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958B1 - 방화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방화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958B1
KR101031958B1 KR1020100064701A KR20100064701A KR101031958B1 KR 101031958 B1 KR101031958 B1 KR 101031958B1 KR 1020100064701 A KR1020100064701 A KR 1020100064701A KR 20100064701 A KR20100064701 A KR 20100064701A KR 101031958 B1 KR101031958 B1 KR 10103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sing
gear
fire do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김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환 filed Critical 김지환
Priority to KR102010006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동암과, 일단이 상기 제1연동암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동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방화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문틀에 설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되게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연동암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1감속기와, 상기 제1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축 외주면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제2연동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에 밀착되어 압축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케이싱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방화도어의 개방시에 일단이 상기 제2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걸림되고 중앙 외주면에 걸림턱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걸림턱과 제2브라켓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는 왕복로드와, 상기 제1모터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2감속기와, 상기 제2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상기 로드의 걸림턱을 상기 제2브라켓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왕복로드의 일단을 상기 제2기어의 기어치로부터 이탈시키는 캠으로 이루어진 도어폐쇄부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제2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캠이 회전하여 상기 로드의 걸림턱을 제2브라켓 쪽으로 밀리게 하여 방화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연동암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이 형성된 덮개;로 구성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화도어 클로저{Door Closer}
본 발명은 방화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비나 사후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기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방화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관공서 또는 백화점이나 대형빌딩과 같은 유동인구가 많은 대형건물들은 화재발생과 같은 긴급사태 발생시 큰 규모의 인명피해나 재산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고자 방화시스템 구축이 건물의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각 나라에서는 방화시스템에 대한 설비를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특히 상기한 방화시스템 구축에는 방화도어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는데, 방화도어는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가 되도록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이렇게 방화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상기 방화도어에는 폐쇄력을 제공하는 방화도어 클로저가 설치된다.
그러나, 기존의 방화도어 클로저는 대부분 유압식으로 구성되어 유압유, 즉 기름이 누설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비용이 높고, 유압식이 아닌 기계식 구조로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그 구조가 매우 조잡하고 복잡하여 이 역시 제작비용이 높고 사후관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화도어 클로저는 방화도어가 폐쇄될 때 그 폐쇄속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빠른 속도로 닫히는 방화도어에 건물의 출입자들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기계식 구조로 단순화시켜 제작비나 사후관리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방화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화도어가 폐쇄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입자들이 빠른 속도로 닫히는 방화도어에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여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방화도어 클로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는 방화도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동암과, 일단이 상기 제1연동암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동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건물 문틀에 설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되게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구비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연동암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1감속기와, 상기 제1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축 외주면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제2연동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에 밀착되어 압축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케이싱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방화도어의 개방시에 일단이 상기 제2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걸림되고 중앙 외주면에 걸림턱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걸림턱과 제2브라켓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는 왕복로드와, 상기 제1모터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2감속기와, 상기 제2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상기 로드의 걸림턱을 상기 제2브라켓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왕복로드의 일단을 상기 제2기어의 기어치로부터 이탈시키는 캠으로 이루어진 도어폐쇄부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제2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캠이 회전하여 상기 로드의 걸림턱을 제2브라켓 쪽으로 밀리게 하여 방화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연동암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선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캠이 회전하여 방화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캠과 접촉되는 제1리밋스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방화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제2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선에 의하여 연결되고 방화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제2연동암과 접촉되는 제2리밋스위치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덮개 사이에는 탄성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되;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상기 덮개를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와 나선결합되고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타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화도어 클로저는 그 구조가 기계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존의 유압식 방화도어 클로저에 비하여 고장 발생빈도가 적고,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그 수리가 용이하며, 이로 인해 사후관리비용이 절감되며, 기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연동암이 회동하고 연이어 회전축과 제2기어가 회전함으로써 방화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제2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기어와 제1모터 및 제1감속기가 브레이크 역할을 하므로 방화도어가 천천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출입자들이 닫히고 있는 방화도어에 부딪혀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스프링의 탄성이 탄성조절수단에 의하여 조절됨으로써 방화도어의 폐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회로기판에 의하여 전기를 제2모터에 공급하면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들간의 연쇄 동작으로 방화도어가 닫히므로 방화도어의 폐쇄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일부 분해모습을 보인 제1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일부 분해모습을 보인 제2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가 문틀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와 연결된 방화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문틀 상측에서 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와 연결된 방화도어가 폐쇄된 모습을 문틀 상측에서 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방화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부터 폐쇄될 때까지의 방화도어 클로저의 순차적인 모습을 보인 도.
