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618B1 - 헤드셋 - Google Patents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618B1
KR100770618B1 KR1020037006452A KR20037006452A KR100770618B1 KR 100770618 B1 KR100770618 B1 KR 100770618B1 KR 1020037006452 A KR1020037006452 A KR 1020037006452A KR 20037006452 A KR20037006452 A KR 20037006452A KR 100770618 B1 KR100770618 B1 KR 100770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housing
headset
transceiver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142A (ko
Inventor
뵈게스코브얀센톰
랄센얀
Original Assignee
쥐엔 넷컴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쥐엔 넷컴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쥐엔 넷컴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3004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송수신 폼 팩터 디자인을 복수개의 하우징 스타일과 이용하는 헤드셋 및 헤드셋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동일한 송수신기를 상이한 하우징 스타일과 이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며, 이와 동시에 보다 폭 넓고 다양한 선택권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셋{HEADSET}
본 발명은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복수의 하우징 스타일을 갖는 단일 송수신기 폼 팩터(form-factor) 디자인을 사용하는 헤드셋 및 헤드셋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드셋은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스피커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 부근에 배치한 장치이다. 헤드셋은 동작중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통상적으로 전화 교환원이 착용하며,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게임(gaming) 및 음성의 전화기 용도로 착용하는 일이 늘고 있다. 또한, 휴대폰 사용자도 점점 더 헤드셋을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헤드셋(100)을 예시하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100)은 세장형(細長型)의 지지 부재(110), 지지 부재(110)의 일단부에 결합된 스피커(112), 및 지지 부재(110)의 대향 단부에 결합된 마이크(114)를 갖는다.
헤드셋(100)은 지지 부재(110)에 결합된 위치 고정 부재(116)도 갖는다. 위치 고정 부재(116)는 귀에 걸어 착용하도록 디자인되어 있고, 지지 부재(11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부분, 이 제1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각진 제2 부분, 및 이 제2 부 분에 결합되어 있는 활 형상의 제3 부분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귀형(ear-type)의 헤드셋 외에, 헤드 밴드(head band)를 이용하여 지지 부재, 즉 스피커와 마이크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헤드셋도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헤드 밴드형 지지 부재에 있어서, 스피커는 한쪽 귀에 위치하고 있고, 헤드 밴드가 머리 너머로 연장하여 반대쪽 귀에 안착하는 패드형 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또 다른 통상적인 유형의 헤드셋은, 때때로 소프 온 어 로프(soap-on-a-rope)라고 칭하고, 귀 속에 또는 귀 부근에 위치하는 스피커와, 이 스피커를 전화기나 컴퓨터에 결합하는 전선 상의 어딘가에 위치하는 마이크를 이용한다. 이 소프 온 어 로프형의 헤드셋은 매우 콤팩트하고 이동이 용이하긴 하지만, 흔히 사용자의 옷에 클립핑하는 마이크의 위치는 과잉 배경 잡음에 민감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하우징 스타일을 갖는 단일 송수신기 폼 팩터 디자인을 이용하는 헤드셋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복수의 하우징 스타일을 갖는 단일 송수신기 폼 팩터를 이용함으로써, 개발 비용, 제조 비용 및 시장 출시 시기를 절감 및 단축하는 동시에, 보다 폭넓고 다양한 선택권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소비자가 제1 헤드셋을 취득한 후에는, 상기 제1 헤드셋의 송수신기는 소비자가 착용하길 원하는 어떠한 하우징으로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추가의 송수신기를 구매하는 일이 없이, 추가의 하우징을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드셋 제조 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복수개의 송수신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 송수신기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변환기,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입력 음향에 응답하여 전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변환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헤드셋 제조 방법은 상이한 하우징 스타일을 갖는 복수개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헤드셋 제조 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송수신기를 하우징에 장착하여 송수신기를 상이한 하우징 스타일에 장착하는 단계도 포함한다. 이것은, 다시, 동일한 송수신기 디자인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상이한 외형을 갖는 상이한 헤드셋을 구성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헤드셋 제조 방법은 하우징 스타일을 사용자 집단에게 전시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주문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우징의 스타일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헤드셋 제조 방법은 복수개의 제1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헤드셋 집합체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 각각은 내부 공동(空洞; cavity)을 갖는다. 헤드셋의 컬렉션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복수개의 송수신기도 포함한다. 송수신기는 각 제1 하우징의 내부 공동 및 각 제2 하우징의 내부 공동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헤드셋(100)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제조 방법(200)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300)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예의 폼 팩터를 예시하는 송수신기(400)의 대향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예의 폼 팩터를 예시하는 송수신기(500)의 대향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600)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700)의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800)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900)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1000)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지 구조체(1100)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지 구조체(1200)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지 구조체(1300)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구조체(클립)(1300)의 이용을 예시하는 헤드셋(1400)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제조 방법(1500)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제조 방법(2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 제조 방법(2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폼 팩터를 갖는 복수개의 송수신기를 생성하는 단계(210)를 포함한다. (폼 팩터는 동일하지만 제조시의 허용 오차 때문에 약간의 변형이 있는 송수신기들을 동일하다고 간주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300)를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300)는 수신 음향 신호 SS1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변환기(310), 및 수신(입력) 음향에 응답하여 전기 음성 신호 SS2를 출력하는 마이크 변환기(312)를 포함한다.
