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913B1 -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Google Patents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913B1
KR100776913B1 KR1020050009706A KR20050009706A KR100776913B1 KR 100776913 B1 KR100776913 B1 KR 100776913B1 KR 1020050009706 A KR1020050009706 A KR 1020050009706A KR 20050009706 A KR20050009706 A KR 20050009706A KR 100776913 B1 KR100776913 B1 KR 10077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compound
electrolyte
battery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751A (ko
Inventor
김영수
안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5000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913B1/ko
Priority to TW095103378A priority patent/TWI330899B/zh
Priority to US11/343,178 priority patent/US7871721B2/en
Priority to PCT/KR2006/000344 priority patent/WO2006083099A1/en
Publication of KR2006008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913B1/ko
Priority to US12/842,075 priority patent/US788379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이 형성된 양극; 및 상기 양극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염, 용매 및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함유한 비수전해액; 및 상기 전해액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우수한 저온 특성, 고온 수명특성 및 안전성을 갖는다.
리튬 이차 전지, 고온 안전성, 고온cycle, 니트릴

Description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LIPHATIC MONO-NITRILE COMPOUND}
도 1은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 중 Valeronitrile(VN)을 전해액 첨가제로 사용했을 때 양극 표면과 VN 첨가제간 착물 형성을 보여주는 표면분석 (XPS)그래프이다.
도 2는 초기 충전과정에서 비닐렌 카보네이트(VC) 첨가제의 존재 여부에 따른 비가역 및 음극과의 반응성을 살펴보기 위해 얻어진 용량을 전압으로 미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이 첨가된 전지와 첨가되지 않은 전지의 열적 안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열분석 장비(DSC)를 이용하여 발열량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Carbonate solvent 와 1M LiPF6 salt로 구성된 전해액에 VC와 VN이 추가로 첨가된 전지(실시예 1)의 45℃ cycl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Carbonate solvent와 1M LiPF6 salt로 구성된 전해액을 사용한 전지(비교예 1)의 45℃ cycl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Carbonate solvent 와 1M LiPF6 salt로 구성된 전해액에 VC가 추가로 첨가된 전지(비교예 2)의 45℃ cycl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Carbonate solvent, 1M LiPF6 salt 및 VC 1 중량%로 구성된 전해액에 VN이 첨가된 전지(실시예 3)와 SN이 첨가된 전지(비교예 4)의 -10 ℃ 저온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Carbonate solvent, 1M LiPF6 salt로 구성된 전해액에 VC 1 중량%만이 첨가된 전지(비교예 3), VC 1 중량%와 VN 3중량%가 첨가된 전지(실시예 3), VC 1 중량%와 SN 3중량%가 첨가된 전지(비교예 4)의 90℃ 고온 노출시 전지의 두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양극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이 형성된 양극; 리튬염, 용매 및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함유한 비수전해액; 및 상기 양극 및/또는 상기 전해액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무선화 및 포터블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이들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고용량 및 고에너지밀도를 갖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는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하기와 같은 여러 이유로 전지의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고온환경 하에 놓여진 경우에는 더욱 더 용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1) 양극용 복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전이금속이 비수전해질에 용출되어 음극상에 석출되면서, 양극용 복합산화물의 구조파괴를 초래하거나 계면 저항이 증가하는 경우;
(2) 용출된 양극 전이금속이 성장을 계속하여 양극/음극사이에 미소단락을 발생시키는 경우;
(3) 음극에 석출한 양극 전이금속이 비수전해질의 분해를 촉진하는 촉매로 작용하여 전지내부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경우;
(4) 음극의 SEI layer가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film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Li+의 이동을 방해하는 경우
(5) 음극 활물질의 expansion/contraction에 의해 서서히 SEI layer 붕괴가 발생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는 특히 고온에서 (1) 리튬 및/또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리튬 함유 금속 산화물 등의 양극활물질과, carbonate계 용매 및 리튬염으로 구성된 전해액과의 반응에 기인하여 전극저항이 상승하고, (2) 리튬 및/또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음극활물질 표면에 생성된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 layer 가 지속적인 충/방전으로 인하여 고온에서 천천히 파괴되면서, 카보네이트계 용매에 의한 약한 SEI layer가 생성되면서 Li corrosion을 비롯한 비가역 반응을 가속화시킴으로써, 전지성능 및 효율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한편, 비수전해질 2차 전지에 있어서 과충전시 전지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은, 리튬 및/또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리튬 함유 금속 산화물 등의 양극활물질이 과충전시 리튬 이탈에 따라 열적 불안정한 물질로 변하고, 불안정한 양극활물질의 구조붕괴에 따른 발열반응과 리튬금속 산화물로부터 방출되는 산소가 전해액과 양극과의 반응 및 전해액의 연소반응을 가속화 시켜, 열에 의한 연쇄적인 발열반응에 의해 열폭주가 발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충전시 전지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는 1) 전해액의 산화반응으로 인한 발열 및 2) 양극의 구조붕괴에 따른 발열일 수 있다.
