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414B1 - 백플러싱 필터 - Google Patents

백플러싱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414B1
KR100771414B1 KR1020027013216A KR20027013216A KR100771414B1 KR 100771414 B1 KR100771414 B1 KR 100771414B1 KR 1020027013216 A KR1020027013216 A KR 1020027013216A KR 20027013216 A KR20027013216 A KR 20027013216A KR 100771414 B1 KR100771414 B1 KR 100771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lushing
backflushing
cock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493A (ko
Inventor
빌리 로트
빌헬름 비에텐
하인즈 신도르프
루디거 렌나르츠
시바그나남 칸디아
Original Assignee
볼 운트 키르히 필터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 운트 키르히 필터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볼 운트 키르히 필터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0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01D29/5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29/90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containing fixed liquid displacement element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3Filter tubes connected to plates
    • B01D2201/0453Filter tubes connected to plates positioned between at least two p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플러시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윤활유 여과에 관한 것이다. 양단(24, 34)이 개방된 필터 캔들(22)이 필터 하우징(11, 22)안에 회전축(1) 주위에 배치된다. 여과중, 상기 캔들의 내부는 백플러시 필터(10)로 들어간 무거운 액체에 의해서 침범된다. 회전축(1)은 세정 장치를 운반한다. 백플러시 작동중 필터캔들(22')을 세정하기 위해서, 상기 세정장치는 회전축(1)을 통해 배출 밸브에 연결되는 상부 플러싱 코크(27)및 하부 플러싱 코크를 가진다. 상부플러싱 코크(27)는 회전방향 각도에서 하부 플러싱 코크에 대해서 오프셋된다. 동승된, 하부 폐쇄 구성(38)은 상기 플러시 코크 반대편에 있는 필터 캔들의 단(23)면을 폐쇄하기 위해서 상부 플러싱 코크에 할당되고, 상부 폐쇄 구성은 상기 플러싱 코크 반대편에 놓여있는 필터캔들의 단면을 폐쇄하기 위해서 하부 플러시 코크에 할당된다. 플러싱 코크 및 폐쇄 구성은 필터 요소(22')가 역류에서, 시간 지연된 방식으로 백플러시 되도록 한다. 플러시 코크 및 폐쇄 요소는 환상 편향 후드(60, 70)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백플러싱 필터{BACKFLUSH FILTER, IN PARTICULAR FOR FILTERING LUBRICANT OIL}
본 발명은 백플러싱(backflushing) 필터, 특히 윤활유 및 연료 여과용 백플러싱 필터에 관한 것이다.
가역 유동 필터는 기계, 엔진, 선박 엔진 등의 연료 및 윤활유 여과용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백플러싱 필터에서, 필터 캔들(candle)은 필터 하우징(housing) 내에서 필터 축선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여과될 슬러지(sludge)는 개방 유입단을 통해서 필터 캔들 내부 공간으로 흘러간다. 이 액체의 부분적 흐름이 여액(filtrate)으로서 필터 캔들 벽을 통해서 여액 공간으로 흐르고, 그곳으로부터 필터 출구로 공급된다. 세정장치가 백플러싱 필터의 연속 작동을 위해서 제공되고, 필터 캔들의 내벽에 침적된 오염물의 입자들을 출구 라인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필터의 중심선에 배치된 회전축에 의해서 필터 캔들에서 필터 캔들로 회전된다. 출구 라인은 유출 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독일 특허 DE 31 15 716 C2는 필터 캔들을 통한 유동이 일 단으로부터 일어나는 필터 캔들을 포함하는 백플러싱 필터를 개시하고, 여기서 세정장치는 각 필터 캔들에 관한 분지 채널이 형성된 하우징 부분 내에서 회전하는 플러싱(flushing) 요소를 포함한다. 플러싱 요소는 복수의 방사상 개구를 포함하는 실린더형 플러싱 드럼 내부에 배치되고, 백플러싱 작동 중 각 분지 채널을 플러싱 채널 또는 슬러지 출구 밸브에 연결한다. 드럼형 플러싱 요소 및 분지 채널을 갖는 하우징 부분은 제조 비용이 높다.
