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364B1 -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364B1
KR101010364B1 KR1020030047445A KR20030047445A KR101010364B1 KR 101010364 B1 KR101010364 B1 KR 101010364B1 KR 1020030047445 A KR1020030047445 A KR 1020030047445A KR 20030047445 A KR20030047445 A KR 20030047445A KR 101010364 B1 KR101010364 B1 KR 10101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topper
rotation
fol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845A (ko
Inventor
임상혁
강권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7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364B1/ko
Priority to EP04004037.0A priority patent/EP1496673B1/en
Priority to US10/784,793 priority patent/US7356881B2/en
Priority to CNB2004100435870A priority patent/CN1312968C/zh
Publication of KR20050007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위블힌지는 회전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24)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20)와, 상기 제1힌지부(20)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축(24)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34)을 구비하는 제2힌지부(30)와, 상기 제2힌지축(34)과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제2힌지축(34)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서로 대칭되는 양단에 걸림면(36)이 구비되는 스톱퍼연동부(35)와, 일면이 상기 스톱퍼연동부(35)의 걸림면(36)과 마주보게 설치되어 제2힌지부(30)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1힌지부(20)가 회전된 정도에 따라 상기 스톱퍼연동부(35)의 걸림면(36)이 걸림이 없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스톱퍼(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스위블 힌지가 사용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서는 메인부(40)와 폴더부(50)가 서로 간섭되는 위치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메인부(40)와 폴더부(50)의 간섭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폴더, 휴대 단말기, 메인부, 폴더부, 스위블 힌지

Description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Swivel hinge and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스위블힌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문제점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위블힌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동판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폴더부의 개방정도에 따른 스톱퍼와 연동판사이의 관계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톱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개폐힌지부 22: 몸체판
24: 개폐힌지축 25: 클릭힌지
25': 고정부 26: 스톱퍼
27: 전면 27': 가이드면
30: 회전힌지축 32: 연결플레이트
34: 제2힌지축 35: 스톱퍼연동판
36: 걸림면 40: 메인부
42: 키이 45: 회전중심부
50: 폴더부 52: 표시화면
본 발명은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부의 개폐각도에 따라 폴더부의 회전이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되는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인데, 그 기능을 위주로 분류하면 전화기능이 주가 되는 휴대폰, 전자수첩 기능이 주가 되는 PDA 그리고 전화기능과 전자수첩기능을 겸비한 스마트폰 등이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바아타입, 슬라이드타입, 플립타입 및 폴더타입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스위블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부(1)의 내부에는 메인기판을 포함한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부(1)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키이(3)가 구비되 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메인부(1)의 일단부에는 폴더부(5)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폴더부(5)에는 일반적으로 표시화면(7)이 구비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메인부(1)와 폴더부(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블힌지(1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폴더부(5)가 상기 메인부(1)에 겹쳐지고 펼쳐지게 동작되고(이하에서는 이를 개폐된다고 하기로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부(1)에 대해 폴더부(5)가 겹쳐지고 펼쳐지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이하에서는 회전된다고 하기로 한다)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한 스위블힌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메인부(1)의 상단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중심부(1')에 삽입되게 개폐힌지부(11)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힌지부(11)는 몸체판(12)의 양단에 개폐힌지축(1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개폐힌지축(13)은 상기 회전중심부(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개폐힌지부(11)에는 회전힌지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힌지부(15)는 상기 폴더부(5)와 체결되는 연결플레이트(16)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16)와 일체로 회전되게 회전힌지축(17)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힌지축(17)은 상기 개폐힌지부(11)의 몸체판(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힌지부(15)가 상기 개폐힌지부(11)에 대해 상기 회전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메인부(1)를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폴더부(5)가 메인부(1)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스위블힌지(10)를 통해 상기 메인부(1)에 연결되어 개폐되고 회전되는 폴더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이상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메인부(1)와 간섭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폴더부(5)와 메인부(1)가 서로 간섭되면, 폴더부(5)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서로 간섭되는 각각의 메인부(1)와 폴더부(5)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블힌지를 채용하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에서 폴더부가 메인부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전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축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제2힌지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서로 대칭되는 양단에 걸림면이 구비되는 스톱퍼연동부와, 일면이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걸림면과 마주보게 설치되어 제2힌지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1힌지부가 회전된 정도에 따라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걸림면이 걸림이 없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연동부는 판상의 것으로 상기 걸림면은 판의 양단을 잘라내어 평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스톱퍼에는 스톱퍼연동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힌지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걸림면 하단이 통과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의 가이드면은 그 중앙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은 평면이고 타측은 0°에서 60°사이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이다.
