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729B1 -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729B1
KR100773729B1 KR1020060049961A KR20060049961A KR100773729B1 KR 100773729 B1 KR100773729 B1 KR 100773729B1 KR 1020060049961 A KR1020060049961 A KR 1020060049961A KR 20060049961 A KR20060049961 A KR 20060049961A KR 100773729 B1 KR100773729 B1 KR 10077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carbon nanotubes
cnt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관한
황창익
Original Assignee
윤관한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관한,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관한
Priority to KR102006004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4Polymerisation in gaseous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0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 (CNT) 0.5 내지 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CNT 나노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PET/CNT 나노복합체는 CNT를 표면 처리하여 PET수지와 CNT사이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게 됨으로서 현재 한정된 PET/CNT 나노복합체의 응용이 더욱 폭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CNT, PET, 나노복합체, 산처리, 반응성기, in-situ 중합법

Description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그 제조방법 { PET composition filled in surface modified multi walled carbon nano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도면 1은 본원 발명의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처리 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2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한 라만 데이터에서 G 밴드의 up-shifting 값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이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탄소나노튜브에 산처리와 유기화재를 이용하여 긴 사슬을 갖게 함으로서 탄소나노튜브 사슬에 PET 수지와 반응성이 우수한 반응성기를 형성시켜 기계적 특성이 증가된 PET/CNT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 과학 기술 분야 중에서 특히 탄소나노튜브는 도체, 반도체, 뛰어난 화학적 안정성, 물리적 강도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기초 연구의 중요성과 산업적 응용성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특성과 장점을 가진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여러 응용분야 중에 특히 탄소나노튜브 분산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탄소섬유나 제올라이트 등을 이용한 고분자 복합체를 사용하여 고강도 플라스틱 및 전자파 차단 플라스틱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 탄소나노튜브는 이들 탄소섬유나 제올라이트에 비해 전도성이 크게 높고, 고분자나 유기 용매 내에서 분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기존의 탄소섬유나 제올라이트를 탄소나노튜브로 대체한다면 복합체의 전기전도성 및 기계적 물성이 매우 뛰어날 수 있다. 현재 전자파 차폐를 위한 방법으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방법, 카본블랙이나 탄소섬유의 고분자 복합체를 이용하는 방법, 무전해 도금법 및 구리나 은을 코팅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들 방법들에 사용되는 전도성 고분자는 유기용매에 낮은 용해성 및 낮은 내열성을 가지며 카본블랙, 탄소섬유, 및 금속 입자들은 고분자내에서 탄소나노튜브에 비해 낮은 분산성, 고중량성 등의 단점들이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소량의 첨가로도 전자파 특성이 크게 개선되며 열적,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동시에 증가된다.
대한 민국 특허출원 10-2004-3527은 탄산나노튜브를 화학적(산처리)으로 처리하여 카르복실 작용기(COOH)를 가지는 탄소나노튜브를 PET에 분산시켜 형성된 CNT/PET 복합체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산처리만 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복합체 필름을 제조하는 연신을 했을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PET수지 안에서 충분히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비가 커지면서 복합체 필름에 작은 구멍이 생기면서 손상이 가게 된다. 따라서 기계적인 성질도 함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 에 산처리와 유기 화재를 이용한 긴 사슬을 갖게 하여 탄소나노튜브 사슬 말단에는 PET 수지와 반응성이 우수한 반응성기를 가질 수 있게 치환한 후 PET 수지 안에 상기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함으로서 PET 수지와 탄소나노튜브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물성이 우수한 PET/CNT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ET/CNT 나노 복합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0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 (CNT) 0.5 내지 2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체에 탄소나노뷰브가 첨가되어 충분한 물성의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0.5wt% 이상은 첨가해야 한다. 그리고 함량이 2wt%를 넘었을 경우 비록 분산을 좋게 해주기 위하여 화학적인 처리를 함에도 불구하고 함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PET수지 안에서 분산이 되지 않아 필름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신작업은 할 수도 없고, 기계적인 물성이 감소된다.