도 7a는 방화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모습을 일방향에서 본 도.
도 7b는 방화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모습을 일방향에서 본 도.
도 8a 및 도 8b는 방화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
도 8c는 방화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탄성조절수단을 보인 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전원연결 관계를 간단하게 보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일부 분해모습을 보인 제1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일부 분해모습을 보인 제2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가 문틀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와 연결된 방화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문틀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와 연결된 방화도어가 폐쇄된 모습을 문틀 상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d는 방화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부터 폐쇄될 때까지의 방화도어 클로저의 순차적인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7a는 방화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모습을 일방향에서 본 도이며, 도 7b는 방화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모습을 일방향에서 본 도이다.
또한, 도 8a 및 도 8b는 방화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이고, 도 8c는 방화도어가 폐쇄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탄성조절수단을 보인 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전원연결 관계를 간단하게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는 제1연동암(10)의 일단이 방화도어(D)에 연결되고, 제2연동암(20)의 일단이 상기 제1연동암(1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연동암(20)의 타단은 후술할 회전축(41)에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는 상기한 제1연동암(10)과 제2연동암(20)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건물 문틀(F)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방화도어(D)가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동암(20) 및 제1연동암(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와,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실질적으로 방화도어(D)를 닫히게 하는 폐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40)에 제공하는 도어폐쇄부(50)와, 상기 도어폐쇄부(5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회로기판(60)과,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덮개(70)와, 상기 덮개(70) 내부에 설치되어 방화도어(D)의 폐쇄속도를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연동암(20)은 타단이 상기 회전축(41)에 의하여 관통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회전축(41)이 회전할 때 그것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제2연동암(20)은 후술할 압축스프링(51)에 의하여 관통된다.
상기 케이싱(30)은 건물의 문틀(F) 상부에 볼트체결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싱(30)은 일면에 제1브라켓(31)와 제2브라켓(32)이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40)는 상기 케이싱(3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연동암(20)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축(41)과, 상기 케이싱(30)의 타면과 덮개(70) 사이에 설치되는 제1모터(42)와, 상기 제1모터(42)에 구비된 모터축에 연결되는 제1감속기(43)와, 상기 제1감속기(43)에 연결되는 제1기어(44)와, 상기 회전축(41)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기어(44)와 맞물리는 제2기어(45)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제2연동암(20)의 타단을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케이싱(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덮개(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모터(42)는 상기 케이싱(30),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케이싱(30)의 타면과 덮개(70)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 제1모터(42)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는 D.C모터이다. 이러한 제1모터(42)에 구비된 (+)(-)단자는 서로 와이어로 연결하여 합선된 상태로 설치한다.
상기 제1감속기(43)는 상기 제1모터(42)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비된 감속기축(43a)이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다.
상기 제1기어(44)는 상기 케이싱(3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 제1감속기(43)의 감속기축(43a)에 연결되어 감속기축(43a)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2기어(45)는 상기 케이싱(3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41)의 일단,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 회전축(41)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전축(41)과 함께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제1기어(44)와 맞물려 회전한다.
