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765B1 - 광 스위치 - Google Patents

광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765B1
KR100771765B1 KR1020047020335A KR20047020335A KR100771765B1 KR 100771765 B1 KR100771765 B1 KR 100771765B1 KR 1020047020335 A KR1020047020335 A KR 1020047020335A KR 20047020335 A KR20047020335 A KR 20047020335A KR 100771765 B1 KR100771765 B1 KR 10077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reflecting
side light
reflecting means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920A (ko
Inventor
카와모토류지
후쿠다카즈키
타나카히로카즈
오니시테츠야
이마이키요시
나카니시요이치
스즈키유이치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68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force
    • G02B6/3572Magnetic fo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8Latching of the moving element, i.e. maintaining or holding the moving element in place once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includes a mechanically bistable syste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stationary waveguides with moving interposed optical elements
    • G02B6/351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stationary waveguides with moving interposed optical elements the optical element being reflective, e.g. mirror
    • G02B6/351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stationary waveguides with moving interposed optical elements the optical element being reflective, e.g. mirror the reflective optical element moving along a line so as to translate into and out of the beam path, i.e. across the beam pa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4Switching arrangements, i.e. number of input/output ports and interconnection types
    • G02B6/35442D constellations, i.e. with switching elements and switched beams located in a plane
    • G02B6/35481xN switch, i.e. one input and a selectable single output of N possible outpu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82Housing means or package or arranging details of the switching elements, e.g. for thermal iso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출사측 광 전송 수단(24)과, 적어도 1개의 입사측 광 전송 수단(7)과, 출사측 광 전송 수단(24)중 어느 1개에 위치 결정되도록 이동하고, 입사측 광 전송 수단(7)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3)과, 해당 반사 수단(3)을 각 출사측 광 전송 수단(24)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4)을 구비한 광 스위치이다.
광 스위치

Description

광 스위치{OPTICAL SWITCH}
본 발명은 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 스위치로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개평2-149806호 공보).
즉, 병설한 어댑터에 광 파이버를 각각 접속하는 한편, 볼 나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에 광 파이버를 부착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 광 스위치에 의하면 이동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대향하는 광 파이버의 위치를 변경함에 의해 스위칭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광 스위치에서는 이동대에 직접 광 파이버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스위칭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광 전송로인 광 파이버 자체가 이동하는 것으로는 신뢰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근래, 병설되는 광 파이버의 피치가 매우 작아지고 있어(예를 들면, 250㎛),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 경우, 사용되는 광 파이버의 선 지름도 피치에 따라 작게 할 필요가 생기지만, 이와 같은 선 지름의 작은 광 파이버를 이동대에 부착하는 작업은 매우 곤란하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부품 개수가 적은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광 신호의 전환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광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해결 방법과 종래 기술보다 유효한 효과)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광 스위치를 입사측 광 전송 수단과, 복수의 출사측 광 전송 수단과, 출사측 광 전송 수단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이동하고, 그 출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 입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과, 반사 수단을 선택된 상기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반사 수단을 하나로 하여도, 구동 수단에 의해 소망하는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이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상기 입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수단에 의해 반사 수단을 각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대향하도록 이동시키게 하였으므로 부품 개수가 적은 간단하고 염가인 구성임에에도 불구하고 고장이 적고, 광로의 전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광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대하여 상기 반사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면, 고속 전환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범위에 걸쳐 배설된 가압 부 재와, 해당 가압 부재를 작동하여 상기 반사 수단을 이동 가능 또는 이동 불능으로 하는 작동 부재로 구성하면 좋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반사 수단과 함께 이동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범위에 걸쳐 배설되며, 상기 위치 결정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받이부(受部)로 구성하면 좋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받이부는 상기 홈부중 적어도 어느 2개소에 위치하여 상기 반사 수단을 이동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 1 돌출부와, 해당 제 1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의 어느 하나에 맞닿는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위치 결정 받이부에 의한 위치 결정부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에 의한 적어도 3개소의 위치 결정에 의해, 위치 결정부 및 반사 수단을 소망하는 수평면 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홈부에 제 1 돌출부가 위치함에 의해 수평면 내에서의 반사 수단의 경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반사 수단을 입사측 광 전송 수단의 광로와 출사측 광 전송 수단의 광로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고, 광 신호의 송수신 미스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반사 수단의 위치 결정은, 철심에 스풀을 통하여 코일을 권회(卷回)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석의 여자·소자에 의거하여 구동하는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받이부를 동작시켜 행하도록 하면, 기존의 전자석의 구성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염가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 수단 및 상기 위치 결정부는 지지대로부터 늘어나는 탄성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자석은 반사 수단 및 위치 결정부와, 지지대와의 사이에 배설하면,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컴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부재는, 일단부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의 중심(重心)위치를 가압 가능하게 하면, 위치 결정부의 위치 결정을 안정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에의 상기 구동 부재의 고정 위치를, 상기 위치 결정부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게 하면, 정밀도 오차를 흡수하여 소망하는 동작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수단은, 직동형 보이스 코일 모터로 구성하면 좋다.