한 백플러싱 필터가 유럽 특허 EP 656 233 B1으로부터 공지되는데, 여기서 여과 작동에서는 유동이 필터 캔들을 통해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발생하고, 백플러싱 작동에서는 유동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발생한다. 필터 요소의 상부 및 하부 유입단은 개방되고 천공판에 배치된다. 오염물 배출 라인에 연결된 L자형 플러싱 코크가 개개의 필터 요소를 세정하기 위해서 백플러싱 작동 중 하부 천공판을 지나서 활주한다. 역-플러싱되는 필터 캔들 내에서 압력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서, 플러싱 코크와 함께 움직이는 쓰로틀 요소가 플러싱 코크에 대해 필터 캔들의 대향 유입단에 배치되고, 백플러싱 작동 중 상기 유입단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이것의 이점은 우선 필터 벽을 통해서 필터 캔들로 역으로 흐르는 여액에 의해서 세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이고, 다음은 내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오염물 입자들이 난류, 횡류에서 슬러지와 함께 여과 방향으로 플러싱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백플러싱 필터는 효율이 높고, 백플러싱 작동에서 여과된 액체의 손실이 상대적으로 적다.
본 발명은 독일 특허 DE-AS 1 299 284를 통해 공지된 백플러싱 필터로부터 미리 특징화한 사항으로 시작한다. 상기 문헌은 필터 하우징에서 회전축 주위에 배치되고 양 단이 개방된 필터 캔들을 포함하는 백플러싱 필터를 개시하고, 이 필터 캔들의 내부 공간은 백플러싱 필터로 흐르는 슬러지에 의해 여과 작동에서 작동될 수 있다.
백플러싱 작동중 개별 또는 그룹으로 필터 캔들의 세정을 위해서, 세정 장치는 회전축에 의해서 이동되고, 회전축을 통해서 배출밸브와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플러싱 코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 1 플러싱 코크는 천공 판에 배치된 상부 필터 캔들 단 위를 이동하고, 다른 플러싱 코크는 하부 천공판에 배치된 하부 필터 캔들 단 위를 이동한다. 필터 캔들이 백플러싱 작동 중에 있을때, 이 필터 캔들의 양 유입단은 플러싱 코크에 의해서 유출 밸브에 연결되고, 그래서 양 유입단에서 역 플러싱이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루어진다. 유출 밸브는 단지 양 플러싱 코크가 필터 캔들의 단들을 패쇄시킬때만 작동된다. 여액의 손실이 백플러싱 작동중에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필터 출력을 가지며, 또한 백플러싱 작동중에 상응하는 높은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백플러싱 필터를 만드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 에서 나타난 발명에 의해서 성취되는데, 제 1 플러싱 코크가 제 2 플러싱 코크에 대해 회전방향 각도에 의해서 오프셋(offset)되고, 반대편 필터 캔들 단부 면에 대한 제 1 및 제 2 폐쇄 요소가 제 1 및 제 2 플러싱 코크와 연결되어 있고, 일체로 움직인다. 회전 방향 각도에 의해서 플러싱 코크를 오프셋하는 것은 필터 캔들이 차분 시간에 양 유입단에서 플러싱 압력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주어진 어느 시점에서, 플러싱 코크에 대한 반대편 유입단(예를 들 면, 상부 플러싱 코크)는 (하부)폐쇄요소에 의해서 폐쇄되고, 그래서 적용된 플러싱 흡입은 전부 일 방향으로 이루질 수 있다. 거기에 관한 차분 시간에서, 필터 캔들은 그 다른(하부) 유입단에서 다른 방향으로 역-플러싱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대편(상부) 유입단이 연결된 폐쇄요소에 의해서 동시에 폐쇄되기 때문에, 플러싱의 다른 방향으로 플러싱 압력이 전부 작용된다. 