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017B1 -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017B1
KR100774017B1 KR1020060039316A KR20060039316A KR100774017B1 KR 100774017 B1 KR100774017 B1 KR 100774017B1 KR 1020060039316 A KR1020060039316 A KR 1020060039316A KR 20060039316 A KR20060039316 A KR 20060039316A KR 100774017 B1 KR100774017 B1 KR 10077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ng shaft
housing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890A (ko
Inventor
신현호
Original Assignee
신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호 filed Critical 신현호
Priority to KR102006003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01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rack-and-pinion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클로저는 도어에 설치되는 조속 유니트와, 상기 조속유니트의 회전축과 문틀을 연결하는 링크유니트를 구비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속유니트는 회전축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 및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보조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보조축과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종동기어에 의해 가속되도록 치합되는 복수개의 아이들 기어를 구비한 회전속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과 회전축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을 잠시 지연시켰다 닫히도록 하는 시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을 정지시키는 도어 잠금 수단을 구비한다.
도어, 조속 유니트, 링크

Description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클로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클로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도어 클로저의 단면도,
도 6 및 도 7는 시간지연수단의 평면도,
도 8은 도어 잠금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시간 지연수단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삭제
본 발명은 도어 클로저(door closer)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와 문틀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도어를 닫을 수 있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 등과 같은 건물의 주 출입문은 일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이용된다. 이러한 도어는 개폐되는 과정에서 급격히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의 개폐시 인위적인 제동을 행하는 댐핑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댐핑장치는 공압실린더, 스프링 방식, 펌프형 등의 유압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압 이용한 댐핑장치는 실린더의 내부에 유체를 충진하고, 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반복적인 사용으로 실린더와 피스톤의 마모 및 패킹의 마모로 인한 유체가 누출됨으로써 충분한 댐핑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과 수리가 불가능해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283426호에는 도어 클로저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특허 제 0279730호에는 안전 도어 클로저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공개 실용신안 제 2000-0011289호에는 랙기어가 형성된 피스톤, 랙기어와 결합되는 피니언, 실린더 캡, 피이언 캡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 특허 제 2001-0114135호에는 도어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장치는 작동실린더의 작동유체의 압력을 조정하여 도어의 닫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 클로저 또는 도어 개폐장치는, 피스톤과 탄성스프링 또는 작동유체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유체 누설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도어가 닫히는 동안 가변 속도조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화재 발생 시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로 고정된 경우 화재의 확산을 가속화 시킬 수 있어서 별도의 안전장치를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닫힘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특정 회동각도에서 일정시간 열린 상태가 유지되다가 문이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별한 부품의 부착 없이 버튼하나의 조작으로 어떠한 각도에서든지 문이 열린 상태로 정지 시킬 수 있으며, 문이 열려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도 화재가 발생하면 도어를 자동으로 닫을 수 있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문의 무게, 크기등에 따른 장력조절이 쉬우며 장력이 다른 스프링만 교환하거나 추가 할 수 있어서 보다 더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이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작동유체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쉽게 분해할 수 있어 수리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부품의 교환으로 쉽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어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도어 클로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조속 유니트와, 상기 조속유니트의 회전축과 문틀을 연결하는 링크유니트를 구비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속유니트는 회전축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 및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보조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보조축과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종동기어에 의해 가속되도록 치합되는 복수개의 아이들 기어를 구비한 회전속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과 회전축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시간을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을 고정하는 도어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는 조속 유니트와, 상기 조속유니트의 회전축과 문틀을 연결하는 링크유니트를 구비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속유니트는 상기 회전축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 및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클러치수단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와, 구 동기어와 치합되며 제1보조축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회전축 또는 제 1보조축에 설치되어 가속회전되도록 치합되는 감속기어들을 구비한 회전속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에 치합되어 설정된 구간의 닫힘 시간을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을 고정하는 도어잠금수단을 구비하게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간 지연수단은 회전축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도어 지연구간을 설정하기위해 직경이 다른 구간에 의해 단차가 형성된 호형부재와, 하우징에 설치된 보조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호형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레버을 가지는 제 2보조 회전축과, 상기 제 1보조회전축에 설치되는 지1지연기어와, 상기 제 1지연기어와 치합되어 회전을 감속시키기 제 2지연기어와, 상기 제 2지연기어에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직경크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걸림치가 형성된 터치기어와, 상기 보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터치기어의 회전시 터치되는 제 1,2걸림돌기를 가지는 회동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는 출입이 잦은 도어의 개폐시 댐핑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 클로저(1)는 도어(2)에 설치되는 조속 유니트(10)와, 상기 조속유니트(10)의 회전축(11)과 문틀(3)을 연결하는 링크유니트(4)를 구비한다. 상기 조속유니트(10)는 회전축(11)이 설치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회전축 (11) 및 하우징(12)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1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0)과, 상기 회전축(11)에 설치된 구동기어(14)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30)과, 상기 회전축(11)과 나란하게 하우징(12)에 설치되는 보조축(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기어(14)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1)와, 상기 보조축(13)과 회전축(11)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종동기어(41)에 의해 가속되도록 치합되는 복수개의 아이들 기어(42-45)를 구비한 회전속도 지연수단(40)과, 상기 하우징(12)과 회전축에 설치되어 도어(2)의 닫힘시간을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수단(50)과,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되어 도어(2)의 회전을 고정하는 도어잠금수단(70)을 구비한다.