상기 각 광 전송 수단으로, 출사 또는 입사된 광을 평행하게 하기 위한 코멘트 렌즈를 각각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 수단과 상기 입사측 광 전송 수단을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면 광로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삽입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입사측 광 전송 수단과 상기 출사측 광 전송 수단을 병설 일체화하고, 상기 반사 수단을 상기 입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수광하는 제 1 반사면과, 해당 제 1 반사면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반사함에 의해, 상기 출사측 광 전송 수단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제 2 반사면을 구비한 것을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광 전송 수단의 인출 방향을 1개소에 집약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입사측 광 전송 수단에 출사한 경우라도 동일한 광로 치수가 얻어지도록, 반사부재의 각 반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양 반사면의 작용에 의해 구동 부재에 의한 이동 거리를 대폭적으로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반사 수단은 삼각주형상의 프리즘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프리즘의 일측면은 입사면 및 출사면을 구성하고, 남는 2측면은 반사면을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광로의 방향 변환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 스위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동 부재의 상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광 전송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광 전송 부재의 렌즈 어레이의 성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광 스위치에 채용되는 위치 결정 부재를 도시한 단면 도.
도 6은 위치 결정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광 스위치의 동작 전후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광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광 스위치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한 보이스 코일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12의 A는 도 11의 댐퍼 홀더를 구비한 직사각형 테두리체의 평면도, 도 12의 B는 그 정면도.
도 13의 A는 도 11의 프리즘 홀더의 평면도, 도 13의 B는 그 정면도.
도 14는 V홈 부재와 위치맞춤 부재와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1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 스위치를 도시한다. 이 광 스위치는 세라믹제의 하우징(1) 내에 입사측 광 전송 부재(2), 반사 부재(3), 구동 부재(4), 위치 결정 부재(5)(도 5) 및 출사측 광 전송 부재(6)를 수용한 것이다.
입사측 광 전송 부재(2)는 단일의 입사측 광 파이버(7)(본 발명의 입사측 광 전송 수단에 상당한다)로 구성되어 있다. 입사측 광 파이버(7)는 상기 출사측 광 파이버(24)와는 서로의 광축이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하우징(1)의 측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사측 광 파이버(7)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 9㎛의 코어(8)의 외주부를 클래드(9)에 의해 피복한 직경 125㎛의 것이 사용된다.
반사 부재(3)는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또는 이들의 합금(황동 등)으로 이루어지는 삼각주형상의 것으로, 입사측 광 파이버(7)로부터의 광 신호를 직각으로 방향 변환하고 출사측 광 파이버(24)에 입사시키기 위해 45도 경사한 반사면(10)을 갖는다.
구동 부재(4)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서 접속된 장척(長尺)인 대략 U자형상의 요크(11)의 대향부의 한쪽에 영구 자석(12)을 배설함과 함께, 그 주위에 보이스 코일(13)을 배설한 직동형 보이스 코일 모터(14)로 이루어진다. 요크(11) 및 영구 자석(12)은 하우징(1)에 고정된다. 보이스 코일(13)에는 요크(11) 및 영구 자석(12)의 주위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통형상의 외장체(15)(도 1)가 일체화되고, 이 외장체(15)에 상기 반사 부재(3)가 부착되어 있다. 외장체(15) 는, 하우징(1)에 고정한 지지대(1a)에 4개의 지지 와이어(16)를 통하여 탄성 지지되고, 영구 자석(12) 및 요크(11)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비접촉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반사 부재(3)는 입사측 광 파이버(7)와 동축 위를 왕복 이동 가능하다.
위치 결정 부재(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17)와 작동 부재(18)로 이루어지고, 구동 부재(4)의 측방으로 배설되어 있다. 가압 부재(17)는 상기 외장체(15)를 따라 배설되고, 그 측면에 접리(接離) 가능하다. 작동 부재(18)는 영구 자석(19)의 주위에 권회한 코일(20)을 배설한 것이다. 영구 자석(19)은 그 양단부에 마련한 스프링(21)을 통하여 하우징(1)과 가압 부재(17)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코일(20)에의 무통전시에는 스프링(21)의 가세력에 의해 영구 자석(19)이 가압 부재(17)에 접근하고, 가압 부재(17)가 외장체(15)에 압접하고, 구동 부재(4)의 이동을 저지하여 위치 결정한다. 또한, 코일(20)에의 통전시에는 영구 자석(19)이 가압 부재(17)로부터 멀어지고, 가압 부재(17)가 외장체(15)로부터 떨어지는 결과, 구동 부재(4)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출사측 광 전송 부재(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어레이(22)(다심 광 파이버)와 렌즈 어레이(23)로 구성되어 있다.
광 파이버 어레이(22)는, 복수개의 출사측 광 파이버(24)(본 발명의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상당한다)를 병설 일체화한 플랫 케이블형의 것으로, 하우징(1)의 일단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사측 광 파이버(24)에는 도 4에 도시한 상기 입사측 광 파이버(7)와 마찬가지로 직경 9㎛의 코어(8)의 외주부를 클래드(9)에 의해 피복한 직경 125㎛의 것이 사용되고, 250㎛ 간격으로 8개가 병설 일체화되어 있다.