상기 제1힌지부는 몸체판의 양단에 제1힌지축이 각각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연결플레이트에 상기 몸체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힌지축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메인부에 대해 겹쳐지고 펼쳐지게 구성되는 폴더부와, 상기 메인부에 형성되는 회전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축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폴더부와 연결되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제2힌지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서로 대칭되는 양단에 걸림면이 구비되는 스톱퍼연동부와, 일면이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걸림면과 마주보게 설치되어 제2힌지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1힌지부가 회전된 정도에 따라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걸림면이 걸림이 없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상기 메인부 측에 고정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연동부는 판상의 것으로 상기 걸림면은 판의 양단을 잘라내어 평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스톱퍼에는 그 상단에 상기 메인부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인 가이드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하면과 평행하게 되면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톱퍼의 가이드면은 그 중앙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은 평면이고 타측은 0°에서 60°사이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이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1힌지부의 제1힌지축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릭힌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클릭힌지의 일단에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메인부에 고정되게 연결하는 고정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단말기에서는 메인부와 폴더부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스위블힌지는 크게 개폐힌지부(20)와 회전힌지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힌지부(20)와 회전힌지부(30)에는 각각 스위블힌지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되는 부분이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면 아래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실시예에서 설명될 메인부와 폴더부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힌지부(20)는 메인부의 회전중심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 된다.
상기 개폐힌지부(20)에는 몸체판(2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22)의 양단에는 각각 개폐힌지축(24)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22)과 개폐힌지축(24)은 일체로 회전되는 것으로,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힌지축(2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중심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일측의 개폐힌지축(24)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클릭힌지(25)가 구비된다. 상기 클릭힌지(25)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플레이트(32)측에 고정되는 부분이 개폐되는 정도 등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캠과 스프링 등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클릭힌지(25)를 관통하여서는 스톱퍼(2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26)는 클릭힌지(25)의 중심축(25b)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클릭힌지(25)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25')와 중심축(25b)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스톱퍼(26)는 상기 고정부(25')를 통해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톱퍼(26)는 대략 길이가 긴 판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이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톱퍼(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톱퍼연동판(35)의 걸림면(36)과 대응되는 전면(27)과, 상기 전면(27)에 직각으로 되는 가이드면(27')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면(27')은 특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스톱퍼연동판(35)의 회전가능한 범위를 규제한다.
상기 회전힌지부(30)에는 연결플레이트(3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32)는 스위블힌지에 의해 서로 회동되는 부분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부가 연결된다.
상기 회전힌지부(30)의 연결플레이트(32)에는 회전힌지축(34)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힌지축(34)은 상기 개폐힌지부(20)의 몸체판(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힌지축(34)의 가상의 회전중심선은 상기 개폐힌지축(24)의 가상의 회전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된다.
상기 회전힌지축(34)중 상기 개폐힌지축(24)의 사이에 위치되는 일단부에는 스톱퍼연동판(35)이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원판상으로 양단에,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면(3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면(36)은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의 양단을 잘라 내어 형성한 것으로, 잘라진 면을 말한다. 상기 걸림면(36)은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의 양단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면(36)은 평상시에는 상기 스톱퍼(26)의 전면(27)과 마주보게 되어 스톱퍼연동판(35)의 회전을 차단한다.
한편, 도 7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스위블힌지가 적용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기는 메인부(40)와 폴더부(50)가 스위블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부(50)는 상기 메인부(40)에 대해 겹쳐지고 펼쳐지도록 개폐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힌지축(34)을 중심으로 메인부(4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회전된다.
