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744B1 -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 - Google Patents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744B1
KR100779744B1 KR1020070002496A KR20070002496A KR100779744B1 KR 100779744 B1 KR100779744 B1 KR 100779744B1 KR 1020070002496 A KR1020070002496 A KR 1020070002496A KR 20070002496 A KR20070002496 A KR 20070002496A KR 100779744 B1 KR100779744 B1 KR 100779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hydraulic transfer
hydraulic
decorative layer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07000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B44C1/1752Decalcomanias provided with a particular decorative layer, e.g. being specially adapted to allow the formation of a metallic or dyestuff layer on a substrate unsuitable for direct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프라이머가 필요치 않는 분체도장층이 형성된 금속제 피전사체에 다양한 무늬 표현이 가능한 장식층을 수압전사하는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압전사방법은, 금속제 피전사체의 표면을 세척, 건조하는 제1단계; 분체도료를 피전사체에 도포하는 제2단계; 피전사체에 도포된 분체도료를 경화시키는 제3단계; 전사수조에 띄워져 있는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에 활성화제를 분무하는 제4단계; 피전사체를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상부로부터 눌러 물속으로 가라앉힘으로써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을 피전사체에 수압전사시키는 제5단계;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장식층의 상면에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수압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분체도료의 표준용융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전사체를 유지하여 분체도료를 용융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전사체, 분체도장, 액체도장, 수압전사필름, 수압전사체

Description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Hydraulic transfer method and Hydraulically transferred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압전사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전사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3a 및 3b는 수압전사필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압전사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전사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전사체 11: 인산아연피막층
12: 프라이머층 20: 분체도장층
25: 액체도장층 30: 장식층
40: 경화 수지층 50: 지지체 필름
본 발명은 가전제품, 사무용품 또는 건축용품 등과 같이 표면 특성과 장식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한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에 관한 것으로, 분체도장층 또는 액체도장층이 형성된 피전사체에 장식층을 수압전사하는 수압전사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수압전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압전사방법은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과 장식층을 가진 수압전사필름을 물에 띄우고, 활성화제로 장식층을 연화시킨 후, 피전사체를 그 위쪽에서부터 누르면서 물속에 가라앉힘으로써, 장식층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방법이다.
종래에는 금속제 피전사체에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을 전사하여 다양한 무늬 모양의 높은 의장성을 가지게 하는 수압전사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금속제 피전사체와 전사된 장식층 사이의 밀착성이 낮아 장식층이 무너지거나 수세 또는 건조시에 장식층이 벗겨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금속제 피전사체에 장식층을 밀착되게 전사하기 위해서는 금속제 피전사체와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의 재질에 적합한 다양한 프라이머를 개발하여야 하였으며, 프라이머 개발 및 수압전사를 위한 전처리 공정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수압전사체 제조회사들은 금속제 피전사체에 수압전사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회피하였다.
즉 수압전사체 제조회사들은 다양한 프라이머의 개발이 필요치 않는 ABS수지와 같은 일부 열경화성 수지의 피전사체에만 수압전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일반적 으로 금속제 피전사체에는 색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소부도장 또는 액체도장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소부도장과 액체도장만으로는 다양한 문양과 색상 등을 표현할 수 없으며, 도장의 최대 단점인 단색 도장만을 생산하게 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제 피전사체에 별도의 프라이머가 필요치 않고, 분체도료의 표준용융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용융 경화하여 형성된 분체도장층에 다양한 무늬 표현이 가능한 장식층을 수압전사하는 수압전사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수압전사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양한 재질의 피전사체에 액체도료의 표준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경화하여 형성된 액체도장층에 장식층을 수압전사하는 수압전사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수압전사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금속제 