렌즈 어레이(23)는, 글라스 기판(25)의 배면을 제외한 표면을 투명 수지(26)로 피복한 것으로, 앞에는 상기 각 광 파이버에 대응하는 위치에 콜리메이트 렌즈 (2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렌즈 어레이(23)는 다음과 같이 하여 형성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글라스 기판(25)을 하형(28)의 캐비티(29) 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글라스 기판(25)상에 자외선 경화형의 투명 수지(26)(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를 소정량 공급하고, 상형(30)으로 가압하여 글라스 기판(25)상에 눌러 퍼트린다. 상형(30)은 투광성을 갖는 글라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자외선 램프(31)에 의해 상기 투명 수지(26)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그 후, 상형(30)을 이간시켜 성형품을 취출하고, 버르를 제거함에 의해 렌즈 어레이(23)가 완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26)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이외에 열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4) 및 상기 위치 결정 부재(5)의 구동 제어는 제어 회로(32)(도 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다음에, 상기 광 스위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입사측 광 파이버(7)로부터 어느 하나의 출사측 광 파이버(24)에 광 신호를 출력하는지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 회로(32)로부터 구동 부재(4) 및 위치 결정 부재(5)에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써, 위치 결정 부재(5)의 코일(20)에 전압이 인가되고, 가압 부재(17)가 구동 부재(4)의 외장체(15)로부터 이간한다. 또한, 구동 부재(4)의 보이스 코일 모터(14)에 통전되고, 보이스 코일(13)이 이동한다. 이 경우, 보이스 코일(13)과 일체로 이동하는 반사 부재(3)가 정지하는 위치는 보이스 코일(13)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한 지지 와이어(16)의 복원력 과, 보이스 코일(13)에 공급하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얻어지는 추력이 균형되는 위치이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13)에 공급하는 전류량을 제어함에 의해 반사 부재(3)의 반사면(10)을 소망하는 출사측 광 파이버(24)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위치 결정 부재(5)의 코일(20)에의 통전을 차단하면, 스프링(21)의 가세력에 의해 가압 부재(17)가 구동 부재(4)의 외장체(15)에 가압되어 보이스 코일(13) 즉 반사 부재(3)의 정지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 모터(14)에의 통전을 차단하여도 보이스 코일(13)이 이동하지 않고, 광 신호의 전송 경로가 자기(自己) 유지된다. 이 결과, 입사측 광 파이버(7)로부터의 광 신호를 반사 부재(3)의 반사면(10)을 통하여 소망하는 출력측 광 파이버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보이스 코일 모터(14)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반사 부재(3)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위치 결정 부재(5)에 의해 보이스 코일(13)에의 통전 차단후라도, 확실하게 광 신호를 소망하는 출력측 광 파이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입사측 광 파이버(7)를 하우징(1)에 고정하도록 하였지만, 반사 부재(3)에 일체화하여도 좋다. 이로써, 구동 부재(4)에 의해 반사 부재(3)를 이동시켰다고 하여도 반사 부재(3)로부터 입사측 광 파이버(7)까지의 거리를 항상 일정 치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부재(3)로부터 출사측 광 파이버(24)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입사측 광 파이버(7)로부터 출사측 광 파이버(24)까지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삽입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부재(4)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14)를 사용하도록 하였지만, 반사 부재(3)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도시하지 않은 리드 스크류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고, 도시하지 않은 스테핑 모터로 리드 스크루를 회전시킴에 의해 지지대 및 반사 부재(3)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리니어 초음파 모터 등, 다른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5)의 가압 부재(17)로 구동 부재(4)를 가압하여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가압 부재(17)에 각 출력측 광 파이버에 대응하여 V홈(33)을 형성하는 한편, 보이스 코일(13)에 V홈(33)을 따라 이동하는 위치 결정 핀(34)을 일체화한다. 이로써, 주위 분위기 온도의 영향으로 영구 자석이나 지지 와이어(16)의 특성이 변화하고, 반사 부재(3)의 위치가 어긋났다 하여도, V홈(33)이 위치 결정 핀(34)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반사 부재(3)를 정규의 위치로 교정(矯正)하기 때문에, 광로의 벗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진동/충격이 가하여졌다고 하여도, 그 위치를 유지하는 성능이 향상된다.
(제 2 실시 형태)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광 스위치를 도시한다. 이 광 스위치는 상기 실시 형태와는 다음의 점에서 상위하다.