과충전이 진행되면서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이러한 발열은 전지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전지를 발화 또는 폭발시킴으로써, 과충전 시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킨다.
한편, 리튬 이차 전지가 충전 또는 과충전된 상태에서 외부의 물리적 충격(예를 들면, 가열에 의한 고온노출 시 등)으로 인해서 국부적인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고온에서 가연성 전해액과 양극 활물질의 반응으로 인한 발열로 전지가 과열되는 경우 그리고 전극(특히, 양극)으로부터 발생되는 산소에 의하여 전해액의 연소가 가속화되는 경우 열폭주에 의한 전지의 발화 및 파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Valeronitrile 및 butyronitrile과 같은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이 전해액에 첨가시 전해액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상기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이 양극활물질 표면과 착 물(complex)을 형성하여 양극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면, 과충전시 및/또는 전지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예, 가열에 의한 고온노출시)시 전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또, 본 발명자들은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및 이의 유도체, 또는 에테르계 화합물에 의해 음극 표면 상에 부동태 막(passivation layer)이 형성됨과 동시에, 양극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과의 착물(complex) 형성에 의한 보호막이 형성되는 경우, 충/방전 동안 양 전극(음/양극)에서의 안정된 보호층으로부터 얻어지는 시너지 효과로 전지의 성능저하 없이 고온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아울러 음극/양극의 구조붕괴를 막고 전해액과의 반응으로부터 유발되는 부반응 및 저항상승을 조절함으로써 전지가 고온에 장/단시간 노출될 때 발생되는 문제(예: Gas발생, 저항증가, 용량저하, 전지폭발, 파열 등)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극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이 형성된 양극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염, 용매 및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함유한 비수전해액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리튬염, 용매 및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 외에 전해액 첨가제로 비닐렌 카보네이트, 이의 유도체, 에테르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비수전해액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양극 및/또는 상기 전해액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양극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이 형성된 양극; (2) 비닐렌 카보네이트, 이의 유도체, 에테르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에 의해 부동태막이 형성된 음극; 및 (3) 리튬염 및 용매를 포함한 전해액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양극 표면 상에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은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이다.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의 예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있다.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1
(여기서, R은 C1∼C15 알칸임).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은 높은 dipole moment를 가지는 극성의 cyano 작용기가 양극의 코발트와 같은 전이금속과 bonding을 형성하고, 특히 고온에서는 cyano 작용기가 양극 표면과 더욱 더 강하게 결합을 하여 complex structure (혹은 리간드)를 형성한다(도 1 참조).
