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95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955B1
KR100778955B1 KR1020050068933A KR20050068933A KR100778955B1 KR 100778955 B1 KR100778955 B1 KR 100778955B1 KR 1020050068933 A KR1020050068933 A KR 1020050068933A KR 20050068933 A KR20050068933 A KR 20050068933A KR 100778955 B1 KR100778955 B1 KR 10077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image
display
voltag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861A (ko
Inventor
겐따 엔도우
요시히로 이마죠우
요시히사 오오이시
이꾸꼬 모리
시세이 가또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ublication of KR2006004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흑 화상의 표시 후에, 그 흑 화상과 다른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선에 출력하는 최초의 기간을, 그 다음의 기간과 다른 길이로 한다.
주기적, 흑 화상, 표시 장치, 줄무늬, 극성, 구성, 기입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시스템 개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흑 화상을 삽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표시 데이터와 흑 화상의 표시 타이밍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표시 데이터와 흑 화상의 표시 타이밍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표시 데이터와 흑 화상의 표시 타이밍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표시 데이터와 흑 화상의 표시 타이밍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줄무늬 형상의 표시 불량의 설명도.
도 8은 흑기입을 행하지 않는 경우와 행하는 경우에서 파형을 비교한 설명도.
도 9는 흑기입을 행하지 않는 경우와 행하는 경우에서 파형을 비교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고스트 현상의 설명도.
도 14는 고스트 현상의 발생 원리의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에 가까운 측과 먼 측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럭 펄스가 벗어난 전송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럭 펄스가 어긋난 전송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5는 더미 패턴의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GL : 게이트 신호선
DL : 영상 신호선
CL : 공통 신호선
TCON : 컨트롤러
PS : 전원 회로
Vd :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용 각종 전압
Vg :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용 각종 전압
Vc : 공통 신호선 전압
GD :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DD :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
DS :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용 신호
GS :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용 신호
OI : 외부 입력
DR : 표시 영역
CLP1 : 클럭 펄스
CLP2 : 데이터 랫치 클럭
DELAY : 지연 회로
FF : 플립플롭 회로
RES' : 데이터 수신 회로
CP : 비교기
RST : 리셋 입력
RES : 레지스터
OBK : 출력 단자 블록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212747 호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의 화상의 표시 방식에는, 각 화소 영역에서 본 경우, CRT로 대표되는 표시 시간과 비표시 시간이 반복되는 임펄스형의 표시 방식과, 액정이나 유기 EL로 대표되는 연속하여 표시가 행해지는 홀드형의 표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중, 홀드형의 표시 방식에서는, 목시상의 응답시간이 화상이 홀드되는 시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임펄스형의 표시 장치보다 응답 속도가 늦게 보일 수 있다고 하는 결점이 지적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대하여,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4-212747에는 통상의 표시 화상을 n 라인 표시한 후에, 통합하여 m 라인분(일례로서 n=m=4) 흑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의사적으로 임펄스형의 표시를 실현하고, 목시상의 응답 속도를 향상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가 대형화함에 따라, 또는 흑이 나타내는 간격을 늘려 목시상의 대응 속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 동작 주파수를 향상하는 경우(예를 들면 80㎐ 이상), 또는 화소 용량이 증대함에 따라, 일본 공개 특허 공보2004-212747의 기술을 적용하면 다양한 특유의 표시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 것이 발명자에 의해 판명되기에 이르렀다. 그 때문에, 이 개선 시에 한층 더 화질 향상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발명자에 의해 명확하게 되었다.
특유의 표시 얼룩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므로, 상세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특유의 표시 얼룩을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수단을 예시하면, 예를 다음과 같다.
(1)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흑 화상의 표시 후에 그 흑 화상과 다른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선에 출력하는 최초의 기간을, 그 다음의 기간과 다른 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1)을 전제로 하여, 상기 최초의 기간은,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의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다음의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3)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1)을 전제로 하여, 상기 최초의 기간은,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의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다음의 기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4)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2)를 전제로 하여, 상기 최초의 기간은,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의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다른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5)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3)을 전제로 하여, 상기 최초의 기간은,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다른 기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6)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1)을 전제로 하여,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의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게이트 신호의 온 기간이 상기 최초의 기간에서 상기 다음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7)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1)을 전제로 하여,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게이트 신호의 온 기간이, 상기 최초의 기간에서 상기 다음 기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8)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장치로서,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을, 그 다음에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과 상이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8)을 전제로 하여,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은,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최초의 영상 신호와 다음의 영상 신호에서 극성이 상이한 구동으로,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2번째에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8)을 전제로 하여,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은,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최초의 영상 신호와 다음의 영상 신호에서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2번째에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 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그 표시 장치에 균일적인 휘도의 표시 화상을 표시시키는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한 경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과 세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을 서로 다른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11)을 전제로 하여, 흑 화상의 표시 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와 2번째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상기 