즉, 입력측 광 파이버(7)가 출력측 광 파이버(24)와 함께 플랫 케이블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송로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즉, 복수개 병설한 광 파이버중 1개를 입력용, 기타를 출력용으로 하여 이용한다. 또한, 반사 부재(3)는 윗면이 대략 V자형으로 삭제됨에 의해 서로 직교하고, 또한, 광 파이버의 광축에 대하여 45도 경사하도록 제 1 및 제 2 반사면(10a 및 1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광 스위치에 의하면, 입력측 광 파이버(7)와 출력측 광 파이버(24)를 단일의 플랫 케이블형상의 전송로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하우징(1)으로부터의 인출 방향을 1개소에 집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측 광 파이버(7)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를 수광하는 출력측 광 파이버(24)의 위치에 따라 반사 부재(3)의 이동 위치를 변경하고, 반사면(10a, 10b)에 있어서의 반사 위치를 조정함에 의해 어느 출력측 광 파이버(24)에 출력하는 경우라도 광로 치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입력측 광 파이버(7)와 출력측 광 파이버(24)의 병설 피치에 따라 반사 부재(3)를 이동시키고, 병설 피치가 작은 경우에는 광 파이버(7, 24)로부터 반사면(10a, 10b)까지의 치수가 커지도록 이동시키고, 역으로, 병설 피치가 큰 경우에는 광 파이버(7, 24)로부터 반사면(10a, 10b)까지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떨어진 광 파이버(7, 24) 사이에서 광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 광 파이버(7, 24)로부터 반사면(10a, 10b)까지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도록 반사 부재(3)를 이동시킨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광 파이버(7, 24) 사이에서 광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 광 파이버(7, 24)로부터 반사면(10a, 10b)까지의 치수가 가장 커지도록 반사 부재(3)를 이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반사 부재(3)의 이동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하여 약 반분으로 억제 할 수 있어, 더욱 응답성에 우수한 구성이 된다.
(제 3 실시 형태)
도 8 내지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광 스위치를 도시한다. 이 광 스위치는 베이스(41)상에 전자석부(42), 구동부(보이스 코일 모터)(43), 입출력부(44)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41)는, 윗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개소(45)에 전자석부(42)가 재치된 지지 오목부(46)와, 입출력부(44)가 배치되는 지지대(47)를 구비한다. 지지 오목부(46)는 양측에 홈부(48)를 구비하고, 그 부근에 복수의 제 1 단자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오목부(46) 부근의 1개소에 릴리프 오목부(41a)가, 2개소에 제 2 단자 구멍(5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47)는 베이스(41)의 윗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한 판형상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가이드 돌기부(51)를 각각 3개소씩 형성한 것이다. 또한, 지지 오목부(46)와 지지대(47)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계합 돌기부(4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자석부(42)는 종래 공지인 전자 계전기에 채용된 전자석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석 장치에서는 상세에 대하여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철심이 대략 U자형으로 굴곡되고, 중앙부에 영구 자석(도시 생략)이 배설되어 있다. 철심에는 스풀을 통하여 영구 자석의 양측 부분에 코일이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은 베이스 블록 내에 수용되고, 영구 자석의 윗면에는 가동 철편(52)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편(52)의 일단 윗면에는 합성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압용 돌출부(53)가 접착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 장치에는 이른 바 자기 유지형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즉, 코일에 통전하지 않은 소자 상태라면, 가압용 돌출부(53)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가동 철편(52)을 회전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코일에 통전하여 여자하면, 반대측에 회전하여 가압용 돌출부(53)를 위로 움직이게 한다. 또한, 전자석부(42)의 양측부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각 단자(42a)는, 상기 제 1 단자 구멍(49)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구동부(43)는,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일단부에 지지대를 구성하는 댐퍼 홀더(55), 타단부에 프리즘 홀더(56)를 각각 마련한 것이다.
