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577B1 -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577B1
KR101471577B1 KR1020130086695A KR20130086695A KR101471577B1 KR 101471577 B1 KR101471577 B1 KR 101471577B1 KR 1020130086695 A KR1020130086695 A KR 1020130086695A KR 20130086695 A KR20130086695 A KR 20130086695A KR 101471577 B1 KR101471577 B1 KR 101471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arbon nanotube
carbon nanotubes
nanocomposite
pm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클러 커트
프라사드라오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8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1Compounds covalently bound to a solid sup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는 고분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을 단순히 물리적으로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의 측벽에서 고분자와의 공유결합함에 따라 종래 고분자보다 굽힘 강도가 약 90% 이상 증가되고, 탄성계수는 약 120% 이상 증가됨에 따라 고강도 고인성 특성을 요구하는 경량구조재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열적 안정성이 약 1.2-1.5배(약 80 ℃)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불순물 함량이 최대 3% 미만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용매합성법과 달리 정제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산제와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잔류 유기용매의 제거 등의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인한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점이 해결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Nanocomposite preparation by mechanochemical covalent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with polymer for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튜브는 1991년 Iijima에 의해 발견되었고, 흑연면(graphite sheet)이 나노 크기의 직경으로 둥글게 말려 관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관의 지름이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 수준으로 극히 작은 영역의 물질로써,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등의 우수한 물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각종 디스플레이의 전자방출원, X-ray source, 전자소자, 투명전극, 고기능 복합체, 수소전지, 전자파차폐, 바이오센서 등의 응용 분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고, 최근에는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폴리머 복합체는 탄소나노튜브와 관련된 뛰어난 물리적, 온도적 및 전기적 특성 덕택에 다기능 물질로서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탄소나노튜브가 결합된 폴리머에 대한 기계적 특성의 향상은 전도성 폴리머 복합체를 산업분야의 선두로 개발되게끔 할 수 있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 폴리머 복합체는 정전방지 디바이스, 캐패시터, EMI차폐용 재료를 포함한 수많은 용도로의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높은 종횡비, 작은 사이즈, 아주 낮은 밀도, 높은 기계적 강도와 견고성, 높은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를 고성능 및 다기능적 특성을 갖는 고강도 및 경량의 폴리머 나노복합체에 결합하게 되면 탄소나노튜브 폴리머 복합체는 이상적인 강화충전재가 된다.
이렇게 높은 성능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폴리머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으로는 CNT와 용매 또는 폴리머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CNT의 균일한 분산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표면개질에 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었고, 종래 일본 등록특허 제5109129호에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폴리티오펜을 CNT의 표면 개질 고분자 물질로 사용하여 CNT의 비표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카본나노튜브와 고분자 화합물을 진동 분쇄한 카본나노튜브 혼합물을 유기용매 중에서 안정적으로 분산시킨, 장기적인 안정성이 우수한 카본나노튜브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Takashi Kashiwagi 그룹에서는 PMMA/CNT의 분산 계량과 물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서, 분산성이 우수할수록 PMMA/CNT의 물리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Polymer 48 (2007) 4855-4866]. 또한, Satish Kumar 그룹에서는 Polymer/CNT의 복합체는 CNT에 고분자가 포함된 정도에 따라 기계 및 전기적 효과가 결정되며, 용매에 균일한 CNT의 분산이 필요함을 도출하고, 용매 별로 제조된 PMMA/CNT 복합체를 개시된 바 있다[Polymer 46 (2005) 34193424].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은 보통 CNT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매트릭스와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비공유 결합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과 공유결합을 이용하여 CNT표면에 도입하는 화학적인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비공유 결합에 의한 개질은 반 데르 발스힘을 이용하거나(예, CNT-polythiophene, CNT-polylycine 복합체), 고분자로 미리 나노튜브를 둘러싸는(wrapping) 방법과 계면활성을 갖는 화합물로 CNT를 처리하는 방법이 있으나. 비공유 결합 개질에 의한 물리적 CNT의 표면개질은 계면접착력이 다소 저하되어 충분한 응력 전달이 이루어 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편, CNT에 공유결합으로 기능성기(functional group)를 도입하는 화학적 방법은 매트릭스로부터 힘을 효과적으로 CNT에 전달하는 장점이 있지만, 이는 진한 황산/질산액에 CNT를 처리하여 CNT 표면에 극성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 solution 방법이 대다수이고, 상기 solution 방법은 불순물을 발생하여 정제를 거쳐도 여전히 불순물이 5-10 %가 남는 단점이 있으며, solid-state에서 기계 화학적 공정에 의해 CNT에 공유결합으로 기능성기를 도입하는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를 10-30 Hz의 주파수의 초고속 진동 밀링기에서 5-15분 동안 기계적 파쇄 공정을 수행하여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분말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혼합된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분말을 유기용매로 분산시킨 후, 4000-8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물을 메탄올에서 침전시킨 후, 건조하여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0.2-0.5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는 0.2-0.4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고분자는 1 : 0.5-1.