상기 메인부(4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키이(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부(40)의 상단 양측에는 회전중심부(4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부(45)에는 상기 몸체판(2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개폐힌지축(24)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중심부(45)는 그 내부에 원형의 통공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폴더부(50)에는 표시화면(52)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화면(52)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폴더부(50)는 상기 회전힌지부(30)의 연결플레이트(3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부(5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32)와 일체로 동작된다. 즉, 상기 개폐힌지축(24)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부(40)에 대해 겹쳐지고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힌지축(34)을 중심으로 메인부(40)의 전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힌지부(20)의 개폐힌지축(2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릭힌지(25)에는 스톱퍼(26)가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26)의 가이드면(27')은 상기 메인부(40)의 상면과 평행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톱퍼(26)는 상기 메인부(4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26)는 상기 고정부(25')를 통해 상기 메인부(4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은 상기 회전힌지축(34)의 일단부에 구비되는데, 그 걸림면(36)의 하나는 상기 폴더부(50)가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을 때까지는 상기 스톱퍼(26)의 전면(27)과 대응된다. 상기 걸림면(36)은 상기 폴더부(50)가 일정 각도 이상 또는 정해진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톱퍼(26)의 전면(27)을 벗어나 상기 가이드면(27')의 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스위블힌지가 동작되는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의 상태는 메인부(40)에 폴더부(50)가 겹쳐진, 즉 폐쇄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의 걸림면(36)이 상기 스톱퍼(26)의 전면(27)과 마주보는 상태이다. 특히 단말기를 측방향에서 볼 때,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의 걸림면(36)과 스톱퍼(26)는 그 길이방향 연장선이 서로 직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은 그 걸림면(36)이 상기 스톱퍼(26)의 전면(27)에 걸려 회전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힌지부(30)가 상기 개폐힌지부(20)에 대해, 다르게 표현하면, 메인부(40)에 대해 폴더부(50)가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한편, 도 6b의 상태는 메인부(40)에 대해 폴더부(50)가 90°만큼 개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연동판(35)의 걸림면(36)이 상기 스톱퍼(26)의 전면(27)과 더 이상 마주보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의 하면과 상기 스톱퍼(26)의 가이드면(27')이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의 회전에 의해 서로 마주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이 상기 스톱퍼(26)에 의해 회전을 방해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6b의 상태에서는 상기 폴더부(50)가 상기 메인부(40)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6c에는 폴더부(50)가 상기 메인부(40)에 대해 90°이상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폴더부(50)는 상기 메인부(40)에 대해 특정한 각도가 되도록 개방된다. 이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135°에서 150°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다시 상기 스톱퍼연동판(35)의 걸림면(36) 상기 스톱퍼(26)의 전면(27)에 걸어져 폴더부(50)가 상기 메인부(40)에 대해 회전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폴더부(50)가 메인부(40)에 대해 90°이상 개방된 상태에서도 회전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톱퍼(26)의 가이드면(2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을 기준으로 표면 양단이 이루는 각도(θ)가 180°이상으로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폴더부(50)가 메인부(40)에 대해 150°까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θ값이 240°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폴더부(50)가 135°까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θ값이 225°가 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면(27')의 하단(상기 메인부(40)의 하단을 향하는 부분)은 상기 메인부(40)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이고 나머지 면이 경사면으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26)가 구성되면 상기 폴더부(50)는 메인부(40)에 대해 90°개방된 상태뿐만 아니라 그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도 회전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서는 메인부의 전면에 대해 폴더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이 폴더부가 메인부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메인부와 폴더부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폴더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에 의해 메인부나 폴더부의 간섭에 의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회전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힌지축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제2힌지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스톱퍼연동부와,
    제2힌지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1힌지부가 회전된 정도에 따라 제2힌지부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제1힌지부에 구비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힌지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하단이 통과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의 가이드면은 그 중앙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은 평면이고 타측은 0°에서 60°사이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연동부는 판상의 것으로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양측면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제1힌지부가 회전하지 않으면 제2힌지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스톱퍼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몸체판의 양단에 제1힌지축이 각각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연결플레이트에 상기 몸체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힌지축이 구비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힌지.