제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3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11)을 전제로 하여, 흑 화상의 표시 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와 2번째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상기 제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2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이 온이 되는 타이밍을,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 이외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이 온이 되는 타이밍보다 늦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이 온이 되는 기간을,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 이외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이 온이 되는 기간보다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6)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 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한 영상 신호선의 전압을,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과 서로 다른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7)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16)을 전제로 하여, 상기 다른 값은, 상기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의 직전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정극성의 경우는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보다 낮고, 부극성의 경우는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보다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8)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한 게이트의 온 전압을 다른 게이트의 온 전압보다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게이트 신호선의 상승에 대하여 영상 신호선이 상승하는 타이밍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에 가까운 측에서 먼 측보다 빨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개략>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를 구성 요소로서 갖는다. 도 1은 컨트롤러 TCON로부터의 신호에 의한 표시 소자에의 표시 신호의 생성 경로를 나타 내는 시스템 개략도이다. 표시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TV의 신호, PC의 신호, 다른 각종 제어 신호가 외부 입력 OI로서 컨트롤러 TCON에 입력한다. 컨트롤러 TCON은 해당 신호를 표시 소자에 화상 표시를 행하기 위한 신호로 가공한다. 이 신호는 표시 소자에 의해 다르며, 예를 들면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EL 표시 장치인 경우, FED 표시 장치인 경우 등, 각각에 표시 장치에 부합하여 필요한 신호로 가공된다.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컨트롤러 TCON로부터는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 DD에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용 신호 DS를 공급하고,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용 신호 GS를 공급한다. 전원 회로 PS로부터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 DD에는 회로 자체의 구동 전압이나 복수의 계조 기준 전압을 포함하는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용 각종 전압 Vd를 공급하고,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는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자체의 구동 전압이나 게이트 전압의 기준이 되는 등의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용 각종 전압 Vg를 공급한다. 또한, 표시 소자의 공통 전위로서 공통 신호선 전압 Vc를 공급한다.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 DD로부터는 영상 신호선 DL에 영상 신호를,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로부터는 게이트 신호선 GL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고, 화소에 설치된 스위칭 소자 TFT에 의해 게이트 신호선 GL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영상 신호선 DL의 전위가 화소 전극 PX(후술)에 공급된다. 이 화소 전극 PX와 공통 신호선 전압 Vc의 사이의 전계 또는 전압차로 액정 분자를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의 상태를 변화시켜 화상 표시를 실현한다. 복수의 영상 신호선 DL 및 게이트 신호선 GL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표시 영역 DR이 구성된다. 이 표시 영역 중에 는, 예를 들면 인접하는 영상 신호선 DL과 인접하는 게이트 신호선 GL로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다수의 화소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흑 화상의 표시 개념예의 설명>
도 2는 흑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개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외부 입력 OI로부터가 영상 신호선 DL에 접속된 각 화소에 차례로 표시할 정보가 1, 2, 3, 4, 5로 순서대로 입력된다. 이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정보에는, 어떻게 하여 주기적으로 흑 데이터를 표시하는가 라는 정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컨트롤러 TCON에서 흑 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수정한다. 수정 후의 표시용 데이터를 Data로서 나타낸다. 1, 2, 3, 4의 뒤에 흑 데이터가 설정되고, 그 후 5, 6, 7, 8의 후에 흑 데이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례로서 4개의 표시 데이터에 대하여 1개의 흑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셋트를 작성한다. 이 때,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표시 장치에 완전히 표시하기 위해서, 1, 2, 3, 4로 순서대로 입력되는 각 표시 데이터의 표시 기간은, 흑을 표시하지 않는 방식의 경우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어떻게 표시하는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횡축이 시간 축, 종축이 주사 라인(게이트 신호선 GL)의 위치에 상당한다. 구 형상의 영역이 프레임에 상당한다. 표시 장치의 해상도가 여러가지 있으며, 예를 들면 XGA에서는 768개의 주사 라인을 적어도 갖는다.
우선, 기울어진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이 제1 프레임에서는 최초의 주사 라인(제1 라인)으로부터 최후의 표시 라인(제768 라인)까지 차례로 화소 에 기입되어 간다. 통상의 표시 장치에서는 이것이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으로 이를 반복한다. 한편, 흑 화상을 표시하는 방식에서는, 여기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흑의 기입이 추가된다. 실선으로 나타낸 영상과 파선으로 나타낸 흑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는, 영상 신호의 기입 후, 일정 시간을 경과 후에 흑을 기입함으로써, 각 화소는 통상의 화상 표시와 흑 표시를 반복하여 표시하게 되고, 목시상의 응답 속도가 향상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표시 데이터와 흑 데이터의 기입 타이밍의 모습을, 도 4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을 위해서 주사 라인이 L1 내지 L36의 36개의 경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갯수가 증가하더라도 개념은 동일하지만, 도시의 끊김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갯수를 삭감한 도면으로 설명한다. 횡축은 도 3과 마찬가지인 시간 축이다.
영상 신호선 DL에 가해지는 신호를 도 4에 의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1, 2, 3, 4의 영상이, 동기하여 게이트 신호선 GL이 ON 함으로써 순서대로 L1 내지 L4에 대응하는 화소에 기입된다. 그 다음에, 흑 데이터가 영상 신호선에 가해진다. 이 때, 조금 떨어진 L13 내지 L16의 4라인분의 게이트 신호선 GL이 ON 함으로써, L13 내지 L16의 4라인에 대응한 화소에 동시에 흑이 기입된다. 다음으로, 5, 6, 7, 8의 영상이, 동기하여 게이트 신호선 GL이 ON함으로써 순서대로 L5 내지 L8에 대응하는 화소에 기입된다. 그 다음에, 흑 데이터가 영상 신호선에 가해진다. 이 때, 먼저 흑을 기입한 L13 내지 L16의 4라인분에 계속되는 4라인 L17 내지 L20의 게이트 신호선 GL이 ON 함으로써, L17 내지 L20의 4라인에 대응한 화소 에 동시에 흑이 기입된다. 이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과 흑의 기입이 계속된다.
21, 22, 23, 24의 영상을 L21 내지 L24에 기입한 후, L33 내지 L36에 흑 화상이 기입된다. 이것으로서 흑 화상은 표시 영역의 최하단까지 기입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그 후의 흑 데이터의 기입은 선두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25, 26, 27, 28의 영상을 L25 내지 L28에 기입하여, 다음에 영상 신호선 DL에는 흑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때, L1 내지 L4의 게이트 신호선 GL이 ON함으로써, L1 내지 L4의 4라인에 동시에 흑이 기입되게 된다. 그 후, 흑 표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례로 하의 라인에 반복되어 간다. 33 내지 36의 영상을 L33 내지 L36에 기입함으로써 영상은 L1 내지 L36의 전체 라인에 표시를 완료한다. 흑은 33 내지 36의 영상에 계속해서 L9 내지 L12의 라인에 표시됨으로써, 흑도 전체 라인에의 표시를 완료한다.