도 1의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data는 코발트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 중 cyano 작용기가 결합하여 complex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착물(complex)에 의해 양극 표면에 보호막이 형성되면, 충/방전 진행시 전이금속의 일부가 용출되어 음극에 석출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전해액과 양극의 반응으로부터 발생하는 부반응 및 gas발생을 억제하여 고온에서도 리튬을 원활하게 흡장/방출시켜 수명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은 상온보다 고온에서 전극표면을 강하게 protection하기 때문에 열적으로 안정한 전극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의해 양극 표면상에 형성된 착물은 전해액과 양극의 반응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과 양극의 구조붕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어하고 이로부터 발생되는 발열량을 낮추어 과충전 時나 내부 단락 파괴시나 고온노출시 양극의 구조붕괴로부터 방출되는 산소에 의해 전해액의 연소가 가속화되고 열폭주가 발생해 발화나 파열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지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전해액에 도입한 후, 양극 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착물이 표면에 형성된 양극을 별도로 제조하여 전지를 조립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 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은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이 첨가된 전해액에 집전체 상에 양극활물질이 도포된 양극을 담근 후 고온처리하여 형성시킨다. 이때, 고온 처리는 전극활물질 및 바인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온도범위 일반적으로 180℃ 이하에서, 또는 지방족 니트릴 화합물 종류별로 다르나 지방족 니트릴 화합물이 지나치게 evaporation되지 않는 범위 100℃ 이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 처리는 60-9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나, 30-40℃에서 장기간 보존하는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수반할 수 있다.
한편,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의 지방족 디니트릴 화합물과 동일하게 양극 표면을 보호하나, 전해액 첨가시 지방족 디니트릴 화합물의 경우 보다 전해액의 점도를 감소시킴으로써 Li+의 이동을 훨씬 더 원활하게 유지시키고, 전지 내부의 계면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지를 극한조건 (-10℃ 이하의 저온이나 90 ℃ 이상의 고온)에 노출할 경우에도 부반응을 제어하는데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낸다(표 1, 도면 7, 8)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2
하기, 표 1은 Carbonate solvent, 1M LiPF6 salt 및 VC 1 중량%로 구성된 전해액에 VN (Valeronitrile)이 추가로 첨가된 전해액의 이온전도도 및 점도를 비교한 것이다.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3
하기, 표 2은 Carbonate solvent, 1M LiPF6 salt 및 VC 1 중량%로 구성된 전해액에 BN (Butyronitrile)이 추가로 첨가된 전해액의 이온전도도 및 점도를 비교한 것이다.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4
BN은 VN보다 이온전도도 및 점도가 상당히 우수하여 저온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알칸은 반응성이 없는 것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 사용시 비가역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작고, 이로 인해 화학식 1의 화합물 사 용으로 인한 전지성능 저하를 감소시킨다.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은 비수전해액 중 사용되는 용매에 대한 용해도에 따라 최대 사용량이 결정되나, 일반적으로 너무 많은 양을 첨가하게 되면, 전지의 성능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전해액 100중량%를 기준으로 20 중량%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용량의 하한치는 본 발명을 활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전해액 100중량%를 기준으로 0.1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음극상에 부동태막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닐렌 카보네이트(VC), 이의 유도체, 에테르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5
화학식 3(VC)의 유도체로는 화학식 3의 ring에 C1~C5 알킬기와 같은 non-polar side chain이 결합되어 있는 유도체 등이 있다.
상기 에테르계 화합물의 예로는 Benzyl methyl ether(화학식 4), Tetra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화학식 5)이 있다.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6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7
에테르계 화합물은 VC와 같이 음극상에 부동태막을 형성하여 VC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지방족 모노 니트릴계 화합물과의 병용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표 3).
하기 표 3은 음극을 passivation하는 전해액 첨가제 중 에테르계 첨가제의 전지내 성능을 보여준다.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8
카보네이트계 용매에 의해 음극 표면상에 형성된 보호막은 porous하고 조밀하지 못하여 충/방전에 따른 비가역 반응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Li의 손실 및 dendrite 생성을 야기시켜 전지의 성능을 현격히 저하시킨다.