직사각형 테두리체(5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측 연접부의 중앙 부분에 나사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연부의 2개소에 상방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고, 댐퍼 홀더(55)를 접착·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편(57, 5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타단측 연접부의 중앙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함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대향하는 대향벽(58, 58)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벽(58)의 대향면에는 좌우로 표리면의 극성을 서로 다르도록 착자(着磁)한 영구 자석(59)이, 각각 다른 극성을 대향시키도록 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타단측 연접부 및 대향벽(58)은 이른바 요크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 한쪽의 대향벽(58)은 일부가 노치됨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는 지지편(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부근에는 상기 베이스(41)의 계합 돌기부(41b)가 계합하는 계합 구멍(54a)이 형성됨과 함께, 위치 결정 받이부가 되는 V홈 부재(61)가 부착되어 있다(도 12의 A, 12B). V홈 부재(61)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면에 복수의 V홈(61a)(여기서는, V홈(61a)이 이루는 각도가 6O˚로 설 정되어 있다.)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V홈(61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병설되는 광 파이버(40)의 1/2피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댐퍼 홀더(55)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U자형이고, 양측의 암부(62)가 측면 및 단면(端面)에 개구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62)의 일단에 지지 와이어(63)가 상하로 2개 부착되어 있다. 암부(62)의 선단의 통형상부(64)에는 겔상태의 댐퍼제(도시 생략)가 충전되고, 삽통하는 지지 와이어(63)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댐퍼제는 암부(62)의 전체가 아니라 선단의 통형상부(64)에만 충전된다. 이 때문에, 댐퍼제에의 보이드(기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 와이어(63)의 댐핑 특성이 향상되고 변형 후의 수속(收束)성이 높아진다. 즉, 지지 와이어(63)가 탄성 변형한 후, 소정의 위치에 안정되기 까지의 수속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댐퍼 홀더(55)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아래쪽을 향하는 한 쌍의 단자(55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암부(62, 62)의 배치에 의해 직사각형 테두리체(54) 내의 개구부분에 기존의 전자석부(42)의 배설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댐퍼 홀더(55)의 중간부는 상기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일단측 연접부 및 거기에 형성한 고정편(57)에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중간부의 윗면에는 2개소에 돌기(65)가 돌출하고, 그들의 사이에는 삽통 구멍(66)이 천공된다. 그리고, 돌기(65)와 삽통 구멍(66)을 이용하여 탄성 부재인 판스프링(67)(도 8)이 부착된다. 판스프링(67)의 일단부는 상기 돌기(65)가 계합하는 제 1 관통 구멍(68)과, 상기 삽통 구멍(66)에 연통하는 제 2 관통 구멍(69)이 각각 형성된 부착편(70)으로 되어 있다. 또한, 댐퍼 홀더(55)의 중간부 윗면과 판스프링(67)의 부착편(70)과의 사이에는 스페이서(71)가 배설되어 있다. 스페이서(71)에는 3개소에 원호형상의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65) 및 상기 삽통 구멍(66)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71)의 매수(두께라도 좋다)를 변경함에 의해 프리즘 홀더(56)에 대한 판스프링(67)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판스프링(67)은, 그 제 2 관통 구멍(69) 및 상기 댐퍼 홀더(55)의 삽통 구멍(66)을 통하여 상기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함에 의해 부착된다. 판스프링(67)은, 그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 하면에 마련된 가압 돌기부(72)로 프리즘 홀더(56)의 중심 위치를 가압하고, 입출력부(44)에 대하여 프리즘(80)을 소망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한편, 판스프링(67)은 그 중간부 하면을 상기 가동 철편(52)의 일단부에 마련한 가압용 돌출부(53)에 의해 압상됨에 의해 프리즘 홀더(56)의 가압 상태를 해제 가능해하게 된다.
프리즘 홀더(56)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권회한 코일(73)이 배설된 직사각형 유지부(74)를 구비한다. 직사각형 유지부(74)의 양측면에는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편(75)이 부착되어 있다. 접속편(75)에는 상기 지지 와이어(63)의 일단부가 로우 솔더링이나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프리즘 홀더(56)는 좌우 2개소에 마련한 상하 2개의 지지 와이어(63)로 탄성 지지되게 되고, 상하 좌우의 각 방향에 대한 프리즘(80)의 경사를 동일하게 유지한 채로 평행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각 접속편(75)에는 상기 코일(73)의 양단부가 각각 솔더링 등에 의해 전기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와이어(63)를 통하 여 코일(73)에 통전할 수 있고, 또한, 전류 방향을 어느 쪽으로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76a는, 접속편(75)에 코일(73)을 솔더링 등에 의해 접속할 때 프리즘 홀더(56)를 지지해 두기 위해 이용된 파지편이다.
또한, 직사각형 유지부(74)의 전후에는 테두리부(76, 78)가 연장되고, 그곳에는 상기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대향벽(58) 및 영구 자석(59)이 각각 삽통되어 있다(도 9). 한쪽의 테두리부(제 1 테두리부)(76)에는 위치맞춤 부재(77)가 마련되어 있다. 이 위치맞춤 부재(77)는 제 1 테두리부(76)에 형성한 개구부에 상방으로부터 장착되고, 상방 평탄부(77a)를 제 1 테두리부(76)의 윗면에 접착 등으로 고정된다. 위치맞춤 부재(77)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경량화를 위한 관통 구멍(77b)이 형성되고, 하면에 광 파이버의 병설 피치의 1/2피치로 제 1 위치 결정 돌기부(77c)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위치 결정 돌기부(77c)는 선단을 단면(斷面)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돌조(突條)로, 상기 V홈 부재(61)중 어느 2개소의 V홈(61a)에 위치한다. 