삭제
이하에 상기 조속유니트(10)를 구성요소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수단(20)은 상기 회전축(11)에 삽입되어 일측이 하우징(12)에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축(11)에 지지되는 스프링(21)들을 구비한다. 이 스프링(21)은 스파이럴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21)은 회전축(11)의 강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축(11)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상기 클러치 수단(30)은 상기 회전축(11)에 고정되며 축방향의 상면(도 2,3 참조)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치(31)를 가지는 래칫기어(33)와, 상기 래칫기어(33)에 제 1치(31)가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상기 구동기어(14)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진 제1치(31)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치합되어 회전력(도어가 닫히는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치(32)를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수단(3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도어가 닫히는 방향의 회전축(11)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기어(14)에 전달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회전속도 지연수단(40)은 도어(2)가 닫히는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조축(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14)와 치합되는 종동기어(41)와, 회전축(11)과 보조축(13)에 설치되어 종동기어(41)의 회전력을 가속시키는 방향으로 치합되는 아이들 기어(42-45)들을 구비한다. 상기 아이들 기어는 잇수가 적은 기어와 잇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기어가 일체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과 보조축(13)에 설치된 아이들 기어들은 인접하는 일측 아이들기어의 큰기어가 인접하는 아이들 기어의 작은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력이 접차적으로 가속되는 결합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최종단 즉, 최종가속되는 측에 위치되는 아이들기어(45)에는 기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송풍팬(4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시간 지연수단(50) 하우징(12)에 설치되어 도어가 닫히는 동안 특정 영역에서 도어(2)의 닫힘속도를 제어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11)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도어 지연구간을 지정하기 위하여 단차(51)가 형성된 호형부재(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에는 호형부재(5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가이되는 가이더(54)가 구비된 레버(53)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레버(53)는 상기 가이더(54)가 지지되는 제1수평지지부(53a)와 상기 제1수평지지부(53a)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53b)와, 상기 수직지지부(53b)로부터 하우징(12)의 측면 측으로 연장되는 제 2수평지지부(53c)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53)는 하우징(12)과 수직 지지부(53b)에 양단부기 지지되는 스프링(55a)에 의해 상기 가이더(54)가 호형부재(52)의 외주면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에는 상기 레버(53)의 제 2수평지지부(53c)의 단부와 결합되어 레버(53)를 호형부재(52) 측으로 전,후진시키기 위한 노브(55)가 설치된다.
그리고 아이들 기어(45)에는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걸림치(56a)가 형성된 터치기어(56)가 설치되고, 보조축(13)이 지지되며 하우징(12)에 설치된 브라켓(57)과 상기 레버(53)의 제2수평지지부(53c)에는 회동축(58)이 설치되고, 이 회동축(58)에는 상기 터치기어(56)의 회전시 상기 걸림치(56a)를 터치하는 제1,2걸림돌기(59a)(59b)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수평지지부(53c)와 브라켓(5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축(58)은 레버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회동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직경이 작은 단차부가 설치되고 이 단차부가 제 2수평지지부(53c)와 브라켓(57)에 형성되며 단차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관통공에 지지된다.