차분 시간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 백플러싱에 의해서, 보다 높은 플러싱 속도 또는 플러싱 속도 프로파일이 필터의 높이에 걸쳐 성취될 수 있고, 그래서, 특히 양유입단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거기에 작용하는 높은 플러싱 속도에 기인하여 향상된 플러싱 효과가 성취된다.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챔버를 포함하는 편향후드는 필터 캔들 단면에 배치되고, 여기서 복수의 필터 캔들의 유입단은 일 챔버에 연결된다. 이 수단에 의해서, 복수의 필터 요소는 그룹으로 역-플러시 될 수 있으며, 상기 그룹으로의 백플러싱에도 불구하고 플러싱 코크와 편향 후드사이의 접촉면에서의 마모가 상대적으로 적다. 편향 후드는 환상 구조가 바람직하고, 플러싱 코크 및 폐쇄 요소는 편향 후드의 내부 환상 플렌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싱 코크 및 폐쇄 요소는 필터 캔들에 의해서 형성된 필터 서클의 내부 또는 편향 후드의 내부를 움직이므로 상대적으로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
챔버는 원주상에 균일하게 분포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플러싱 코크 및 폐쇄 요소는 환상 플랜지에서 챔버의 개구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래서 챔버들 중의 하나에 연결된 필터 캔들만이 백플러싱 작동 중에 있고, 반면 모든 다른 챔버 또는 필터 캔들은 여과 작동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또 다른 플러싱 코크가 백플러싱 필터의 대향 유입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한정된 회전각에서 각 플러싱 코크 중 하나만이 백플러싱 작동을 위해서 작동되는 한편 다른 플러싱 코크는 비작동되기 위해서, 제1 플러싱 코크는 제2 플러싱 코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오프셋된다. 이로 인해, 유출 밸브를 통해서 가해진 플러싱 압력이 한 챔버에 연결된 필터 캔들의 백플러싱을 위해 완전히 이용될 수 있다. 비작동되는 플러싱 코크는 챔버를 폐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서 비작동 플러싱 코크 근방에 위치된 필터 캔들 또는 챔버는 여전히 여과 작동에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이점은 특히 플러싱 코크가 방사상 플러싱 코크 개구를 포함하고 회전방향으로 그것의 개구 폭은 편향 후드 환상 플랜지의 챔버 개구의 폭보다 작거나 동일하다면 성취될 수 있다. 코크 개구는 챔버 격벽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고, 그래서 플러싱 코크는 상응하는 회전위치에서 비작동된다.
플러싱 코크와 폐쇄 요소가 플러싱 암의 대향 단들을 각각 형성하는 경우 좀더 간단한 형태의 구조로 되고, 여기서 오프셋 각이 플러싱 코크와 폐쇄 요소 사이에 제공된다. 플러싱 코크와 폐쇄 요소 사이의 오프셋 각은 두 플러싱 코크 사이의 각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오프셋 각은 챔버의 끼인각(included angle)의 절반 또는 그것의 정배수(integral multiple)에 대응하고, 그래서 제1 플러싱 코크가 챔버를 완전히 폐쇄할 때 다른 플러싱 코크는 두 챔버 사이의 중심에 위치하고, 따라서 방사상으로 중심 배치된 플러싱 코크 개구가 격벽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플러싱 코크는 횡류에서 백플러싱에 의한 세정공정을 보조하기 위해서 회전방향으로 폐쇄 요소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들과 형태는 종속항과 하기의 실시예의 예시들의 기재로부터 따르며, 이것은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백플러싱 필터를 통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그것의 상부 유입단에서 필터 캔들의 백플러싱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대응하는 개략 단면도이고, 동일한 필터 요소의 다른 시간에 하부 유입단에서 필터 캔들의 백플러싱을 나타낸다.
