(4a)에 의해 연통하여 위치된다. 하부 압력실(R3B)과 하부 작동실(R2)은 오리피스(12)가 제공된 제3 통로(4b)에 의해 연통하여 위치된다. 상기 통로(4a, 4b)들은 상기 통로(4a, 4b)들을 분리하는 자유 피스톤(5)에 의해 연통이 차단되어 있지만, 자유 피스톤(5)의 변위속도에 응답하여 동일한 유량의 작동유가 동시에 상기 통로(4a, 4b)들에서 유동한다.
실린더(1)의 주 피스톤(2)의 아래에는, 자유 피스톤(7)에 의해 가스실(G)이 구획된다. 상기 가스실(G)에는 기체가 충전되어 있다. 그래서, 가스실(G)은 피스톤 로드(8)의 진입으로 인한 실린더(1)의 변위 체적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8)와 실린더(1) 사이에 개재된 밀봉 부재는 실린더(1)의 액밀 특성을 유지시킨다.
피스톤 로드(8) 또는 실린더(1), 또는 그 양쪽 모두에 축방향 힘이 작용하면, 피스톤 로드(8)는 실린더(1)에 상대적으로 변위한다. 상기 상대적 변위에 따라서, 주 피스톤(2)은 실린더(1) 내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변위한다.
오리피스 또는 리프 밸브를 포함하는 감쇠력 발생 요소(10)는 작동유의 유동에 저항을 제공하도록 제1 통로(3)를 따라 제공된다.
완충 장치가 팽창 스트로크를 수행하면, 즉 실린더(1)로부터 피스톤 로드(8)가 돌출하면, 주 피스톤(2)은 상부 작동실(R1)을 압축시키고 하부 작동실(R2)을 팽창시킨다. 결과적으로, 상부 작동실(R1)의 압력은 증가하고 하부 작동실(R2)의 압력은 감소한다.
상부 작동실(R1)의 압력의 증가는 제2 통로(4a)를 통해 상부 압력실(R3A)로 작동유를 유입시킨다. 결과적으로, 자유 피스톤(5)은 스프링(S)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강하된다. 자유 피스톤(5)의 강하는 제3 통로(4b)를 통해 압축된 상태에 있는 하부 압력실(R3B)로부터 낮은 상대적 압력을 가지는 하부 작동실(R2)로 작동유를 이동시킨다. 완충 장치가 더욱 팽창하면, 작동유는 상부 작동실(Rl)로부터 제1 통로(3)를 통해 하부 작동실(R2)로 유동한다.
완충 장치가 압축되면, 즉 실린더(1)에 피스톤 로드(8)가 진입하면, 주 피스톤(2)이 하부 작동실(R2)을 압축시키고 상부 작동실(R1)을 팽창시킨다. 결과적으로, 상부 작동실(R1)의 압력은 감소하고 하부 작동실(R2)의 압력은 증가한다.
작동유는 상승한 압력을 가지는 하부 작동실(R2)로부터 제3 통로(4b)를 통해 하부 압력실(R3B)로 유입하고, 자유 피스톤(5)을 스프링(S)과 함께 밀어 올린다. 자유 피스톤(5)의 상향 이동은 제2 통로(4a)를 통해 가압된 체적을 가지는 상부 압력실(R3A)로부터 감소된 압력을 가지는 상부 작동실(R1)로 작동유를 이동시킨다. 완충 장치가 더욱 압축되면, 작동유는 하부 작동실(R2)로부터 제1 통로(3)를 통해 상부 작동실(R1)로 이동한다.
실린더(1) 내에서 피스톤 로드(8)에 의해 차지되는 부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 장치의 압축 및 팽창의 결과로 변화한다. 피스톤 로드(8)에 의해 차지되는 부피 변화의 결과로 실린더(1) 내의 작동유의 체적 변동은 자유 피스톤(7)에 의한 가스실(G)의 팽창 및 압축에 의해 보상된다.
다음은 도2를 참조하여 상기 완충 장치의 감쇠력의 특성이 설명될 것이다.
이제부터 주 피스톤(2)이 상향 이동할 때, 즉 완충 장치가 팽창 스트로크를 수행할 때의 작동유 유동을 고려한다.
상부 작동실(R1)과 하부 작동실(R2) 사이의 압력차가 P로 정의된다.
상부 작동실(R1)로부터의 작동유의 유량을 Q, 제1 통로(3)를 통한 작동유의 유량을 Q1, 제2 통로(4a)를 통한 작동유의 유량을 Q2라고 하면, 후속하는 식(1)이 얻어진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1
후속하는 식(2)에 의해 표현되는 관계는 차압(P)과 제1 통로(3)의 유량(Q1)에 기인한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2
여기서, C1 = 유동 계수
상부 압력실(R3A)의 압력을 P1이라고 하면, 후속하는 식(3)이 얻어진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3
여기서, C2 = 유동 계수
하부 압력실(R3B)의 압력을 P2, 자유 피스톤(5)의 압력 수용 면적을 A, 자유 피스톤(5)의 변위량을 X,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를 K라고 하면, 후속하는 식(4)가 얻어진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4
하부 압력실(R3B)로부터 제3 통로(4b)를 통해 하부 작동실(R2)로 유동하는 작동유의 유량은 제2 통로(4a)의 유량(Q2)와 동등하다. 따라서, 하부 압력실(R3B)의 압력(P2)에 관계되는 식(5)가 얻어진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5
여기서, C3 = 유동 계수
작동유의 이동량은 식(6)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6
유량(Q)에 대한 차압(P)의 전달 함수를 계산하기 위해, 식(l) 내지 식(6)을 라플라스 변환하면, 식(7)이 얻어진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7
여기서, S = 라플라스 연산자
주파수 전달 함수 G (j·ω)의 절대값을 계산하기 위해, 식(7)의 전달 함수에 라플라스 연산자(S)로서 j·ω을 대입하여 식(8)이 얻어진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8
주파수 전달 함수의 위상(Φ)은 식(9)로 주어진다.
Figure 112006039523585-pat00009
상기 식(9)에서 주파수(F)는 각도 주파수(ω)를 2π 로 나눠서 주어진다.
이제 도3을 참조하면, 진동 주파수(F)에 대한 주파수 전달 함수 G (j·ω)의 게인 특성은 2개의 변곡점 주파수(flection frequency)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0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1
를 보인다. 도면에서, F<Fa의 영역에서 전달 게인은 사실상 C1이다. Fa≤ F≤ Fb 영역에서 전달 게인은 C1에서부터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2
로 증가한다. F> Fb 영역에서, 전달 게인은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3
이다.
전술한 방식으로 얻어진 주파수 전달 함수 G (j·ω)의 게인 특성은 주 피스톤(2)의 압력 수용 면적(B)의 제곱에 │G (j·ω)│을 곱해서 감쇠 계수(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4
)로 전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F)와, 주파수 전달 함수 G (j·ω)의 감쇠 특성 사이의 관계가 얻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완충 장치는, 주파수(F)가 변곡점 주파수(Fa)보다 낮은 경우에 큰 감쇠력을 발생시키며, 주파수(F)가 변곡점 주파수(Fb)보다 높은 경우에 작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주파수(F)가 변곡점 주파수(Fa)보다 크고 변곡점 주파수(Fb)보다 낮은 구간에서는, 감쇠력은 주파수(F)의 증가에 응답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변곡점 주파수(Fa, Fb)는 유동 계수(C1), 유동 계수(C2), 유동 계 수(C3), 자유 피스톤(5)의 압력 수용 면적(A), 및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K)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계수(C1)는 식(2)를 사용하여 계산되고 차압(P)과 제1 통로(3)를 통한 작동유(Q1)의 유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유동 계수(C2)는 식(3)를 사용하여 계산되고 상부 압력실(R3A)의 압력(P1)과 제2 통로(4a)를 통한 작동유(Q2)의 유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유동 계수(C3)는 식(5)를 사용하여 계산되고 하부 압력실(R3B)의 압력(P2)과 제3 통로(4b)를 통한 작동유(Q2)의 유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감쇠 계수(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5
)는 유동 계수들(C1, C2, C3)과 피스톤(2)의 압력 수용 면적(B)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원한다면, 상기 완충 장치의 감쇠 특성은 유동 계수들(C1, C2, C3)과, 자유 피스톤(5)의 압력 수용 면적(A), 및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K)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유동 계수(C1)는 작동유의 유동에 대하여 제1 통로(3)에서 감쇠력 발생 요소(1O)에 의해 인가되는 저항으로부터 결정되는 값이다. 유동 계수(C2)는 작동유의 유동에 대하여 제2 통로(4a)에 제공되는 오리피스(11)의 저항으로부터 결정되는 값이다. 유동 계수(C3)는 작동유의 유동에 대하여 제3 통로(4b)에 제공되는 오리피스(12)의 저항으로부터 결정되는 값이다.