피전사체와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에 적합한 프라이머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줄이고, 수압전사필름에 경화 가능한 수지층을 형성하여 별도의 탑코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의 간략화, 비용 절감 및 환경오염을 해결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압전사방법은, 금속제 피전사체의 표면을 세척, 건조하는 제1단계; 분체도료를 피전사체에 도포하는 제2단계; 피전사체에 도포된 분체도료를 경화시키는 제3단계; 전사수조에 띄워져 있는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에 활성화제를 분무하는 제4단계; 피전사체를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상부로부터 눌러 물속으로 가라앉힘으로써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을 피전사체에 수압전사시키는 제5단계;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장식층의 상면에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수압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분체도료의 표준용융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전사체를 유지하여 분체도료를 용융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압전사방법은, 피전사체의 표면을 세척, 건조하는 제1단계; 액체도료를 피전사체에 도포하는 제2단계; 피전사체에 도포된 액체도료를 경화시키는 제3단계; 전사수조에 띄워져 있는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에 활성화제를 분무하는 제4단계; 피전사체를 상기 수압전사필름 상부로부터 눌러 물속으로 가라앉힘으로써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을 피전사체에 수압전사시키는 제5단계;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장식층의 상면에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수압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액체도료의 표준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액체도료가 도포된 피전사체를 유지하여 액체도료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 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전사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피전사체 세척·건조단계; 분체도료 도포단계; 분체도료 용융·경화단계; 활성화제 분무단계; 수압전사단계; 지지체 필름 제거단계; 및 경화 수지층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압전사방법의 제1단계는 금속제 피전사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미세 먼지 또는 유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특히 피전사체의 표면에 유분이 잔류하게 되면 그 부분에는 분체도장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세척, 건조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세척제로는 표면조정제, 피막제 및 탈지세정제 등이 사용되며, 구체적으로는 아이리스주식회사제의 메탈385K, 메탈300, 메탈305, 메탈SSX, 메탈AA, 메탈NA 등과, 이소프로필알코올, 노말헵탄 또는 이와 유사한 솔벤트 등을 사용하게 되며, 피전사체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초음파 또는 증류수 세척 등을 수행하고 열 건조할 수도 있다.
이때, 금속제 피전사체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판, 스틸, 스테인리스스틸, EGI(Electrolytic Galvanized Iron) 철판, GI 철판, 티탄, 크롬, 니켈 및 니켈크롬 등의 다양한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에는 금속제 피전사체의 표면에 인산아연피막층을 형성하는 제8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분체도료를 피전사체에 도포하는 제2단계는 정전분체 도장법, 유동 침적법 또는 정전 유동 침적법을 이용한다. 이때, 정전분체 도장법은 피전사체를 접지시키고 음전압이 부과한 상태에서 분체도료를 분사하여 정전기적으로 피전사체에 흡착시키는 것으로서, 피전사체에 도포된 분체도료는 일반적으로 전기저항이 높아 방전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전사체에서 떨어지지 않고, 분체도료가 어느 정도 두께로 도포되고 나면 분체끼리 서로 반발하여 그 이상의 두께로 도포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분체도료의 도포 두께는 40∼500㎛ 정도가 된다.
유동 침적법은 다공판을 통해 공기를 불어 넣어 분체도료를 유동상태로 만들고 그 속에 미리 가열된 피전사체를 넣어 분체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이고, 정전 유동 침적법은 유동 침적법과 같은 방법이지만 가열 대신에 정전기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이며, 정전분체 도장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분체도료로는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분체도료의 용융·경화의 특성을 고려할 때에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가 적당하다.
제3단계는 사용된 분체도료를 특성에 맞게 경화시키는 단계로서, 일반적으로 180℃에서 10분간 유지하면 분체도료가 서서히 용융 경화되어 피전사체에 분체도장 되며, 분체도료의 용융경화시간은 표준용융경화시간의 6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180℃(경화온도) 10분(표준용융경화시간)형 분체도료를 6∼9분간 용융 경화시킨 후에 활성화제를 분무하거나 활성화제에 닿게 되면 연화현상과 표면활성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어 전사효율이 현저히 향상되어 효과적이나, 10분간 용융 경화시킨 후에 활성화제를 분무하거나 활성화제에 닿게 되면 연화현상 없이 표면활성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분체도장에 연화현상 없이 표면활성만이 발생하게 되면 수압전사시에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이 분체도장에 제대로 전사되지 않아 장식층과 분체도장 사이의 약한 결합성으로 인해 공정 중에 장식층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이때, 경화온도와 표준용융경화시간은 사용되는 분체도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분체도장 두께는 5∼80㎛ 이지만, 분체도장이 단순히 필름의 색상을 다양화하기 위한 기초색조로서의 특징을 띠는 경우에는 20∼60㎛ 정도의 분체도장 두께이면 충분하다.