도 3A는 도 1에서 라인 A-A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1에서 라인 B-B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4A는 도 2에서 라인 C-C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4B는 도 2에서 라인 D-D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 는 필터 하우징(11) 및 하우징 커버(12)를 포함하는 백플러싱 필터의 개략도이다. 삽입 필터(20)는 필터 하우징(11)과 하우징 커버(1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필터축인 회전축(D) 주위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필터 요소(22,22')를 포함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필터 요소(22)는 여과 작동 중이고, 필터 요소(22')는 백플러싱 작동 중이다. 필터 요소(22,22')는 상부 천공판(21)과 하부 천공판(31) 사이에 고정되어, 여과 작동 중에 필터 입구(3)를 통해서 백플러싱 필터(10)로 들어가는 여과될 슬러지가 필터 캔들의 상부 유입단(24)과 하부 유입단(34)으로 흘러들어간다. 슬러지는 필터 요소(22)의 필터 벽을 통해서 내부에서 외부로 흐르고, 여액으로서 여액 챔버(7)로 들어간다. 여액 챔버로부터, 여액은 여액 출구(8)를 통해서 엔진 등에 재공급될 수 있다. 동시에 슬러지는 입구측 슬러지 챔버(6)로부터 천공판(21,31)에 있는 채널 또는 개구(미도시)를 통해 하우징 커버(12)의 내부 공간(5)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의 상부 또는 하부 편향 후드(60,70)가 상부 또는 하부 필터 캔들 단부면(23,33)에 각각 배치된다. 도 3A 내지 4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편향 후드는 원주 상에 균일하게 분포된 복수의 챔버(61,61',71,71')를 포함한다. 도 3A 내지 4B는 또한 복수의 필터 요소(22)가 각 챔버(61,71)에서 방사상 라인(R) 상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고, 개개의 필터 요소인 챔버(61,71)가 방사상 구분 격벽(62,72)에 의해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보여준다. 편향 후드(60,70) 또는 개개의 챔버(61,61',71,71')는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위치된 환상 플랜지(63,73)에서 개방되어, 여과 작동 중 슬러지가 환상 플랜지(63,73)의 개구(64,74)를 통해 챔버(61,71)로 들어가고, 그곳으로부터 필터 요소(22)로 들어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축(1)은 천공판(21,31)에 설치되어 회전축(D)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은 중공이고, 그래서 회전축(1)의 중공 부분은 필터 요소(22')의 백플러싱을 위해서 유출 밸브(미도시)를 통해 주위 압력에 연결될 수 있는 오염물 배출 라인(18)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 중에 고정된 회전축(1)이 상부 제1 플러싱 코크(27)와 하부 제1 폐쇄요소(38)에 부착되고(도 1), 또한 하부 제2 플러싱 코크(37)와 상부 제2 폐쇄 요소(28)에 부착된다. 플러싱 코크(27,37) 안의 중공(27',37')은 각각 오염물 배출 라인(18)에 연결된다. 플러싱 코크(27,37) 및 폐쇄 요소(28,38)는 편향 후드(60,70)의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위치된 환상 플랜지(63,73)를 지나서 이동하고, 환상 플랜지(63,73)와의 접촉면에 내마모 라이닝이 제공될 수 있다. 플러싱 코크(27,37)는 각각 방사상 개구(29,39)를 포함하고, 이것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 후드(60,70)의 높이를 넘어서까지 실질적으로 확장되지만, 이것들은 회전방향으로 편향 후드(60,70)의 환상 플랜지(63,73) 상의 입구 개구(64,74)보다 좁다. 특히, 도 3B 및 4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방향으로 개구(29,39)의 폭은 챔버 격벽(62,72)의 폭과 동일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백플러싱 작동 중인 백플러싱 필터의 영역은 도트-패턴 음영에 의해 표시된다. 도 1 및 도 2에서, 플러싱 흡입은 유출 밸브를 통해서 가해지고, 오염물 배출 라인(18)은 흑색 화살표(S)에 의해 표시된다. 도 1 및 도 2는 상이한 시간의 상황에서 백플러싱 작동을 보여준다. 도 1, 3A 및 3B는 상부 플러싱 코크(27)가 상부 챔버(61')를 밀봉하고, 거기에 필터 캔들(22')이 슬러지 흐름으로부터 연결되고, 그것을 오염물 배출 라인에 연결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여액은 여액 챔버(7)로부터 필터 요소(22')의 벽을 통해서 필터 요소(22')의 내부 공간으로 플러싱 흡입 S에 의한 흡입에 의해서 끌려지고, 그래서 여과 작동 중 내벽에 침적된 오염물 입자들이 분리된다. 