비닐렌 카보네이트(VC), 이의 유도체, 에테르계 화합물과 같이 음극을 passivation하는 화합물은, 초기 충전 시 (일반적으로 formation이라고 말함) 치밀하고 조밀한 보호층(protective layer)을 형성하여 carbonate계 solvent의 층상구조 활물질 layer내 co-intercalation 및 분해반응을 막아 전지의 비가역을 감소시키고, 형성된 보호층을 통해 Li+만을 흡장 및 방출시킴으로써 전지의 수명특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도 2 참조). 그러나, 상기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passivation layer(SEI layer)도 고온에서 충/방전을 통한 활물질의 expansion/contraction으로 천천히 파괴되면서, 카보네이트계 용매에 의한 약한 SEI layer가 파괴된 지역에 생성되어 Li corrosion을 비롯한 비가역 반응을 가속화시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지의 수명특성이 현격히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음극만을 passivation해서는 전지의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이용하여 양극만을 protection한 경우는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과 양극과의 상호결합에 의해 양극표면을 안정화시키나, carbonate solvent계에 의해 형성된 poor한 SEI layer로 인해 Li+ 이온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전지 내 balance가 무너지면서 음극표면에 Li metal이 석출되어 상 온 및 고온수명특성이 현격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전지의 고온수명 특성은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한쪽만을 보호해서는 그 성능 및 효율을 유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지의 고온수명특성 향상을 위해 양극 음극 모두 passivation하여 보호된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지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양 전극을 각각 passivation할 수 있는 첨가제를 전해액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passivation된 양극, 음극을 별도로 각각 제조하여 전지를 조립할 수도 있다.
음극의 경우는 치밀하고 강한 SEI layer를 형성시킬 수 있는 화합물에 의해 보호층을 형성해야 하며, 양극은 전이금속의 용출을 막고 전이금속 및 금속산화물과 강하게 complex를 형성시킬 수 있는 지방족 모노 니트릴계 첨가제로 보호해야만 그 시너지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방향족 니트릴계 화합물은 VC보다 먼저 환원분해되어 오히려 poor한 SEI layer를 형성시켜 VC에 의한 치밀하고 조밀한 보호막 형성을 방해하나, 지방족 모노 니트릴계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는다.
전해액 첨가제로 비닐렌 카보네이트(VC), 이의 유도체, 에테르계 화합물과 같이 음극을 passivation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비수전해액 중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에 크게 상관없이 그 최대 사용량이 결정되나, 일반적으로 너무 많은 양을 첨가하게 되면 고온에서 gas를 발생시켜 전지가 부푸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전해액 100중량%를 기준으로 5중량%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용량의 하한치는 본 발명을 활용하여 전지의 고온수명특성을 향상시키 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0.1중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전해액은 일반적으로 가연성 비수계 유기용매를 사용하고, 환형 카보네이트, 직쇄형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사용되는 환형 카보네이트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감마부티로락톤(GBL) 등이 있으며, 직쇄형 카보네이트로는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 (EMC) 등이 대표적이다.
비수전해액에는 리튬염을 포함하며, 비제한적인 예로 LiClO4, LiCF3SO3 , LiPF6, LiBF4, LiAsF6, 및 LiN(CF3SO2)2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전기 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는 리튬 이차 전지이고, 리튬 이차 전지는
[1]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양극;
[2]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음극;
[3] 다공성 분리막; 및
[4] a) 리튬 염;
b) 전해액 용매
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며, 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2O4, LiMnO 2 및 LiNi1-XCoXO2(여기에서, 0< X<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또한, 음극 활물질로 탄소, 리튬 금속 또는 합금을 사용하며 기타 리튬을 흡장 방출할 수 있고, 리튬에 대한 전위가 2V 미만인 TiO2, SnO2와 같은 금속 산화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외형은 캔으로 된 원통형 또는 각형, 파우치형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EC: PC:DEC = 3: 2: 5의 조성을 가지는 1M LiPF6 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였고, 상기 전해액에 VC 1중량%, Valeronitrile을 3중량% ~ 5중량% 첨가하였다. 음극은 인조흑연을 사용하였으며, 양극은 LiCoO2를 사용하였다. 이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3456size의 리튬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으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장재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2