수압전사필름과 분체도장의 전사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을 활성화시키는 제4단계는 전사수조에 띄워져 있는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에 활성화제를 분무하는 공정이다. 활성화제는 일반적인 수압전사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톨루엔, 크실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부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메틸이소부틸케톤, 카르비톨, 카르비톨 아세테이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이소부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소르픽트아세테이트, 초산이소아밀, 초산이밀, 메틸이소아밀케톤 및 그 혼합물이 사용되고, 분무되는 활성화제의 양에 따라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의 용해 정도와 수압전사체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이 결정될 것이다. 이때, 활성화제를 잘 녹여 전사수조 내의 수용액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물 사용량을 현격히 줄이기 위하여 D-리모넨을 적당량 첨가할 수 있다. 즉 크실렌, 메틸이소아밀케톤, 초산이밀,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D-리모넨을 15∼20 중량%, 20∼60 중량%, 10∼25 중량%, 10∼50 중량% 및 5∼10 중량%를 혼합하여 활성화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제 분무 후 장식층의 활성화를 위하여 15∼25초 정도 대기하고, 활성화제 분무장치와 같이 이동하는 롤 형태의 커텐을 설치하여 활성화제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는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을 피전사체에 전사시키는 공정으로서, 피전사체를 수압전사필름의 상부로부터 눌러 물속으로 가라앉혀 수압전사시키고, 피 전사체를 수압전사필름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하여 눌러줌으로써 표면진동 등을 최소화하여 전사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경사 각도는 피전사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0∼40°정도가 될 것이다. 장식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아크릴, 폴리우레탄, 에폭시, 우레아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이용되지만, 활성화제에 의한 팽윤성과 경화특성을 고려할 때에 에폭시 또는 폴리에스테르가 적당하다.
다음으로 제6단계는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는 공정이며, 수압전사필름에 사용되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지체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비닐피롤리돈, 아세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아미드, 아세틸부틸셀룰로스, 젤라틴, 아교, 알긴산 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PVA가 물에 용해되기 쉽고, 입수가 용이하며, 경화가능한 수지층의 형성에도 적합하므로 바람직하다. 이때, 제6단계에서 지지체 필름인 PVA를 0.1MPa의 압력으로 온도 40℃의 물을 15분간 분사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제7단계는 장식층의 상면에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전사필름에 경화 가능한 수지층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장식층이 전사된 피전사체에 별도로 경화 가능한 수지를 도포하고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열건조하여 경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전사필름에 경화 가능한 수지층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경화 가능한 수지층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 또는 열건조로 경화시켜 경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활성 에너지선은 가시광선, 자외선, 전자선, 감마선을 의미하고,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자외선이 적합하다. 자외선원으로는 태양 광선, 저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이 사용된다. 또한, 경화 가능한 수지층이 UV코팅액이 아닌 우레탄 코팅액일 경우에는 열건조하여 경화시키면 된다.
삭제
피전사체가 금속제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목재 등인 경우에는 분체도장을 대신하여 액체도장을 하고, 수압전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전사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전사체 세척·건조단계; 액체도료 도포단계; 액체도료 경화단계; 활성화제 분무단계; 수압전사단계; 지지체 필름 제거단계; 및 경화 수지층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압전사방법의 제1단계는 피전사체의 표면에 잔류하는 미세 먼지 또는 유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피전사체의 표면을 세척, 건조하게 된다. 세척제로는 표면조정제, 피막제 및 탈지세정제 등을 사용하게 되며, 피전사체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초음파 또는 증류수 세척 등을 수행하고 열 건조할 수도 있다. 이때, 피전사체는 플라스틱 또는 목재 등으로 물에 삽입되어 그 형상에 변화가 생기지 않는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피전사체가 금속제인 경우에는 피전사체를 세척·건조하고, 액체도장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피전사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는 에폭시수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계 등이 통상 사용되고, 징크크로메이트 등의 녹방지 안료를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액체도료를 피전사체에 도포하는 제2단계는 스프레이 건으로 분사하거나, 롤 코터 또는 커튼 플로 코터 등이 사용되고, 액체도료로는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3단계는 사용된 액체도료를 특성에 맞게 경화시키는 단계로서, 일반적으로 80∼90℃(경화온도)에서 액체도료에 따른 표준경화시간의 60∼90%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표준경화시간의 60∼90%로 경화시킨 후에 아세톤 추출법에 의한 겔분율을 측정하면 일반적으로 60∼90%의 경화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경화온도 표준경화시간은 사용되는 액체도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액체도장 두께는 20∼40㎛ 정도면 적당하다. 이하 제4단계부터는 분체도장을 하는 수압전사방법과 동일하다.