여액의 내부 공간으로의 유입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하부 편향 후드(70)의 폐쇄 요소(38)가 상응하게 이들 필터 요소(22')에 연결된 하부 챔버(71')을 폐쇄하여, 도 1에 나타난 상황에서 슬러지는 흡입에 의해서 상부 유입단(24')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하부 유입단(34')을 통해서 필터 내부 공간으로 끌려진다.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 플러싱 코크(27,37) 및 폐쇄 요소(28,38)의 회전 위치 및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도 3A 및 도 3B에 특히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1에 상응하는 시간에서 폐쇄 요소(28)는 상부 플러싱 코크(27)와 함께 상부 플러싱 암(25)을 형성하고, 그것이 비활성되는 위치 즉, 그것이 상부 편향 후드(60)에서 챔버(61)를 폐쇄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도 3A). 하부 플러싱 코크(37)는 패쇄 요소(38)과 함께 하부 플러싱 암(35)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비활성이며, 특히 플러싱 코크(37)의 플러싱 코크 개구(39)는 격벽(72)에 직접 위치되어, 플러싱 코크(37)가 폐쇄된다(도 3B). 즉, 어떤 슬러지도 플러싱 코크 개구(39)를 통해 플러싱 코크(37)로 들어갈 수 없다. 이 효과는, 플러싱 코크(27,37) 및 폐쇄 요소(28,38)가 플러싱 암(25,35)의 대향 단들을 형성하더라도, 이것들 사이에서 오프셋 각 Δ가 존재하기 때문에 성취된다. 이 오프셋 각 Δ은 챔버(6)의 끼인각의 절반에 해당하고 즉, 12개의 챔버를 갖는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것은 15°인 각 Δ에 상응한다(도 3A). 따라서 플러싱 코크(27,37)가 서로 간에 오프셋되는 각도는 회전방향에 따라 165° 또는 195°이다.
도 2, 4A 및 4B는 서로 다른 시간에 하부 유입단(34')에서 동일한 필터 요소(22')의 백플러싱 상황을 보여준다. 플러싱 코크는,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필터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거나 거기에 플랜지되는 전동장치에 의해서 회전된다. 이후 폐쇄 요소(28)는 슬러지로부터 상부 챔버(61')를 밀봉하고, 그래서 여액은 플러싱 코크(37)를 통해서 가해진 플러싱 흡입 S에 의해 필터 요소(22')의 벽을 통과하고, 분리된 침적물은 챔버(71') 및 오염물 라인(18)의 하부 영역을 통해서 유출 밸브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이러한 상황에서 상부 플러싱 코크(27) 상의 코크 개구(29)는 격벽(62)에 의해서 폐쇄되어, 전 플러싱 흡입은 하부 유입단(34')에서 재차 유효하다. 그러므로 각 시간 단위에 대한 백플러싱 유동을 위한 플러싱 흡입은 한 챔버(61',71')로 한정되거나 또는 제한된 수의 필터 요소(24') 및 그것들의 유입단(24',34') 중 하나로 제한된다. 따라서 플러싱 효과는 상당하다.
상기의 백플러싱 작동은 여과 방향에 대한 역류로 작동되고, 또한 난류 및 횡류에 의해서 유출밸브를 도면들에서 예시된 위치에 이르기 전에 짧게 그리고 도면들에서 보여지는 위치에 이른 후 짧게 개방되게 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보조될 수 있고, 그래서 슬러지 서지(surge)가 챔버 및 필터 요소(22')에 짧은 시간안에 들어간다.
발명의 보호의 영역내의 일련의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래서, 편향 후드 및 천공판은 한 단편으로 구성되거나, 편향후드는 천공판에 나사고정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회전축에 회전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는 폐쇄 암을 포함하는 일체성형(one-piece) 또는 다부분 디자인이 또한 폐쇄 요소 및 플러싱 코크에 대해서 선택될 수 있다. 플러싱 코크는 회전 방향으로 폐쇄 요소보다 더 넓게 만들어 질 수 있으며, 그래서 백플러싱 작동에서 폐쇄요소가 더 회전되더라도, 필터 요소로 들어가는 슬러지가 여전히 오염 배출라인을 통한 흡입을 통해서 제거될 수 있다. 플러싱 코크와 패쇄 요소사이의 오프셋은 주어진 오프셋각의 어떤 정배수에 상응하고, 그래서, 플러싱 코크사이의 각도는 또한 상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필터 서클 또는 서클들의 고밀도의 필터 캔들에서, 복수의 플러싱 코크가 또한 각각의 유입단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유입단에서 플러싱 코크는 각각에 대해서 배치될 수 있고, 그래서 필터 캔들은 연속적으로 직접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역 플러싱될 수 있다. 더 높은 필터 캔들 밀도를 성취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필터가 내부 필터 서클상에서 보다 외부 필터 서클상에 배치될 수 있다.