이상에 의해, 영상, 흑의 어느 쪽의 정보도 전체 라인에 표시하는 것이 실현한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한 설명도로, 각 라인마다 기입되는 영상 신호, 흑 신호를 보다 알기 쉽게 나타낸다. 굵은 흑 테두리로 둘러싸인 1 내지 36의 숫자는, 그 타이밍에도 그 정보가 화소에 기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 이외에 숫자는, 그 숫자의 영상이 스위칭 소자 TFT에 의해 유지되고 표시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검은 도포칠은, 그 타이밍에서 흑이 화소에 기입되는 것을 나타낸다. B는, 흑 표시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L1에는 영상 "1"이 기입된 후, 영상 "1"이 계속 표시된다. 그 후, 흑 데이터가 기입되고, 흑 화상 "B"가 계속 유지된다. 이하, L12까지 마찬가지다. L13 내지 L36은 먼저 흑 화상 "B"가 기입되고, 그 후 영상이 기입되게 된다. 최초의 1프레임에서는, 이와 같이 흑을 기입하는 타이밍이 다르지만, 이는 표시 장치를 기동한 불과 0.1초 미만의 순간에 지나지 않고, 그 이후는 도 6에 도시한 표시 패턴이 반복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라인에서 영상의 표시 기간과 흑의 표시 기간의 비는 대략 같아진다.
여기서 대략 같다고 하는 것은, 예를 들면 4라인 동시에 흑을 기입하기 때문에, 영상의 표시 기간과 흑의 표시 기간의 비에 수 10㎲ 정도의 어긋남이 인접하는 4라인에서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정도의 표시 시간의 어긋남은 목시상의 문제가 되지 않는 미소한 것으로, 특히 해상도가 높아질소록 그 차는 저감되므로, 예를 들면 XGA 이상과 같은 고해상도에서는 실용상 허용할 수 있는 레벨로서, 그 의미로 대략 같다라는 용어를 이용하고 있다.
<제1 현상에의 대응>
도 7은, 본 발명에서 대응하는 현상의 일례이다. 표시 영역 DR에 균일한 중간조를 표시한 경우, X로 나타낸 바와 같은 휘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선이 줄무늬 형상으로 보인다고 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검토 결과, 이는 흑 화상을 기입한 후의 최초의 라인과 이후의 라인에서, 화소에 기입되는 실효적인 전압이 서로 달라지는 것이 원인으로 판명되었다.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L4 내지 L8 및 B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데이터의 기입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는 흑 기입을 행하지 않는 통상의 경우에 영상 신호선 DL에 가해지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균일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도트 반전 구동 또는 그에 준하는 구동으로서는, 극성이 서로 다른 동일 계조의 신호가 영상 신호선 DL에 차례로 인가된다. 도 8의 (b)는 흑 기입을 행하는 경우이다. 일례로서, 도 4 내지 도 6에서의 설명에 대응하여, L4와 L5의 사이에서 L13 내지 L16에 흑을 기입할 때의 영상 신호선 DL에 가해지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B의 기간에서는, 흑을 기입할 목적으로, 영상 신호선 DL에 L4 또는 L5 내지 L8과 전혀 다른 흑 전압이 가해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각각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의 도트 반전에서의 예에 대하여 프레임 반전에서의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흑을 기입할 때에 전혀 다른 전압이 가해지는 점은, 도 8의 경우와 공통인 것이 이해된다.
도 8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로부터 L5에의 전압의 변화량은, L5로부터 L6, L6으로부터 L7, L7로부터 L8에의 전압의 변화량에 비하여 약 절반으로 작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소에 전압을 기입하는 것이, L5에서는 L6 내지 L8보다 용이하게 되고, 이 때문에 L5의 휘도가 L6 내지 L8의 휘도와 달라지게 된다. 도 9의 (b)의 경우는, 반대로 B로부터 L5에의 전압의 변화량은, L5로부터 L6, L6으로부터 L7, L7로부터 L8에의 전압의 변화량에 비해 커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소에 전압을 기입하는 것이, L5에서는 L6 내지 L8 보다 곤란하게 되고, 이 때문에 L5의 휘도가 L6내지 L8의 휘도와 달라지게 된다. 이것이, 도 7의 X의 발생 원인이고, 흑의 기입에 대응하여 생기기 때문에, 4라인 단위로 흑을 기입하는 경우에는 4라인마다 발생하게 된다.
도 10의 (a)는 도 8의 (b)의 도트 반전 시에, 줄무늬 형상의 휘도 변동을 해소하기 위한 구동이다. 상측은 도 8의 (b)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선 DL의 신호, 하측은 L4 내지 L8의 각 게이트 신호선 GL을 나타내는 것으로, L4 내지 L8에 상당하여 GL4 내지 GL8로 기재하고 있다. L5의 시간을 L6 내지 L8보다 짧게 함으로써, L5의 기입 시간을 L6 내지 L8보다 짧게 하여, L5에서 화소에 기입되는 전압을 L6 내지 L8에 가까이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휘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도 9의 (b)의 프레임 반전 시에, 줄무늬 형상의 휘도 변동을 해소하기 위한 구동이다. 상측은 도 9의 (b)에 상당하는 영상 신호선 DL의 신호, 하측은 L4 내지 L8의 각 게이트 신호선 GL을 나타내는 것으로, L4 내지 L8에 상당하여 GL4 내지 GL8로 기재하고 있다. L5의 시간을 L6 내지 L8보다 길게 함으로써, L5의 기입 시간을 L6 내지 L8보다 길게 하여, L5에서 화소에 기입되는 전압을 L6 내지 L8에 가까이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휘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O의 (a), 도 10의 (b)에는,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상기 흑 화상과 다른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선에 출력하는 최초의 기간을, 그 다음 기간과 다른 길이로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0의 (a)에는, 상기 최초의 기간은,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 기간에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다음 기간보다 짧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0의 (a)에는, 상기 최초의 기간은,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 기간에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다른 기간보다 짧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0의 (a)에는,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 기간에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게이트 신호의 온 기간이, 상기 최초의 기간에 상기 다음 기간보다 짧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도 10의 (b)에는, 상기 최초의 기간은,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 기간에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다음 기간보다 길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0의 (b)에는, 상기 최초의 기간은,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 기간에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 구동으로 다른 기간보다 길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0의 (b)에는, 상기 최초의 기간과 상기 다음 기간에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 구동으로, 게이트 신호의 온 기간이, 상기 최초의 기간에 상기 다음 기간보다 길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도 11의 (a)는 도 8의 (b)의 도트 반전 시에, 줄무늬 형상의 휘도 변동을 해소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으로서, 도 10의 (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게이트 전압 GL5를 다른 게이트 전압 GL6 내지 GL8보다 작게 함으로써, 스위칭 소자 TFT의 기입 특성을 L5와 L6 내지 L8에서 달리 하고, L5에서 화소에 기입되는 전압을 L6 내지 L8에 