상기 도어잠금수단(70)은 송풍팬(47)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하우징(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71)로 이루어진다 이 스토퍼(71)는 전진시 상기 송풍팬(47)의 브레이드(47a)에 걸려 아이들 기어(45)의 회전을 고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스토퍼는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화재시 용융됨으로써 송풍팬(47)의 회전고정을 해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 클로저는 도어(2)를 열게되면, 클러치수단(30)의 레칫기어(33)가 구동기어(14)에 대해 슬립되면서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가 열림에 따른 저항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에 상기 회전축(11)의 회전방향은 탄성수단(20)의 스프링(21)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도어(2)에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게 되면 클러치수단(30)의 래칫기어(33)와 구동기어(14)가 치합됨으로써 구동기어(14)가 회전된다. 이 구동기어(14)의 회전력은 종동기어(41)에 전달되고, 이 종동기어(41)의 회전력은 각 아이들 기어(42-45)들에 전달되면서 가속됨으로서 회전축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게 된다. 특히 아이들기어(45)에는 송풍팬(4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송풍팬(47)의 회전에 따른 공기저항으로 속도가 어느 정도 일정하게 되며 회전축(11)은 더욱 감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린 도어(2)는 닫히면서 스프링(21)의 탄성력이 회전축(11)으로 전달되는데, 조속유니트(10)에는 시간지연수단(50)이 설치되어 특정 영역에서 도어(2)의 닫힘을 지연시킬 수 있다.
즉, 먼저 영역에서 도어(2)의 닫힘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호형부재(52)의 지연구간(52a)의 도어의 닫힘 시 지연되는 구간이 될 수 있도록 회전축(11)에 대해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노브(55)를 조작하여 레버(53)를 이동시켜 가이더(54)가 호형부재(5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축(58)은 이동되어 제 1,2걸림돌기(59a)(59b)가 터치기어(56)의 걸림치(56a)에 선택적으로 걸리면서 회동축(58)이 회동됨으로써 도어(2)의 닫힘 시간을 지연시키게 된다.
한편, 잠금 수단(70)에 의해 도어(2)를 회전을 고정할 수 있는데, 도어(2)를 잠그거나 회전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잠금수단의 스토퍼(71)를 전진시켜 송풍팬(47)의 브레이드(47a)가 걸리게 함으로써 회전축(11)의 회전을 고정함으로써 도어(2)의 회전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에는 조속유니트(1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속유니트(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1)이 설치되는 하우징(112)과, 상기 회전축(111) 및 하우징(112)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111)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120)과, 상기 회전축(111)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31)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기어(131)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우징에 설치된 보조축(133)에 설치되며 구동기어(131)과 치합되는 종동기어(132)와 상기 회전축(111)과 보조축(133)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기어(132)의 회전력을 가속시킬 수 있도록 치합되는 감속기어(134)(135)들을 구비한 회전속도 지연수단(130)과, 상기 하우징(112)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131) 또는 종동기어(132)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설정된 구간의 닫힘 시간을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수단(150)과, 상기 하우징(112)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을 고정하는 도어 잠금수단(170)을 구비한다.
이하에 상기 조속 유니트(110)를 구성요소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수단(120)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이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측이 회전축(11)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 즉, 스파이럴 스프링(121)을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수단은 회전축(111)에 설치되며 하면에 제 1랫칫부(123)이 형성된 래칫기어(122)와, 상기 제 1랫칫부(123)과 대응되는 구동기어(131)의 하면에 형성된 제 2랫칫부(124)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속도 지연수단(130)은 상기 회전축(111) 또는 보조축(1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점차 가속될 수 있도록 기어비를 갖는 되는 감속기어(134)(135)들이 상호 가속되도록 치합된다. 상기 감속기어(134)(135)들에 의한 감속비는 감속기어들의 기어비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과 보조축에는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속기어를 지지하는 스냅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간 지연수단(150) 하우징(112)에 설치되어 도어가 닫히는 동안 특정 영역에서 도어(2)의 닫힘속도를 제어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4 및 도 6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속도 지연수단(150)은 상기 회전축(111)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도어 지연구간을 정정하기 위하여 단차(151)가 형성된 호형부재(152)를 구비한다. 이 호형부재(152)는 상기 회전축(11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위치 고정수단(153)을 더 구비한다. 