EC:EMC=1:2의 조성을 가지는 1M LiPF6 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였고, 상기 전해액에 VC 1중량%, Valeronitrile을 3중량% ~ 5중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음극은 인조흑연을 사용하였으며, 양극은 LiCoO2를 사용하였다. 이후, 통상적인 방법으 로 3456size의 리튬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으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장재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3
Valeronitrile 대신 Propionitril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Valeronitrile, VC를 전해액에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Valeronitrile만을 전해액에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Valeronitrile만을 전해액에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Valeronitrile 대신 succinonitrile 3중량%를 전해액에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튬 폴리머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제조된 전지는 모두 60℃에서 12시간 이상 고온처리를 수행하거나, 30℃에서 장시간 고온처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1. 양극 표면 리간드 형성 확인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각 전지를 4.2V로 만충전을 한 후, 실시예 1과 비교예 1, 비교예 2의 전지로부터 1cm X 1cm 크기정도로 양극을 분리하였다. 아울러, 표면에 잔재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Dimethyl carbonate (DMC)로 cleaning을 하였고 일반적인 표면분석 장비인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리간드 형성확인 시험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XPS (ESCALAB 250)는 원자고유의 binding energy와 kinetic energy를 detection하여 표면으로부터 수 nm 깊이의 원자정보를 읽어 표면의 구성성분을 밝히는 장비로서 리간드 형성확인은 질소원자의 생성 peak로 확인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Valeronitrile 없이 제조된 전지 (비교예 1, 비교예 2)는 양극표면에 질소원자가 검출되지 않는 반면 Valeronitrile이 첨가된 전지 (실시예 1)는 Valeronitrile이 코발트 전이금속 혹은 금속 산화물과 강하게 bonding (리간드)을 형성하여 질소원자가 뚜렷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으로부터 지방족 니트릴 첨가제가 양극활물질 표면과 강하게 착물을 형성하여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여러 부반응을 제어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2. 음극 표면 SEI layer 형성 확인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전지에 대하여, 0.2C current로 50분간 constant current방식으로 초기충전 (formation)을 실시하였다. 인조흑연으로 된 음극에서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분해반응으로 인해 SEI layer가 형성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 충전과정에서 얻어지는 용량을 전압으로 미분한 그래프를 얻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프에 나타난 peak는 분해반응에 의한 비가역 반응, 즉 SEI layer 형성시 리튬소모반응을 의미하며, VC가 포함된 전해액으로 제조된 전지가 리튬소모반응에 기인한 peak가 발생되지 않는 결과로부터 VC로부터 생성된 passivation layer(실시예 1, 비교예 2)를 확인하였다.
3. 리간드 형성에 따른 양극의 고온 안전성 및 발열 제어 여부 시험
실시예 2, 3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각 전지를 4.2V로 충전하였다. 일반적인 열분석 측정기기인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고, 전해액의 증기압에 견딜 수 있는 2개의 고압 팬(high pressure pan)을 측정 팬으로 사용하되 하나의 팬에는 4.2V로 충전된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의 각 전지로부터 분리된 양극 5 mg 내지 10 mg 정도를 채취하여 넣고, 다른 하나의 팬은 빈(empty) 팬으로 하여, 분당 5℃로 400℃까지 승온하면서 2개의 팬 간의 열량차이를 분석하여 발열 온도 피크를 측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 없이 제조된 전지(비교예 3)는 200℃ 및 240℃ 부근에서 발열 피크가 나타났다. 200℃에서의 피크는 전해액과 양극의 반응에 의한 발열이 있음을 의미하고, 240℃ 부근의 피크는 전해액과 양극의 반응에 의한 발열, 양극 붕괴에 의한 발열 등 복합적인 인자에 의한 발열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Valeronitrile 및 propionitrile을 비수전해액에 첨가한 전지(실시예 2, 실시예 3)는 상기 두 개의 온도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Valeronitrile 및 propionitrile이 양극표면에 강하게 bonding을 형성 하여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전해액과 양극의 반응에 의한 발열 등이 제어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고온 수명 특성이 향상된 실험.
실시예 1(음극과 양극이 동시에 passivation된 전지)과 비교예 1(양극, 음극 어느쪽도 passivation이 되지 않은 전지), 비교예 2(음극만 passivation된 전지)에서 제조된 전지를 45℃ 고온 챔버에서 일정한 전류 (1C/1C)로 충/방전을 실시하였다.