Claims (15)

  1. 양단이 개방되고, 필터 하우징 내에서 회전축(1) 둘레에 배치된 필터 캔들(22,22'); 및 상기 회전축(1)에 의해 움직이고, 백플러싱 작동 중 상기 필터 캔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집단으로 세정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을 통해서 출구 밸브와 소통하는 2개 이상의 플러싱 코크를 포함하는 세정장치;를 포함하는 백플러싱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캔들의 내부 공간은 상기 백플러싱 필터로 유동하는 슬러지에 의해 여과 작용시 작동할 수 있고, 제1 플러싱 코크(27)는 한 필터 캔들 단면(23)과 연관되고 제2 플러싱 코크(37)는 다른 필터 캔들 단면(33)과 연관되며, 상기 제1 플러싱 코크(27)는 상기 제2 플러싱 코크(37)에 관하여 회전방향 각으로 오프셋되고, 대향하는 상기 필터 캔들 단면(23,33)에 관한 제1 및 제2 폐쇄 요소(28,38)가 상기 제1 및 제2 플러싱 코크(27,37)와 연관되어 이것들과 함께 움직이며,
    챔버(61,71)를 포함하는 편향 후드(60,70)가 상기 필터 캔들 단면(23,33)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싱 코크(27,37) 및 상기 폐쇄 요소(28,38)가 상기 편향 후드(60,70)의 방사상 내부 환상 플랜지(63,73)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필터 캔들(22)의 유입단(24,34)이 챔버(61,7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후드(60,70)가 환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61,71)가 원주 상에서 균일하게 분포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코크(27,37) 및 상기 폐쇄 요소(28,38)가 상기 플랜지(63,73)에서 챔버(61,71)의 개구(64,74)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싱 코크(27)가 상기 제2 플러싱 코크(37)에 관하여 오프셋되어, 한정된 회전 상태에서 상기 플러싱 코크(27,37) 중 하나만이 백플러싱 작동을 위해 작동되고 다른 하나는 비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코크(27,37)가 방사상 플러싱 코크 개구(29,39)를 포함하고, 회전방향으로 상기 개구(29,39)의 폭이 상기 편향 후드(60,70)의 상기 플랜지(63,73)에서 챔버 개구(64,74)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 개구(29, 39)의 폭이 상기 플랜지(63,73)에서 챔버 격벽(62,72)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코크(27,37) 및 상기 폐쇄 요소(28,38)는 각각 플러싱 암(25,35)의 대향 단들을 형성하고, 여기서 오프셋 각(Δ)이 상기 플러싱 암(25,35)의 상기 플러싱 코크(27,37)와 상기 폐쇄 요소(28,38) 사이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각(Δ)이 챔버(61,71)의 끼인각의 절반인 각 또는 상기 절반인 각의 정배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싱 코크(27) 및 제1 폐쇄 요소(38)가 회전 이동 중 동일한 필터 캔들(22') 또는 관련 챔버(61',71')와 동시에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러싱 코크(27,37)가 공통의 중앙 중공 회전축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캔들(22')이 세정 장치에 의해서 반대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및 선택적으로 역-플러싱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캔들(22)이 상기 챔버(61,71)에 부착되어 방사상 선(R)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코크는 회전방향으로 상기 폐쇄 요소보다 넓게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플러싱 필터.