이로써, 베이스(41)에 고정된 V홈 부재(61)에 대하여 위치맞춤 부재(77)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다른쪽의 테두리부(제 2 테두리부)(78)에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79)가 형성되고, 프리즘(80)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부(79)는 프리즘(80)의 아래 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경사부(79a)와 릴리프 오목부(79b)로 구성되어 있다. 프리즘(80)은 하나의 입출력면(80a)과 2개의 반사면(80b, 80c)을 구비하고 있다. 프리즘(80)은 상하면이 연마되고, 입출력면(80a) 및 반사면(80b, 80c)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입출력면(80a)에는 AR 코트(Ahti- Reflection coat)가 시행되어, 통과하는 광의 로스가 저감된다. 반사면(80b, 80c)에서는 프리즘(80)과 주위의 공기와의 굴절율의 차이로부터 광을 모두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테두리부(78)의 하면에는 제 2 위치 결정 돌기부(78a)(도 13의 B)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67)의 가압 돌기부(72)에 가압됨에 의해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지지편(60)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입출력부(4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복수개의 광 파이버(40)가 병설 일체화된 구성이지만, 저면에 양측 2 개소로 돌출하는 다리부(81a)를 구비한 조정판(81)이 일체화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입출력부(44)는 상기 베이스(41)의 지지대(47)에 재치되고, 다리부(81a)가 각 가이드 돌기부(5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위치 조정된다. 즉, 1개의 입사측 광 파이버(40a)로부터 입력한 광이 프리즘(80)에서 반사하고, 프리즘(80)의 이동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어느 1개의 출사측 광 파이버(40b)에 출력될 때의 광량을 측정함에 의해, 이 광량에 가장 큰 값을 얻을 수 있는 위치로 조정한다. 그리고, 지지대(47)와 조정판(81)과의 사이에 주입한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화시킴에 의해 입출력부(44)를 베이스(41)에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 스위치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부(42)의 가동 철편(52)의 일단 윗면에 가압용 돌출부(53)를 접착한다. 그리고, 이 전자석부(42)를 베이스(41)의 지지 오목부(46)에 재치하고, 각 단자(42a)를 베이스(41)의 제 1 단자 구멍(49)에 삽입하여 접착하고, 상기 베이스(4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또한, 댐퍼 홀더(55)의 암부(62)에 지지 와이어(63)를 부착하고, 통형상부(64)에 댐퍼제를 충전하여 고화시켜 둔다. 그리고,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한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일단측 연접부 및 고정편(57)에 댐퍼 홀더(55)를 접착한다. 고정편(57)의 존재에 의해 댐퍼 홀더(55)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타단측 연접부의 대향벽(58)에 서로의 극성이 다르도록 영구 자석(59)을 대향하여 배치하고, 그 부근에 V홈 부재(61)를 고정한다. 직사각형 테두리체(54)는 댐퍼 홀더(55) 등의 장착 완료 후 베이스(41)의 오목개소(45)에 재치한다. 직사각형 테두리체(54)는 오목개소(45)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폭방향으로 계합 구멍(54a)에 계합하는 베이스(41)의 계합 돌기부(41b)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각각 위치 결정된다.
프리즘 홀더(56)의 직사각형 유지부(74)에 권회한 코일(73)을 배치하고, 그 양단부를 양 측면에 고정한 각 접속편(75)에 각각 솔더링한다. 제 1 테두리부(76)에는 위치맞춤 부재(77)를 고정하고, 제 2 테두리부(78)에는 프리즘(80)을 접착한다. 프리즘(80)은 가이드부(79)에 가이드되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프리즘 홀더(56)는 영구 자석(59)을 마련한 대향벽(58)이 각 테두리부(76, 78) 내에 삽입되도록 직사각형 테두리체(54)에 재치된다. 또한, 프리즘 홀더(56)의 접속편(75)에 지지 와이어(63)를 솔더링한다. 지지 와이어(63)의 솔더링에서는 프리즘(80)의 윗면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평탄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영구 자석(59)에 대하여 평행하게 왕복 이동 가능해지도록 위치 조정하여 행한다.
계속해서, 댐퍼 홀더(55)에 스페이서(71)를 통하여 판스프링(67)을 부착한 다. 이 때, 개재시키는 스페이서(71)의 매수를 변경함에 의해 프리즘 홀더(56)에 대한 판스프링(67)의 위치를 조정한다.
즉, 전자석부(42)가 소자 상태라면, 가압용 돌출부(53)가 판스프링(67)으로부터 떨어지고, 판스프링(67)의 가세력에 의해 프리즘 홀더(56)가 압하되도록 조정한다. 이 때문에, 위치맞춤 부재(77)의 제 1 위치 결정 돌기부(77c)가 V홈 부재(61)의 V홈(61a)에 계합함과 함께, 제 2 위치 결정 돌기부(78a)가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지지편(60)에 압접함에 의해 프리즘 홀더(56)가 직사각형 테두리체(54)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전자석부(42)가 여자 상태라면, 가동 철편(52)이 회전하고, 판스프링(67)을 가동 철편(52)의 가압용 돌출부(53)가 밀어 올리도록 조정한다. 이 때문에, 프리즘 홀더(56)의 제 1 위치 결정 돌기부(77c)가 V홈(61a)으로부터 떨어짐과 함께, 제 2 위치 결정 돌기부(78a)가 직사각형 테두리체(54)의 지지편(60)으로부터 떨어진다. 이 결과, 영구 자석(59)에 따라 프리즘 홀더(56)가 왕복 이동 가능해지고, 보이스 코일 모터로서 구동 가능해진다.
그 후, 베이스(41)의 지지대(47)에 입출력부(44)를 재치한다. 그리고, 입출력부(44)를 입사 광 파이버(40a)로부터의 광이 프리즘(80)의 각 반사면(80b, 80c)에서 반사한 후, 출사 광 파이버(40b)에 가장 큰 광량이 출력되도록 위치 조정한다. 소망하는 출력 광량이 얻어지면, 지지대(47)와 조정판(81)과의 사이에 주입한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화시킴에 의해 입출력부(44)를 베이스(41)에 고정한다.