도 4(실시예 1), 도 5(비교예 1), 도 6(비교예 2)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전지의 고온수명특성은 음극과 양극의 표면 모두가 보호막으로 masking한 전지와 음극 혹은 양극의 한쪽만 passivation한 전지간 현격한 차이를 유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비교예 2과 실시예 1에서 전지의 수명특성을 상호 비교해 보면 충/방전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방전용량의 현격한 감소가 비교예 2에서 관찰되는 반면 실시예 1은 원활한 수명특성을 유지하고 있다.
5. 저온 전지성능 실험.
실시예 3(Valeronitrile), 비교예 4(succinonitrile)에서 제조된 각 전지는, constant current/ constant voltage(CC/CV) 방식으로 0.5C, 4.2V까지 충전하고, 50mA cut-off하였다. 이어서, -10℃의 저온상태에서 1C로 3V까지 constant current(CC) 방식으로 방전하였다.
도 7은 실시예 3(Valeronitrile), 비교예 4(succinonitrile)에서 제조된 각 전지의 -10℃ 저온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상대적으로 높은 melting point (54-56℃)를 가지는 succinonitrile의 방전용량보다 낮은 melting point (-96℃)를 가지는 Valeronitrile의 방전용량이 상당히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Valeronitrile이 첨가된 전해액은 이온전도도가 향상되고 점도가 낮아져 Valeronitrile가 첨가되지 않은 전지보다 훨씬 더 향상된 저온성능을 나타낸다.
6. 고온 노출 시험
실시예 3(Valeronitrile), 비교예 3, 비교예 4(succinonitrile)에서 제조한 각 전지들을 완전 충전된 상태로 준비하였다. 고온 노출 시험은 완전 충전된 전지를 대류가 가능한 오븐에 넣고 상온으로부터 천천히 1시간동안 승온시켜 90℃에서 4시간동안 노출시킨 후 다시 상온으로 온도를 낮추어 420분동안 전지의 두께 변화를 관찰하여 고온에서의 전지의 열적 안정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8에 도시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화학식 1)을 함유한 비수전해액은 전해액의 점도를 감소시키고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며, 상기 전해액을 사용한 전지는 극한조건 (-10℃ 이하의 저온 이나 90℃ 이상의 고온)에 노출할 경우에도 부반응을 제어하는데 우수한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양극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과의 착물(complex) 형성에 의해 보호막이 형성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는, 전지가 가열되었을 때 전해액과 양극의 반응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과 양극의 구조붕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어하고 이로부터 발생되는 발열량을 낮추어 과충전시 지나친 발열로 인한 내부단락 발생으로 전지가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VC 또는 이의 유도체, 에테르계 화합물에 의해 표면 상에 부동태 막(passivation layer)이 형성된 음극과, 양극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과의 착물(complex) 형성에 의해 보호막이 형성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는, 고온(45℃이상) 사이클 시 전해액과 양극의 반응 및 음극의 protective layer의 구조붕괴로부터 발생되는 부반응(side reaction)으로부터 전지성능이 감소하는 것(예, 용량감소 및 gas발생으로 인한 두께변화) 및 상기 반응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열로 전지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전지가 발화 및 파열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시너지 효과를 유발하여 고용량 및 고효율을 지속시켜 전지수명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고온안전성을 갖을 수 있다.

Claims (16)

  1. 양극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이 형성된 양극으로서, ⅰ)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은 전지 내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이 첨가된 전해액으로부터 제공되고, 상기 양극 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은 전지를 30 ~ 180℃의 온도에서 처리하여 형성된 것이거나, ⅱ)양극 활물질 표면과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간의 착물(complex)은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이 첨가된 전해액에 집전체 상에 양극활물질이 도포된 양극을 담근 후 30 ~ 180℃의 온도에서 처리하여 형성된 것이 특징인 양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특징인 양극.