상기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는 산처리와 1,10-diaminodecane와의 반응에 의해 긴 사슬의 반응성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탄소나노튜브(CNT)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2 중량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체와 촉매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축합반응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합성이 되면 자기들 끼리 얽혀 있거나 뭉쳐져 있는데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를 산처리와 긴 사슬의 반응성기를 도입하여 표면처리를 한 후 in-situ 중합법으로 제조되는 PET에 첨가하여 그 안에서 분산을 우수하게 하고 PET수지와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물성이 증가된 PET/CNT 나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순수한 탄소나노튜브에 황산과 질산을 혼합한 용액을 이용하여 산처리를 하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카르복실기가 도입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데, 통상의 아크방전법, 레이저 삭마법, 고온 필라멘트 플라즈마 화학 기상증착법,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 열화학 기상증착법 또는 열분해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산처리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를 환류하는 강산, 예를 들어 질산, 황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용액으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할 수 있는 모든 공지된 산 처리방법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카르복실기를 1, 10-diaminodecane 을 이용하여 반응을 시키면 긴 사슬(long chain)의 반응성기로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면 1은 본원 발명의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처리 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 1을 보면, 최종적으로 표면 처리된 diamine-CNT에 있어 긴 사슬 때문에 얽혀져 있는 탄소나노튜브사이에 공간이 만들어 지게 되고 그 공간 사이로 PET 의 모노머가 들어갈 수 있게 된다. In-situ 중합에 의하여 모노머가 올리고머 상태가 되면서 동시에 탄소나노튜브 에 있는 반응성기와 반응이 되고 마지막 축합 반응이 진행 되면서 얽혀져 있는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산처리를 하고 유기화재에 의해 긴 사슬의 반응성기를 치환시켜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황산 (60%) 300ml와 질산 (60%) 100ml의 혼합액과 탄소나노튜브 3g을 one-neck 플라스크에 넣고 얽혀져 있는 탄소나노튜브를 물리적으로 풀어주기 위해서 sonication을 1시간 한다. 그리고 100℃에서 2시간 동안 refluxing 을 하면 탄소나노튜브 말단이나 표면에 결함이 생기면서 카르복실기가 도입된다. 그 후 황산과 질산 혼합액과 카본 불순물 등을 제거해 주기 위하여 탈 이온수로 세척 및 필터링을 해주고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를 하여 산 처리된 acid-CNT를 얻는다.
1,10-diaminodecane 2g을 N,N-dimethyl formamide (DMF) 300ml에 넣어 110 ℃에서 충분히 녹인 후 산 처리된 acid-CNT 3g을 넣어 48시간 동안 반응을 시켜 최종적으로 긴 사슬의 반응성기로 표면 처리된 diamine-CNT가 제조되고 미 반응물과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이용하여 충분한 필터링을 시키고 진공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표면 처리된 diamine-CNT를 이용하여 in-situ 중합법으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할 경우 PET 수지 안에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이 우수해 지는 것과 PET수지와 탄소나노튜브 간의 반응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hrephthalate, DMT),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EG), 표면 처리 된 diamine-CNT 0.5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DMT, EG, 표면 처리 된 diamine-CNT 1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DMT, EG, 표면 처리 된 diamine-CNT 2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DMT, EG,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DMT, EG, neat-CNT 0.5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 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DMT, EG, neat-CNT 1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DMT, EG, neat-CNT 2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DMT, EG, 산 처리된 acid-CNT 0.5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DMT, EG, 산 처리된 acid-CNT 1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DMT, EG, 산 처리된 acid-CNT 2wt%(DMT와 EG 전체 무게 기준) 그리고 촉매(Tetraisopropyl Orthotitanate) 500ppm을 함께 중합 초자에 넣고 소형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아주 높은 진공 (0.1torr)에서 축합 반응을 약 0.5~1시간 거쳐서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3및 비교예 1~7에 따라 얻어진 PET와 PET/CNT 나노복합체에 대한 기계적 물성에 대한 값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7
인장계수 (MPa) 5171 5368 7349 2513 1903 1544 1354 4803 1863 1794
인장강도 (Mpa) 144 130 78 41 35 25 17 127 118 47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표면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PET/CNT 나노복합체를 제조할 경우 (실시예 1, 2, 3), PET 수지안에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 그리고 PET 수지와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반응성 때문에 순수한 탄소나노튜브의 경우(비교예 2~4)과 산처리만 한 경우(비교예 5~7)보다 기계적 물성인 인장계수와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면 2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한 라만 데이터에서 G 밴드의 up-shifting 값을 나타낸 것이다.
라만(Raman) 데이터에서 G band의 up-shifting은 나노튜브와 메트릭스간의 강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PET/ Diamine-MWNT(1,0wt%)(multiwall nanotube, 다중벽 나노튜브)의 경우 다른 순수 MWNT, PET/acid-MWNT(1.0%), PET/neat-MWNT(1.0%)보다 10 정도 높은 1610cm-1의 up-shifting을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ET/CNT 나노복합체는 CNT를 표면 처리하여 PET수지와 CNT사이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게 됨으로서 현재 한정된 PET/CNT 나노복합체의 응용이 더욱 폭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0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 (CNT) 0.5 내지 2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는 산처리와 1,10-diaminodecane와의 반응에 의해 긴 사슬의 반응성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CNT 나노 복합체.