도4에서 도시된 변곡점 주파수(Fa, Fb) 및 입력 진동 주파수(F)에 대한 감쇠 계수(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6
)의 변화량은 유동 계수(C1, C2, C3)와, 자유 피스톤(5)의 압력 수용 면 적(A), 및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K)에 주어진 설정에 기초하여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완충 장치가 진폭의 크기에 응답하여 감쇠력 특성을 변화시키는 데 비하여, 상기 완충 장치는 입력 진동 주파수에 대하여 감쇠력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장치는 감쇠력의 조정도 용이하다. 결과적으로, 차량이 노면의 요철부 위로 주행하여 생기는 고주파수 입력 진동에 비해 작은 감쇠력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이 선회할 때 완충 장치의 부하 변화로부터 생기는 저주파수 입력 진동에 대해서는 큰 감쇠력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완충 장치는 감쇠 특성의 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실시예로 차량에 부착되었을 때, 차량에 적합한 감쇠력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번잡한 조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설계나 튜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변곡점 주파수(Fa, Fb) 중 변곡점 주파수(Fb)가 차량의 스프링 하부 공진 주파수 값 이하로 설정되어서, 스프링 하부 공진 주파수 진동이 입력되면, 완충 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작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특성은 양호한 차량 성능 특성을 유지시킨다.
입력 진동 주파수(F)가 변곡점 주파수(Fb)를 넘는 영역에서, 감쇠 계수(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7
)의 위상 지연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감쇠력은 입력 진동에 대하여 지연 없이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특성은 양호한 차량 성능 특성을 유지시킨다.
작은 변곡점 주파수(Fa)를 차량의 스프링 상부 공진 주파수 값 이상이며 스 프링 하부 공진 주파수 값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완충 장치는 스프링 상부 공진 주파수보다 큰 입력 진동에 대해 큰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특성은 차량의 자세를 안정시키고, 차량이 선회할 때 탑승자가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안정성을 유지시킨다. 변곡점 주파수(Fa)보다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감쇠 계수(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8
)의 위상 지연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감쇠력은 입력 진동에 대하여 지연 없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은 탑승자가 안전성을 느끼도록 하는 양호한 성능 특성을 발생시킨다.
유동 계수(C2, C3)의 설정은 오리피스(ll, 12) 중 어느 한쪽을 생략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동 계수(C2, C3)의 설정을 만족시키도록, 오리피스(ll, 12)를 구현하지 않고 통로(4a, 4b)의 단면적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완충 장치의 세부 구성이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5는 완충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피스톤(5)을 하우징하는 압력실(R3)은 주 피스톤(2)의 아래에서 주 피스톤(2)과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30) 내에 제공된다. 완충 장치의 피스톤 로드(8) 상단부의 브라켓(60)은 차량 본체에 연결되고, 실린더(1) 하단부의 브라켓(61)은 차량 휠 축에 연결된다.
도6을 참조하면, 소직경편(8a)이 피스톤 로드(8)의 하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소직경편(8a)의 첨단에는 수나사(8b)가 형성된다. 피스톤 로드(8)의 내측에는 소직경편(8a)을 통해 제2 통로(4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통로(4a)의 일단부는 상부 작동실(R1)과 연결되고, 또 다른 단부는 피스톤 로드(8)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개방한다. 오리피스(11)는 제2 통로(4a)를 따라서 형성되고 제2 통로(4a)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오리피스(11)을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제공하는 대신에, 오리피스(11)는 제2 통로(4a) 및 상부 작동실(R1) 사이의 연결부나 소직경편(8a)의 첨단의 개구부 단면적을 폐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피스톤(2)은 중공 중심을 가지는 환형 부재이다. 피스톤 로드(8)의 소직경편(8a)이 상기 중공 중심을 관통한다. 한 쌍의 제1 통로(3)는 상기 피스톤(2)을 관통하고 상부 작동실(R1)과 하부 작동실(R2)을 연결한다. 하나의 제1 통로(3)의 상단부의 상부 작동실(R1)을 향한 개구부는 감쇠력 발생 요소(10)로서 작용하는 적층식 리프 밸브(V1)에 의해 폐쇄된다. 또 다른 하나의 제1 통로(3)의 하단부의 하부 작동실(R2)을 향한 개구부는 감쇠력 발생 요소(10)로서 작용하는 적층식 리프 밸브(V2)에 의해 폐쇄된다.
적층식 리프 밸브(V1, V2)는 각각 환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연부는 피스톤 로드(8)의 소직경편(8a)의 외주연부와 결합된다. 적층식 리프 밸브(V1, V2)는 피스톤(21)에 적층된다. 적층식 리프 밸브(V1, V2)의 굽힘량은 소직경편(8a)의 외주부에 끼워 맞춤된 환형 밸브 스토퍼(28, 29)에 의해 제한된다.
소직경편(8a)은 스토퍼(28), 적층식 리프 밸브(V1), 주 피스톤(2), 적층식 리프 밸브(V2), 및 스토퍼(29)의 순서로 관통한다. 하우징(30)에 형성된 암나사(31a)는 첨단부에 형성된 수나사(8b)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스토퍼(28), 적층식 리프 밸브(V1), 주 피스톤(3), 적층식 리프 밸브(V2), 및 스토퍼(29)는 피스톤 로드(8)에 고정된다.
적층식 리프 밸브(V1)는 완충 장치의 압축 스트로크시에 하부 작동실(R2)과 상부 작동실(R1) 사이의 차압에 응답하여 굽힘되어서 개방되고, 고정 저항을 가지는 제1 통로(3)를 통해 하부 작동실(R2)로부터 상부 작동실(R1)로 작동유가 유동하도록 허용한다. 완충 장치가 팽창 스트로크를 수행할 때, 적층식 리프 밸브(V1)를 향하는 제1 통로(3)는 폐쇄된다.
적층식 리프 밸브(V2)는 완충 장치의 팽창 스트로크시에 하부 작동실(R2)과 상부 작동실(R1) 사이의 차압에 응답하여 굽힘되어서 개방되고, 고정 저항을 가지는 제1 통로(3)를 통해 상부 작동실(R1)로부터 하부 작동실(R2)로 작동유가 유동하도록 허용한다. 완충 장치가 압축 스트로크를 수행하면, 적층식 리프 밸브(V2)를 향하는 제1 통로(3)는 폐쇄된다. 즉, 적층식 리프 밸브(V1)는 완충 장치의 압축 스트로크에 대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적층식 리프 밸브(V2)는 완충 장치의 팽창 스트로크에 대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적층 리프 밸브(V1, V2)의 발생된 감쇠력은 통로(4a, 4b)에 의해 발생된 감쇠력보다 크게 설정된다.
하우징(30)은 원통형 외부 튜브(33)와, 스토퍼(29) 아래에서 인접하는 플랜지(32)와, 피스톤 로드(8)의 수나사(8b)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31a)를 형성하는 내부 튜브(31)와, 외부 튜브(33)의 하단을 폐쇄하는 캡(34)을 포함한다. 내부 튜브(31)는 플랜지(32)의 내주연부로부터 축방향 하향으로 외부 튜브(33)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내부 튜브(31)와, 플랜지(32)와, 외부 튜브(33)는 일편의 구조로 형성된다. 캡(34)은 외부 튜브(33)의 하단부에 코오킹(caulking)하여 고정된다.