KR1020027013216A 2000-05-19 2001-05-17 백플러싱 필터 KR100771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4401.7 2000-05-19
DE10024401A DE10024401A1 (de) 2000-05-19 2000-05-19 Rückspulfilter, insbesondere für die Schmierölfilterung
PCT/EP2001/005615 WO2001089659A1 (de) 2000-05-19 2001-05-17 Rückspülfilter, insbesondere für die schmierölfilt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493A KR20030007493A (ko) 2003-01-23
KR100771414B1 true KR100771414B1 (ko) 2007-10-30

Family

ID=764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216A KR100771414B1 (ko) 2000-05-19 2001-05-17 백플러싱 필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90434B2 (ko)
EP (1) EP1286743B1 (ko)
JP (1) JP3863428B2 (ko)
KR (1) KR100771414B1 (ko)
CN (1) CN1187109C (ko)
AU (1) AU7404501A (ko)
DE (2) DE10024401A1 (ko)
WO (1) WO20010896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42B1 (ko) * 2010-12-24 2013-06-04 최쌍석 자동 부분 역세척이 가능한 미립자 여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4660A1 (de) * 2002-09-23 2004-04-01 Boll & Kirch Filterbau Gmbh Filterkerze für Rückspülfilter
DE10244292B4 (de) * 2002-09-23 2008-06-12 Boll & Kirch Filterbau Gmbh Verwendung von Filterelementen in Rückspülfiltern
DE202004005849U1 (de) * 2004-04-08 2005-05-25 Boll & Kirch Filterbau Gmbh Rückspülfilter insbesondere für Kühlschmierstoffe
FR2889666B1 (fr) * 2005-08-11 2008-06-06 Remy Nicolas Basile Mangano Dispositif auto-nettoyant de filtration de fluide
DE102006026077A1 (de) 2006-06-03 2007-12-06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luidsystem
JP2009034656A (ja) * 2007-08-01 2009-02-19 Ts & C:Kk 逆流洗浄式円筒形濾過装置
DE102007054737A1 (de) * 2007-11-16 2009-05-20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08024583B4 (de) * 2008-05-21 2021-08-12 Boll & Kirch Filterbau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Filtereinrichtung und Filtereinrichtung
US20100109334A1 (en) * 2008-11-06 2010-05-06 Ge Wind Energy Gmbh Wind turbine fluid filtering system
KR101310949B1 (ko) * 2010-12-21 2013-09-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Rf 플라즈마를 이용한 몰리브덴 금속 나노분말 제조방법
DE102012210900A1 (de) * 2012-06-26 2014-01-02 Hengst Gmbh & Co. Kg Flüssigkeitsfilter mit einem zentralen Ablasskanal und Filtereinsatz für einen Flüssigkeitsfilter
JP5916536B2 (ja) * 2012-06-27 2016-05-11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生物捕捉除去装置及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
US8968558B2 (en) 2012-11-26 2015-03-03 Eaton Corporation Backwashing fluid filtering system
KR101364628B1 (ko) * 2013-02-26 2014-02-19 주식회사 크로시스 연속 분할식 역세척 여과장치
JP6084071B2 (ja) * 2013-02-28 2017-02-22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ラスト水用海水濾過装置
DE102013008667B4 (de) * 2013-05-17 2017-02-23 Viktor Holstein Selbstreinigender Schmutzfänger und Verfahren zu dessen Reinigung
KR102055954B1 (ko) * 2013-11-29 2019-12-16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필터장치
CN104014178B (zh) * 2014-06-18 2015-11-11 孙坤波 一种自动反冲洗润滑油过滤装置
KR101561412B1 (ko) * 2015-04-28 2015-10-16 (주)한양에프앤이 역 세척방식을 구비한 여과장치
JP6448568B2 (ja) * 2016-03-02 2019-01-09 東洋スクリーン工業株式会社 連続ろ過装置
EP3263203A1 (de) * 2016-07-01 2018-01-03 BWT Aktiengesellschaft Rückspülfilter
CN106955525A (zh) * 2017-04-29 2017-07-18 贵州大学 一种管道内滤网高效反向清洁装置
CN109200658B (zh) * 2018-11-16 2021-11-30 蚌埠碧水蓝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过滤装置
CN111974060A (zh) * 2020-08-08 2020-11-24 高元琴 污水处理设备及方法