가까이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휘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1의 (a)는 L5의 시간을 L6 내지 L8보다 짧게 하여 효과의 확대를 더욱 도모하고 있지만, L5 내지 L8의 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GL5의 전압을 GL6 내지 GL8보다 낮게 하는 것만으로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도 11의 (b)는 도 9의 (b)의 프레임 반전 시에, 줄무늬 형상의 휘도 변동을 해소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으로서, 도 10의 (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게이트 전압 GL5를 다른 게이트 전압 GL6 내지 GL8보다 크게 함으로써, 스위칭 소자 TFT의 기입 특성을 L5와 L6 내지 L8에서 달리 하고, L5에서 화소에 기입되는 전압을 L6 내지 L8에 가까이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휘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1의 (b)는 L5의 시간을 L6 내지 L8보다 길게 하여 효과의 확대를 한층 도모하고 있지만, L5 내지 L8의 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GL5의 전압을 GL6 내지 GL8보다 높게 하는 것만이라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도 11의 (a) 및 도 11의 (b)에는,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온 전압을, 그 다음에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온 전압과 서로 다른 값으로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1의 (a)에는,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온 전압은,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최초의 영상 신호와 다음 영상 신호로 극성이 다른 구동으로,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2번째로 온이 되는 게이 트 신호선 GL의 온 전압보다 낮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1의 (b)에는,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온 전압은,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최초의 영상 신호와 다음 영상 신호로 극성이 동일 구동으로,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2번째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온 전압보다 높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도 12의 (a)는 도 8의 (b)의 도트 반전 시에, 줄무늬 형상의 휘도 변동을 해소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이다. 본래 영상 신호선 DL에 인가할 전압의 진폭을 V2로 한 경우, 흑기입 후에 최초의 라인, 예를 들면 L5만 영상 신호선 DL의 전압을 본래의 V2보다 낮은 V1로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화소에 기입되는 전압을 L5 내지 L8로 균일화하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이 전압의 변경은, 컨트롤러 TCON에서 데이터의 계조값을 제어함으로써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트 반전으로 노멀 블랙의 경우에는, 계조 데이터의 값을 다른 라인보다 낮은 값으로 치환하면 된다.
도 12의 (b)는 도 9의 (b)의 프레임 반전 시에, 줄무늬 형상의 휘도 변동을 해소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이다. 본래 영상 신호선 DL에 인가할 전압의 진폭을 V2로 한 경우, 흑기입 후에 최초의 라인, 예를 들면 L5만 영상 신호선 DL의 전압을 본래의 V2보다 높은 V1로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화소에 기입되는 전압을 L5 내지 L8에서 균일화하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 이 전압의 변경은, 컨트롤러 TCON에서 데이터의 계조값을 제어함으로써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 반전에서 노멀 블랙의 경우에는, 계조 데이터의 값을 다른 라인보다 높은 값으로 치환하면 된다.
도 12의 (a) 및 도 12의 (b)에는,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표시 장치에 균일한 휘도의 표시 화상을 표시시키는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한 경우, 흑 화상의 표시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과 3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을 서로 다른 값으로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2의 (a)에는, 흑 화상의 표시 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와 2번째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상기 제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3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보다 낮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2의 (b)에는, 흑 화상의 표시 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와 2번째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 구동으로, 상기 제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2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보다 높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제2 현상에의 대응>
도 13은, 본 발명에서 대응하는 현상의 다른 일례이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 DR에 균일한 중간조를 표시하고 그 중에 IMG로 나타낸 바와 같은 띠 형상의 화상을 표시한 경우, Y로 나타낸 바와 같이 휘도가 서로 다른 띠 형상의 휘도가 서로 다른 부분이 생긴다.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후의 Y를 고스트라고 한다. 이 고스트는,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IMG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스크롤하면서 표시한 경우, 함께 화살표의 방향으로 스크롤한다.
또한, 이 고스트는 반드시 화면의 우측에서부터 좌측까지 휘도가 균일하다고는 할 수 없고, 오히려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의 가까운데서 강해지는 경향이 판명되었다. 보는 방법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6과 같은 타이밍에서 흑 삽입을 행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1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L5 내지 L8에 밝은 표시를 행하고, 다른 라인에 중간조의 표시를 행했을 때에, L17 내지 L20에 상당하는 위치에 약간 밝은 중간조가 고스트로 되어 나타난다.
도트 반전의 경우를 예로 들어, 발명자가 해명한 원인을 설명한다.
도 14는 L8 내지 L17의 사이에서의 영상 신호선 DL에 가해지는 신호와, 그에 의해 L17의 라인의 화소의 전압 PX(17)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횡축은 시간이다. 우선, L8에는 도 1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밝은 화상이 기입되므로, 영상 신호선 DL의 전압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L8에 화상을 기입한 직후에, L17 내지 L20에 흑을 기입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영상 신호선 DL의 전압은 L17 내지 L20에 흑을 기입하기 위한 흑 전압 B(L17 내지 L20)가 된다. 이 때, 도 14의 좌측 아래에 도시한 바와 같이, L17 내지 L20에 상당하는 게이트 신호선 GL17 내지 GL20에는 ON 전압이 가해져, 흑 전압이 L17 내지 L20에 상당하는 화소에 기입된다.
그러나, 이 때, L8의 전압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파수가 높은 경우, 화면 크기가 큰 경우, 화소 용량이 큰 경우 등에는, L17로부터 L20에 기입되는 전압이 흑 전압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판명되었다. L17에 대응하는 화소에 기입되는 전압 PX(17)로 설명한다.