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는 고분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을 단순히 물리적으로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의 측벽에서 고분자와의 공유결합함에 따라 종래 고분자보다 굽힘 강도가 약 90% 이상 증가되고, 탄성계수는 약 120% 이상 증가됨에 따라 고강도 고인성 특성을 요구하는 경량구조재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열적 안정성이 약 1.2-1.5배(약 80 ℃)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불순물 함량이 최대 3% 미만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용매합성법과 달리 정제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산제와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잔류 유기용매의 제거 등의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인한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점이 해결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PMMA-SWNT 복합체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a) PMMA, (b) PSC -1 및 (c) PSC -2의 라만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a) PMMA, (b) PSC -1 및 (c) PSC -2의 FT-IR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a) PMMA, (b) PSC -1 및 (c) PSC -2의 UV-Vis 흡수 스펙트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a) PSC-2 및 (b) PSC-1의 PMMA-SWNT 복합체의 TEM 이미지를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a) PMMA 및 (b) 10분 동안 밀링한 PMMA의 GPC 분석(GPC eluograms)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a) PMMA , (b) PSC -1 및 (c) PSC -2의 TGA 곡선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PMMA 및 PMMA-SWNT 나노복합체의 (a) 굽힘 강도 및 (b) 탄성률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
(a)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를 10-30 Hz의 주파수의 초고속 진동 밀링기에서 5-15분 동안 기계적 파쇄 공정을 수행하여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분말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혼합된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분말을 유기용매로 분산시킨 후, 4000-8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물을 메탄올에서 침전시킨 후, 건조하여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0.2-0.5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는 0.2-0.4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고분자는 1 : 0.5-1.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기계화학적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으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불순물 함량이 최대 3% 미만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용매합성법과 달리 정제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산제와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잔류 유기용매의 제거 등의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인한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점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제조방법에서 10-30 Hz의 주파수의 초고속 진동 밀링기에서 혼합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고분자의 분자질량이 줄어들면서 응집되지 않고,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고분자는 1 : 0.5-1.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탄소나노튜브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고분자가 결합되어 그래프트 됨에 따라 열적 안정성이 약 1.2-1.5배(약 80 ℃)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탄소나노튜브의 농도가 고분자 농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에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굽힘강도는 37-40 MPa이고, 탄성계수는 4.5-5.5 GP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제조방법으로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종래 고분자보다 굽힘 강도가 약 90% 이상 증가되고, 탄성계수는 약 120% 이상 증가됨에 따라 고강도 고인성 특성을 요구하는 경량구조재료 등에 유용하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를 UV-분광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반응부위를 확인한 결과, 고분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을 단순히 물리적으로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의 측벽에서 고분자와의 공유결합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보다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고분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블록공중합체, 및 이들의 블렌드 및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고분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술폰, 폴리술폰, 폴리스티렌, 퍼플루오로알콕시, 불소화에틸렌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이들의 블렌드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물, 아세트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아닐린, 벤젠, 벤조니트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글라임, 디메톡시메탄, 에탄올, 에틸아민, 에틸벤젠, 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옥시드, 포름알데히드, 포름산, 글리세롤, 헵탄, 헥산, 요오도벤젠, 메시틸렌, 메탄올, 메톡시벤젠, 메틸아민, 메틸렌, 브로마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메틸 피리딘, 모르폴린, 나프탈렌, 니트로벤젠, 니트로메탄, 옥탄, 펜탄, 펜틸 알콜, 페놀, 1-프로판올, 2-프로판올, 피리딘, 피롤, 피롤리딘, 1,2-디클로로에탄, N-메틸-2-피롤리돈, 메틸 에틸 케톤, 디옥산, 디메틸 설폭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폴리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 나노복합체(이하, PMMA - SWNT 나노 복합체)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의 함량(중량%)이 다른 초기 합성된 상태의 SWNT(P-SWNT)와 0.3 중량%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를 20 Hz의 주파수의 초고속 진동 밀링기에 첨가한 후, 마노셀(agate cell)에서 10분 동안 밀링하고, DMF에 분산시킨 후, 5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후, 메탄올에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진공 건조하여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PMMA-SWNT 나노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PSC-1 PSC-2 PSC-3 PSC-0 PSC-4
SWNT(wt.%) 0.1 0.3 0.4 0 0.9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MMA-SWNT 복합체는 PMMA의 기계적 파쇄를 수행하여 제조된 PMMA 라디칼과 고분자 라다칼에 의한 SWNT의 열린 측벽을 통해 SWNT와 PMMA의 공유결합 기능화를 수행하여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PMMA-SWNT 나노복합체가 형성되었다.
