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898B1 -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898B1
KR100778898B1 KR1020060041377A KR20060041377A KR100778898B1 KR 100778898 B1 KR100778898 B1 KR 100778898B1 KR 1020060041377 A KR1020060041377 A KR 1020060041377A KR 20060041377 A KR20060041377 A KR 20060041377A KR 100778898 B1 KR100778898 B1 KR 100778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bracket
shaft
swive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8989A (ko
Inventor
김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06004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89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F16C11/0609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made from two or more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캠코더 등의 화면 모니터를 개방회전 및 선회시킴에 있어서 고정샤프트의 상단부와 틸트샤프트 간에 선택적으로 스위블 간섭구조를 조성함으로써 기기 본체와 모니터 간에 충돌이 방지되는 안전구간에서만 스위블브라켓 선회가 가능토록 하여 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며, 좌우 틸트부 중 어느 일측에는 토오크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다른 일측에 의하여 피동되는 단순한 구조로 하여 힌지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하여 유동이 저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샤프트, 상기 고정샤프트 상에 선회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위블브라켓(Swivel Bracket) 및 토오크부재를 포함하는 스위블부, 상기 스위블브라켓의 좌우 수직부에 각각 설치되는 틸트샤프트,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에 각각 결합되고 기기의 모니터가 설치되는 좌우의 틸트브라켓(Tilt Bracket) 및 토오크부재를 포함하는 틸트부로 구성되는 로터리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는 상기 스위블브라켓에 회전이 자유롭고 해당 틸트브라켓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며,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 중 어느 일측을 '제1틸트샤프트'라 할 때 상기 고정샤프트를 향하는 상기 재1틸트샤프트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샤프트의 상단부 상호간에는 설정각도 범위 이외 구간에서는 상기 스위블브라켓의 선회를 저지되도록 하는 스위블 간섭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A SAFETY ROTARY HIN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범위 내의 선회 동작상태도
도 5b는 도 5a의 요부 발췌 입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범위 이외 영역의 선회동작상태도
도 5d는 도 5c의 요부 발췌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장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로터리 힌지장치
S: 스위블부 T1: 제1틸트부 T2: 아이들 틸트부
10: 고정브라켓 20: 고정샤프트 30: 스위블브라켓
40(41): 틸트브라켓 51: 제1틸트샤프트 51a: 선단부
52: 제2틸트샤프트 61: 제1캠 62: 제1가이드
63: 스프링 65: 제2캠 66: 스페이스와셔
81: 스페이서 82: 스페이서와셔 83: 제3캠
84: 제4캠 86: 스프링 87: 제2가이드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캠코더 등의 화면 모니터를 개방회전 및 선회시킴에 있어서 고정샤프트의 상단부와 틸트샤프트 간에 선택적으로 스위블 간섭구조를 조성함으로써 기기 본체와 모니터 간에 충돌이 방지되는 안전구간에서만 스위블브라켓 선회가 가능토록 하여 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며, 좌우 틸트부 중 어느 일측에는 토오크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다른 일측에 의하여 피동되는 단순한 구조로 하여 힌지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에 카메라가 설치된 카메라폰 또는 캠코더와 같이 본체에 힌지축 방향으로 카메라가 설치되는 경우 화면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모니터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예를 들어 카메라가 설치된 휴대폰의 경우 모니터가 소정 기울기로 개방된 상태에서 선회가능토록 하는 로터리형 힌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힌지장치는 수평회전되는 스위블(Swivel)부와 기울기 회전되는 틸트(Tilt)부로 대별되며, 상기 스위블부는 기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 기 고정브라켓에 대하여 유동이 저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샤프트, 상기 고정샤프트 상에 