최후로, 베이스(41)에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를 씌우고, 감합면 등을 밀봉하여 내부를 밀봉함에 의해 광 스위치가 완성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광 스위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전자석부(42)가 소자 상태에 있다면, 가동 철편(52)의 일단에 고정한 가압용 돌출부(53)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이 때문에, 판스프링(67)의 탄성력이 가압 돌기부(72)를 통하여 프리즘 홀더(56)에 작용하고, 프리즘 홀더(56)를 하동(下動)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 판스프링(67)의 가압 돌기부(72)는 프리즘 홀더(56)의 중심 위치를 압하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위치 결정 돌기부(77c)가 직사각형 테두리체(54)에 마련한 V홈 부재(61)의 2개소의 V홈(61a)에 계합한다. 이로써, 프리즘 홀더(56), 즉 프리즘(80)의 입출력 면을 광 파이버(40)의 광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제 2 위치 결정 돌기부(78a)가 프리즘 홀더(56)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편(60)에 압접된다. 즉, 제 1 위치 결정 돌기부(77c, 77c) 및 제 2 위치 결정 돌기부(78a)의 3개소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고, 프리즘 홀더(56)의 위치 결정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입사 광 파이버(40a)로부터 입력된 광은 프리즘(80)에서 반사하여 특정한 출사 광 파이버(40b)로 확실하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광로를 변경하는 경우, 전자석부(42)의 코일(73)에 통전하여 여자함에 의해 가동 철편(52)을 회전시키고, 가압용 돌출부(53)에서 판스프링(67)을 밀어올린다. 이로써, 판스프링(67)의 가압 돌기부(72)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고, 프리즘 홀더 (56)는 지지 와이어(63)의 탄성력에 의해 위로 움직이다. 그리고, 제 1 위치 결정 돌기부(77c, 77c)가 V홈 부재(61)의 V홈(61a)으로부터 떨어짐과 함께, 제 2 위치 결정 돌기부(78a)가 지지편(60)으로부터 떨어지고, 프리즘 홀더(56)는 왕복 이동 자유롭게 된다.
그래서, 보이스 코일 모터의 코일(73)에 통전하여 로렌츠력을 발생시킨다. 도 8 중, 좌우(엄밀하게는 좌 경사 위와 우 경사 아래)로 영구 자석(59)간에 발생하는 자력선의 방향이 역전하고, 권회한 코일(73)의 좌우의 위치에서 전류의 방향이 상하 역방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코일(73)에의 통전 방향을 변경함에 의해, 코일(73) 즉 프리즘 홀더(56)에 대하여 좌 또는 우방향중 어느 로렌츠력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코일(73)에 인가하는 전압 크기의 차이에 따라 발생시키는 로렌츠력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73)에서의 전류 방향과 인가 전압을 조정함에 의해 지지 와이어(6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소망하는 위치에 프리즘 홀더(56)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 홀더(56)를 소망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에서 전자석부(42)를 소자하여 가동 철편(52)을 초기 위치로 회전시켜, 판스프링(67)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위치 결정 돌기부(77c 및 78a)가 V홈 부재(61)의 V홈(61a) 및 지지편(60)으로 각각 복귀하고, 프리즘 홀더(56)를 입출력부(44)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프리즘 홀더(56)가 위치 결정된 후 보이스 코일 모터를 소자한다.
이와 같이, 상기 광 스위치에 의하면 기존의 전자석 장치를 이용하면서, 컴 팩트한 박형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 홀더(56)를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하여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응답성이 좋고. 3개소에서 위치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광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석부(42)에 의한 판스프링(67)의 구동을 도 10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행하도록 하였지만,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구성 등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판스프링(67)의 지점(67a)을 중간부분으로 이동시켜 가동 철편(52)의 가압용 돌출부(53)에 의해 가압 돌기부(72)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또한, 도 16에서는 가동 철편(52)의 굴곡시킴, 그 선단 하면에 가압용 돌출부(53)를 설치함에 의해 이 가압용 돌출부(53)에서 직접 구동부(43)(프리즘 홀더(56))를 위치 결정하도록 한다. 도 17에서는 전자석(100)의 여자·소자에 의거하여 가동 철편(52)을 스프링(101)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요동시킴에 의해 구동부(43)를 위치 결정하도록 한다. 도 18에서는 압전 액추에이터(102)를 신축시킴에 의해 가동 철편(52)을 요동시켜 구동부(43)를 위치 결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광 스위치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입사측 광 전송 수단과,
    복수의 출사측 광 전송 수단과,
    출사측 광 전송 수단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이동하고, 그 출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 입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과,
    반사 수단을, 선택된 상기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각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대하여 상기 반사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범위에 걸쳐 배설된 가압 부재와, 해당 가압 부재를 작동하여 상기 반사 수단을 이동 가능 또는 이동 불능으로 하는 작동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4. 입사측 광 전송 수단과,
    복수의 출사측 광 전송 수단과,
    출사측 광 전송 수단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이동하고, 그 출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 입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 수단과,
    반사 수단을, 선택된 상기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각 출사측 광 전송 수단에 대하여 상기 반사 수단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반사 수단과 함께 이동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범위에 걸쳐 배설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받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받이부는 상기 홈부중 적어도 어느 2개소에 위치하여 상기 반사 수단을 이동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 1 돌출부와, 해당 제 1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반사 수단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중 어느 하나에 맞닿는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한 상기 반사 수단의 위치 결정은, 철심에 스풀을 통하여 코일을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석의 여자·소자에 의거하여 구동하는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위치 결정 받이부를 동작시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 및 상기 위치 결정부는 지지대로부터 늘어나는 탄성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자석은 반사 수단 및 위치 결정부와, 지지대와의 사이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의 중심 위치를 가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의 상기 구동 부재의 고정 위치를, 상기 위치 결정부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10. 제 3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직동형 보이스 코일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11. 제 3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 전송 수단에 출사 또는 입사되는 광을 평행하게 하기 위한 콜리메이트 렌즈를 각각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12. 제 3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과 상기 입사측 광 전송 수단을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13. 제 3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광 전송 수단과 상기 출사측 광 전송 수단을 병설 일체화하고,
    상기 반사 수단을 상기 입사측 광 전송 수단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수광하는 제 1 반사면과, 해당 제 1 반사면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반사함에 의해, 상기 출사측 광 전송 수단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제 2 반사면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14. 제 3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은 삼각주형상의 프리즘으로 이루어지고, 해당 프리즘의 일측면은 입사면 및 출사면을 구성하고, 남는 2측면은 반사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스위치.