실험예 1: 분광학적 특성 분석
(1)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
SWNT의 공유결합 측벽 기능화를 위한 직접적인 증거는 라만 스펙트럼으로부터 얻어졌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합성된 SWNT의 라만 스펙트럼은 1280 cm-1 가까이에서 작은 부정렬(disorder) 모드(D-밴드)가 나타남과 동시에 PMMA-기능화된 나노튜브는 1590 cm-1에서 큰 접선방향(tangential) 모드(G-밴드)와 관련된 매우 큰 부정렬 모드가 나타났고, 이는 고분자 라디칼과 나노튜브 벽 사이에서 공유결합성 상호작용에 기인할 수 있고, 공유결합 기능화의 증거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라만 공명 증강(Raman resonance enhancement) 역시 기능화 후에 억제되었고, 공유 접합과 일치한다. 나아가, D*로 불리는 D-밴드의 2차 배진동(overtone)은 2538 cm-1에서 나타났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사이의 상호결합은 불순물이 없는 나노튜브와 관련된 고분자 나노복합체에서 종종 D*의 이동에 의해 조사된다. 초기 합성된 상태의 SWNT 스펙트럼에서 시료 PSC-1(실시예 1) 및 PSC-2(실시예 2)는 2538 cm-1의 밴드에서 소극적 이동(negative shift) 또는 낮은 파상수를 나타내었고, 상기 PSC-1 및 PSC-2의 값은 각각 2532 cm-1 및 2527 cm-1이다. PSC-1 및 PSC-2의 D*-밴드에서 소극적 이동은 번들 크기 또는 CNT의 분산의 증가에 관련 있는 나노튜브 상의 라디칼 스트레스에서 환원을 나타내고, CNT와 PMMA 메트릭스 사이의 증가된 상호작용을 야기한다.
(2) FT-IR 분광법
도 2는 PMMA 및 PMMA-SWNT 복합체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상기 피크는 유리된 PMMA 내의 카보닐기(C=O)의 신축 진동과 관련이 있는 약 1779 cm-1에서 나타났고, 다양한 SWNT 농도의 신호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SWNT와 PMMA 메트릭스 사이의 결합강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2(PSC-2)의 경우에서 억제가 우수한 스펙트럼으로부터 명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약 2950 cm-1에서 명확한 변화 또한 확인되었고, 이는 PMMA-결합된 나노튜브로부터 발생한 C-H 결합 진동의 신축 모드와 관련이 있다.
(3) UV-vis 분광법
준비된 PMMA 및 PMMA-SWNT 복합체의 UV-Vis 스페트럼(도 3 참조)은 서로 다른 함량을 포함하는 SWNT의 형태가 사라진 것으로 보이고, 이는 SWNT의 전기적 구조의 일부 파괴를 나타낸다. 이러한 데이터 역시 PMMA가 SWNT의 측벽에 단순히 물리적으로 둘러싸는게 아닌 공유결합으로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실험예 2: 투과 전자 현미경( TEM )
PMMA-그래프트된 SWNT의 디번들링(debundling)은 고분해능 TEM 이미지(도 4 참조)에 의해 관찰되고, 확인되었다. 상기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바와 같이, 실시예 2(PSC-2)의 경우(도 4a 참조) SWNT는 폴리머 메트릭스를 통해 완전하게 사라지면서 미세하게 침지되었고, 이는 상기 복합체 내에서 단일의 보강재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나노튜브의 큰 부피 일부로 하중 전달이 증가된 것과 관련 있다. 또한 PSC-1 시료의 이미지(도 4b 참조)로부터 분명한 것은 폴리머가 SWNT의 측벽 상에 그래프트된 것이다.