이러한 제2기어(45)는 외주면 대부분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그 기어치가 상기 제1기어(44)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려 회전하고, 방화도어(D)가 폐쇄된 상태에서 후술할 왕복로드(52)와 접하는 부분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둥글게 형성되는 곡선부(45a)에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방화도어(D)가 폐쇄된 상태에서 왕복로드(52)와 접하는 직선부(45b)는 일직선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곳에는 기어치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도어폐쇄부(50)는 상기 동력전달부(40)의 회전축(41)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압축스프링(51)과, 상기 케이싱(30)의 제1브라켓(31)과 제2브라켓(32)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왕복로드(52)와,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는 제2모터(53)와, 상기 제2모터(53)에 구비된 모터축에 연결되는 제2감속기(54)와, 상기 제2감속기(54)에 구비된 감속기축(54a)에 연결되는 캠(55)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51)은 일단이 상기 제2연동암(20)을 관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70)에 밀착되는 압축스프링(51)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압축스프링(51)은 코일스프링 형태의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2연동암(20)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키는 방향, 즉 방화도어(D)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왕복로드(52)는 뾰족하게 형성된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31)을 관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2브라켓(32)을 관통하며, 중앙부 외주면에는 걸림턱(5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왕복로드(52)에는 외주면을 감싸도록 탄성스프링(52b)이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스프링(52b)은 상기 걸림턱(52a)과 제2브라켓(32)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왕복로드(52)는 방화도어(D)의 개방시에 뾰족하게 형성된 일단이 상기 제2기어(45)의 곡선부(45a)에 형성된 기어치에 끼움되어 걸림됨으로써 압축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기어(45)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화도어(D)의 폐쇄시에는 상기 제2기어(45)의 곡선부(45a)에 형성된 기어치에서 이탈하여 제2기어(45)의 직선부(45b)에 접하거나 가깝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로드(52)의 타단에는 왕복로드(52)가 필요 이상으로 상기 제2기어(45) 쪽으로 근접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정핀(52c)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52b)은 상기 왕복로드(52)의 일단이 상기 제2기어(45) 쪽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모터(53)는 상기 제1모터(42)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30)의 타면과 상기 덮개(70)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 제2모터(53)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는 D.C모터이다. 이러한 제2모터(53)에 구비된 (+)단자와 (-)단자는 상기 회로기판(60)과 전선(W)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감속기(54)는 상기 제2모터(53)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비된 감속기축(54a)이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다.
상기 캠(55)은 상기 케이싱(3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30)을 관통한 제2감속기(54)의 감속기축(54a)에 연결되어 감속기축(54a)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러한 캠(55)은 상기 제2감속기(54)의 감속기축(54a)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왕복로드(52)의 걸림턱(52a)을 상기 제2브라켓(32) 쪽으로 밀어내는데, 이렇게 걸림턱(52a)이 제2브라켓(32) 쪽으로 밀려나면 상기 제2기어(45)의 곡선부(45a) 기어치에 끼움되어 있던 왕복로드(52)의 일단이 제2기어(45)의 기어치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회로기판(60)은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제2모터(53)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모터(53)를 구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렇게 제2모터(53)가 구동되면 제2감속기(54)가 구동하게 되고, 제2감속기(54)가 구동하면 제2감속기(54)의 감속기축(54a)에 연결되어 있는 캠(55)이 회전하여 상기 왕복로드(52)의 걸림턱(52a)을 제2브라켓(32) 쪽으로 밀려나게 한다. 이로써 방화도어(D)가 폐쇄된다.
이러한 회로기판(60)은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의 발생을 감시하는 컨트롤센터(C)와 전선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센터(C)는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S)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S)로부터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받고, 화재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60)과 제2모터(53)에 전원을 공급할지 말지를 결정한다.
상기 덮개(70)는 상기 케이싱(3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41)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30)을 비롯한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를 수납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연동암(20)이 출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출입홀(7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조절수단(80)은 상기 압축스프링(51)의 타단과 상기 덮개(70)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스프링(51)의 탄성을 조절함으로써 방화도어(D)의 폐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조절수단(80)은 상기 덮개(70)를 관통하는 조절볼트(81)와, 상기 조절볼트(81)와 나선결합되는 고정너트(82)와, 상기 조절볼트(81)의 끝단에 결합되는 가압부재(83)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볼트(81)는 일단이 상기 덮개(70)의 외부로 약간 노출되고, 타단에 상기 가압부재(83)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너트(82)는 상기 덮개(70)의 내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 고정너트(82)가 설치되는 덮개(70)의 특정위치에는 구멍이 뚫려 고정너트(82)와 나선결합된 조절볼트(81)의 일단이 노출된다.