자유 피스톤(5)은 하우징(30)의 내측에 하우징되고, 상기 하우징(30) 내의 압력실(R3)은 자유 피스톤(5)에 의해 상부 압력실(R3A)과 하부 압력실(R3B)로 구획된다.
상부 압력실(R3A)은 피스톤 로드(8)의 소직경편(8a)의 하단부 상에서 개방된 제2 통로(4a)를 통해 상부 작동실(R1)과 연결된다.
외부 튜브(33)의 외주연부의 단면은 오목부를 가지는 원형이다. 이러한 형상은 외주연부에 결합하는 공구를 사용하여 내부 튜브(31)을 피스톤 로드(8)의 소직경편(8a)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외부 튜브(33)의 외주연부의 단면형상은 완전한 원형이 아닌 형상, 또는 육각형일 수도 있다. 외부 튜브(33)의 외주연부의 단면 형상은 하우징(30)의 피스톤 로드(8)에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된다.
캡(34)은 플랜지가 제공된 폐쇄-단부형 실린더를 포함하는 부재이다. 상기 플랜지의 외주연부는 외부 튜브(33)의 하단부에 코오킹하여 고정된다. 하부 작동실(R2)과 하부 압력실(R3B)을 연결하는 제3 통로(4b)는 캡(34)의 바닥에 형성된다. 제3 통로(4b) 그 자체는 제3 통로(4b)의 단면적을 작은 값으로 만드는 오리피스(12)로서 기능한다.
자유 피스톤(5)은 외부 튜브(33)의 내주연부 상에서 활주하는 실린더부(51)와, 상기 실린더부(51)의 하단부을 폐쇄시키는 바닥부(52)를 포함한다. 바닥부(52)는 중심에서 하향하는 볼록부(53)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6)은 하부 압력실(R3B)의 내측에 제공된다. 코일 스프링(6)은 자유 피스톤(5)의 바닥부(52)와 캡(34) 사이에 개재된다. 코일 스프링(6)은 돌출부(53)의 외주연부를 따라 배치되고, 그 반경 방향의 변위는 상기 돌출부(53)와 캡(34)에 의해 제한된다.
코일 스프링(56)은 상부 압력실(R3A)의 내측에 제공된다. 코일 스프링(56)은 스프링(6)과 반대방향으로 자유 피스톤(5)을 편의시키고, 플랜지(32)와 자유 피스톤(5)의 바닥부(52) 사이에 개재된다. 코일 스프링(56)은 실린더부(51)의 내주연부를 따라서 배치되고 그 반경방향의 변위는 실린더부(51)에 의해 제한된다.
자유 피스톤(5)은 코일 스프링(6, 56)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하부 압력실(R3B)의 압력이 상부 압력실(R3A)의 압력과 같은 경우에는, 자유 피스톤(5)은 고정된 중립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코일 스프링(6, 56)은 도1 및 도2에서 스프링(S)에 해당한다.
이러한 스프링(6, 56)은 자유 피스톤(5)의 중심축과 외부 튜브(33)의 중심축의 상대적 변위 및 그들 사이의 상대적 경사를 방지함으로써, 자유 피스톤(5)의 활주 저항의 예기치 못한 증가를 억제한다.
자유 피스톤(5)의 실린더부(51)의 내경은 상향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반경 증가는 코일 스프링(56)을 압축할 때 권취부의 반경 증가를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코일 스프링(56)의 권취부의 반경이 압축에 의해 확장하면, 코일 스프링(56)은 실린더부(51)의 내주연부와 인접한다. 이 때, 자유 피스톤(5)이 축방향으로 변위하면, 피스톤(5)과 코일 스프링(56) 사이의 마모의 결과로 작동유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실린더부(51)의 내경을 상향으로 확장하는 것은 작동유의 이러한 오염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
자유 피스톤(5)은 실린더부(51)를 외부 튜브(33)의 내주연부 상에서 활주시킨다. 따라서, 활주부를 위한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유 피스톤(5)의 이러한 구조는 자유 피스톤(5)의 중심축과 외부 튜브(33)의 중심축의 상대적 변위나 그들 사이의 상대적 경사를 방지하는 데 양호하다.
도5를 참조하면, 하부 작동실(R2)과 가스실(G)을 구획하는 자유 피스톤(7)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오목부가 제공된다. 완충 장치의 최대 압축시에, 하우징(30)의 캡(34)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다. 통상적으로, 단일-튜브형 완충 장치의 피스톤 로드(8)의 첨단부에 하우징(30)을 제공하는 것은, 스트로크 길이의 유지라는 점에서 불리하다. 그러나, 자유 피스톤(7)에 상기 형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은 스크로크 거리를 약간 길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완충 장치의 감쇠 특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 피스톤(5)의 압력 수용 면적(A)과, 다양한 유동 계수(C1, C2, C3)와, 및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K)에 의해서 결정된다.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K)는 코일 스프링(6, 56)의 합성 스프링 상수를 나타낸다.
유동 계수(C1)는 적층식 리프 밸브(Vl, V2)의 유동 저항에 따른다. 유동 계수(C2)는 오리피스(11)의 유동 저항에 따른다. 유동 계수(C3)는 오리피스(12)로서 기능하는 제3 통로(4b)의 유동 저항에 따른다.
따라서, 전술한 부재들의 유동 저항과, 자유 피스톤(5)의 압력 수용 면적(A)과,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K)의 설정은 변곡점 주파수(Fa, Fb)가 임의의 방식으 로 설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입력 진동 주파수(F)에 대한 감쇠 계수(
Figure 112006039523585-pat00019
)의 변화량도 임의의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 장치는 입력 진동 주파수에 응답하여 감쇠 특성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유동 계수(C3)에 따라서, 제3 유로(4b)의 단면적은 자유 피스톤(5) 및 코일 스프링(6)이 하우징(30)으로부터 탈착되지 않는 한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유에 대한 저항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로(4a)가 오리피스(11)를 제공하지 않고 유동 계수(C2)의 설정을 만족시킬 수 있다면, 상기 오리피스(11)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완충 장치에 있어서, 감쇠 특성은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예컨대, 밸브 시트는 피스톤 로드(8)의 소직경편(8a)의 첨단부에 형성된 제2 통로(4a)의 개구 상에 제공된다.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작용하는 파핏 밸브(poppet valve)는 피스톤 로드(8)를 통해 제공된 제어 로드를 통해 완충 장치의 외측으로부터 조작될 수 있다. 제어 로드의 제어에 의해 파핏 밸브의 개구의 표면적의 변화의 결과에 따라 제2 통로(4a)의 작동유의 유동 저항이 변화하기 때문에, 유동 계수(C2)를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핏 밸브 대신에, 스풀 밸브나 로터리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7을 참조하여, 하우징(30)의 변경예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변경예는 하우징(30)의 외부 튜브(33)가 플랜지(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내부 튜브(31)와 플랜지(32)는 일체의 제1 부재(71)와 외부 튜브(33)를 포 함하고, 캡(34)은 일체의 제2 부재(74)를 포함한다.
일체의 제1 부재(71)의 플랜지(32)는 제2 부재(74)의 외부 튜브(33)의 상단부에 코오킹하여 고정된다.
완충 장치가 조립되면, 제1 부재(71)의 내부 튜브(31)는 피스톤 로드(8)의 첨단부의 수나사(8b)에 나사 결합된다.
코일 스프링(6, 56) 및 자유 피스톤(5)은 제2 부재(74)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부재(71)의 플랜지(31)는 제2 부재(74)의 외부 튜브(33)의 상단부에 코오킹하여 고정된다.
