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733B1 -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 Google Patents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733B1
KR100778733B1 KR1020010084538A KR20010084538A KR100778733B1 KR 100778733 B1 KR100778733 B1 KR 100778733B1 KR 1020010084538 A KR1020010084538 A KR 1020010084538A KR 20010084538 A KR20010084538 A KR 20010084538A KR 100778733 B1 KR100778733 B1 KR 10077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pedestal
dismantling
guide
oper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4396A (ko
Inventor
조영준
지현룡
박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73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94Breaking away the lining or removing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들을 단순히 지면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레이들의 내부의 연와를 간단히 해체시킬 수 있는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측면을 따라 연와(煉瓦)가 축조되어 있고, 외측면은 철피로 둘러싸인 레이들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 외주면에 세로로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 되는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 각각의 상단면에 소정 각도로 세워 고정되며 상기 레이들에 형성된 철피구멍에 상기 작동판의 회동에 따라 삽탈 가능한 누름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탈부; 및 상기 작동판 각각의 하단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롤링 바와, 상기 작동판의 좌우측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롤링 바가 축지지되는 아암과 이 아암의 하단을 지지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 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 하단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들 철피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에 의하여 상하 왕복 가능하게 안내되는 받침대, 및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을 제공한다.
레이들, 폐연와, 해체수단

Description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Ladle having means for detaching used bric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폐연와 해체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레이들 11: 러그
12: 작동판 13: 크레인 후크
14: 누름핀 16: 스프링 부재
20: 롤링 바 22: 이동 프레임
23: 가이드 24: 받침대
26: 고정핀 28: 스프링 부재
본 발명은 레이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들을 단순히 지면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레이들의 내부를 구성하는 연와를 간단히 해체시킬 수 있는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들의 외부는 철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는 내측면을 따라 고온의 용강을 담을 수 있는 연와(煉瓦, 내화벽돌)가 축조된다.
이러한 레이들의 내부를 구성하는 연와는 용강을 여러 번 담거나 사용하게 되면 연와의 표면이 마모되고, 일정 수준 이상 마모가 진행되면 이를 새로운 연와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폐연와를 해체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들(60)을 받침대(67) 위에 눕혀 놓은 상태에서 파쇄기(70)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들(60) 내부에 축조된 연와(62)를 타격함으로써 해체하였다.
이 과정에서 파쇄기(70)의 선단부가 연와(62)를 타격하면서 레이들(60)의 외부를 구성하는 철피(64)를 타격함으로 인해 상기 철피(64)의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철피(64)의 형상이 변형되면 새로운 연와를 상기 철피(64)의 내부에 축조할 때 밀착도가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연와의 마모가 보다 빨리 진행되어 연와의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철피(64)의 형상이 심하게 손상될 경우에는 이러한 철피(64)를 보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파쇄기(70)를 이용하여 연와를 해체하게 될 경우 많은 분진이 발생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며, 연와를 해체하기 위해 레이들(60)을 연와 해체용 받침대(67)까지 운반하여 눕혀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레이들을 크레인으로 상거하여 지면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레이들 내부의 연와가 해체될 수 있도록 하는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면을 따라 연와(煉瓦)가 축조되어 있고, 외측면은 철피로 둘러싸인 레이들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 되는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 각각의 상단면에 소정 각도로 세워 고정되며 상기 레이들에 형성된 철피구멍에 상기 작동판의 회동에 따라 삽탈 가능한 누름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탈부; 및 상기 작동판 각각의 하단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롤링 바와, 상기 작동판의 좌우측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롤링 바가 축지지되는 아암과 이 아암의 하단을 지지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 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 하단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들 철피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에 의하여 상하 왕복 가능하게 안내되는 받침대, 및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결합홈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대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작동판과 상기 레이들 철피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작동판이 탄성지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와 상기 레이들 하부면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받침대가 탄성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은 레이들(10)의 철피(10b)의 외측에 구비되며, 크게 연와(10a)를 눌러 해체시키는 압탈부와 상기 압탈부가 작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압탈부는 작동판(12)과 누름핀(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판(12)은 상기 레이들(10)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이들 철피(10b)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경첩부재(15)에 의해 힌지결합 된다.
상기 누름핀(14)은 상기 작동판(12) 각각의 상단면에 소정 각도로 세워 고정된다. 상기 소정 각도는 상기 레이들(10)에 형성된 철피구멍(10c)에 상기 작동판(12)의 회동에 따라 삽탈 가능한 정도의 각도를 말한다.