또한, 점선 L1 및 L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300)는 스피커 변환기(310) 및 마이크 변환기(312)에 결합되는 신호 처리 회로(314)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회로(314)는 스피커 변환기(310) 및 마이크 변환기(312)를 전화기 또는 컴퓨터와 같은 통신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인터페이스 결합하는 데 필요한 신호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 회로(314)는 필터링, 리미팅(limiting) 및 반향 소거와 같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점선 L3 및 L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300)는 신호 처리 회로(314)에 결합되는 무선 송수신 회로(316)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 회로(316)는 결합선을 이용하는 일없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처리된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314)로부터 통신 장치로 전송하며, 호환 신호를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 처리 회로(314)로 전송한다. 또한, 점선 L5 및 L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변환기(310) 및 마이크 변환기(312)는 선택적으로 무선 송수신 회로(316)에 직접 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는 단일 폼 팩터를 갖도록 생성된다. 송수신기는 단일 폼 팩터를 갖도록 생성했지만, 폼 팩터는 세장형(細長型) 형상, 원 형상, 사각 형상, 또는 상어 지느러미 형상과 같은 평평한 적층식 형상과 같은 소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예의 폼 팩터를 예시하는 송수신기(400)의 대향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400)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세장형(細長型)의 몸체(410)를 갖는다. 또한, 송수신기(400)는, 스피커 변환기를 수용하며 세장형(細長型)의 몸체(410)의 제1 단부에 결합된 부재(412), 및 마이크 변환기를 수용하며 세장형(細長型)의 몸체(410)의 제2 단부에 결합된 돌출부(414)도 갖는다.
송수신기(400)의 세장형(細長型)의 몸체(410)는, 마이크 변환기에 대한 스피커 변환기의 위치가 각각 변화가능하거나 고정되도록 가요성 또는 강체일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가 무선 송수신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외부선(416)은 송수신기(400)에 결합되어 통신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로의 결합을 제공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예의 폼 팩터를 예시하는 송수신기(500)의 대향 사시도를 도시한다. 송수신기(500)는 송수신기(400)와 유사하며, 그 결과 양 송수신기에 공통인 구조체를 지시하는데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500)는 마이크 변환기를 수용하는 돌출부(514)를 갖는 점이 송수신기(400)와 상이하다. 돌출부(414)가 송수신기(40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것과는 달리, 돌출부(514)는 송수신기(500)의 단부로부터 송수신기(500)의 세로축을 따라 연장한다.
전술한 바에 덧붙여, 단일 폼 팩터를 갖는 복수개의 송수신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달리 동일한 폼 팩터를 갖는 복수개의 수신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가서, 헤드셋 제조 방법(200)은 상이한 스타일을 갖는 복수개의 하우징을 생성하는 단계(212)도 포함한다. (단계 210 및 단계 212는 소정의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 하우징 스타일들은 상이하지만, 각 하우징은 본 발명의 변환기와 협동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600)의 대향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0)은 내측면(612)을 갖는 제1 절반부(610)와, 내측면(616)을 갖는 제2 절반부(614)로 이루어진 투피스(two-piece)형 구조체이다.
제1 절반부(610)와 제2 절반부(614)를 서로 결합한 경우, 하우징(600)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세장형(細長型)의 몸체로 된다. 또한, 내측면(612)과 내측면(616)은, 제1 단부에 복수개의 개구(620)를 갖고 제2 단부에 하나의 개구(622)를 갖는 내부 공동(618)을 형성한다.