삭제
삭제
금속제 피전사체는 두께 0.8㎜, 폭 375㎜, 길이 770㎜의 EGI 철판이고, 분체도료는 경화온도 180℃ 표준용융경화시간 10분형 도료인 금강고려화학제의 EX8816(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 혼성형 분체도료)이며, 활성화제는 수용성 용제, 휘발성이 강한 유기용제, 유기용제를 잘 녹일 수 있는 용제 및 수지의 분출능력 등이 높은 여러 가지 용제 중에서 4∼5가지의 용제를 혼성하여 사용하였다.
삭제
액체도장을 수행할 경우에도 분체도장의 공정을 거의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액체도료를 도포한 후에 액체도료에 따른 표준경화시간의 60∼90%로 경화한 후에 수압전사를 수행하면 된다.
(수압전사체의 밀착성 측정)
분체도장 또는 액체도장으로 수압전사체를 만들어 KS M-5981에 준하여 100㎜×100㎜의 평판에 1㎜×1㎜의 바둑판 눈금테이프법에 의해 시험한 후 그 결과를 양호(○) 또는 불량(×)의 형태로 표시하였다.
(연필경도 측정)
KSMISO-6508-1의 연필강도시험기로 수압전사체의 긁힘 손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용한 연필심의 길이는 3mm, 수압전사체 도막면과의 각도 45°, 하중 1kg, 긁기속도 0.5mm/min, 긁기 길이 3mm이고, 사용연필은 일본 미쓰비시사의 유니로 하였다.
(표면광택 측정)
KSM5574에 따라 60°경면 표면 광택계를 이용하여 수압전사체의 표면광택을 측정하였다.
(내열수성)
수압전사체를 열수(수온 98± 2℃)에서 30분간 가열 보관 유지한 후, 위에 설명한 밀착성 측정과 같이 1㎜×1㎜의 눈금판 100개를 만들어 그 부분에 점착테이프를 붙인 후, 점착테이프를 급속히 박리시켜 도막의 박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양호(○) 또는 불량(×)의 형태로 표시하였다.
(충격성 측정)
KSMISO-6272-1에 따라 1/4˝ 크기의 500g 구체를 400mm의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균열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양호(○) 또는 불량(×)의 형태로 표시하였다.
(밴딩성 측정)
수압전사체를 지름 8mm 환봉을 이용하여 180°로 밴딩하여 밴딩한 부위에서의 도막의 균열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측정하고, 양호(○) 또는 불량(×)의 형태로 표시하였다.
(신장성측정)
수압전사체의 시편을 에릭슨(ERICHSEN)시험기에 고정시킨 후 0.01mm/s의 속도로 5mm이상 시험기의 볼을 전진시켜 수압전사체의 표면에 이상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이 발생하는 최대전진 거리를 측정한다.
(내식성측정)
KSD 8334에 따라, 수압전사체의 표면에 “×”를 그리고, 염수분무기를 이용하여 염수농도 5%의 염수를 공기압 1kg/㎠의 압력으로 8시간 동안 분사한 후, 16시간 휴지하고, 이런 절차를 3회 반복하여 “×”의 교차선 주변의 도막 침식폭이 1.58 mm를 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양호(○) 또는 불량(×)의 형태로 표시하였다.
(내연화성측정)
수압전사체의 표면을 메틸이소부틸케톤을 부드러운 헝겊에 적셔 60회 문지른 후, 도막 표면의 연화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양호(○) 또는 불량(×)의 형태로 표 시하였다.