상기 위치 고정수단(153)은 호형부재(152)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축(111)과 결합되는 결합부(153a)와 이 결합부(153a)에 나사 결합되어 이 결합부(153a)를 상기 회전축(11)에 고정하는 세트스크류(153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2)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보조축(154)에 지지되는 서브 프레임(156)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2보조축(154)의 단부에는 상기 호형부재(152)의 단부에 접촉되어 회전되어 호형부재(152)에 의해 제 2보조축(154)을 회동시키기 위한 레버(15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156)에는 상기 레버(157)에 의한 서브 프레임(156)의 회전시 상기 구동기어(131) 또는 종동기어(132)와 치합되는 제1지연기어(158)와, 상기 제1지연기어(158)와 치합되는 제 2지연기어(159)와, 상기 제 2지연기어(159)와, 상기 제 2지연기어(159)와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제 2지연기어(159)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걸림치(161)가 형성된 터치기어(16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156)에는 회동부재(16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회동부재(163)에는 상기 터치기어(62)의 회전시 상기 걸림치(61)를 터치하는 제1,2걸림돌기(164)(165)가 설치된다. 상기 제 2보조축(154)에는 토오션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연기어(158)가 구동기어(131) 또는 종동기어(132)와 접촉되지 않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도어 잠금수단(170)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또는 도어의 고정이 필요할 때에 도어를 잠그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보조축에 설치되는 래칫 휠(171)과, 상기 하우징(112)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 휠(171)의 치(172)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토퍼(173)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173)는 하우징(112)에 나사 결합되며 스프링(175)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는 허브(17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잠금수단(17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링크 유니트(4)는 상기 회전축(111)에 설치되는 제 1링크(5)와, 상기 문틀(3)에 지지되는 제 2링크(6)가 힌지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의 조속유니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태에서 상기 도어(2)를 열게되면, 래칫기어(122)가 구동기어(131) 대해 슬립되면서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가 열림에 따른 저항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에 상기 회전축(111)의 회전방향은 탄성수단(120)의 스파이럴 스프링(121)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도어(2)에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게 되면 래칫기어(122)와 구동기어(131)가 치합됨으로써 제 1,2,3감속기어들이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이 감속된다.
상기 링크 유니트(4)에 의해 상기 회전축(111)이 회전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회전축(111)의 회전방향은 탄성수단(120)의 스파이럴 스프링(121)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린 도어(2)는 스파이럴 스프링(121)의 탄성력이 회전축(111)으로 전달되어 바와 같이 닫히게 되는데, 조속유니트(110)에는 시간지연수단(150)이 설치되어 특정 영역에서 도어(2)의 닫힘을 지연시킬 수 있다.
즉, 먼저 영역에서 도어(2)의 닫힘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호형부재(152)의 지연구간(152a)의 도어의 닫힘 시 지연되는 구간이 될 수 있도록 회전 축(11)에 대해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2)가 닫히게 되면, 회전축(111)과 같이 호형부재 (152)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회동레버(157)가 지연구간(152a)에 접촉되어 제 2보조축(154)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제 1지연기어(158)가 구동기어(131)에 치합된다. 따라서 구동기어(131)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치합 된 제 2지연기어(159) 및 터치기어(162)가 회전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기어(162)의 치에 회동부재(163)의 제 1,2걸림돌기(164)(165)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회동되어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지연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도어(2)가 서서히 닫힌다. 그리고 도어(2)가 열리게 되면 상기 레버가 지연구간(152a)의 따라 이동된 후 비 지연구간(152b)에 위치되게 되는데, 이때에 비지연구간(152b)의 반경이 지연구간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버(157)가 회동됨에 따라 구동기어(131)와 제 1지연기어(158)가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157)가 비지연구간을 이송하는 동안에는 회전속도 지연수단에 의해서만 회전축(111)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한편, 잠금수단(170)에 의해 도어(2)를 회전을 고정할 수 있는데, 도어(2)를 잠그거나 회전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스토퍼(173)를 상승시킴으로써 이을 고정함으로써 보조축(133)에 설치된 종동기어(132)와 치합된 구동기어(131)가 고정된 회전축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화재시에는 상기 잠금수단의 허브(174)가 용융됨으로써 스프링(175)에 의해 스토퍼(173)가 하강하여 래칫 휠(171)의 치와 분리됨으로써 도어의 잠금이 해지되며 나아가서는 도어가 스프링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으로 닫히게 된다.