내부 공동(618)은 송수신기(400 또는 500)와 같은 송수신기를 수납하는 한편, 스피커 변환기로부터의 음향은 개구(620)를 통해서 외부계(external world)로 배출된다. 개구(622)는 다시 음향을 송수신기의 마이크 변환기로 향하게 한다. 또한, 이어 피스(ear piece)(624)와 같은 복수개의 구조체 중 어느 하나의 구조체가 하우징(600)에 결합되어 하우징(600)을 사용자의 귀 부근에 위치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7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700)도 내측면(712) 및 외측면(714)을 갖는 제1 절반부(710)와, 내측면(718)을 갖는 제2 절반부(716)로 이루어진 투피스형 구조체이다.
제1 절반부(710)와 제2 절반부(716)를 서로 결합한 경우,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하우징(700)의 세장형(細長型) 몸체는 하우징(600)의 세장형(細長型) 몸체보다 짧다. 또한, 내측면(712)과 내측면(718)은, 제1 단부에 복수개의 개구(722)를 갖고 제1 절반부(710)의 제2 단부에 있어서의 외측면(714)에 하나의 개구(724)를 갖는 내부 공동(720)을 형성한다.
내부 공동(720)은 송수신기(400 또는 500)와 같은 송수신기를 수납하는 한편, 스피커 변환기로부터의 음향은 개구(722)를 통해서 외부계로 배출된다. 개구(724)는 다시 음향을 송수신기의 마이크 변환기로 향하게 한다. 또한, 이어 피스(726)와 같은 복수개의 구조체 중 어느 하나의 구조체가 하우징(700)에 결합되어 하우징(700)을 사용자의 귀 부근에 위치시킨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800)의 대향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00)은 내측면(812)을 갖는 제1 절반부(810)와, 내측면(816)을 갖는 제2 절반부(814)로 이루어진 투피스형 구조체이다.
제1 절반부(810)와 제2 절반부(814)를 서로 결합한 경우, 하우징(800)은 원형 몸체로 된다. 또한, 내측면(812)과 내측면(816)은 원형 몸체의 중앙에 복수개의 개구(820)를 갖고, 측벽에 하나의 개구(822)를 갖는 내부 공동(818)을 형성한다.
내부 공동(818)은 송수신기(400 또는 500)와 같은 송수신기를 수납하는 한편, 스피커 변환기로부터의 음향은 개구(820)를 통해서 외부계로 배출된다. 개구(822)는 다시 음향을 송수신기의 마이크 변환기로 향하게 한다. 또한, 하우징(800)은 개구(822)에 결합되어 음향을 마이크 변환기로 향하게 하는 중공(中空; hollow) 음향 전파관(824)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중공 음향 전파관(824)은 송수신기에 직접 결합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개의 구조체 중 어느 하나의 구조체[예컨대, 헤드 밴드(826)와 같은]를 이용하여 하우징(800)을 사용자의 귀 부근에 위치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9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00)은 가요성 다층의 박판 몸체(910)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900)은 절결부(912), 내부 공동(914), 제1 개구(916) 및 복수개의 제2 개구(918)를 갖는다. 절결부(912)를 이용하여 하우징(900)을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한편, 내부 공동(914)은 송수신기(400 또는 500)와 같은 송수신기를 수납한다. 또한, 제1 개구(916)는 송수신기의 마이크 변환기를 외부 음향에 노출시키는 반면, 제2 개구(918)는 스피커 변환기를 외부계에 노출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예의 하우징 스타일을 예시하는 하우징(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0)은 절결부(1012)가 있는 가요성 단층의 박판 몸체(1010)를 갖고, 이 절결부(1012)를 이용하여 하우징(1000)을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다.
5개의 하우징 스타일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하우징은 이들 5개의 하우징 스타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하우징 스타일이어도 좋다. 또한, 하우징은 사용자가 어떠한 형상으로든지 원하는대로 하우징의 외측면을 자를 수 있도록, 가위로 자를 수 있는 재질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하우징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발포성(foamed) 플라스틱, 박막, 직물(fabrics) 또는 고무가 포함될 수 있다. 침투가능한 재질인 경우, 하우징에는 사운드 홀(sound hole)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하우징(900, 1000) 외에, 하우징(600, 700, 800)에도 이들 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게 하는 절결부가 있어도 좋다.