이상의 측정은 실시예, 소부도장된 강판, PCM(Pre-coated Metal)강판 및 VCM강판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소부도장 PCM강판 VCM강판
광택 92.3 93 80 105
경도 H F F F
내열수성
내연화성
내식성
밀착성
충격성
신장성 11.2 6.5 9.2 12.3
밴딩성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프라이머층이 전혀 형성되지 않은 분체도장층이 형성된 피전사체를 수압전사하여 제조한 실시예인 수압전사체가 복잡하고 고비용의 공정을 거친 소부도장, PCM강판 및 VCM강판의 비교예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나타내고, 특히 경도와 신장성은 소부도장과 PCM강판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생성된 본 발명의 수압전사체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피전사체(10); 금속제 피전사체(10)의 상부에 도포된 분체도료의 표준용융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용융 경화하여 형성된 분체도장층(20); 분체도장층(20)의 상부에 수압전사되어 형성된 장식층(30); 및 장식층(30)의 상부에 형성된 경화 수지층(40)을 포함한다. 또한, 금속제 피전사체(10)의 표면에 인산아연피막층(1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도 4b).
본 발명의 다른 수압전사체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전사체(10); 피전사체(10)의 상부에 도포된 액체도료의 표준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경화하여 형성된 액체도장층(25); 액체도장층(25)의 상부에 수압전사되어 형성된 장식층(30); 및 장식층(30)의 상부에 형성된 경화 수지층(40)을 포함한다. 또한, 금속제 피전사체(10)와 액체도장층(25)의 사이에 프라이머층(1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도 5b).
본 발명의 수압전사체는 가전제품, 사무용품, 건축자재, 스포츠용품, 헬멧 등과 같이 곡면을 가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는 분야에 특히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체도장 또는 액체도장을 할 수 있는 모든 재질을 피전사체로 사용할 수 있고, 분체도장 또는 액체도장으로 다양한 기초색상을 표현할 수 있어 한가지 종류의 수압전사필름으로도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종래에 사용되던 프라이머가 전혀 필요치 않아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분체도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종래에 다량 사용되던 유기용제가 불필요하여 환경오염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수압전사필름에 장식층과 경화 가능한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조공정이 간단해져 생산성이 향상되고, 소부도장 또는 액체도장만으로 표현할 수 없는 다양한 문양과 색상 표현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1. 금속제 피전사체의 표면을 세척, 건조하는 제1단계; 분체도료를 정전분체 도장법, 유동 침적법 또는 정전 유동 침적법을 이용하여 피전사체에 도포하는 제2단계; 피전사체에 도포된 분체도료를 경화시키는 제3단계; 전사수조에 띄워져 있는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에 활성화제를 분무하는 제4단계; 피전사체를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상부로부터 눌러 물속으로 가라앉힘으로써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을 피전사체에 수압전사시키는 제5단계;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는 제6단계; 및 경화 가능한 수지층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 또는 열건조로 경화시켜 상기 장식층의 상면에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수압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분체도료의 표준용융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분체도료가 도포된 피전사체를 유지하여 분체도료를 용융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방법.
  2. 피전사체의 표면을 세척, 건조하는 제1단계; 액체도료를 피전사체에 도포하는 제2단계; 피전사체에 도포된 액체도료를 경화시키는 제3단계; 전사수조에 띄워져 있는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에 활성화제를 분무하는 제4단계; 피전사체를 상기 수압전사필름 상부로부터 눌러 물속으로 가라앉힘으로써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장식층을 피전사체에 수압전사시키는 제5단계; 상기 수압전사필름의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는 제6단계; 및 경화 가능한 수지층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 또는 열건조로 경화시켜 상기 장식층의 상면에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수압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액체도료의 표준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액체도료가 도포된 피전사체를 유지하여 액체도료를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전사체가 금속제인 경우에는 제1단계 후에 금속제 피전사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제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는 D-리모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제는 크실렌 15∼20 중량%, 메틸이소아밀케톤 20∼60 중량%, 초산이밀 10∼25 중량%, 이소프로필알코올 10∼50 중량%, 및 D-리모넨 5∼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물을 분사하여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방법.