선회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위블브라켓(Swivel Bracket) 및 토오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틸트부는 스위블브라켓의 좌우 수직부에 각각 유동이 저지되도록 설치되는 틸트샤프트(Tilt Shaft),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에 기울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기기의 모니터가 설치되는 좌우의 틸트브라켓 및 토오크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틸트브라켓 및 스위블브라켓이 설정영역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틸트브라켓의 회전에 의하여 모니터가 소정 기울기로 개방되면서 본체에 대한 모니터 화면의 기울기가 조정되고 이후 상기 스위블브라켓을 선회시켜 모니터 화면을 사용자의 시선에 맞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각 샤프트의 구성이 가공을 어렵게 하여 부품비가 상승되는 한편, 틸트브라켓의 기울기 회전과 스위블브라켓의 선회가 동시에 일어날 경우 일정 구간영역에서는 본체가 모니터를 간섭하게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캠코더 등의 화면 모니터를 개방회전 및 선회시킴에 있어서 고정샤프트의 상단부와 틸트샤프트 간에 선택적으로 스위블 간섭구조를 조성함으로써 기기 본체와 모니터 간에 충돌이 방지되는 안전구간에서만 스위블브 라켓 선회가 가능토록 하여 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좌우 틸트부 중 어느 일측에는 토오크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다른 일측에 의하여 피동되는 단순한 구조로 하여 힌지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는
기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대하여 유동이 저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샤프트, 상기 고정샤프트 상에 선회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위블브라켓(Swivel Bracket) 및 토오크부재를 포함하는 스위블부, 상기 스위블브라켓의 좌우 수직부에 각각 설치되는 틸트샤프트,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에 각각 결합되고 기기의 모니터가 설치되는 좌우의 틸트브라켓(Tilt Bracket) 및 토오크부재를 포함하는 틸트부로 구성되는 로터리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는 상기 스위블브라켓에 회전이 자유롭고 해당 틸트브라켓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며,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 중 어느 일측을 '제1틸트샤프트'라 할 때 상기 고정샤프트를 향하는 상기 재1틸트샤프트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샤프트의 상단부 상호간에는 설정각도 범위 이외 구간에서는 상기 스위블브라켓의 선회를 저지되도록 하는 스위블 간섭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 상기 고정브라켓(10)에 대하여 유동이 저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샤프트(20), 상기 고정샤프트(20) 상에 선회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위블브라켓(Swivel Bracket)(30) 및 토오크부재를 포함하는 스위블부(S), 상기 스위블브라켓(30)의 좌우 수직부에 각각 설치되는 틸트샤프트,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에 각각 결합되고 기기의 모니터가 설치되는 좌우의 틸트브라켓(Tilt Bracket) 및 토오크부재를 포함하는 틸트부(T1)(T2)로 구성되는 로터리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는 상기 스위블브라켓(30)에 회전이 자유롭고 해당 틸트브라켓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며,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 중 어느 일측을 '제1틸트샤프트'(51)라 할 때 상기 고정샤프트(20)를 향하는 상기 재1틸트샤프트의 선단부(51a)와 상기 고정샤프트(20)의 상단부 상호간에는 설정각도 범위 이외 구간에서는 상기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가 저지되도록 하는 스위블 간섭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위블 간섭구조는 도 5a 내지 도 5d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샤프트(20) 상단부 일측 또는 양측에 면취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틸트샤프트(51)는 선단부(51a)가 일면이 면취부(51aa)로 되어 단면이 'D' 형태로 형성되거나 대향하는 양면이 면취되어 납작하게 형성되고, 제1틸트샤프트(51) 중심으로부터의 최단 반경에 위치하는 면취부(51aa)가 상기 고정샤프트의 면취부(21) 일측에 근접토록 직교 배치되고 소정 각도범위 이외로 회전시 선단부(51a)가 상기 고정샤프트의 면취부(21)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고정샤프트(20) 일측에 그 면취부(51aa)가 수평상태로 회전된 상태의 제1틸트샤프트(51)는 고정샤프트(20)에 전혀 닿지 않기 때문에 스위블브라켓(30)을 따라 고정샤프트(30) 주위를 선회시 간섭이 없어 결국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도 5a, 5b 참조).