PX(17)의 전압은 L8의 전반에서는, 전의 프레임에 기입된 표시용 전압 V1을 유지하고 있다. L8의 후반에서, GL17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스위칭 소자 TFT가 ON 상태로 이행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PX(17)에는 L8의 표시 전압 V2의 일부가 기입된다. 다음으로, B(L17 내지 L20)에서 영상 신호선 DL의 전압은 흑이 되고, GL17이 ON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PX(17)의 전압도 흑에 가까워진다. 그러나, 주파수가 높은 경우, 화면 크기가 큰 경우, 화소 용량이 큰 경우 등은, 기입이 부족하게 되므로, PX(17)의 전압이 흑과 일치하기 전에 GL17이 OFF로 된다. 그 결과, PX(17)는, 흑표시 기간인 L9 내지 L16의 사이, 흑 전압과 V3만큼 어긋난 전압을 계속 표시한다. 이윽고, L17에서, PX(17)에는 정식인 중간조의 표시 전압 V1이 기입되고, 다음 PX(17)에의 흑기입까지 V1이 유지된다.
인간이 목시상의 휘도는, 휘도를 시간 적분한 것이다. 따라서, PX(17)의 화소의 휘도는, V3에 의한 휘도의 흑표시 기간 분과 V1의 휘도의 통상 표시 기간 분을 더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PX(17)의 휘도는, V3의 존재에 의해, 본래 목적으로 한 휘도보다 밝아져 보이게 된다.
한편, 밝은 화상을 표시하는 L5 내지 L8과는 관계가 없는 라인, 예를 들면 L25에서는 이러한 변동이 생기지 않는다. 도 14에 대응하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L5 내지 L8 이외에는 중간조가 표시된다. 이 때문에, L16에 대응하는 기간, 및 L17내지 L24, L25에 대응하는 기간은 동일 진폭의 전압 V1이 인가되어 있다. 이 때문에, L16의 후반에서도 PX(25)의 전압 상승은 한정된 것이 되어, B(L25 내지 L28)에서의 흑기입에 의해 정상적인 흑전위가 기입되게 된다.
이상의 원인으로, 밝은 화상을 표시하는 L5 내지 L8의 직후에 흑 기입을 행하는 L17 내지 L20만이, 흑의 표시 기간의 전압에 V3의 어긋남이 생기는 분만큼, 다른 중간조를 표시하는 영역보다 밝게 보이게 된다.
도 16은 본 현상을 억제하는 제1 안이다. L8의 후반에서 흑과는 다른 표시 전압이 기입되는 것이 고스트의 원인이므로, L8의 전압이 PX(17)에 기입되지 않도록 하면 이 현상은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 신호선 GL의 ON하는 타이밍을, GL17 내지 GL20의 흑표시 시, 즉 통상의 표시 시보다 많은 복수의 라인에서 게이트 신호선 GL을 동시에 ON으로 할 때에, 통상의 화상 표시용으로 게이트 신호선 GL을 ON하는 타이밍(GL17)보다 느리게 했다. 도 16의 B(L17 내지 L 20)에 대응하는 GL17 내지 20의 상승이 파선보다 뒤인 반면, L17에 대응하는 GL17의 상승은 파선보다 앞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타이밍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L8의 전압이 흑기입 시의 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하여, 고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6에는,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 GL이 온이 되는 타이밍을,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 이외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 GL이 온이 되는 타이밍보다 느리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6에는,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 GL이 온이 되는 기간을,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 이외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 GL이 온이 되는 기간보다 짧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도 17은 제2 안으로, 도 16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상승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대신에, 영상 신호선 DL의 전압 또는 계조를 제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L8에서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 V2가 미치는 변동 V3을 미리 정해진 테이블로부터 참조하여, 그 만큼 B(L17 내지 L20)에 영상 신호선 DL에 가해지는 전압을 V3분만큼 어긋나게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PX(17)에 기입되는 흑 전압을, 다른 정상적인 라인에 기입되는 흑 전압에 가까이 할 수 있다. 도 17의 예에서는, B(L17 내지 L20)의 전압을 다른 흑기입 시의 전압보다 낮은 것으로 하고 있다.
흑기입 시에 화소에 기입되는 이상적인 전압은, 어디까지나 흑이라는 특정한 상태이다. 그리고, 흑 기입의 직전의 표시 전압이, 흑기입 시의 전압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지는, 설계나 시뮬레이션으로 사전에 산정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산정값으로부터 미리 V3의 전압을 직전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이나 계조에 대응한 테이블로서 설정할 수 있다. 흑 기입의 타이밍이나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 DD에 계조를 지시하는 기능은 컨트롤러 TCON에서 실현되므로, 테이블을 참조하면서 흑기입 시의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 DD에의 흑기입 시의 지시 데이터를 변경하는 것은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7에는,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한 영상 신호선의 전압을,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과 서로 다른 값으로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도 17에서는, 상기 서로 다른 값은, 상기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의 직전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정극성의 경우는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의 전압보다 낮게 하는 것이 나타나고 있다. 전의 극성의 전압에 의한 흑 전압의 변동을 회피하는 개념이므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의 직전의 영상 신호가 부극성의 경우는, 상기 서로 다른 값은,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의 전압보다 높게 하게 된다.
도 18은 제3 안으로, 도 16에 대응한 도면이다. 특징은, 흑기입에 대응하는 게이트 ON 전압(GL17 내지 GL20)를 V4, 통상의 표시 화상의 기입 전압(GL17)을 V5로 하여, V4>V5로 한 점에 있다. 이에 따라, 흑기입 시인 B(L17 내지 L20)의 기간에, 영상 신호선 DL의 흑 전압의 화소 전극에의 기입을 향상하여, 화소 전극의 전압 PX(17)에 흑전위를 기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모든 게이트 신호선 GL의 ON 전압을 높게 하면 통상의 화상에 대해서도 기입률은 향상하지만, 그러면 소비 전력의 증대가 생긴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백표시로, 또한 게이트 신호선 GL의 전압도 높인 경우, 그 만큼 표시 장치로서 순간적으로 사용하는 전력량은 증대하여, 최대 소비 전력의 증대를 초래한다. 이 최대 소비 전력에 대응하여 전원 회로 PS나 각종 안전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최대 소비 전력의 증대는 비용 상승으로 직결한다. 한편, 흑표시의 경우만 ON 전압을 높게 해도, 흑일 때는 영상 신호의 진폭은 최소이므로, 표시 장치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통상의 화상 표시 시보다 낮은 전력량이 된다. 따라서, 흑기입에 대응하는 게이트 ON 전압만 높게 한 경우에는, 최대 소비 전력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도 18에는,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한 게이트의 온 전압을 다른 게이트의 온 전압보다 높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도 19는 도 1에 대응한 도면으로서,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가까운 측을 GN, 먼 측을 GF로 한다. 도 13의 (c)에서, 이 고스트 Y는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측에 의해 강하게 나오기 쉬운 것을 설명하였다. 이 이유는,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가까운 측에서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파형의 둔함이 적어, 급준하게 상승/하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전의 라인의 표시 화상을 흑표시 시에 높은 효율로 기입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흑기입 시만 게이트 신호선 GL의 상승 타이밍을 어긋나게 함으로써도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고스트에 좌우차가 있는 경우에는, 이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효과에도 좌우차가 생긴다. 그리고, 어디까지나 흑을 기입해야 하는 이상, 어긋나는 양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좌우차의 해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행한 것이 도 20에 도시한 구동법이다. 도면의 상단은 게이트 신호선 GL, 중단은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가까운 측에서 도 16의 상단에 상당하는 도면으로서, 영상 신호선의 신호는 DL(GN)이 된다. 도면의 하단은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먼 측에서 도 16의 상단에 상당하는 도면으로서, 영상 신호선의 신호는 DL(GF)이 된다.