  7. 금속제 피전사체;
    상기 금속제 피전사체의 상부에 도포된 분체도료의 표준용융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용융 경화하여 형성된 분체도장층;
    상기 분체도장층의 상부에 수압전사되어 형성된 장식층; 및
    상기 장식층의 상부에 형성된 경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체.
  8. 금속제 피전사체;
    상기 금속제 피전사체의 상부에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포된 액체도료의 표준경화시간의 60∼90% 시간 동안만 경화온도에서 경화하여 형성된 액체도장층;
    상기 액체도장층의 상부에 수압전사되어 형성된 장식층; 및
    상기 장식층의 상부에 형성된 경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전사체.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02496A 2007-01-09 2007-01-09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 KR100779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496A KR100779744B1 (ko) 2007-01-09 2007-01-09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496A KR100779744B1 (ko) 2007-01-09 2007-01-09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744B1 true KR100779744B1 (ko) 2007-11-28

Family

ID=3908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496A KR100779744B1 (ko) 2007-01-09 2007-01-09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7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91B1 (ko) 2008-12-30 2009-10-21 유한회사 대동 홀로그램 수압전사체
KR101828210B1 (ko) * 2017-04-10 2018-02-09 주식회사 대유글로벌 알루미늄 휠의 다중 컬러 형성 방법
CN109760437A (zh) * 2019-01-17 2019-05-17 常州威斯顿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水转印加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672A (ko) * 1998-07-23 2001-04-16 와카바야시 아키라 액압전사방법 및 장치 그리고 액압전사품
KR20020073797A (ko) * 2001-03-16 2002-09-28 조성진 주철재 가로등용 기둥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5933A (ko) * 2001-10-30 2003-05-09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압 전사 방법
KR20050016650A (ko) * 2002-07-01 2005-02-21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압 전사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전사체의 제조 방법
KR100555878B1 (ko) 2004-09-08 2006-03-03 김오형 핸드레일 소재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0672A (ko) * 1998-07-23 2001-04-16 와카바야시 아키라 액압전사방법 및 장치 그리고 액압전사품
KR20020073797A (ko) * 2001-03-16 2002-09-28 조성진 주철재 가로등용 기둥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5933A (ko) * 2001-10-30 2003-05-09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압 전사 방법
KR20050016650A (ko) * 2002-07-01 2005-02-21 다이니혼 잉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압 전사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전사체의 제조 방법
KR100555878B1 (ko) 2004-09-08 2006-03-03 김오형 핸드레일 소재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91B1 (ko) 2008-12-30 2009-10-21 유한회사 대동 홀로그램 수압전사체
KR101828210B1 (ko) * 2017-04-10 2018-02-09 주식회사 대유글로벌 알루미늄 휠의 다중 컬러 형성 방법
CN109760437A (zh) * 2019-01-17 2019-05-17 常州威斯顿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水转印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5447A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for stoving finishe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6699548B2 (ja) 凹凸転写フィルム
TW200402332A (en) Hydraulic transfer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hydraulic transferr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1147935B1 (ko) 수압 전사방법 및 수압 전사품
KR100779744B1 (ko) 수압전사방법 및 수압전사체
EP3715139B1 (en) Environment-friendly water transfer printing process and corresponding component surface structure
JPH06222604A (ja) 物体の表面に固定化した付着物易除去被覆
KR100842077B1 (ko) 수압전사방법
JP2005288993A (ja) マグネシウム又はマグネシウム合金からなる製品の製造方法
JP2009291961A (ja) 化粧シート
KR101085551B1 (ko) 자외선 미러 코팅 공정
CN208072847U (zh) 一种耐磨金属印花装饰板
KR101059464B1 (ko) 메탈릭도장층이 형성된 장식재
JP2006264126A (ja) 水圧転写フィルム及び水圧転写体
JP2003246195A (ja) 水圧転写方法
JP2010228179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KR100777181B1 (ko) 액압전사방법, 액압전사품 및 액압전사용 도료
KR100922591B1 (ko) 홀로그램 수압전사체
JP2005014266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53794B1 (ko) 은경막 또는 흑경막 코팅 방법
KR101161202B1 (ko) 홀로그램 장식재
JP2007223065A (ja) 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及び親水性付与方法
JP2000025110A (ja) 帯電防止性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2004284020A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JP2014124383A (ja) 浴室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