하우징(30)이 전술한 방식으로 구성되면, 내부 튜브(31)는 제2 부재(74)에 토오크를 작용하지 않고서 피스톤 로드(8)의 첨단부의 수나사(8b)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30)을 피스톤 로드(8)에 장착하는 결과인 제2 부재(7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부재(74)의 변형은 극히 작은 것일지라도, 내부의 자유 피스톤(5)의 활주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하우징(30)이 전술한 방식으로 구성되면, 자유 피스톤(5)의 원활한 활주는 보장될 수 있고 설계된 감쇠 특성은 달성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여, 하우징(30)의 또 다른 변경예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변경예에 있어서, 하우징(30)의 외부 튜브(33) 및 플랜지(32)는 분리된다. 외부 튜브(33) 및 캡(34)도 역시 분리되고, 도6에서 도시된 완충 장치와 같이 코오킹하여 서로 고정된다.
슬리브(84)는 외부 튜브(33)의 안쪽으로 삽입된다. 자유 피스톤(5)은 슬리브(84)의 내주연부 상에서 활주한다.
계단부(32a)는 플랜지(32)의 하면에서 외주연부를 따라서 형성된다. 외부 튜브(33)는 계단부(32a)의 외주연부와 결합하고, 용접에 의해 상기 계단부(32a)에 고정된다. 완성되면, 슬리브(84)의 축방향의 변위는 계단부(32a)와 캡(34)에 의해 각각 방지되고, 반경방향 변위는 외부 튜브(33)에 의해 방지된다.
완충 장치를 조립할 때, 하우징(30)은 슬리브(84), 코일 스프링(6, 56), 및 자유 피스톤(5)을 그 내부에 하우징하여 미리 조립되고, 하우징(30)의 조립이 완료되면, 내부 튜브(31)는 피스톤 로드(8)의 첨단부의 수나사(8b)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나사 결합 조작은 외부 튜브(33)에 토오크를 작용하지만, 상기 외부 튜브(33)가 토오크에 의해 약간 변형하여도, 슬리브(84)에는 영향을 못 미친다. 따라서, 슬리브(84)의 내주연부 상에서 활주할 때 자유 피스톤(5)의 원활한 축방향 변위가 보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외부 튜브(33)와 계단부(32a)가 함께 용접되면, 용접 작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외부 튜브(33)나 플랜지(32)의 변형의 결과로서 슬리브(84)에 미치는 악영향은 없다. 따라서, 자유 피스톤(5)은 원활한 축방향 활주를 유지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압력실(R3)의 하우징(30)이 주 피스톤(2)의 상부, 즉 상부 작동실(R1) 측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하우징(30)은 피스톤(2), 적층식 리프 밸브(Vl, V2), 및 스토퍼(28, 29)보다 먼저, 피스톤(2) 상부의 위치에서, 피스톤 로드(8)의 소직경편(8a)에 장착된다. 하우징(30)이 장착된 후에, 스토퍼(28), 적층식 리프 밸브(V1), 피스톤(2), 적층식 리프 밸브(V2), 및 스토퍼(29)는 이 순서대로 소직경편(8a)에 장착된다. 너트(N)는 소직경편(8a)의 첨단부의 수나사(8b)에 죄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30)은 피스톤 로드(8)의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자유 피스톤(5)은 하우징(30) 내의 압력실(R3)에 하우징된다. 압력실(R3)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유 피스톤(5)에 의해 상부 압력실(R3A) 및 하부 압력실(R3B)로 구획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부 작동실(R1)과 상부 압력실(R3A)을 연결하는 제2 통로(4a)와 오리피스(11)는 하우징(30)의 상단부면에 제공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94)을 포함한다. 하부 작동실(R2)과 하부 압력실(R3B)을 연결하는 제3 통로(4b)는 소직경편(8a)을 통해 제공된 통로(41)를 포함한다. 오리피스(12)는 상기 통로(41)에 제공된다.
하우징(30)은 하향으로 개방된 원통형 부재(92)와, 상기 원통형 부재(92)의 개구에 코오킹하여 고정된 환형 판 부재(91)를 포함한다. 원통형 부재(92)의 상단부는 폐쇄되어 있다. 하우징(30)의 축방향 변위는 판 부재(91)를 수직으로 보유하는 피스톤 로드(8)의 소직경편(8a)의 상단부의 계단부와 스토퍼(28)에 의해 제한된다.
피스톤 로드(8)를 끼워 맞추는 관통 구멍(93)은 원통형 부재(92)의 상단부면에 형성된다. 원통형 구멍(94)은 구멍(93)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 에서, 2개의 구멍(94)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구멍(94)의 개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동 계수(C2, C3)의 설정에 응답하여 임의로 증감될 수 있다.
자유 피스톤(5)은 원통형 부재(92)의 내주연부에서 활주하는 외주연부(98)와, 피스톤 로드(8)의 외주연부에서 활주하는 내주연부(100)를 포함한다.
자유 피스톤(5)은 원통형 부재(92)의 내주연부와 피스톤 로드(8)의 외주연부 모두에서 활주한다. 따라서, 자유 피스톤(5)의 중심축과 원통형 부재(92)의 중심축과 피스톤 로드(8)의 중심축의 상대적 변위와, 상기 중심축들 사이의 상대적 경사를 방지함으로써, 자유 피스톤(5)의 활주 저항의 예기치 못한 증가를 억제한다.
대향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2개의 환형 홈(97, 99)은 자유 피스톤(5)의 외주연부(98)와 내주연부(100) 사이에 형성된다. 일 단부를 원통형 부재(92)의 상단부 면에 인접시키는 코일 스프링(56)이 상향 환형 홈(97)에 하우징된다. 일 단부를 판 부재(91)에 인접시키는 코일 스프링(6)이 하향 환형 홈(99)에 하우징된다. 상향 환형 홈(97)은 코일 스프링(56)의 반경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하향 환형 홈(99)은 코일 스프링(6)의 반경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6, 56)도 도l 및 도2의 스프링(S)에 해당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완충 장치의 감쇠 특성은 자유 피스톤(5)의 압력 수용 면적(A), 유동 계수(C1, C2, C3), 및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K)에 의해서 결정된다.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K)는 코일 스프링(6, 56)의 합성 스프링 상수이다.
유동 계수(C1)는 적층식 리프 밸브(Vl, V2)의 유동 저항에 따른다. 유동 계 수(C2)는 관통 구멍(94)의 개수와 각각의 관통 구멍(94)의 유동 저항에 따른다. 유동 계수(C3)는 오리피스(12)의 유동 저항에 따른다.
따라서, 전술한 부재들의 유동 저항과, 압력 수용 면적(A)과, 스프링(S)의 스프링 상수(K)의 설정은 변곡점 주파수(Fa, Fb)가 임의의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입력 진동 주파수(F)에 대한 감쇠 계수(
Figure 112006039523585-pat00020
)의 변화량도 임의의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감쇠 특성도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 진동 주파수에 응답하여 임의의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94)은 상부 작동실(R1)과 상부 압력실(R3A)을 연결한다. 피스톤 로드(8) 내에 형성된 통로(41)는 하부 작동실(R2)과 하부 압력실(R3B)을 연결한다. 그러나, 상부 작동실(R1)과 하부 압력실(R3B)을 연결하는 관통 구멍을 판 부재(91)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스톤 로드(8)의 내측에 하부 작동실(R2)와 상부 압력실(R3A)을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통 구멍(93)은 소직경편(8a)의 외주연부와의 결합을 허용하는 반경으로 형성된다. 판 부재(91)의 내경은 소직경편(8a) 상부에 위치한 피스톤 로드(8)의 외주연부와의 결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는 하우징(30)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피스톤 로드(8)에 끼워 맞춤되도록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0)이 피스톤 로드(8)에 끼워 맞춤되면, 토오크는 하우징(30)에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은 토오크에 의해 변형하지 않고, 자유 피스톤(5)의 원활한 축방향 변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에 의해 지정될 것이고 추가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오리피스(11)는 작동유를 위한 제2 통로(4a)로부터 생략된다. 오리피스(12) 대신에, 가변 오리피스(120)가 제3 통로(4b)에 제공된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우징(30)은 도8에 도시된 하우징과 같이, 외부 튜브(33)와, 플랜지(32)와, 캡(34)으로 구성된다. 내부 튜브(31)와 플랜지(32)는 일체의 구조로 형성된다.