  2. 삭제
  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탄소나노튜브(CNT)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0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2 중량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체와 촉매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반응 혼합물을 질소분위기 하에서 190℃에서 1시간, 230℃에서 2시간동안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거치고 280℃에서 진공상태를 유지하면서 축합반응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는 산처리와 1,10-diaminodecane와의 반응에 의해 긴 사슬의 반응성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T/CNT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60049961A 2006-06-02 2006-06-02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그 제조방법 KR10077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961A KR100773729B1 (ko) 2006-06-02 2006-06-02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961A KR100773729B1 (ko) 2006-06-02 2006-06-02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729B1 true KR100773729B1 (ko) 2007-11-06

Family

ID=3906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961A KR100773729B1 (ko) 2006-06-02 2006-06-02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7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554B1 (ko) * 2012-11-13 2015-10-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일론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0084A (ko) 2019-08-02 2019-08-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3d 구조를 갖는 탄소소재금속나노입자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9837A (ko) 2018-02-20 2019-08-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3d 구조를 갖는 탄소소재금속나노입자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0646A (ko) * 2020-03-27 2021-10-0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CN117902669A (zh) * 2024-03-20 2024-04-19 杭州山屿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低浓度耦合除氟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8572B1 (en) * 2001-09-14 2003-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2004339407A (ja) * 2003-05-16 2004-12-02 Nissan Motor Co Ltd 樹脂組成物中間体、樹脂組成物、樹脂組成物中間体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50051939A (ko) * 2003-11-28 2005-06-02 한국화학연구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20050075858A (ko) * 2004-01-17 2005-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고탄성률, 전도성 및 전자파 차폐 특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US7037562B2 (en) * 2002-01-14 2006-05-02 Vascon Llc Angioplasty super balloon fabrication with composite materi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8572B1 (en) * 2001-09-14 2003-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7037562B2 (en) * 2002-01-14 2006-05-02 Vascon Llc Angioplasty super balloon fabrication with composite materials
JP2004339407A (ja) * 2003-05-16 2004-12-02 Nissan Motor Co Ltd 樹脂組成物中間体、樹脂組成物、樹脂組成物中間体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50051939A (ko) * 2003-11-28 2005-06-02 한국화학연구원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20050075858A (ko) * 2004-01-17 2005-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고탄성률, 전도성 및 전자파 차폐 특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554B1 (ko) * 2012-11-13 2015-10-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일론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9837A (ko) 2018-02-20 2019-08-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3d 구조를 갖는 탄소소재금속나노입자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0084A (ko) 2019-08-02 2019-08-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3d 구조를 갖는 탄소소재금속나노입자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0646A (ko) * 2020-03-27 2021-10-0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KR102352782B1 (ko) 2020-03-27 2022-01-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CN117902669A (zh) * 2024-03-20 2024-04-19 杭州山屿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低浓度耦合除氟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060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wholly aromatic polyimide powder having an antistatic or conductive property
EP1425166B1 (en) Method of forming conductive polymeric nanocomposite materials and materials produced thereby
JP6096806B2 (ja) 複合炭素素材を含む電磁シールド用樹脂組成物
KR100773729B1 (ko) 표면처리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그 제조방법
Wu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pyrrole/multiwalled carbon nanotube composites
Mallakpour et al. A convenient strategy to functionalize carbon nanotubes with ascorbic acid and its effect on the physical an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poly (amide–imide) composites
KR100895696B1 (ko)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실리콘고무/카본나노튜브 복합체의제조 방법
KR101415255B1 (ko)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한 탄소나노튜브섬유 후처리 방법
KR101471577B1 (ko)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KR101489174B1 (ko) 기능화된 그래핀의 제조방법과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화된 그래핀
KR100665676B1 (ko) 고탄성률, 전도성 및 전자파 차폐 특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Mallakpour et al. Efficient functional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with p‐aminophenol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fabrication of poly (amide‐imide)‐matrix composites
KR101672614B1 (ko) 메타크릴레이트로 개질된 다중벽탄소나노튜브 제조방법
KR101220947B1 (ko) 폴리아크릴로니트릴-탄소나노튜브 복합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복합재
KR101151737B1 (ko) 화학적 처리된 탄소나노튜브/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25375B1 (ko) 탈수소고리화 반응을 이용한 탄소재료의 후처리 방법, 이를 통하여 후처리 된 탄소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복합재료
Mallakpour et al. Rapid and green functional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glucose: structural investigation and the preparation of dopamine-based poly (amide-imide) composites
Ma et al. Preparation of a functional reduced graphene oxide and carbon nanotube hybrid and its reinforcement effects on the properties of polyimide composites
KR100789103B1 (ko)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전도성 및 전자파 차폐 특성을가지는 폴리락타이드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0716A (ko) 분산안정성과 높은 전도성을 갖는 전도성 고분자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코팅액
Zhang et al. Helical polysilane wrapping onto carbon nanotube: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frared emissivity property study
Begum et al. Epoxy functional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polyvinylidene fluoride nanocomposites: Microstructure, morphology, thermal, piezoelectricity and conductivity investigations
JP2007182665A (ja) モジュラスが向上し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ナノ複合繊維の製造方法
JP4947458B2 (ja) 複合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KR101329796B1 (ko)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계 전기 전도성 복합재료용 조성물, 상기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복합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