하지만, 면취부(51aa)가 수직상태로 회전된 상태의 제1틸트샤프트 선단부(51a)는 고정샤프트의 면취부(21)에 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나 여기서 제1틸트샤프트(51)가 어느 일측으로 선회가 진행되면 고정샤프트(20)에 걸리게 되어 결국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가 저지되는 것이다(도 5c, 5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틸트샤프트의 선단부(51a)와 상기 고정샤프트 상단의 면취부(21)는 틸트브라켓(41)에 장착되는 기기의 모니터가 완전 닫힘 또는 완전 펼침상태에서 상기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가 저지되고 그 중간 펼침영역에서 스위블브라켓이 선회가능토록 구성 및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블부(S)는 고정샤프트(20)에 토오크부재를 수용하고 후술하는 제1캠(61)의 후진 안내홈(62a)이 형성되며 고정브라켓(10)에 요철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가이드(62), 상기 제1가이드(62)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63), 상기 스프 링(63)의 탄력을 받는 제1캠(61), 상기 제1캠(61)에 대응하여 형성 배치되며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시 토오크가 발생되는 제2캠(65), 상기 스위블브라켓(30) 및 스페이스와셔(66)가 순차적으로 조립 마감된다.
여기서 상기 제1캠(61), 제2캠(65) 및 스프링(63)이 토오크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캠(61)과 제2캠(65)은 상호 치합되는 요철구조로 되어 스위블브라켓 (30)선회시 상기 제2캠이 함께 선회되면서 스프링(63)의 탄력을 받고 있는 제1캠(61)을 후진시키며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제1캠(61)은 고정브라켓(30)에 요철결합으로 고정된 제1가이드(62)의 후진안내홈(62a)을 타고 수직 이동된다.
또한, 상기 스위블브라켓(30)에는 장공(31)에 형성되고, 상기 장공(31) 상에는 상기 고정샤프트(20)를 장공(31)의 센터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와셔(67)가 스위블브라켓(30)에 요철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틸트샤프트(51)에는 스페이스와셔(82), 상기 스위블브라켓의 수직부(33), 상기 스위블브라켓 수직부에 밀착되고 제1틸트샤프트(51)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는 제3캠(83), 상기 제3캠(83)에 대응하여 형성 배치되고 회전이 저지되는 제4캠(84), 스프링(86), 상기 스프링(86)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4캠(84)의 후진 안내홈(87a)이 형성되며 스위블브라켓 수직부(33)에 요철결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제2가이드(87), 제1틸트샤프트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와셔(88)와 해당 틸트브라켓(41)이 순차적으로 조립 마감되어 제1틸트부(T1)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상기 제3캠(83), 제4캠(84) 및 스프링(86)이 토오크부재로 기능하며 상기 구성에 의하여 틸트브라켓(41) 기울기 회전시 제1틸트샤프트(51) 및 제3캠(83)이 일체로 회전되면서 스프링(86)의 탄력을 받고 있는 제4캠(84)을 후진시키며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 중 다른 일측을 '제2틸트샤프트'(52)라 할 때 상기 제2틸트샤프트측은 상기 제1틸트샤프트(51) 측과 기기의 모니터를 통하여 연결 피동되는 아이들 틸트부(T2)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아이들 틸트부(T2)는 상기 제2틸트샤프트(52)에 스위블브라켓의 수직부(33), 스페이서(81) 및 해당 틸트브라켓(40)이 순차적으로 조립 마감된다.
상기 고정샤프트(20), 제1틸트샤프트(51), 제2틸트샤프트(52)의 조립마감은 코킹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고정샤프트(20) 또는 제1틸트샤프트(51)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조립되는 구성요소들은 샤프트의 면취부(23)(51c)에 대응하는 끼움공을 통하여 키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1)의 작용상태를 도 5a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스위블부(S)가 상기 고정브라켓(10) 및 여기에 회전이 저지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샤프트(20)에 상기 스위블브라켓(30)이 선회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스위블브라켓(30)의 좌우 수직부(33)에 상기 틸트부(T1)(T2)가 구비됨으로써 고정샤프트(10)를 기준으로 스위블브라켓(30)이 선회(Swivel)되고 스위블브라켓(30)을 기준으로 틸트브라켓(40)이 기울기(Tilt) 회전된다. 그 동작순서는 먼저 틸트브라켓(40)을 소정 기울기로 회전시켜 기기의 모니터를 본체로부터 열고 이후 스위블브라켓(30)을 선회시켜 본체의 카메라에 잡힌 영상을 사용자가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본 동작구조를 배경으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샤프트(20)의 상단부와 제1틸트샤프트(51)의 선단부에 면취부(21)(51aa) 및 배치 높낮이를 이용하여 스위블 간섭구조를 조성함으로써 기기 본체와 모니터 간에 충돌이 방지되는 비스듬히 열린 구간에서만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즉, 기기 본체(2)에 대하여 모니터(3)가 완전 닫힘상태 또는 완전 열림상태는 상기 제1틸트샤프트(51)가 고정샤프트(20)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되어 고정샤프트(20)를 중심으로 하는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가 불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모니터의 수평 선회가 저지되어 본체와 충돌 및 손상발생이 안전하게 방지된다(도 5a 5b 참조).