게이트 신호선 GL17 내지 20, GL17과 DL(GN)과 DL(GF)를 비교한다. 도면의 상하 방향의 파선은, GL과 DL의 타이밍을 비교하기 위해서 그려진 선이다. DL(GN)은 DL(GF)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빠르게 하강하게 되어 있다. 즉,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가까운 측과 먼 측에서, 영상 신호선 DL과 게이트 신호선 GL의 동 기를 어긋나게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가까운 측, 즉 게이트 신호의 상승이 급준한 측의 영상 신호선 DL(GN)에서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상승 개시와 영상 신호선 DL의 상승 개시까지의 시간, 또는 게이트 신호선 GL의 하강 개시와 영상 신호선 DL의 상승 개시까지의 시간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먼 측, 즉 게이트 신호의 상승이 둔한 측의 영상 신호선 DL(GF)보다 짧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신호 구동 회로에 가까운 측 GN에서는 전의 라인의 표시 데이터를 흑으로 기입하는 것을 회피하고, 또한 게이트 신호 구동 회로에 먼 측 GF에서는 스위칭 소자 TFT가 OFF가 되기 전에 다음 라인의 신호가 기입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따라서, 표시 화상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고스트의 좌우차를 해소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도 20에는,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게이트 신호선 GL의 상승에 대하여 영상 신호선이 상승하는 타이밍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에 가까운 측에서 먼 측보다 빠르게 하는 발명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DL(GN)과 DL(GF)에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방법의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21은 영상 신호구동 회로 DD가 DD(1), DD(2), …, DD(n)와 같이 복수의 구동 회로군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구동 회로군마다 제어하는 경우의 예이다. 구동 회로군으로서는, TCP 단위, 또는 COG의 반도체 칩 단위 등이 대상예가 된다. 각 구동 회로군에는 컨트롤러 TCON으로부터 영상 신호선 DL에 신호를 내는 타이밍을 지시하는 클럭 펄스 CLP1이 공급된다. 각 구동 회로군은 이 클럭 펄스 CLP1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선 DL에 출력한다. 종래는, 이 클럭 펄스 CLP1은 모든 구동 회로군에 공통이고, 그렇기 때문에 전구동 회로군이 동시에 영상 신호 DL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21의 구성에서는, 이 클럭 펄스 CLP1을 구동 회로군마다 독립시켜, CLP1(1), CLP1(2), …, CLP1(n)와 같이 각 구동 회로군마다 알맞은 타이밍에 공급함으로써 도 20과 같은 대응을 실현한다. 타이밍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LP1(1), CLP1(2), …, CLP1(n)을 조금씩 어긋나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 도 21은, 펄스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출력을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므로, 펄스끼리에 오버랩 기간이 있어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또, 이와 같이 영상 신호선 DL의 출력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개념은, 고스트에의 대응에 한정하지 않고, 게이트 신호선 GL에 공급되는 신호의 파형 둔함이 화면의 좌우에서 서로 다른 것에 기인하여 생기는 여러가지의 표시 결점에의 대책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 가능한 발명이다.
도 23은 도 21의 개량예이다. 도 21의 예는 구동 회로군, 즉 TCP마다 또는 COG 칩별 제어이므로, 구동 회로군의 사이에서 타이밍이 갑자기 어긋난다고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3은 구동 회로군의 사이에서의 타이밍이 급한 어긋남을 해소하기 위한 구성예이다. 도 21과의 상위점은, 구동 회로군 중에 지연 회로 DELAY를 설치하여, 구동 회로군 중에서도 타이밍을 어긋나게 한 점에 있다. 구동 회로군에 CLP1(1), CLP1(2), …, CLP1(n)로서 공급된 클럭 펄스는, 구동 회로군 중의 지연 회로 DELAY에 의해 재생성된다. 도 24는 지연 회로가 재생성 후의 클럭 펄스를 나타낸다. CLP1(1)에 대하여, CLP1(1-1) 내지 CLP1(1-m)가, CLP1(2)에 대 하여 CLP1(2-1) 내지 CLP1(2-m)가, CLP1(n)에 대하여 CLP1(n-1) 내지 CLP1(n-m)가 각각 재생성된다. 이 재생성된 클럭 펄스는, 구동 회로군의 내부에서 1라인마다 또는 복수 라인마다 어긋난 타이밍에서 생성되고, 그 타이밍에 따라서 각 구동 회로군으로부터 대응한 영상 신호선 DL(1-1) 내지 DL(1-m), DL(2-1) 내지 DL(2-m), DL(n-1) 내지 DL(n-m)에 출력된다.