실험예 3: 겔 삼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
겔 삼투 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은 PMMA 분자 질량의 밀링 효과를 제공하였다. 상기 분자 질량은 10분 밀링한 PMMA 결과로서 196,000에서 190,000 g/mol로 감소하였다. 복합체 재료는 탄소나노튜브들 사이의 결합력 때문에 실험하지 않았고, 컬럼 패킹 재료로 예측 가능하다.
실험예 4: 열 중량 분석( TGA )
PMMA-SWNT 복합체의 열적 안정성은 도 6에 나타낸 서모그램(thermograms)으로부터 추론하였다. 비교예 1(PSC-0)의 경우에는 190 ℃에서 분해가 시작되었고, 실시예 1(PSC-1) 및 실시예 2(PSC-2)의 경우에는 각각 230 ℃ 및 270 ℃에서 최초 분해가 시작되었다. 상기 결과는 PMMA의 열적 안정성이 SWNT 상에 그래프트 됨에 따라 극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마지막으로 복합체 내의 금속 촉매의 양 역시 거의 3 % 미만이다. 따라서 SWNT 정제의 능률적인 방법을 달성하였다.
실험예 5: 기계적 강도
굴곡 실험은 PMMA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에서 나노 튜브 기능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도 7에 무처리군(유리된 PMMA)과 PMMA-SWNT 나노 복합체의 굽힘 강도 및 탄성계수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SWNT는 유리된 PMMA보다 증강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나노복합체 3 중량% SWNT를 포함하는 PSC-2의 탄성 계수(E)는 유리된 PMMA보다 121 %까지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는 고분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을 단순히 물리적으로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의 측벽에서 고분자와의 공유결합함에 따라 종래 고분자보다 굽힘 강도가 약 90% 이상 증가되고, 탄성계수는 약 120% 이상 증가됨에 따라 고강도 고인성 특성을 요구하는 경량구조재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열적 안정성이 약 1.2-1.5배(약 80 ℃)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있으며, 불순물 함량이 최대 3% 미만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용매합성법과 달리 정제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산제와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잔류 유기용매의 제거 등의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인한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점이 해결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5)

  1.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따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
    (a)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를 10-30 Hz의 주파수의 초고속 진동 밀링기에서 5-15분 동안 기계적 파쇄 공정을 수행하여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분말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혼합된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분말을 유기용매로 분산시킨 후, 4000-8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탄소나노튜브 및 고분자 혼합물을 메탄올에서 침전시킨 후, 건조하여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고분자는 1 : 0.5-1.7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기계화학적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굽힘강도는 37-40 MPa이고, 탄성계수는 4.5-5.5 G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기계화학적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기계화학적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고분자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술폰(PPS), 폴리술폰, 폴리스티렌, 퍼플루오로알콕시(PFA), 불소화에틸렌프로필렌(FE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올레핀(P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이들의 블렌드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기계화학적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물, 아세트산,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아닐린, 벤젠, 벤조니트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글라임, 디메톡시메탄, 에탄올, 에틸아민, 에틸벤젠, 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옥시드, 포름알데히드, 포름산, 글리세롤, 헵탄, 헥산, 요오도벤젠, 메시틸렌, 메탄올, 메톡시벤젠, 메틸아민, 메틸렌, 브로마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메틸 피리딘, 모르폴린, 나프탈렌, 니트로벤젠, 니트로메탄, 옥탄, 펜탄, 펜틸 알콜, 페놀, 1-프로판올, 2-프로판올, 피리딘, 피롤, 피롤리딘, 1,2-디클로로에탄, N-메틸-2-피롤리돈, 메틸 에틸 케톤, 디옥산, 디메틸 설폭사이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의 기계화학적 제조방법.