자유 피스톤(5)은 도8에 도시된 자유 피스톤(5)과 동일한 방식으로, 코일 스프링(6, 56)에 의해 양측에서 중립 위치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코일 스프링(6, 56)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S)을 구성한다.
도8에 도시된 슬리브(84)는 본 실시예로부터 생략되고 자유 피스톤(5)의 외주연부는 외부 튜브(33)의 내주연부 상에서 직접 활주한다.
바이패스 통로(42)는 캡(34)에 형성되고, 하부 작동실(R2)를 하부 압력실(R3B)과 통상적으로 연통하도록 한다.
주연부의 환형 홈(51a)은 자유 피스톤(5)의 실린더부(51)의 외주연부에 제공된다. 환형 홈(51a)은 자유 피스톤(5)의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51b)을 통해 하부 압력실(R3B)과 통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른 한편, 하우징(30)의 외부 튜브(33)의 벽면을 통해 하부 작동실(R2)과 외부 튜브(33)의 내측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오리피스(33a)가 제공된다.
자유 피스톤(5)이 코일 스프링(6, 56)에 의해 중립 위치에 탄성 지지되면, 또는 자유 피스톤(5)의 변위가 소정의 범위를 넘지 않으면, 오리피스(33a)는 환형 홈(51a)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에 형성된다. 자유 피스톤(5)의 변위가 소정 범위를 넘으면, 오리피스(33a)의 개구의 일부는 실린더부(51)의 외주면과 겹치고, 오리피스(33a)의 단면적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까지 변위하면, 즉 내부 튜브(31)의 하단부 또는 캡(34)과 인접하면, 오리피스(33a)는 자유 피스톤(5)의 실린더부(51)의 외주면과 완전히 겹친다. 오리피스(33a)는 이러한 상태에서 폐쇄된다. 오리피스(33a), 환형 홈(51a), 및 실린더부(51)의 외주연면은 가변 오리피스(120)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통로(4b)는 하부 압력실(R3B)과 하부 작동실(R2)을 연결한다. 제3 통로(4b)는 가변 오리피스(120)를 포함하는 통로와, 상기 가변 오리피스(120)와 평행한 바이패스 통로(42)를 포함한다.
상기 2개 통로 중 하나의 저항이 서서히 증가하면, 하부 압력실(R3B)과 하부 작동실(R2) 사이의 작동유의 유동 저항, 즉 제3 통로(4b)의 유동 저항은 서서히 증가한다.
자유 피스톤(5)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변위에 관한 소정의 범위는 환형 홈(51a)의 형상에서 수직방향의 폭과, 환형 홈(51a)을 향하는 오리피스(33a)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에 이르면, 오리피스(33a)는 실린더부(51)의 외주면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그 후, 하부 압력실(R3B)과 하부 작동실(R2) 사이의 작동유의 유동은 바이패스 통로(42)를 통해서만 수행된다. 이 때, 제3 통로(4b)의 유동 저항은 최대가 된다.
바이패스 통로(42)를 캡(34)에 제공하는 대신에,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에 이르더라도 오리피스(33a)는 완전히 폐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자유 피스톤(5)의 중립위치로부터의 변위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다면, 감쇠력 특성은, 유동 계수(C1, C2, C3), 자유 피스톤(5)의 압력 수용 면적(A), 및 스프링(6)의 스프링 상수(K)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유동 계수(C1)는 적층식 리프 밸브(V1, V2)의 유동 저항에 따른다. 유동 계수(C2)는 제2 통로(4a)의 유동 저항에 따른다. 유동 계수(C3)는 제3 통로(4b)를 구성하는 바이패스 통로(42)와 가변 오리피스(120)에 의해 오일 유동에 인가된 저항에 따른다.
자유 피스톤(5)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변위가 소정 범위를 넘으면, 가변 오리피스(l20)는 제3 통로(4b)의 유동 저항을 서서히 증가시킨다. 자유 피스톤(5)이 압력실(R3A) 또는 압력실(R3B) 쪽으로 한계까지 변위하면, 즉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에 이르면, 제3 통로(4b)의 유로저항은 최대가 된다.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까지 변위하는 것은 완충 장치에 작용하는 진동의 진폭이 크다는 것을 증명한다.
완충 장치에 작용하는 진동 주파수가 비교적 높다면, 완충 장치는 소정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자유 피스톤(5)이 소정 범위를 초과하 면, 제3 통로(4b)의 유로저항은 서서히 증가한다. 자유 피스톤(5)의 변위 속도는 감소하고, 통로(4a, 4b) 내의 작동유의 유동량도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제1 통로(3)를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의 양은 증가한다. 감쇠력 발생 요소(10)를 구성하는 적층식 리프 밸브(V1, V2)에 의해 발생된 큰 감쇠력으로 의해, 완충 장치의 발생된 감쇠력은 서서히 증가한다.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에 도달한 후에, 통로(4a, 4b) 내의 작동유의 유동량은 제로가된다. 완충 장치가 스트로크를 계속하면, 작동유는 제1 통로(3)만을 유동하고, 완충 장치는 최대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까지 변위하는 큰 진폭의 진동이 완충 장치에 입력되더라도, 감쇠력은 급변하지 않고 스트로크 길이에 응답하여 원활하게 증가한다. 이러한 특성은 완충 장치의 팽창 스트로크 또는 압축 스트로크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고주파수를 가지는 큰 진폭의 진동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완충 장치는 발생 감쇠력이 급격히 변화하지 않고, 차량의 안락한 승차감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급격한 감쇠력 변화는 차체의 진동이나 차량 본넷과의 공진으로 인한 소음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현상을 피하고 그에 따라 차량의 안락한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완충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유 피스톤(5)은 코일 스프링(6, 56)에 의해 중립 위치에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완충 장치의 스트로크 길이에 응답하여 안정적인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변 오리 피스(120)는 자유 피스톤(5)의 변위에 응답하여 감쇠력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본 완충 장치에 있어서, 스트로크 길이는 감쇠력과 정확하게 대응한다. 따라서, 안정적인 감쇠력 특성을 통상적으로 얻을 수 있다.
가변 오리피스(120)를 하부 압력실(R3B)과 하부 작동실(R2) 사이에 제공하는 대신에, 오리피스는 상부 압력실(R3A)과 상부 작동실(R1) 사이, 즉 제2 통로(4a)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통로(4a)와 제3 통로(4b) 모두에 가변 오리피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가변 오리피스(120)를 통로(4a, 4b) 중 하나에 제공하고, 고정 오리피스를 다른 통로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2a 내지 도12c를 참조하면, 오리피스(33a)의 단면 형상은 몇가지 변경예를 가질 수 있다.
오리피스(33a)의 단면 형상은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단면일 수도 있고, 또는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형상일 수도 있으며, 도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상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각각의 예각 코너부가 자유 피스톤(5)의 변위 방향(T)에 대응한다는 사실 때문에, 오리피스(33a)의 유로 단면적의 감소 비율은 사실상 일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형 단면과 비교하여 발생 감쇠력의 변화는 평균화된다.
도1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복수개의 관통 구멍(51b)에 관하여 몇가지 변경예가 있다.