도 25는 도 23에 대한 개량예이다. 도 23에서는 각 구동 회로군에 독립한 CLP1을 공급했었지만, 도 25의 예에서는, 최초의 구동 회로군에 CLP1(1)을 공급하고, 이후는 구동 회로군에 내장된 지연 회로 DELAY에 의해 CLP1(1)보다 지연된 타이밍에서 다음 구동 회로군에 CLP1(2)를 공급하고, 또한 다음 구동 회로군에 더 지연된 타이밍에서 CLP1(3)을 공급하여, 차례로 CLP1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 TCON으로부터 구동 회로군에의 CLP1의 배선수를 저감할 수 있어, 배선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에 의한 EMI를 저감하는 효과나, 컨트롤러 TCON의 단자 갯수 삭감에 의한 저비용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6은 드라이버 내의 지연 회로 DELAY의 일례이다. 데이터 수신 회로 RES'가 컨트롤러 TCON으로부터 지연량을 정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레지스터 RES에 입력한다. 또, 지연량을 고정으로 하는 경우에는, 레지스터 RES에 고정값을 기억시켜 둠으로써, 데이터 수신 회로 RES'는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수신 회로 RES'에 의해 컨트롤러 TCON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동적인 지연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위칭 소자 TFT의 공정 변동에 대하여 최적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나, 화상에 따라서 최적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데이터 래치 클럭 CLP2의 입력 횟수를 카운터 COUNT로 세어, 비교기 CP로 카운터의 값과 레지스터의 값을 비교한다. 카운터의 값이 레지스터의 값에 도달하면, 비교기 CP의 출력이 ON이 된다. 비교기 CP가 ON이 되면, 그 출력은 리셋트 입력 RST에 들어가, 카운터의 값을 초기화한다. 이에 따라, 레지스터에의 설정값을 z라고 하면, z 클럭 마다의 사이클에서 펄스가 생성된다. 비교기 CP로부터의 z 클럭 마다의 펄스와, CLP1(1)은 플립플롭 회로 FF에 입력된다. 이 플립플롭 회로 FF는, z 클럭마다의 펄스가 입력되면, 출력이 생긴다. 이 출력은, 다음 플립플롭 회로 FF의 CLP1(1)에 대응하는 입력이 된다. 그리고, 이 다음의 플립플롭 회로 FF에는, z 클럭 마다의 펄스가 입력되고, 최초의 플립플롭 회로로부터의 입력이 ON이 된 후의, 최초의 z 클럭 마다의 펄스가 입력된 시점에서 출력을 ON으로 한다. 이하, 반복함으로써, DELAY 회로가 구성된다. 최초의 플립플롭 회로 FF로부터의 출력은, 동시에 출력 단자 블럭 OBK(1)에 접속한다. 이 출력 단자 블럭 OBK(1)는, 플립플롭 회로 FF로부터의 ON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선 DL에 소정의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출력 단자 블럭 OBK(2), OBK(3), …, OBK(I)에 각각에 접속된 플립플롭 회로 FF로부터의 ON 신호가 시간 차를 갖고 차례로 입력됨으로써, 블럭마다 영상 신호선 DL에 소정의 화상 신호가 차례로 출력되어 간다. 그리고, 구동 회로군 중의 모든 플립플롭 회로 FF가 ON이 되면, 다음 구동 회로군에 CLP1(2)로서 지연한 CLP1이 출력된다.
이 플립플롭 회로 FF는 각 영상 신호선 DL에 대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러나, 회로 규모가 증대한다는 점이 있기 때문에, 1개의 구동 회로군 중에서 수개 내지 수십개 정도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게이트 신호선 GL의 게이트 신호의,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 GD에 가까운 측에 대하여 먼 측에서 생기는 배선 지연이 5㎲, 영상 신호선 구동 회로 DD를 구성하는 구동 회로군이 총 수 십개의 경우, 1개의 구동 회로군당 0.5㎲의 지연을 갖게 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된다. 이 때, 각 구동 회로군의 내부에 10개의 출력 단자 블럭 OBK가 있는 경우, 각 블럭 사이의 지연량은 0.05㎲가 된다. 따라서, 블럭 사이의 지연량의 차는 미소하고, 그 차는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모든 영상 신호선 DL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플립플롭 회로를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수개 내지 수십개의 영상 신호선 DL 단위로 구성되는 출력 단자 블럭 단위로 플립플롭을 설치해도,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면서 회로 규모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사상은, 특히 흑 화상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는 방식의 표시 장치로, 그 특유의 동작에 의해 생기는 표시 화상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들 사상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가 17" 이상의 대형이 되는 것에 따라, 보다 중요하게 된다. 또한, 흑이 나타나는 간격을 늘려 목시상의 응답 속도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 동작 주파수를 향상하는 경우(예를 들면 80㎐ 이상), 보다 중요하게 된다. 또한, 흑 화상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는 방식을 화소 용량이 큰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의 쌍방이 동일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방식에서 유효하게 된다. 또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의 한쪽이 1화소 내의 대부분에 형성된 평면 형상이고, 다른 쪽이 복수의 선 형상부 또는 슬릿부를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고 유효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한 여러가지의 대응안은, 각각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조합 예를 개별적으로 기재하지 않아도 당업자이면 실시 방식을 충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의 화상 표시와 흑 화상의 표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목시상의 대응 속도를 향상하는 표시 장치에 의해, 그 표시 방법에 기인하여 생기는 특유의 표시 얼룩을 저감할 수 있어, 고속이며 깨끗한 표시를 실현한다.