상기 가압부재(83)는 조절볼트(8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51)의 끝단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스프링(51)의 끝단을 'U'자형으로 절곡시켜 가압부재(83)의 일부분을 압축스프링(51)의 'U'자형 부분에 삽입시키면 가압부재(83)와 압축스프링(51)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압축스프링(51)의 끝단을 가압부재(83)에 좀 더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절볼트(81)를 돌려서 상기 덮개(70) 내부로 들어가게 하면, 그 들어간 길이만큼 압축스프링(51)의 끝단은 덮개(70)와 이격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압축스프링(51)에 가하고 있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압축스프링(51)에 가하는 압력이 상승되면 제2연동암(20)이 회동되는 힘을 증가시켜 방화도어(D)가 좀 더 잘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압축스프링(51)의 압력을 줄이고 싶은 경우에는 조절볼트(81)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한편, 케이싱(30)의 일면에는 상기 회로기판(60)과 전선(W)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캠(55)이 회전하여 방화도어(D)가 폐쇄되었을 때 캠(55)과 접촉되는 제1리밋스위치(33)가 설치된다.
상기 제1리밋스위치(33)는 상기 제2감속기(54)의 감속기축(54a)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왕복로드(52)의 걸림턱(52a)을 상기 제2브라켓(32) 쪽으로 밀어낸 캠(55)과 접촉한다. 이렇게 캠(55)과 제1리밋스위치(33)가 접촉되면, 제1리밋스위치(33)와 상기 회로기판(60)이 전선(W)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60)에 캠(55)과 제1리밋스위치(33)가 접촉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고, 그 신호가 입력되면 회로기판(60)은 상기 제2모터(53)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제2모터(53)의 모터축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30)의 타면에는 상기 컨트롤센터(C)와 전선(W)에 의하여 연결되고 방화도어(D)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제2연동암(20)과 접촉되는 제2리밋스위치(34)가 설치된다. 이 제2리밋스위치(34)는 상기 케이싱(30)의 타면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거치대(35)에 고정된다.
방화도어(D)가 폐쇄되면 상기 제2연동암(20)은 상기 덮개(70)의 출입홀(71)을 통하여 덮개(70) 내부로 들어오는데, 이렇게 덮개(70) 내부로 들어온 제2연동암(20)과 제2리밋스위치(34)가 접촉하여 그 신호를 상기 컨트롤센터(C)에 보냄으로써 방화도어(D)가 폐쇄되었음을 알린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방화도어 클로저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화도어(D)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감지센서(S)는 화재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컨트롤센터(C)에 전송하고, 이 신호를 받은 컨트롤센터(C)는 회로기판(60)에 신호를 보내어 제2모터(53)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모터(53)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2모터(53)가 구동되면 제2감속기(54)가 구동하게 되고, 상기 제2감속기(54)의 감속기축(54a)에 연결된 캠(55)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캠(55)이 회전하면 상기 캠(55)에 의하여 압력을 받은 왕복로드(52)의 걸림턱(52a)이 케이싱(30)의 제2브라켓(32) 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동시에 제2기어(45)의 곡선부(45a)에 형성된 기어치에 끼움되어 있던 왕복로드(52)의 일단이 기어치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제2기어(45)는 압축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축스프링(51)은 항상 방화도어(D)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왕복로드(52)의 일단이 제2기어(45)의 기어치로부터 이탈되면 제2연동암(20)이 덮개(70) 내부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제2연동암(20)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41)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41)에 연결되어 있던 제2기어(45)가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제2기어(45)가 회전하면 이에 치결합되어 있는 제1기어(44)가 회전하게 되고, 연이어 제1감속기(43)의 감속기축(43a)과 제1모터(42)의 모터축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모터(42)와 제1감속기(43)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상기 제2기어(45)와 회전축(41)이 천천히 회전되도록 하고, 그 결과로서 상기 제2연동암(20)을 천천히 회동되게 함으로써 방화도어(D)가 천천히 폐쇄되도록 한다. 이 원리를 살펴보면, D.C모터(직류모터)인 제1모터(42)의 양 단자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합선시킨 후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은 채 모터축을 회전시키면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하여 전기가 발생된다. 