여기서, 각각의 관통 구멍(51b)은 자유 피스톤(5)의 중심축 쪽으로 경사진다. 관통 구멍(51b)이 이와 같이 경사지면, 주연부의 실린더부(51)의 벽두께를 확 보하고 자유 피스톤(5)의 강도를 증가시키기가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변경예는 자유 피스톤(5)의 소형화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도14를 참조하면, 가변 오리피스(120)의 구조의 변경예가 제3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가변 오리피스(120)를 오리피스(33a), 환형 홈(51a), 및 실린더부(51)의 외주면으로부터 구성하는 대신에, 가변 오리피스(120)를 오리피스(51c), 환형 홈(33b), 및 하우징(30)의 외부 튜브(33)의 내주연부면으로부터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리피스(33a) 대신에 하우징(30)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30)의 외부 튜브(33)에 더욱 큰 직경의 포트(33b)가 제공된다. 외부 튜브(33)의 내주연면에는 환형 홈(33b)이 주연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환형 홈(33b)은 외부 튜브(33)의 내주연면으로 개방된 포트(33c)의 개구와 연통한다. 복수개의 오리피스(51c)는 자유 피스톤(5)에 제공된다.
오리피스(51c)는 자유 피스톤(5)의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51d)을 통해 하부 압력실(R3B)과 연통한다.
오리피스(51c)는 자유 피스톤(5)의 외주연부에 제공된다. 자유 피스톤(5)이 코일 스프링(6, 56)에 의해 중립 위치에 탄성 지지되거나, 또는 자유 피스톤(5)의 변위가 소정의 범위를 넘지 않으면, 오리피스(51c)의 개구부의 전체 면이 포트(33b)에 대해 개방된다. 자유 피스톤(5)의 변위가 소정의 범위를 넘으면, 오리피스(51c)의 개구부의 일부가 외부 튜브(33)의 내주연부와 겹치고 그에 따라 오리 피스를 포함하는 통로의 단면적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까지 변위하면, 즉 내부 튜브(31)의 하단부 또는 캡(34)의 하단부와 인접하면, 오리피스(51c)는 외부 튜브(33)의 내주연면과 완전히 겹치고 폐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형 홈을 자유 피스톤(5) 대신에 외부 튜브(33)에 제공하는 결과로, 자유 피스톤(5)의 강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예는 자유 피스톤(5)의 크기가 감소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에 유사하지만, 가변 오리피스(l20)가 상부 작동실(R1)과 상부 압력실(R3A)을 연결하는 제2 통로(4a)에 제공된다는 점이 제2 실시예와 다르다.
가변 오리피스(120)는 환형 홈(98a)과 오리피스(92a)와 하우징(30)의 원통형 부재(92)의 내주연면을 포함한다.
환형 홈(98a)은 자유 피스톤(5)의 외주연부(98)의 외주연면 상에 주연 방향으로 형성된다. 환형 홈(98a)읕 통상적으로 외주연부(98)의 상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98b)을 통해 상부 압력실(R3A)과 연통한다.
오리피스(92a)는 원통형 부재(92)의 벽면에 제공되고 상부 작동실(R1)을 원통형 부재(92)의 내부와 연결한다. 오리피스(92a)는 자유 피스톤(5)이 코일 스프링(6, 56)에 의해 중립 위치에 탄성 지지되는 상태, 또는 자유 피스톤(5)의 변위가 소정의 범위를 넘지 않는 상태에서 환형 홈(98a)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자유 피스톤(5)의 변위가 소정 범위를 넘으면, 오리피스(92a)의 개구부의 일부는 외주연 부(98)의 외주면과 겹치고 그에 따라 오리피스(92a)를 포함하는 통로 단면적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까지 변위하면, 즉 원통형 부재(92)의 상단부 또는 판 부재(91)와 인접하면, 오리피스(92a)는 외주연부(98)의 외주연면과 완전히 겹치고 폐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오리피스(92a), 환형 홈(98a), 및 자유 피스톤(5)의 외주연부(98)의 외주연면은 가변 오리피스(120)를 구성한다. 또한, 구멍(94)과 가변 오리피스(120)는 제2 통로(4a)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오리피스(92a)를 자유 피스톤(5)의 외주연부(98)에 형성하고, 환형 홈(98a)을 하우징(30)의 원통형 부재(92)의 내주연면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관통 구멍(98b)을 경사시킴으로써 자유 피스톤(5)의 외주연부(98)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2005년 6월 6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5-164984호 및 2005년 9월 17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5-263221호의 내용이 여기서 참조되어 합체된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의 개조예 및 변경예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착안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의한 완충장치는 단일-튜브형으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린더(1)의 외측을 튜브에 하우징하고 실린더(1)와 튜브 사이에 작동유를 저장하는 환형 리저버를 형성하는 이중-튜브형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실린더(1)의 외측에 독립된 리저버를 갖춘 완충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압력실(R3)를 실린더(1)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타적인 재산권 또는 독점권이 청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S)이 자유 피스톤(5)을 소정의 중립 위치에 지지하는 결과로 안정적인 감쇠력 특성을 나타내는 완충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7)

  1. 삭제
  2. 차량의 차체와 차량 휠 사이의 현가 스프링과 병렬로 개재된 완충 장치이며,
    실린더(11)와,
    상기 실린더(11)를 제1 작동실(R1)과 제2 작동실(R2)로 구획하는 주 피스톤(2)과,
    상기 제1 작동실(R1)과 제2 작동실(R2)을 제1 유동 저항 하에 연결하는 제1 통로(3)와,
    소정의 압력 수용 면적(A)을 가지는 자유 피스톤(5)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압력실(R3A, R3B)과,
    제2 유동 저항 하에 제1 작동실(R1)을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R3A)와 연결하는 제2 통로(4a)와,
    제3 유동 저항 하에 제2 작동실(R2)을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또 다른 하나(R3B)와 연결하는 제3 통로(4b)와,
    소정의 스프링 상수(K)를 가지고 상기 자유 피스톤(5)을 소정의 중립 위치에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S)을 포함하고,
    제1 유동 저항과, 제2 유동 저항과, 제3 유동 저항과, 스프링 상수(K)와, 압력 수용 면적(A)은 주 피스톤(2)의 진동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주 피스톤(2)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감쇠력이 감소하고 상기 감쇠력의 감소는 2개의 변곡점(Fa, Fb)을 통과하도록 설정되는 완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유동 저항과, 제2 유동 저항과, 제3 유동 저항과, 스프링 상수(K)와, 압력 수용 면적(A)은 2개의 변곡점(Fa, Fb)의 주파수가 차량의 스프링 상부 공진 주파수보다 높고 차량의 스프링 하부 공진 주파수보다 낮은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완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자유 피스톤(5)이 2개의 코일 스프링(6, 56)에 의해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고 소정의 스프링 상수(K)가 2개의 코일 스프링(6, 56)의 합성 스프링 상수에 해당하도록, 스프링(S)은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R3A)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56)과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또 다른 하나(R3B)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6)을 포함하는 완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압력실(R3A, R3B)은 주 피스톤(2)에 고정된 하우징(30)의 내측에 형성되고 하우징(30)에 하우징된 자유 피스톤(5)에 의해 구획되는 완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주 피스톤(2)에 연결되고 실린더(1)로부터 축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피스톤 로드(8)와, 내부 튜브(31)의 외측을 덮고 개방된 단부를 가지는 외부 튜브(33)와, 상기 내부 튜브(31)와 외부 튜브(33)를 연결하는 플랜지(32)와, 외부 튜브(33)의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는 캡(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8)는 제1 작동실(R1)을 관통하고, 하우징(30)은 제2 작동실(R2) 내의 주 피스톤(2)에 고정되며 피스톤 로드(8)에 나사 결합된 내부 튜브(31)를 포함하고,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R3A)는 플랜지(32)와 자유 피스톤(5) 사이에 형성되고,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또 다른 하나(R3B)는 캡(34)과 자유 피스톤(5) 사이에 형성되며, 제2 통로(4a)는 제1 작동실(R1)을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와 연결하며 피스톤 로드(8)에 형성되고, 제3 통로(4b)는 제2 작동실(R2)과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또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캡(34)에 형성된 구멍(4b)을 포함하는 완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내부 튜브(31)와, 플랜지(32)와, 외부 튜브(33)는 일체의 구조로 형성되는 완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내부 튜브(31)와 플랜지(32)는 일체의 구조로 형성되고, 플랜지(32)와 외부 튜브(33)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외부 튜브(33)에 삽입된 슬리브(84)를 더 포함하여 자유 피스톤(5)의 외주연부가 그 위에서 활주하도록 허용하는 완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외부 튜브(33)의 단면의 외형은 완전한 원형이 아닌 완충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주 피스톤(2)에 연결되고 실린더(1)로부터 축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피스톤 로드(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8)는 제1 작동실(R1)을 관통하고, 하우징(30)은 피스톤 로드(8)에 나사 결합된 내부 튜브(31)와, 상기 내부 튜브(31)의 외측을 덮는 폐쇄-단부형 외부 튜브(33)와, 상기 내부 튜브(31)와 외부 튜브(33)를 