또한, 본체(2)와 모니터(3)가 충돌 발생이 일어날 염려가 없는 구간인 완전 닫힘과 완전 열림의 중간 기울기 영역에서는 상기 제1틸트샤프트(51)의 면취부(51aa)가 수평상태로 되어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가 자유롭게 된다(도 5c, 5d 참조).
한편, 상기 좌우 틸트부 중 어느 일측에는 토오크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다른 일측에 의하여 피동되는 단순한 구조의 아이들 틸트부로 구성함으로써 모니터의 개 폐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는, 휴대폰, 캠코더 등의 화면 모니터를 개방회전 및 선회시킴에 있어서 고정샤프트의 상단부와 틸트샤프트 간에 선택적으로 스위블 간섭구조를 조성함으로써 기기 본체와 모니터 간에 충돌이 방지되는 안전구간에서만 스위블브라켓 선회가 가능토록 하여 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좌우 틸트부 중 어느 일측에는 토오크부재를 개재하지 않고 다른 일측에 의하여 피동되는 단순한 구조로 하여 힌지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기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0), 상기 고정브라켓(10)에 대하여 유동이 저지되도록 설치되는 고정샤프트(20), 상기 고정샤프트(20) 상에 선회 가능토록 결합되는 스위블브라켓(Swivel Bracket)(30) 및 토오크부재를 포함하는 스위블부(S), 상기 스위블브라켓(30)의 좌우 수직부에 각각 설치되는 틸트샤프트,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에 각각 결합되고 기기의 모니터가 설치되는 좌우의 틸트브라켓(Tilt Bracket) 및 토오크부재를 포함하는 틸트부(T1)(T2)로 구성되는 로터리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는 상기 스위블브라켓(30)에 회전이 자유롭고 해당 틸트브라켓과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며,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 중 어느 일측을 '제1틸트샤프트'(51)라 할 때 상기 고정샤프트(20)를 향하는 상기 재1틸트샤프트의 선단부(51a)와 상기 고정샤프트(20)의 상단부 상호간에는 설정각도 범위 이외 구간에서는 상기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가 저지되도록 하는 스위블 간섭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간섭구조는 상기 고정샤프트(20) 상단부 일측 또는 양측에 면취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틸트샤프트(51)는 선단부(51a)가 일면이 면취부(51aa)로 되어 단면이 'D' 형태로 형성되거나 대향하는 양면이 면취되어 납작하게 형성되고, 제1틸트샤프트(51) 중심으로부터의 최단 반경에 위치하는 면취부(51aa)가 상기 고정샤프트의 면취부(21) 일측에 근접토록 직교 배치되고 소정 각도범위 이외로 회전시 선단부(51a)가 상기 고정샤프트의 면취부(21)에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틸트샤프트의 선단부(51a)와 상기 고정샤프트 상단의 면취부(21)는 틸트브라켓(41)에 장착되는 기기의 모니터가 완전 닫힘 또는 완전 펼침상태에서 상기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가 저지되고 그 중간 펼침영역에서 스위블브라켓이 선회가능토록 구성 및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부(S)는 고정샤프트(20)에 토오크부재를 수용하고 후술하는 제1캠(61)의 후진 안내홈(62a)이 형성되며 고정브라켓(10)에 요철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가이드(62), 상기 제1가이드(62)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63), 상기 스프링(63) 의 탄력을 받는 제1캠(61), 상기 제1캠(61)에 대응하여 형성 배치되며 스위블브라켓(30)의 선회시 토오크가 발생되는 제2캠(65), 상기 스위블브라켓(30) 및 스페이스와셔(66)가 순차적으로 조립 마감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브라켓(30)에는 장공(31)에 형성되고,
    상기 장공(31) 상에는 상기 고정샤프트(20)를 장공(31)의 센터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와셔(67)가 스위블브라켓(30)에 요철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틸트샤프트(51)에는 스페이스와셔(82), 상기 스위블브라켓의 수직부(33), 상기 스위블브라켓 수직부에 밀착되고 제1틸트샤프트(51) 회전시 일체로 회전되는 제3캠(83), 상기 제3캠(83)에 대응하여 형성 배치되고 회전이 저지되는 제4캠(84), 스프링(86), 상기 스프링(86)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4캠(84)의 후진 안내홈(87a)이 형성되며 스위블브라켓 수직부(33)에 요철결합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의 제2가이드(87), 제1틸트샤프트외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와셔(88)와 해당 틸트브라켓(41)이 순차적으로 조립 마감되어 제1틸트부(T1)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틸트샤프트 중 다른 일측을 '제2틸트샤프트'(52)라 할 때 상기 제2틸트샤프트측은 상기 제1틸트샤프트(51) 측과 기기의 모니터를 통하여 