CN113617099A (zh) * 2021-08-11 2021-11-09 黄为可 一种用于过滤滑油和燃油的全自动反冲洗自清洁滤器
CN114130082B (zh) * 2021-12-22 2023-04-07 渤瑞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废工业润滑油再生的过滤精制装置
CN114768352A (zh) * 2022-05-20 2022-07-22 青岛高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线切割机的切割液循环系统的自动清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757A (ko) * 1996-11-14 1998-08-17 모리나가마사아키 여과기의 필터 요소
KR20000015973A (ko) * 1996-06-04 2000-03-25 싱어리 데니스 연료 여과기_
EP1299284B1 (en) * 2000-07-06 2004-09-15 COMARME Marchetti F.A. S.p.A. Taping unit for carton tap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37838A (fr) 1965-06-11 1966-05-06 Filtr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nettoyage automatique pour tous fluides
US3280980A (en) 1966-01-03 1966-10-25 William R King Self-cleaning filter
US3318452A (en) 1966-02-01 1967-05-09 Renard P Adams Backwash means for an open ended multiple tube filter assembly
DE2605384C3 (de) * 1976-02-26 1981-04-30 Penzenskij zavod chimičeskogo mašinostroenija, Penza Flüssigkeitsfilter
DE3115716A1 (de) 1981-04-18 1982-11-04 Boll & Kirch Filterbau GmbH, 5014 Kerpen "rueckspuelfilter"
RU2082484C1 (ru) 1993-10-26 1997-06-27 Шутков Евгений Алексеевич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фильтра противотоком
DE4345412C2 (de) 1993-11-26 1999-11-11 Boll & Kirch Filter Filterkerze
FI107021B (fi) * 1999-09-20 2001-05-31 Parker Hannifin Oy Suodatuslaitteisto ja menetelmä sen suodatinelementtien huuhtelemiseks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973A (ko) * 1996-06-04 2000-03-25 싱어리 데니스 연료 여과기_
KR19980041757A (ko) * 1996-11-14 1998-08-17 모리나가마사아키 여과기의 필터 요소
EP1299284B1 (en) * 2000-07-06 2004-09-15 COMARME Marchetti F.A. S.p.A. Taping unit for carton tap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42B1 (ko) * 2010-12-24 2013-06-04 최쌍석 자동 부분 역세척이 가능한 미립자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7109C (zh) 2005-02-02
KR20030007493A (ko) 2003-01-23
US20030136715A1 (en) 2003-07-24
AU7404501A (en) 2001-12-03
DE50107915D1 (de) 2005-12-08
EP1286743B1 (de) 2005-11-02
DE10024401A1 (de) 2001-11-22
WO2001089659A1 (de) 2001-11-29
JP3863428B2 (ja) 2006-12-27
US6890434B2 (en) 2005-05-10
JP2003534114A (ja) 2003-11-18
CN1422171A (zh) 2003-06-04
EP1286743A1 (de)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414B1 (ko) 백플러싱 필터
US4518501A (en) Flush-back filter
KR100752406B1 (ko) 여과 장치
KR100513356B1 (ko) 연속-작동 여과 방법 및 장치
WO2012104746A1 (en) Reversible-flow filter with scavenging device
EP2922606B1 (en) Backwashing fluid filtering system
US4415448A (en) Flush-back filter
KR20100097108A (ko) 필터 장치
CN111565813B (zh) 过滤器设备
US4636311A (en) Multiple filters with flow-reversing rotary valve set
CA2208670C (en) Spin-on liquid filter with unique straight through flow path
US4172795A (en) Centrifugal pressure filter with horizontal filter disks
WO2008156657A1 (en) Filter assembly center tube with upstream diverter
JPH03106A (ja) 洗滌式濾過機
CN201064690Y (zh) 自清洗过滤器
JP6468411B1 (ja) ダブルストレーナ型濾過機
JPS63137711A (ja) ロ−タリ弁およびこのロ−タリ弁を内蔵した濾過器
KR0127417Y1 (ko) 액상형태 물질의 연속 여과장치
JP2019082254A (ja) 切換え弁
SU1636019A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 фильтр
US3491890A (en) Double pass,single element straining apparatus
SU1095946A1 (ru) Погружной фильтр
SU1060205A1 (ru)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H0693965B2 (ja) 逆洗式フイルタ
SU1457965A1 (ru) Масл ный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