연결하는 플랜지(32)를 포함하고,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R3A)는 플랜지(32)와 자유 피스톤(5) 사이에 형성되고,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또 다른 하나(R3B)는 외부 튜브(33)의 바닥면과 자유 피스톤(5) 사이에 형성되며, 제2 통로(4a)는 제1 작동실(R1)을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R3A)와 연결하며 피스톤 로드(8)에 형성되고, 제3 통로(4b)는 외부 튜브(33)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4b)을 포함하고, 내부 튜브(31)와 플랜지(32)는 일체의 구조로 형성되고, 플랜지(32)와 외부 튜브(33)는 코오킹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완충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주 피스톤(2)에 연결되고 실린더(1)로부터 축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피스톤 로드(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8)는 제1 작동실(R1)을 관통하고, 하우징(30)은 제1 작동실(R1) 내의 주 피스톤(2)에 고정되고, 하우징(30)은 피스톤 로드(8)의 외주연부에 고정된 판 부재(91)와, 상기 판 부재(91)의 외주연부에 고정된 폐쇄-단부형 튜브 부재(92)를 포함하고, 피스톤 로드(8)는 튜브 부재(92)와 판 부재(91)를 각각 관통하고, 자유 피스톤(5)은 튜브 부재(92)의 내주연부를 활주하고 피스톤 로드(8)의 외주연부를 활주하며,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R3A)는 튜브 부재(92)의 바닥면과 자유 피스톤(5) 사이에 형성되고,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또 다른 하나(R3B)는 판 부재(91)와 자유 피스톤(5) 사이에 형성되고, 제2 통로(4a)는 제1 작동실(R1)을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R3A)와 연결하고 튜브 부재(92)의 바닥면에 형성된 구멍(94)을 포함하고, 제3 통로(4b)는 제2 작동실(R2)과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또 다른 하나(R3B)를 연결하는 피스톤 로드(8)에 형성된 통로(41)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자유 피스톤(51)은 외주연부와 내주연부 사이에서 대향하는 축방향으로 배향된 2개의 환형 홈(97, 99)을 포함하고, 스프링(S)은 2개의 환형 홈(97, 99) 중 하나에 하우징되고 자유 피스톤(5)과 판 부재(91)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6)과, 2개의 환형 홈(97, 99) 중 다른 하나에 하우징되고 자유 피스톤(5)과 튜브 부재(92)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56)을 포함하고, 자유 피스톤(5)은 상기 2개의 코일 스프링(6, 56)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완충 장치.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통로(4b)는 제3 유동 저항이 자유 피스톤(5)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변위에 응답하여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3 통로(4b)는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에 이르면 제3 유동 저항이 최대값이 되도록 구성되는 완충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제3 통로(4b)는 자유 피스톤(5)의 변위가 소정 범위 내에 있다면 제3 유동 저항이 고정값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제3 통로(4b)는 제3 유동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변 오리피스(l20)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가변 오리피스(120)는 자유 피스톤(5)의 변위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환형 홈(51a, 33b)과 고정 오리피스(33a, 51c)를 포함하고, 자유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서 머무는 한 고정 오리피스(33a, 51c)의 전체 단면이 환형 홈(51a, 33b)을 향하도록 하고, 자유 피스톤(5)이 소정 범위를 넘어 변위함에 따라서 고정 오리피스(33a, 51c)의 단면이 환형 홈(51a, 33b)을 향하도록, 상기 환형 홈(51a, 33b)과 고정 오리피스(33a, 51c)가 배열되는 완충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제3 통로(4b)는 가변 오리피스(120)를 바이패스하고, 제2 작동실(R2)을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또 다른 하나(R3B)와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42)를 더 포함하는 완충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오리피스(33a, 51c)의 단면형은 자유 피스톤(5)의 변위 방향으로 배향된 예각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다각형인 완충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제3 통로(4b)는 자유 피스톤(5)의 일부에 제공된 구멍(51b)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51b)은 자유 피스톤(5)의 변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완충 장치.
  21.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통로(4a)는 제2 유동 저항이 자유 피스톤(5)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변위에 응답하여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제2 통로(4a)는 자유 피스톤(5)이 스트로크 단부에 이르면 제2 유동 저항이 최대값이 되도록 구성되는 완충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제2 통로(4a)는 자유 피스톤(5)의 변위가 소정 범위 내에 있다면 제2 유동 저항이 고정값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완충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제2 통로(4a)는 제2 유동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변 오리피스(l20)를 포함하는 완충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가변 오리피스(120)는 자유 피스톤(5)의 변위에 응답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환형 홈(98a)과 고정 오리피스(92a)를 포함하고, 자유 피스톤(5)이 중립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서 머무는 한 고정 오리피스(92a)의 전체 단면이 환형 홈(98a)을 향하도록 하고, 자유 피스톤(5)이 소정 범위를 넘어 변위함에 따라서 고정 오리피스(92a)의 단면이 환형 홈(98a)을 향하도록, 상기 환형 홈(98a)과 고정 오리피스(92a)가 배열되는 완충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제3 통로(4b)는 가변 오리피스(120)를 바이패스하고, 제1 작동실(R1)을 2개의 압력실(R3A, R3B) 중 하나(R3A)와 연결하는 바이패스 통로(94)를 더 포함하는 완충 장치.
  27.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유동 저항은 제2 유동 저항 및 제3 유동 저항보다 크게 설정되는 완충 장치.
KR1020060050277A 2005-06-06 2006-06-05 완충 장치 KR100780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4984 2005-06-06
JP2005164984A JP4726049B2 (ja) 2005-06-06 2005-06-06 緩衝装置
JP2005263221A JP4644572B2 (ja) 2005-09-12 2005-09-12 緩衝装置
JPJP-P-2005-00263221 2005-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777A KR20060127777A (ko) 2006-12-13
KR100780535B1 true KR100780535B1 (ko) 2007-11-29

Family

ID=3694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277A KR100780535B1 (ko) 2005-06-06 2006-06-05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58981B2 (ko)
EP (1) EP1731792B1 (ko)
KR (1) KR100780535B1 (ko)
DE (1) DE602006000580T2 (ko)
ES (1) ES230111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8538B2 (ja) * 2006-08-29 2009-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4909765B2 (ja) * 2007-03-02 2012-04-04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JP4737222B2 (ja) * 2008-04-18 2011-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ATE554307T1 (de) * 2008-05-28 2012-05-15 Bwi Co Ltd Sa HYDRAULISCHER STOßDÄMPFER MIT EINER ZUSÄTZLICHEN KAMM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DÄMPFUNGSEIGENSCHAFT EINES DERARTIGEN STOßDÄMPFERS
JP5132590B2 (ja) * 2009-01-23 2013-01-3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
FI20095998A (fi) * 2009-09-30 2011-03-31 Metso Paper Inc Hydraulinen toimilaite, menetelmä ja laitteisto koneenosan värähtelyn vaimentamista varten
US8746423B2 (en) * 2010-03-02 2014-06-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hock absorber
JP5809801B2 (ja) * 2010-12-28 2015-11-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5934470B2 (ja) * 2011-03-30 2016-06-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254233B1 (ko) * 2011-05-31 2013-04-18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KR101254286B1 (ko) * 2011-06-03 2013-04-12 주식회사 만도 이중 습동 피스톤 밸브
KR101288612B1 (ko) * 2011-07-21 2013-07-22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US9611915B2 (en) * 2011-07-21 2017-04-04 Mando Corporatio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KR101375804B1 (ko) * 2011-09-02 2014-03-21 주식회사 만도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NL2007530C2 (nl) * 2011-10-04 2013-04-08 Koni Bv Frequentie-afhankelijke demper.