또한, 그 굵기는 상기 철피구멍(10c) 내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이고, 길이는 상기 레이들 철피(10b)의 두께보다 더 두꺼워 레이들 철피(10b) 내부에 축조된 연와(10a)를 해체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러한 작동판(12)과 상기 레이들 철피(10b)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16)가 개재되어 상기 작동판(12)이 탄성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롤링 바(20), 이동 프레임(22), 받침대(24) 및 고정핀(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링 바(20)는 상기 작동판(12)의 하단면에 맞닿아 설치되며, 연와 해체작업 시 상기 작동판(12)을 밑에서 위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22)은 상기 작동판(12)의 좌우측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롤링 바(20)가 축지지되는 아암(22a)과 이 아암(22a)의 하단을 지지하는 몸체(22b)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22)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암(22a)과 몸체(22b)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24)는 상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22)의 하단 몸체(22b)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들 철피(10b)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23)에 의하여 상하 왕복 가능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받침대(24)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좀더 안정 되도록 하단에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24)의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23)도 상기 받침대(24)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23)는 상부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22)을 포함한 전체 연와 해체수단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3)에는 상기 받침대(24)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고정핀(26)이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23)에는 상기 고정핀(26)이 삽입되는 결합공(23a)이 적어도 2이상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24)에는 상기 결합공(23a)과 대응되게 결합홈(24a)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26)은 상기 가이드(23)에 형성된 결합공(23a)을 통해 상기 받침대(24)에 형성된 결함홈(24a)에 체결되며, 연와 해체작업 시에는 이 고정핀(26)을 해제한다.
한편, 상기 받침대(24)와 상기 레이들(10) 하부면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28)가 개재되어 상기 받침대(24)가 탄성지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레이들(10) 내부의 폐연와(10a)를 해체하기 위하여 크레인 후크(13)를 상기 레이들(10)의 러그(11)에 걸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들어 올린다.
이 때, 작동판(12)은 레이들 철피(10b)와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부재(14)의 작용으로 뒤로 젖혀지게 되며, 이와 함께 누름핀도 상기 레이들 철피(10b)면 외 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이들(10)을 들어 올린 다음 가이드(23) 하단부에 받침대(24)와 함께 체결되어 있는 고정핀(26)을 해제하고 이를 지면 위에 안착시킨다.
상기 레이들(10)이 안착되면서 받침대(24)가 레이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23)에 의해 안내되고, 이와 함께 상기 받침대(24)에 연결된 이동 프레임(22)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22)이 상승하면서 이 이동 프레임(22)에 축지지되는 롤링 바(20)가 작동판(12)을 밀어 올리게 되고, 이 작동판(12)은 레이들 철피(10b)에 힌지결합 되어 있으므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누름핀(14)을 철피구멍(10c)으로 삽입시킨다.
철피구멍(10c)으로 삽입된 누름핀(14)은 레이들 철피(10b) 내측면에 축조된 연와(10a)를 레이들(10) 내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레이들 철피(10b) 내측면으로부터 해체시킨다. 상기 연와(10a)는 내측면에 접하고 있는 모든 연와(10a)를 밀어 해체하지 않고 일부만 해체하더라도 도미노 현상에 의해 모두 해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크레인 후크(13)를 러그(11)에 걸어 레이들(10)을 들어 올리면 받침대(24)는 중력과 스프링 부재(28)의 작용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이 때 다시 고정핀(26)으로 가이드(23)와 받침대(24)를 체결한 다음, 상기 레이들(10)을 경동시켜 해체된 연와(10a)를 폐기함으로써 연와 해체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에 의하면, 레이들 내부의 연와 해체 시 고정핀을 제거하고 레이들을 지면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연와를 해체할 수 있으므로, 연와 해체시간이 단축되고 레이들 철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체작업 시 분진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측면을 따라 연와(煉瓦)가 축조되어 있고, 외측면은 철피로 둘러싸인 레이들에 있어서,
    상기 레이들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 되는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 각각의 상단면에 소정 각도로 세워 고정되며 상기 레이들에 형성된 철피구멍에 상기 작동판의 회동에 따라 삽탈 가능한 누름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탈부; 및