  4. 삭제
  5. 삭제
  6.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메인부에 대해 겹쳐지고 펼쳐지게 구성되는 폴더부와,
    상기 메인부에 형성되는 회전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힌지축을 구비하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축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폴더부와 연결되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2힌지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제2힌지축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스톱퍼연동부와,
    제2힌지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1힌지부가 회전된 정도에 따라 제2힌지부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메인부측의 한쌍의 회전중심부 사이에 고정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톱퍼에는 그 상단에 상기 메인부의 상면과 평행한 평면인 가이드면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하면과 평행하게 되면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하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연동부는 판상의 것이고, 상기 스톱퍼연동부의 양측면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제1힌지부가 회전하지 않으면, 제2힌지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스톱퍼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가이드면은 그 중앙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은 평면이고 타측은 0°에서 60°사이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1힌지부의 제1힌지축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릭힌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클릭힌지의 일단에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메인부에 고정되게 연결하는 고정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
  10. 삭제
KR1020030047445A 2003-07-11 2003-07-11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101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445A KR101010364B1 (ko) 2003-07-11 2003-07-11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EP04004037.0A EP1496673B1 (en) 2003-07-11 2004-02-23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0/784,793 US7356881B2 (en) 2003-07-11 2004-02-24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CNB2004100435870A CN1312968C (zh) 2003-07-11 2004-05-12 转体枢纽和使用其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445A KR101010364B1 (ko) 2003-07-11 2003-07-11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845A KR20050007845A (ko) 2005-01-21
KR101010364B1 true KR101010364B1 (ko) 2011-01-25

Family

ID=3722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445A KR101010364B1 (ko) 2003-07-11 2003-07-11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694B1 (ko) * 2005-03-09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블 힌지기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2634B1 (ko) * 2005-06-27 2007-02-1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KR100726468B1 (ko) * 2005-06-27 2007-06-1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82637B1 (ko) 2005-06-27 2007-02-1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KR100727143B1 (ko) * 2005-07-18 2007-06-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완충용 스위블 힌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2528A (ja) * 1997-12-22 1999-07-06 Precision Spring Kk ヒンジ装置
KR20030027960A (ko) * 2001-06-21 2003-04-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속도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0619A (ko)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7960Y1 (ko) 2003-07-03 2003-09-26 (주) 프렉코 휴대용 단말기의 로타리 힌지
KR100526336B1 (ko) 2000-12-29 2005-11-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 폴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2528A (ja) * 1997-12-22 1999-07-06 Precision Spring Kk ヒンジ装置
KR100526336B1 (ko) 2000-12-29 2005-11-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 폴더
KR20030027960A (ko) * 2001-06-21 2003-04-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속도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0619A (ko)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7960Y1 (ko) 2003-07-03 2003-09-26 (주) 프렉코 휴대용 단말기의 로타리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845A (ko) 200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7549B (zh) 铰接装置以及便携用信息设备
EP1353488B1 (en) Foldable and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337498B2 (en) Electronic device and hinge assembly thereof
US7274561B2 (en) Electronic device
US7199313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ull function foldable keyboard
US20130081229A1 (en) Hinge device
KR100413601B1 (ko) 폴더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US7356881B2 (en)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010364B1 (ko) 스위블 힌지 및 이를 사용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JP2009112003A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このためのスライディング/回転開閉モジュールとその部品
US10496139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8096021B2 (en) Hinge apparatus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4440296B2 (ja) 携帯端末
JP4740192B2 (ja) ハンディーターミナル
JP4424504B2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KR20110101631A (ko) 이축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641217B1 (ko) 전자 기기 연결용 2축 힌지 어셈블리
JP4697818B2 (ja) 携帯端末
KR1008154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슬라이드 모듈
JP5387816B2 (ja) 回動可能な筐体の連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EP2026542A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KR200317846Y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폴더 개폐 가이드 장치
JP4472732B2 (ja) 携帯端末
JPH02268311A (ja) 小型電子機器
KR200364954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위블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