연결 피동되는 아이들 틸트부(T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틸트부(T2)는 상기 제2틸트샤프트(52)에 스위블브라켓의 수직부(33), 스페이서(81) 및 해당 틸트브라켓(40)이 순차적으로 조립 마감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KR1020060041377A 2006-05-09 2006-05-09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KR100778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377A KR100778898B1 (ko) 2006-05-09 2006-05-09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377A KR100778898B1 (ko) 2006-05-09 2006-05-09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325U Division KR200422155Y1 (ko) 2006-05-09 2006-05-09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989A KR20070108989A (ko) 2007-11-15
KR100778898B1 true KR100778898B1 (ko) 2007-11-27

Family

ID=3906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377A KR100778898B1 (ko) 2006-05-09 2006-05-09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12Y1 (ko) * 2010-06-25 2012-05-10 신 주 싱 컴퍼니 리미티드 열 방산용 힌지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12A (ko) * 2001-06-27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의 캐쉬 구조
KR20050021286A (ko) * 2003-08-25 2005-03-07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제동장치
KR20050095283A (ko) * 2004-03-26 2005-09-29 홍경희 힌지 및 상기 힌지에 적용되는 마찰 부재 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812A (ko) * 2001-06-27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통신 단말기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의 캐쉬 구조
KR20050021286A (ko) * 2003-08-25 2005-03-07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제동장치
KR20050095283A (ko) * 2004-03-26 2005-09-29 홍경희 힌지 및 상기 힌지에 적용되는 마찰 부재 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989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81229A1 (en) Hinge device
JP5236014B2 (ja) チルトヒンジ
KR100593364B1 (ko)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JP2007016944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956676B2 (ja) 二軸ヒンジ装置
KR100778898B1 (ko)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KR200422155Y1 (ko) 안전 로터리 힌지장치
KR100591821B1 (ko) 회전 폴더형 휴대폰
JP2003239943A (ja) 携帯電話,モバイル等の電子機器並びにヒンジ装置
KR100671694B1 (ko) 스위블 힌지기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11920284B2 (en) Door assembly of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laundry treatment device
JP4105119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8193746A (ja) ロック装置、開閉装置及び建具
KR101603592B1 (ko) 냉장고 홈바용 댐핑장치
KR20130043411A (ko)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JP2005023958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291384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959394B1 (ko) 폴딩과 스위블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JP7309169B2 (ja) 遊技機枠のヒンジ構造及びこれを有する遊技機
KR20050007845A (ko)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050094208A (ko) 회전가능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2721A (ko) 클릭감이 있는 스위블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139828A (ko)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
KR200184746Y1 (ko) 캠코더 엘.시.디 판넬의 회전 2축힌지결합구조
KR200345392Y1 (ko) 휴대폰의 이중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