    [화학식 1]
    Figure 112005006378069-pat00009
    (여기서, R은 C1∼C15 알칸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0 ~ 180℃의 온도에서의 처리는 전지 조립 전 또는 전지 조립 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극.
  7. 리튬염, 용매,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 및 전해액 첨가제를 함유하는 비수전해액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비닐렌 카보네이트, 이의 유도체, 에테르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인 비수전해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특징인 비수전해액.
    [화학식 1]
    Figure 112005006378069-pat00010
    (여기서, R은 C1∼C15 알칸임).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에테르계 화합물은 Benzyl methyl ether 또는 Tetraethylene glycol dimethyl erther인 것이 특징인 비수전해액.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및 감마부티로락톤(GB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환형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 (EMC), 및 메틸 프로필 카보네이트(MP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및 선형 카보네이트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비수전해액.
  12. 제7항에 있어서,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은 전해액 중 0.1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로 함유된 것이 특징인 비수전해액.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전해액 중 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로 함유된 것이 특징인 비수전해액.
  14.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극: 음극: 및 리튬염과 용매를 포함한 전해액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15.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수전해액; 양극; 및 음극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과 양극활물질 표면 간의 착물(complex)이 형성되고, 상기 음극은 비닐렌 카보네이트, 이의 유도체, 에테르계 화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에 의해 부동태막이 형성된 것이 특징인 전기화학소자.
KR1020050009706A 2005-02-02 2005-02-02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077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706A KR100776913B1 (ko) 2005-02-02 2005-02-02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TW095103378A TWI330899B (en) 2005-02-02 2006-01-27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liphatic mono-nitrile compound
US11/343,178 US7871721B2 (en) 2005-02-02 2006-01-30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liphatic mono-nitrile compound
PCT/KR2006/000344 WO2006083099A1 (en) 2005-02-02 2006-02-01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liphatic mono-nitrile compound
US12/842,075 US7883794B2 (en) 2005-02-02 2010-07-23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liphatic mono-nitrile comp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706A KR100776913B1 (ko) 2005-02-02 2005-02-02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751A KR20060088751A (ko) 2006-08-07
KR100776913B1 true KR100776913B1 (ko) 2007-11-15

Family

ID=3677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706A KR100776913B1 (ko) 2005-02-02 2005-02-02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871721B2 (ko)
KR (1) KR100776913B1 (ko)
TW (1) TWI330899B (ko)
WO (1) WO2006083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288B1 (ko) 2004-02-16 2006-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TWI371124B (en) 2006-01-12 2012-08-21 Lg Chemical Ltd Non-aqueous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with an improved safety
TWI341605B (en) * 2006-02-15 2011-05-01 Lg Chemical Ltd Non-aqueous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with an improved safety
TWI341603B (en) * 2006-02-15 2011-05-01 Lg Chemical Ltd Non-aqueous electrolyte and electrochemical device with an improved safety
KR100814885B1 (ko) * 2006-11-17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CN107658494A (zh) * 2006-12-06 2018-02-02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电解液和非水系电解液二次电池
CN101779316A (zh) * 2007-05-22 2010-07-14 蒂艾克思股份有限公司 非水电解质和包括同一非水电解质的电化学装置
KR20090063441A (ko) * 2007-12-14 2009-06-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1041722B1 (ko) * 2009-01-09 2011-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과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US9093702B2 (en) * 2009-09-03 2015-07-28 Samsung Sdi Co., Lt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battery,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ithium battery
KR101718061B1 (ko) 2013-05-15 201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WO2016121935A1 (ja) * 2015-01-30 2016-08-04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EP3353844B1 (en) 2015-03-27 2022-05-11 Mason K. Harrup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CN105428710A (zh) * 2015-12-21 2016-03-23 中盐安徽红四方锂电有限公司 一种用于大容量塑壳锂离子电池的高温电解液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EP4338216A1 (en) 2021-05-12 2024-03-20 LITRONIK Batterietechnologie GmbH Primary alkali metal cells with geminal dinitrile additives