KR1020047020335A 2002-07-12 2003-07-09 광 스위치 KR100771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4265 2002-07-12
JPJP-P-2002-00204265 2002-07-12
JPJP-P-2003-00010952 2003-01-20
JP2003010952A JP2004094188A (ja) 2002-07-12 2003-01-20 光スイッチ
PCT/JP2003/008687 WO2004008221A1 (ja) 2002-07-12 2003-07-09 光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920A KR20050010920A (ko) 2005-01-28
KR100771765B1 true KR100771765B1 (ko) 2007-10-30

Family

ID=3011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335A KR100771765B1 (ko) 2002-07-12 2003-07-09 광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36266A4 (ko)
JP (1) JP2004094188A (ko)
KR (1) KR100771765B1 (ko)
CN (1) CN1314987C (ko)
CA (1) CA2492493A1 (ko)
WO (1) WO2004008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5799A (ja) 2003-08-07 2005-03-03 Sankyo Seiki Mfg Co Ltd 光スイッチ装置
JP4033116B2 (ja) * 2003-12-03 2008-01-16 オムロン株式会社 光スイッチ装置
JP2006010847A (ja) * 2004-06-23 2006-01-12 Nidec Sankyo Corp 磁気駆動回路および光スイッチ装置
JP3985269B2 (ja) * 2004-09-29 2007-10-03 松下電工株式会社 光スイッチ
KR100775356B1 (ko) * 2006-08-01 2007-11-09 삼성물산 주식회사 자기력 댐퍼
EP2930496B8 (en) 2014-04-10 2021-12-15 Horiba France SAS Raman micro-spectrometry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microscopic objects in a fluidic samp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0420A (ja) * 1986-09-01 1988-03-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モニタ機能付光回線選択装置
JP2002287044A (ja) * 2001-03-26 2002-10-03 Olympus Optical Co Ltd 光路切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4503A (en) * 1978-11-29 1980-06-05 Nec Corp Mechanical photo switch
JPS58194001A (ja) * 1982-05-10 1983-11-11 Fujitsu Ltd 光スイツチ
JPH02149806A (ja) * 1988-11-30 1990-06-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1×n光スイッチ装置
JP3352199B2 (ja) * 1993-02-10 2002-12-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配線切替装置
EP0955559A1 (en) * 1998-04-10 1999-11-10 PIRELLI CAVI E SISTEMI S.p.A. Optical switch
JP4001436B2 (ja) * 1998-07-23 2007-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スイッチ及び光スイッチを用いた光路切換装置
KR100585588B1 (ko) * 1999-03-13 2006-06-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헤드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0420A (ja) * 1986-09-01 1988-03-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モニタ機能付光回線選択装置
JP2002287044A (ja) * 2001-03-26 2002-10-03 Olympus Optical Co Ltd 光路切替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4287044
630604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8221A1 (ja) 2004-01-22
CN1314987C (zh) 2007-05-09
EP1536266A4 (en) 2009-01-07
CA2492493A1 (en) 2004-01-22
EP1536266A1 (en) 2005-06-01
JP2004094188A (ja) 2004-03-25
CN1668958A (zh) 2005-09-14
KR20050010920A (ko) 200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5919B2 (en) Optical switch
US5864643A (en) Miniature 1XN electromechanical optical switch and variable attenuator
US5048912A (en) Optical fiber switching with spherical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4166803A (ja) 多芯リボンテープ光ファイバ可変減衰器
US7212721B2 (en) Variable optical attenuator
US20060280421A1 (en) Variable light attenuator
KR100771765B1 (ko) 광 스위치
JP2001075026A (ja) 反射ミラー形光ファイバスイッチ
JPH11211956A (ja) 光学素子または光学要素の支持装置
US6961485B2 (en) Optical switch
KR100760082B1 (ko) 광스위치
JP4055492B2 (ja) 光スイッチ
KR100722055B1 (ko) 광 스위치 및 광 스위치 유닛
JPH1184274A (ja) 光スイッチ
JP2002502052A (ja) 小型1×n電気機械的光スイッチ
JP2006106302A (ja) 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