장력을 올리려면 스토퍼(71)를 전진시켜 문을 정지시킨다음 문을 열어 스프링이 감기게 한 후 제1링크를 샤프트에서 빼내고 문을 닫은후 제1링크를 샤프트에 다시 체결하면 되고 장력을 감소시키려면 스토퍼로 문을 정지한 상태에서 제1링크를 샤프트에서 분리하고 스토퍼를 잡아당겨 샤프트가 회전하여 스프링이 풀리게 한 후 다시 스토퍼를 고정하고 제1링크를 샤프트에 고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는 도어를 닫을 때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부드럽게 닫히게 할 수 있으며, 특정구간에서 일정시간 열린 상태가 유지되다가 문이 닫힐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휠체어, 유모차의 이동 및 화물운반 시 별도의 문 고정 장치 없이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며 문이 일정 시간 후 닫히므로 에너지 절약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화재의 발생시 그 열에 의해 별도의 장치없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함으로써 외관상 깔금하고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도어에 설치되는 조속 유니트와, 상기 조속유니트의 회전축과 문틀을 연결하는 링크유니트를 구비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속유니트는 회전축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 및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회전축과 나란하게 하우징에 설치되는 보조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보조축과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상기 종동기어에 의해 가속되도록 치합되는 복수개의 아이들 기어를 구비한 회전속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과 회전축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시간을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을 고정하는 도어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2. 도어에 설치되는 조속 유니트와, 상기 조속유니트의 회전축과 문틀을 연결하는 링크유니트를 구비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속유니트는 상기 회전축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전축 및 하우 징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클러치수단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제1보조축에 설치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회전축 또는 제 1보조축에 설치되어 가속회전되도록 치합되는 감속기어들을 구비한 회전속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에 치합되어 설정된 구간의 닫힘 시간을 지연시키는 시간 지연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을 고정하는 도어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도어 지연구간을 설정하기 직경이 다른 구간에 의해 단차가 형성된 호형부재와, 하우징에 설치된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호형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레버을 가지는 제 2보조축과, 상기 제 1보조축에 설치되는 지1지연기어와, 상기 제 1지연기어와 치합되어 회전을 감속시키기 제 2지연기어와, 상기 제 2지연기어에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외주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걸림치가 형성된 터치기어와, 상기 서브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터치기어의 회전시 터치되는 제 1,2걸림돌기를 가지는 회동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금수단은 상기 제 1보조축에 설치되는 래칫 휠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 휠의 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하우징에 나사 결합되는 노브와, 노브의 단부에 화재시 용융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노브의 상승시 상기 래칫 휠의 치와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노브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KR1020060039316A 2006-05-01 2006-05-01 도어 클로저 KR10077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16A KR100774017B1 (ko) 2006-05-01 2006-05-01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316A KR100774017B1 (ko) 2006-05-01 2006-05-01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890A KR20070106890A (ko) 2007-11-06
KR100774017B1 true KR100774017B1 (ko) 2007-11-08

Family

ID=3906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316A KR100774017B1 (ko) 2006-05-01 2006-05-01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958B1 (ko) 2010-07-06 2011-04-29 김지환 방화도어 클로저
KR101035377B1 (ko) 2008-12-03 2011-05-20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도어클로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8074A (zh) * 2018-12-27 2019-03-12 深圳市龙辉三和安全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风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948Y1 (ko) 2003-07-01 2003-09-19 임봉규 도어 클로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948Y1 (ko) 2003-07-01 2003-09-19 임봉규 도어 클로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77B1 (ko) 2008-12-03 2011-05-20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도어클로저
KR101031958B1 (ko) 2010-07-06 2011-04-29 김지환 방화도어 클로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890A (ko) 200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2548B2 (ja) 少なくとも1本の作動アームを有した作動装置
EP2696025B1 (en) Sunlight-shielding device
JPH11159265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0774017B1 (ko) 도어 클로저
JP3282981B2 (ja)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JP6846858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GB2562878B (en) Geared bracket for a window shade
JP2637268B2 (ja) 連装型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KR20150014599A (ko) 롤 블라인드
KR200449680Y1 (ko) 롤 스크린의 스크린 회동장치
KR200397916Y1 (ko) 커튼 승 하강 구동장치
JPH04250287A (ja) サッシ内蔵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US11643849B2 (en) Planetary gearbox system
JP2017198021A (ja) ブラインド
JP7349890B2 (ja) 調光型ロールスクリーン
JPH11311079A (ja) ロ―ルスクリ―ン
JP7498633B2 (ja) ブラインド
JP3908200B2 (ja) 傾斜用縦型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
JP7028668B2 (ja) 窓用巻取装置
JP2017196934A (ja) グリルシャッタ及びスポイラの駆動装置
JP4020840B2 (ja) 引戸の制動装置
JPH0615153Y2 (ja) プ−リ付調速器
JPH11324475A (ja) 自動閉鎖引戸用減速装置
JP2000213260A (ja) 粘性制動手段付きシャッタ
KR20050082206A (ko) 롤스크린용 구동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