CN114388804A (zh) * 2021-12-29 2022-04-22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62A (ja) 1983-06-22 1985-01-10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二次電池
JPH06104012A (ja) * 1992-09-18 1994-04-15 Yuasa Corp 電 池
KR20000002115A (ko) 1998-06-17 2000-01-15 박찬구 금속복합 양극재로 이루어진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KR20050089246A (ko) * 2004-03-04 2005-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006543A1 (ru) 1981-04-23 1983-03-23 Отделение ордена Ленина института химической физики АН СССР Катод дл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
EP0124875B1 (en) 1983-05-04 1991-04-10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Battery having an electrode made of a polymeric compound with conjugated double bonds
JPS6282648A (ja) 1985-10-04 1987-04-16 Showa Denko Kk 二次電池
CA2083001C (en) 1991-12-17 1996-12-17 Yuzuru Takahashi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a non-aqueous solvent
EP0605734B1 (en) 1992-06-30 2001-10-24 Yuasa Corporation Battery
US5693433A (en) 1993-01-07 1997-12-02 Technology Resources International, Inc. Lithium-ion-conductive solid polymer electrolyte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US5418682A (en) 1994-06-16 1995-05-23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Capacitor having an electrolyte containing a mixture of dinitriles
US5523179A (en) 1994-11-23 1996-06-04 Polyplus Battery Company Rechargeable positive electrode
ZA963605B (en) * 1995-06-07 1996-11-19 Duracell Inc Process for improving lithium ion cell
DE29512059U1 (de) 1995-07-26 1996-11-28 Hoffmann Hans Elektrodenanordnung und daraus hergestellte elektrochemische Einrichtung
WO1997035332A1 (fr) 1996-03-20 1997-09-25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Dispositif electrochimique et electrolyte pour ce dispositif
JP2000260428A (ja) 1999-03-11 2000-09-22 Mitsubishi Chemicals Corp 非水系炭素被覆負極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US6664006B1 (en) 1999-09-02 2003-12-16 Lithium Power Technologies, Inc. All-solid-state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4918740B2 (ja) 2001-02-02 2012-04-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極表面被膜形成剤
JP2002237304A (ja) 2001-02-13 2002-08-23 Hitachi Powdered Metals Co Ltd 非水系二次電池の負極用黒鉛粒子および負極塗膜
DE10111410C1 (de) 2001-03-08 2002-07-25 Chemetall Gmbh Elektrolyt, enthaltend Lithium-bis(oxalato)borat und dessen Verwendung
US6535373B1 (en) 2002-06-12 2003-03-18 Lithdyne International Non-aqueous electrolyte
KR101111365B1 (ko) * 2002-07-15 2012-03-09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 전지
TWI302760B (en) 2004-01-15 2008-11-01 Lg Chemical Lt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liphatic nitrile compou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62A (ja) 1983-06-22 1985-01-10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二次電池
JPH06104012A (ja) * 1992-09-18 1994-04-15 Yuasa Corp 電 池
KR20000002115A (ko) 1998-06-17 2000-01-15 박찬구 금속복합 양극재로 이루어진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KR20050089246A (ko) * 2004-03-04 2005-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04834A1 (en) 2006-09-14
WO2006083099A1 (en) 2006-08-10
TWI330899B (en) 2010-09-21
US7871721B2 (en) 2011-01-18
TW200635109A (en) 2006-10-01
KR20060088751A (ko) 2006-08-07
US20100293779A1 (en) 2010-11-25
US7883794B2 (en)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913B1 (ko) 지방족 모노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0602475B1 (ko) 지방족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058828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KR10088212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비수전해액 및 전기화학소자
KR10087357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비수전해액 및 전기화학소자
JP5079335B2 (ja) リチウム2次電池用電極
KR101438185B1 (ko) 전지
KR20070082551A (ko) 안전성이 향상된 비수전해액 및 전기화학소자
WO2008140271A1 (en) Additives for non-aqueous electrolyt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2006512747A (ja) 過放電性能改善用添加剤を含む正極活物質及び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US20170125845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JP2006032300A (ja) 電解質および電池
JP2008305770A (ja) 非水溶液電池
US20230137991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