KR1020130086695A 2013-07-23 2013-07-23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KR10147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95A KR101471577B1 (ko) 2013-07-23 2013-07-23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95A KR101471577B1 (ko) 2013-07-23 2013-07-23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577B1 true KR101471577B1 (ko) 2014-12-11

Family

ID=5267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695A KR101471577B1 (ko) 2013-07-23 2013-07-23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57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961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모간 다중구조를 가지는 탄소 복합소재를 이용한 고분자 불소수지-탄소 분말, 고분자 불소수지-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6662A (ko) * 2018-09-28 2020-04-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종원소 함유 탄소구조체-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2301B1 (ko) 2021-06-25 2021-12-01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실리콘-탄소 고분자 복합체 및 기계화학적 결합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KR102368008B1 (ko) 2021-06-25 2022-03-03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황-탄소 고분자 복합체 및 기계화학적 결합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KR102368009B1 (ko) 2021-06-25 2022-03-04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주석-탄소 고분자 복합체 및 기계화학적 결합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CN116874908A (zh) * 2023-07-18 2023-10-13 广东定通实业有限公司 一种耐高温的pe复合材料及其合成工艺
CN118163449A (zh) * 2023-02-14 2024-06-11 南京绿力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穿刺铝箔袋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8359854A (zh) * 2024-05-23 2024-07-19 湖北森鑫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977A (ko) * 2011-09-16 2013-03-26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977A (ko) * 2011-09-16 2013-03-26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고분자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961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모간 다중구조를 가지는 탄소 복합소재를 이용한 고분자 불소수지-탄소 분말, 고분자 불소수지-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82756B1 (ko) 2018-04-23 2020-02-28 주식회사 모간 다중구조를 가지는 탄소 복합소재를 이용한 고분자 불소수지-탄소 분말, 고분자 불소수지-탄소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6662A (ko) * 2018-09-28 2020-04-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종원소 함유 탄소구조체-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1242B1 (ko) 2018-09-28 2020-10-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종원소 함유 탄소구조체-고분자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2301B1 (ko) 2021-06-25 2021-12-01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실리콘-탄소 고분자 복합체 및 기계화학적 결합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KR102368008B1 (ko) 2021-06-25 2022-03-03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황-탄소 고분자 복합체 및 기계화학적 결합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KR102368009B1 (ko) 2021-06-25 2022-03-04 대진첨단소재 주식회사 주석-탄소 고분자 복합체 및 기계화학적 결합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CN118163449A (zh) * 2023-02-14 2024-06-11 南京绿力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穿刺铝箔袋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874908A (zh) * 2023-07-18 2023-10-13 广东定通实业有限公司 一种耐高温的pe复合材料及其合成工艺
CN116874908B (zh) * 2023-07-18 2024-02-06 广东定通实业有限公司 一种耐高温的pe复合材料及其合成工艺
CN118359854A (zh) * 2024-05-23 2024-07-19 湖北森鑫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管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577B1 (ko)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기계화학적 공유결합 기능화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McIntosh et al. Nanocomposite fiber systems processed from fluorinat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nd a polypropylene matrix
Zhang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graphene films enhanced by homo-telechelic functionalized polymer fillers via π–π stacking interactions
Chen et al. Synthesis of poly (L‐lactide)‐functional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Ponnamma et al. Carbon nanotube based elastomer composites–an approach towards multifunctional materials
Chang et al. Functional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with non-reactive polymers through an ozone-mediat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wide range of high performance polymer/carbon nanotube composites
Giambastiani et al. Functional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with cyclic nitrones for materials and composites: addressing the role of CNT sidewall defects
Lee et al. Carbon nanotubes− polypropylene nanocomposites for electrostatic discharge applications
Wang et al. Nanocomposites based on vapor-grown carbon nanofibers and an epoxy: Functionalization,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US8916651B2 (en)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 for making high-performance carbon nanotube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Liao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reinforced vinyl ester/nanocomposite bipolar plate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Shanmugharaj et al. Influence of aminosilane‐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s on the rheometric, mechanical, electrical and thermal degradation properties of epoxidized natural rubber nanocomposites
Diez-Pascual et al. Carbon nanotube buckypaper reinforce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mposites for electronic applications
KR20150027146A (ko) 매우 낮은 농도의 탄소계 나노충전제를 갖는 복합 재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재료의 용도
Baishya et al. Functionalization of MWCNT and their application in properties development of green wood nanocomposite
US20200168356A1 (en) Conducting polymer composite containing ultra-low loading of graphene
Wang et al. Polymeric carbon nanocomposites from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functionalized with segmented polyurethane
Lu et al. Hybrid formation of graphene oxide–POSS and their effect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poly (aryl ether ketone) composites
Ren et al. Nanocable-structured polymer/carbon nanotube composite with low dielectric loss and high impedance
Cui et al. Doped polyanili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composites: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Kim et al. Polymer wrapping-induced dispersion of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in ethylene glycol under mild sonication
Damian et al. Ethylenediamine functionalization effect on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multiwall carbon nanotubes
US20170058096A1 (en) Methods of making epoxy composites based on fly ash carbon nanotubes
Zha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kylated carbon nanotube/polyimide nanocomposites
Mallakpour et al. Rapid and green functionaliz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glucose: structural investigation and the preparation of dopamine-based poly (amide-imide)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