이렇게 되면 제1모터(42) 내부에 부하가 발생되어 모터축을 천천히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충분히 밝혀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기와 같이 간단히 언급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한편, 상기 제2연동암(20)이 회동하여 덮개(70) 내부에 들어감으로써 방화도어(D)가 폐쇄되면 상기 제2연동암(20)은 제2리밋스위치(34)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제2리밋스위치(34)는 제2연동암(20)과의 접촉을 알리는 신호를 컨트롤센터(C)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센터(C)는 방화도어(D)가 정상적으로 폐쇄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왕복로드(52)의 걸림턱(52a)을 제2브라켓(32) 쪽으로 가압한 이후에 상기 캠(55)은 제1리밋스위치(33)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캠(55)이 제1리밋스위치(33)와 접촉되면, 상기 제1리밋스위치(33)는 접촉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회로기판(60)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회로기판(60)은 컨트롤센터(C)에 신호를 전송하여 더 이상 상기 제1모터(4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전원의 공급을 단 1회만 하여 상기 캠(55)을 1회만 회전시킬 수도 있지만, 안정적인 방화도어(D)의 폐쇄를 위하여 전원의 공급과 차단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복수회에 걸쳐 함으로써 상기 캠(55)이 단속(斷續)적으로 복수회 회전하게 할 수도 있다.
10: 제1연동암 20: 제2연동암
30: 케이싱 31: 제1브라켓
32: 제2브라켓 33: 제1리밋스위치
34: 제2리밋스위치 40: 동력전달부
41: 회전축 42: 제1모터
43: 제1감속기 44: 제1기어
45: 제2기어 45a: 곡선부
45b: 직선부 50: 도어폐쇄부
51: 압축스프링 52: 왕복로드
52a: 걸림턱 52b: 탄성스프링
52c: 고정핀 53: 제2모터
54: 제2감속기 55: 캠
60: 회로기판 70: 덮개
71: 출입홀 80: 탄성조절수단
81: 조절볼트 82: 고정너트
83: 가압부재 C: 컨트롤센터
D: 방화도어 F: 문틀
S: 화재감지센서 W: 전선

Claims (4)

  1. 방화도어(D)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동암(10)과, 일단이 상기 제1연동암(1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동암(20)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클로저에 있어서,
    건물 문틀(F)에 설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되게 제1브라켓(31)과 제2브라켓(32)이 구비된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연동암(20)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전축(41)과,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는 제1모터(42)와, 상기 제1모터(42)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1감속기(43)와, 상기 제1감속기(4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44)와, 상기 회전축(41)에 설치되어 회전축(41)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기어(44)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45)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40)와;
    상기 동력전달부(40)의 회전축(41)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상기 제2연동암(20)에 연결되는 압축스프링(51)과, 상기 케이싱(30)의 제1브라켓(31)과 제2브라켓(32)에 양단이 관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방화도어(D)의 개방시에 일단이 상기 제2기어(45)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걸림되고 중앙 외주면에 걸림턱(5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걸림턱(52a)과 제2브라켓(32) 사이에 탄성스프링(52b)이 설치되는 왕복로드(52)와, 상기 제1모터(42)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는 제2모터(53)와, 상기 제2모터(53)에 구비된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제2감속기(54)와, 상기 제2감속기(54)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상기 왕복로드(52)의 걸림턱(52a)을 상기 제2브라켓(32)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왕복로드(52)의 일단을 상기 제2기어(45)의 기어치로부터 이탈시키는 캠(55)으로 이루어진 도어폐쇄부(50)와;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제2모터(53)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모터(53)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캠(55)이 회전하여 상기 왕복로드(52)의 걸림턱(52a)을 제2브라켓(32) 쪽으로 밀리게 하여 방화도어(D)가 폐쇄되도록 하는 회로기판(60)과;
    상기 케이싱(30)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41)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폐쇄부(50)의 압축스프링(51) 타단이 밀착되며, 상기 제2연동암(20)이 출입될 수 있도록 출입홀(71)이 형성된 덮개(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 클로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에는 상기 회로기판(60)과 전선(W)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캠(55)이 회전하여 방화도어(D)가 폐쇄되었을 때 캠(55)과 접촉되는 제1리밋스위치(33)가 설치되어, 상기 방화도어(D)가 폐쇄되면 상기 회로기판(60)으로부터 상기 제2모터(53)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 클로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에는 상기 회로기판(60)과 전선(W)에 의하여 연결되고 방화도어(D)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제2연동암(20)과 접촉되는 제2리밋스위치(34)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 클로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51)의 타단과 상기 덮개(70) 사이에는 탄성조절수단(80)이 설치되어 상기 압축스프링(51)의 탄성을 조절하되,
    상기 탄성조절수단(80)은 상기 덮개(70)를 관통하는 조절볼트(81)와;
    상기 조절볼트(81)와 나선결합되고 상기 덮개(7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너트(82)와;
    상기 조절볼트(81)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스프링(51)의 타단을 가압하는 가압부재(8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 클로저.