CN102352908B (zh) * 2011-10-31 2012-12-05 重庆瑞翱机电设备有限公司 摩托车自动变阻尼前减震器阻尼器
KR101351590B1 (ko) * 2012-03-13 2014-01-16 주식회사 만도 주파수 유닛 밸브
US8532861B1 (en) * 2012-06-02 2013-09-10 Fukashi Andoh Protective apparatus for electronic unit on unmanned space exploration vehicle
JP5981800B2 (ja) * 2012-08-03 2016-08-31 Kyb株式会社 緩衝装置
JP5878840B2 (ja) * 2012-08-06 2016-03-08 Kyb株式会社 緩衝装置
KR101350078B1 (ko) 2012-08-14 2014-01-15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JP5822359B2 (ja) * 2013-03-27 2015-11-24 Kyb株式会社 緩衝装置
US9638280B2 (en) 2013-08-26 2017-05-0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hock absorber with frequency dependent passive valve
JP6108550B2 (ja) * 2013-09-19 2017-04-05 Kyb株式会社 緩衝装置
JP6274798B2 (ja) * 2013-09-20 2018-02-07 Kyb株式会社 緩衝装置
JP6243173B2 (ja) * 2013-09-20 2017-12-06 Kyb株式会社 緩衝装置
DE102013112818B4 (de) * 2013-11-20 2024-01-18 Hahn-Gasfedern Gmbh Federelement
US9500255B2 (en) * 2014-02-28 2016-11-2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hock absorber with frequency dependent passive valve
DE102014210704B4 (de) 2014-06-05 2016-11-24 Zf Friedrichshafen Ag Frequenzabhängige Dämpfventilanordnung
DE102014210701A1 (de) * 2014-06-05 2015-12-17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sowie Kraftfahrzeug
DE102014210702A1 (de) 2014-06-05 2015-12-17 Zf Friedrichshafen Ag Frequenzabhängige Dämpfventilanordnung
US9222539B1 (en) 2014-08-14 2015-12-29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hock absorber with frequency dependent passive valve
US9441700B2 (en) * 2014-08-14 2016-09-13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hock absorber with frequency dependent passive valve
NL2014212B1 (en) 2015-01-29 2017-01-11 Ihc Holland Ie Bv Compensator device
DE102015209933B4 (de) 2015-05-29 2017-03-23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anordn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DE102015211891B4 (de) * 2015-06-26 2021-10-14 Zf Friedrichshafen Ag Frequenzabhängige Dämpfventilanordnung
DE102015220707B4 (de) 2015-10-23 2022-06-02 Zf Friedrichshafen Ag Steueranordnung für eine frequenzabhängige Dämpfventileinrichtung eines Schwingungsdämpfers, sowie Verfahren zur plastischen Verformung des Topfbodens der Steueranordnung.
BE1023716B1 (nl) * 2016-01-03 2017-06-26 Shi Yan Frequentie afhankelijke schokdemper
JP6709099B2 (ja) * 2016-04-06 2020-06-10 Kyb株式会社 緩衝器
DE102016217112B4 (de) * 2016-09-08 2022-10-06 Zf Friedrichshafen Ag Frequenzabhängige Dämpfventilanordnung
CN108930223A (zh) * 2018-09-30 2018-12-04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缆索实时监测的活塞式减振器装置
DE112019005068B4 (de) * 2018-10-12 2023-01-05 Hitachi Astemo, Ltd. Aufhängungssteuerungsvorrichtung
CN114145598B (zh) * 2021-11-17 2022-10-14 徐州恒远高新技术有限公司 一种自控元件防护型可移动展示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9422A (ja) * 1996-02-09 1997-08-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リップチップ実装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0635A (en) * 1967-12-11 1971-03-16 Tatsuya Takagi Oil-type vibration damper
US3896908A (en) * 1973-05-04 1975-07-29 Triple S Ind Inc Shock absorbing apparatus
JPH0524831Y2 (ko) * 1986-02-20 1993-06-23
US5129488A (en) * 1989-11-16 1992-07-14 Atsugi Unisia Corporation Vibration mode responsive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with feature of automatic selection of damping mode depending upon vibration mode of vehicular body
GB2250080B (en) * 1990-10-19 1994-08-17 Tokico Ltd Hydraulic shock absorber
JPH0579526A (ja) * 1991-09-20 1993-03-30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5368142A (en) * 1991-12-07 1994-11-29 Tokico Ltd. Damping force control typ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JPH06147252A (ja) * 1992-09-18 1994-05-27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3242214B2 (ja) 1993-07-05 2001-12-2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媒加熱式空気調和機
US6654779B1 (en) * 1999-04-14 2003-11-25 First Data Resources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mail (e-mail) address management
US6220409B1 (en) * 1999-05-06 2001-04-24 Tenneco Automotive Inc. Stroke dependent bypass
EP1152166B2 (de) * 2000-05-04 2010-04-28 ThyssenKrupp Bilstein GmbH Stossdämpfer mit amplitudenabhängiger Dämpfung
US6561326B2 (en) * 2000-05-04 2003-05-13 Krupp Bilstein Gmbh Amplitude-attenuating dashpot
DE10258815A1 (de) 2002-12-17 2004-07-15 Zf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mit amplitudenabhängiger Dämpfkraft
DE10300107B3 (de) 2003-01-07 2004-05-13 Thyssenkrupp Bilstein Gmbh Einrichtung für hydraulische Schwingungsdämpfer
DE102004014395B4 (de) 2003-04-16 2015-10-29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m kolbenstangenseitigen Bypasskanal
EP1496285B1 (de) 2003-07-08 2007-10-17 ThyssenKrupp Bilstein Suspension GmbH Schwingungsdämpfer mit amplitudenabhängiger Dämpfung
US6918473B2 (en) * 2003-09-17 2005-07-19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troke dependent bypa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9422A (ja) * 1996-02-09 1997-08-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リップチップ実装構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2-19422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1792B1 (en) 2008-02-27
EP1731792A1 (en) 2006-12-13
ES2301116T3 (es) 2008-06-16
US20060283675A1 (en) 2006-12-21
DE602006000580T2 (de) 2009-03-19
DE602006000580D1 (de) 2008-04-10
US7958981B2 (en) 2011-06-14
KR20060127777A (ko)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535B1 (ko) 완충 장치
JP4726049B2 (ja) 緩衝装置
JP4644572B2 (ja) 緩衝装置
US8590680B2 (en) Shock absorber
US9309945B2 (en) Shock absorber
US9169891B2 (en) Shock absorbing device
JP4996952B2 (ja) 緩衝装置
JP5758235B2 (ja) 緩衝器
JP4768648B2 (ja) 緩衝装置
WO2015041298A1 (ja) 緩衝装置
US11536344B2 (en) Valve and shock absorber
JP4909765B2 (ja) 緩衝装置
EP2881614A1 (en) Shock absorber
JP5851159B2 (ja) 緩衝器
JP5015071B2 (ja) 緩衝器
JP2889148B2 (ja) ダンパ
JP2008298227A (ja) 緩衝装置
CN114072596A (zh) 缓冲器
JP4988031B2 (ja) 緩衝装置
JP6047035B2 (ja) 車両用液圧緩衝器
JP4988030B2 (ja) 緩衝装置
JP4909766B2 (ja) 緩衝装置
JP2010196842A (ja) 緩衝装置
JP5166334B2 (ja) 緩衝装置
JP7378634B2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