Claims (19)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흑 화상의 표시 후에, 그 흑 화상과 상이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선에 출력하는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을, 그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의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과 상이한 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과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이며, 또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은,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과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이며, 또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은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과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이며, 또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은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의 뒤에 계속되는 각 영상 신호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과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이며, 또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은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의 뒤에 계속되는 각 영상 신호 기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과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게이트 신호의 온 기간이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에서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과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에서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게이트 신호의 온 기간이, 상기 최초의 영상 신호 기간에서 상기 다음의 영상 신호 기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을, 그 다음에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과 상이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은,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최초의 영상 신호와 다음의 영상 신호에서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2번째에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에 최초로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은,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최초의 영상 신호와 다음의 영상 신호에서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상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2번째에 온이 되는 게이트 신호선의 온 전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에 균일한 휘도의 표시 화상을 표시시키는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한 경우, 흑 화상의 표시 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과 3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을 상이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흑 화상의 표시 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와 2번째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상이한 구동에서, 상기 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은 상기 3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흑 화상의 표시 후의 1번째의 영상 신호와 2번째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동일한 구동에서, 상기 1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은 상기 2번째의 영상 신호의 전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흑 화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될 때의 게이트 신호선이 온이 되는 타이밍을, 흑 화상 이외의 화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될 때의 게이트 신호선이 온이 되는 타이밍보다 늦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이 온이 되는 기간을,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 이외에 대응하여 게이트 신호선이 온이 되는 기간보다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주기적으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한 영상 신호선의 전압을,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과 상이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값은, 상기 주기적으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의 직전의 영상 신호의 극성이 정극성(正極性)인 경우는, 상기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보다 낮고, 부극성(負極性)인 경우는, 상기 화상으로서의 흑 화상 표시 시의 영상 신호선의 전압보다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삽입 표시하는 흑 화상에 대응한 게이트의 온 전압을 다른 게이트의 온 전압보다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에 주기적으로 흑 화상을 삽입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
    게이트 신호선의 신호의 상승에 대하여, 영상 신호선의 신호가 상승하는 타이밍 및 하강하는 타이밍을, 게이트 신호선 구동 회로에 가까운 측에서 먼 측보다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50068933A 2004-07-30 2005-07-28 표시 장치 KR100778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3121A JP5209839B2 (ja) 2004-07-30 2004-07-30 表示装置
JPJP-P-2004-00223121 2004-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861A KR20060048861A (ko) 2006-05-18
KR100778955B1 true KR100778955B1 (ko) 2007-11-22

Family

ID=3573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933A KR100778955B1 (ko) 2004-07-30 2005-07-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602365B2 (ko)
JP (1) JP5209839B2 (ko)
KR (1) KR100778955B1 (ko)
CN (3) CN101303827B (ko)
TW (1) TW2006158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7476A (ja) * 2005-09-28 2012-02-09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8033209A (ja) 2005-09-28 2008-02-1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5110788B2 (ja) * 2005-11-21 2012-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JP2008015179A (ja) * 2006-07-05 2008-01-2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TWI375207B (en) * 2007-01-10 2012-10-21 Qisda Corp A image display apparatus
JP5465916B2 (ja) * 2009-04-17 2014-04-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2708835A (zh) * 2012-07-03 2012-10-03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液晶屏驱动方法及液晶显示器
CN103531169B (zh) * 2013-10-30 2015-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081132B1 (ko) * 2013-12-30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0037738B2 (en) * 2015-07-02 2018-07-31 Apple Inc. Display gate driver circuits with dual pulldown transistors
US10482822B2 (en) * 2016-09-09 2019-11-19 Apple Inc. Displays with multiple scanning modes
KR102583783B1 (ko) * 2018-08-29 2023-10-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573918B1 (ko) * 2018-11-13 2023-09-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7463074B2 (ja) * 2019-10-17 2024-04-08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220086977A (ko) * 2020-12-17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9921A (ja) 1997-09-12 1999-04-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282199A (ja) 2000-03-31 2001-10-12 Canon Inc 液晶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装置
JP2002031790A (ja) 2000-07-14 200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279741A (ja) 2003-03-17 2004-10-07 Hitachi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6150B2 (ja) * 1999-06-15 2004-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401377B1 (ko) * 2001-07-09 2003-10-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769169B1 (ko) * 2001-09-04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JP2003271110A (ja) * 2002-03-19 2003-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TWI242666B (en) 2002-06-27 2005-11-01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441160B2 (ja) 2002-06-27 2010-03-3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4177065B2 (ja) * 2002-10-03 2008-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4212747A (ja) 2003-01-07 2004-07-29 Hitachi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4317576A (ja) * 2003-04-11 2004-11-11 Seiko Epson Corp 駆動回路、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591590B (en) * 2003-04-17 2004-06-11 Hannstar Display Corp Black image inser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JP4399230B2 (ja) * 2003-10-15 2010-01-1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98975B1 (ko) * 2004-04-01 2007-03-26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4744912B2 (ja) * 2004-04-01 2011-08-10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7505018B2 (en) * 2004-05-04 2009-03-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reduced black level insertion
JP2008044659A (ja) * 2006-08-18 2008-02-28 Toyo Seikan Kaisha Ltd 摺り切り計量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9921A (ja) 1997-09-12 1999-04-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282199A (ja) 2000-03-31 2001-10-12 Canon Inc 液晶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装置
JP2002031790A (ja) 2000-07-14 200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279741A (ja) 2003-03-17 2004-10-07 Hitachi Ltd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861A (ko) 2006-05-18
CN101950518A (zh) 2011-01-19
US20090091558A1 (en) 2009-04-09
CN1727944A (zh) 2006-02-01
US20100020116A1 (en) 2010-01-28
CN101303827B (zh) 2011-06-22
CN100439983C (zh) 2008-12-03
JP5209839B2 (ja) 2013-06-12
JP2006039459A (ja) 2006-02-09
US8378950B2 (en) 2013-02-19
US7602365B2 (en) 2009-10-13
TW200615882A (en) 2006-05-16
TWI308734B (ko) 2009-04-11
CN101303827A (zh) 2008-11-12
US20060022933A1 (en)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955B1 (ko) 표시 장치
US7133013B2 (en)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4751757B (zh) 能够以低速驱动的显示装置
KR100350651B1 (ko) 멀티 프레임 반전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구동 장치 및 방법
US8339423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display monitor, and television receiver
KR100765676B1 (ko) 표시 장치용 구동 장치 및 표시 장치용 구동 방법
US10650761B2 (en) Displaying image on low refresh rate mode and device implementing thereof
US20090243974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40017344A1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501525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US20080143659A1 (en) LCD driving methods
KR20070109109A (ko) 홀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US7173594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1285949B (zh) 液晶显示装置驱动方法
US20080100602A1 (en) Liquid-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line driver
US7176873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64689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2149132A (ja) 液晶表示装置
KR20010036308A (ko) 이종 반전 구동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0030910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09764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6301213A (ja) 液晶表示装置
KR20030029698A (ko) 2도트 인버젼 방식의 액정표시기 구동 방법 및 장치
JP2006119447A (ja) 表示パネル制御回路
KR10084809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