KR1020100064701A 2010-07-06 2010-07-06 방화도어 클로저 KR10103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01A KR101031958B1 (ko) 2010-07-06 2010-07-06 방화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701A KR101031958B1 (ko) 2010-07-06 2010-07-06 방화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958B1 true KR101031958B1 (ko) 2011-04-29

Family

ID=4405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701A KR101031958B1 (ko) 2010-07-06 2010-07-06 방화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725A (zh) * 2018-09-30 2019-01-04 王升级 电动闭门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48A (ko) * 1998-09-04 1999-03-25 이휘웅 안전 도어클로저
KR20040072159A (ko) * 2003-02-10 2004-08-18 유규식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100774017B1 (ko) 2006-05-01 2007-11-08 신현호 도어 클로저
KR20100094783A (ko) * 2009-02-19 2010-08-27 김지환 스토퍼가 구비된 방화도어 클로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48A (ko) * 1998-09-04 1999-03-25 이휘웅 안전 도어클로저
KR20040072159A (ko) * 2003-02-10 2004-08-18 유규식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100774017B1 (ko) 2006-05-01 2007-11-08 신현호 도어 클로저
KR20100094783A (ko) * 2009-02-19 2010-08-27 김지환 스토퍼가 구비된 방화도어 클로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725A (zh) * 2018-09-30 2019-01-04 王升级 电动闭门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693B1 (ko) 도어클로저
MX2023009361A (es) Sistema de puerta con haz de cables dentro de la puerta y marco exterior de puerta para la conexión con dispositivos eléctricos.
ES2260048T3 (es) Instalacion automatica de puerta o ventana.
KR101301912B1 (ko) 창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031958B1 (ko) 방화도어 클로저
KR101534935B1 (ko) 여닫이창문 개폐장치
CN10834376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医疗设备电气安全监控装置
CN103628805A (zh) 一种卷帘门控制装置
KR20160035214A (ko) 창문 개폐장치용 클러치 조립체
KR10104856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방화도어 클로저
DE10200703285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an beweglichen Bauelementen
KR101015713B1 (ko) 도어클로저
CN209785109U (zh) 一种访客机控制用门禁装置
WO2017151011A1 (ru) Дверная петля
US7148798B2 (en) Gate closing timer for security gate override system
US201201128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ic door operator having a wireless safety sensor
CN109184472A (zh) 一种智能防盗窗
CN103643852B (zh) 一种电动窗户自动开闭装置
KR101054529B1 (ko) 도어클로저
JP3844689B2 (ja) 自動ドア
EP1707736A2 (de) Steuervorrichtung zur Schaltung von Stromkreisen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von elektrisch angetriebenen Einrichtungen
CN211313829U (zh) 一种内外窗一体化智能控制装置
CN217925461U (zh) 一种物联网智能闭门器
KR101207678B1 (ko) 도어클로저
CN113685112A (zh) 一种能够监测强风袭来并自动关窗降噪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