    상기 작동판 각각의 하단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롤링 바와, 상기 작동판의 좌우측면으로 배치되어 상기 롤링 바가 축지지되는 아암과 이 아암의 하단을 지지하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 프레임과, 상단이 상기 이동 프레임 하단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들 철피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에 의하여 상하 왕복 가능하게 안내되는 받침대, 및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결합홈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대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과 상기 레이들 철피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작동판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상기 레이들 하부면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받침대가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KR1020010084538A 2001-12-24 2001-12-24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KR10077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538A KR100778733B1 (ko) 2001-12-24 2001-12-24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538A KR100778733B1 (ko) 2001-12-24 2001-12-24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396A KR20030054396A (ko) 2003-07-02
KR100778733B1 true KR100778733B1 (ko) 2007-11-23

Family

ID=3221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538A KR100778733B1 (ko) 2001-12-24 2001-12-24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733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1A (ja) * 1996-06-15 1998-01-06 Okajima Kogyo Kk グレーチング
JPH101999A (ja) * 1996-06-17 1998-01-06 Kyowa Plast Sangyo Kk 便器用接続フランジおよび同フランジと便器との連結構造
JPH102004A (ja) * 1996-06-17 1998-01-06 Sekisui House Ltd 住宅の水平ブレース配置方法
JPH102003A (ja) * 1996-06-14 1998-01-06 Aron Kasei Co Ltd インバー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18856A (ko) * 1997-08-28 1999-03-15 한종웅 래들/턴디쉬 내장내화물의 보수재 조성물 및 내장내화물의 보수방법
KR19990040418U (ko) * 1998-05-19 1999-11-25 이구택 정련용 래이들의 노즐 받침연와 축조구조
KR200227717Y1 (ko) * 2000-11-06 2001-06-15 주식회사유한정밀 내화용기의 축조기
KR20010105535A (ko) * 2000-05-15 2001-11-29 김영호 엘씨디의 칩온글래스 패키지의 접합구조
KR20030049246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해체 작업이 용이한 래들
KR20040034389A (ko) * 2002-10-18 2004-04-28 문양수 체결통과 체결축에 관한 체결과 해체의 방법 및 장치
KR20040105115A (ko) * 2003-06-05 2004-12-14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 내화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한 고철 장입슈트
JP2022007717A (ja) * 2020-06-26 2022-01-13 小林製薬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外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3A (ja) * 1996-06-14 1998-01-06 Aron Kasei Co Ltd インバー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001A (ja) * 1996-06-15 1998-01-06 Okajima Kogyo Kk グレーチング
JPH101999A (ja) * 1996-06-17 1998-01-06 Kyowa Plast Sangyo Kk 便器用接続フランジおよび同フランジと便器との連結構造
JPH102004A (ja) * 1996-06-17 1998-01-06 Sekisui House Ltd 住宅の水平ブレース配置方法
KR19990018856A (ko) * 1997-08-28 1999-03-15 한종웅 래들/턴디쉬 내장내화물의 보수재 조성물 및 내장내화물의 보수방법
KR19990040418U (ko) * 1998-05-19 1999-11-25 이구택 정련용 래이들의 노즐 받침연와 축조구조
KR20010105535A (ko) * 2000-05-15 2001-11-29 김영호 엘씨디의 칩온글래스 패키지의 접합구조
KR200227717Y1 (ko) * 2000-11-06 2001-06-15 주식회사유한정밀 내화용기의 축조기
KR20030049246A (ko) *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해체 작업이 용이한 래들
KR20040034389A (ko) * 2002-10-18 2004-04-28 문양수 체결통과 체결축에 관한 체결과 해체의 방법 및 장치
KR20040105115A (ko) * 2003-06-05 2004-12-14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 내화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한 고철 장입슈트
JP2022007717A (ja) * 2020-06-26 2022-01-13 小林製薬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外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18856
10-2001-5535
10-2003-49246
10-2004-105115
10-2004-34389
20-1999-40418
20-1999-7538
20-2277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396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9052A (en) Device for coupling together laterally directed scaffold elements to uprights in a scaffold or the like
KR100778733B1 (ko) 폐연와 해체수단을 구비한 레이들
KR101472111B1 (ko) 금형의 핀 제거장치
WO1981001164A1 (en) Device for coupling together laterally directed scaffold elements to uprights in a scaffold or the like
CN209736572U (zh) 一种制芯机
CN213856903U (zh) 一种覆膜砂再生用压碎装置
CN112059162B (zh) 铁水包及其拆装装置
CN208148140U (zh) 一种预制板芯模模具
CN210361326U (zh) 一种铸造炉用轻巧型机械手
KR200233100Y1 (ko) 고철운반용 콘테이너의 작동기
US7306224B2 (en) Support for a drive motor of image-bearing rollers in amusement machines
KR850001092B1 (ko) 비계용 단위부재 결합장치
CN215199638U (zh) 一种铁水包盖设有该铁水包盖的浇注设备
CN220469413U (zh) 一种建筑浇筑模板拆除装置
CN212288072U (zh) 用于制备预制构件用的模具
CN110711850B (zh) 一种生铁铸件铸造用的刮砂机构
CN210822386U (zh) 一种装配式建筑用建材上料装置
CN209957318U (zh) 一种热处理装出料机用叉齿机构
CN219486046U (zh) 凸窗模具
CN213824223U (zh) 一种清洁型的搅拌桨
CN211005333U (zh) 一种工业用生物蛋白酶发酵罐
CN212320407U (zh) 一种实验室铸造熔炼用中频炉
CZ21999A3 (cs) Zlepšená sestava trubek ve tvaru bobřích ocasů a způsob její výměny
KR200200150Y1 (ko) 오토바이 정비용 리프터
CN207077808U (zh) 一种钢刨花压块机的进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