도 2로 되돌아가서, 헤드셋 제조 방법(200)은 송수신기를 상이한 하우징 스타일을 갖는 하우징에 장착하는 단계(214)도 포함한다. 상이한 복수개의 유지 구조체를 이용하여 송수신기를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지 구조체(1100)를 예시하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지 구조체(1100)는 하우징의 내측면(1112)에 결합되어 있는, 예를 들어 내측면(612, 712 또는 812)과 같은 복수개의 측벽(1110)을 포함한다. [측벽(111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할 필요는 없음.] 측벽(1110)의 높이는 하우징을 조립할 때 측벽(1110)이 하우징의 대향 내측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거의 접촉하도록 하는 높이 H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측벽(1110)은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레지스터 측벽들 중 일부가 하우징의 양 절반부의 내측면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도 좋음.)
이 예에 있어서, 송수신기는 송수신기를 측벽들(1110)에 의해 형성된 영역(1114) 내로 삽입하여 하우징에 장착한다. 이후, 하우징의 절반부(610/614, 710/716 또는 810/814)와 같은 제1 및 제2 절반부는 하우징의 내측면이 측벽(1110)과 연합하여 제 위치에서 송수신기를 유지하도록 서로 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지 구조체(1200)를 예시하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지 구조체(1200)는 단부벽(end wall)(1210), 3개의 측벽(1212) 및 부분 측벽(1214)을 포함한다. 유지 걸쇠(clasp)(1218)를 갖는 가요성 부재(1216)는 부분 측벽(1214)과 동일한 평면에서 부분 측벽(1214)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용 개구(1220) 및 스피커용 복수개의 개구(1222)가 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제2 유지 구조체(1200)는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이 하우징의 내측면과 공통이 되도록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예에 있어서, 송수신기는 가요성 부재(1216)를 대향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밀고, 송수신기를 제2 유지 구조체(1200) 내로 미끄러지듯 집어넣으며, 이어서 가요성 부재(1216)를 놓음으로써 하우징에 장착된다. 가요성 부재(1216)를 놓으면, 가요성 부재(1216)는 그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의 원래의 위치에서는, 가요성 부재(1216)의 유지 걸쇠(1218)가 송수신기를 제2 유지 구조체(1200) 내에서 유지한다.
제2 유지 구조체(1200)의 이점은 제조 공정시에 또는 사용자 스스로 송수신기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2 유지 구조체(1200)는 단일 송수신기를 복수개의 하우징 스타일 사이에서 전환하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복수개의 하우징 스타일과 단일 송수신기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송수신기를 바람직한 하우징에 배치하거나, 기분이 바뀌면 언제나 하우징을 전환함으로써 스타일을 전환하거나, 신규의 하우징을 구입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지 구조체(1300)를 예시하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지 구조체(1300)는 U자 형상의 부분(1314)을 통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제1 다리(1310)와 제2 다리(1312)를 갖는 클립이다. 변형 가능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3 유지 구조체(1300)는 제1 다리(1310)가 제2 다리(1312)에 접촉하고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이 예에 있어서, 송수신기는 제3 유지 구조체(클립)(1300)를 송수신기(400 또는 500)와 같은 송수신기에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에 장착된다. 이후, 제1 다리(1310)와 제2 다리(1312)를 벌리고 하우징을 제1 다리(1310)와 제2 다리(1312) 사이에 삽입한다. 일단 하우징을 다리들 사이에 삽입하면, 다리들을 놓는다. 다리들은 다시 그들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려고 하며, 이것에 의해 하우징이 다리들 사이에 고정된다. 제3 유지 구조체(1300)는 사용자가 송수신기를 상이한 복수개의 하우징 스타일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2 유지 구조체(1200)와 동일한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지 구조체(클립)(1300)의 용도를 예시하는 헤드셋(14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1400)은 제3 유지 구조체(1300), 제3 유지 구조체에 장착된 송수신기(500), 및 제3 유지 구조체(1300)에 의해 고정된 하우징(1000)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유지 구조체(1100, 1200 또는 1300)를 사용하는 대신에, 송수신기를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아교 또는 다른 잘 알려진 접착제를 사용하여 송수신기를 영구적으로 하우징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클립은 송수신기(또는, 수신기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신기)의 일부 또는 하우징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헤드셋 제조 방법(200)에서는 동일한 송수신기의 폼 팩터를 각각이 이용하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하우징 스타일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하우징 스타일을 갖는 단일 송수신기의 폼 팩터를 이용함으로써, 개발 비용, 제조 비용 및 시장 출시 시간을 절감 및 단축하는 동시에, 보다 폭 넓고 다양한 선택권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다 폭 넓고 다양한 하우징 스타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덧붙여, 최종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스타일을 보고서 원하는 스타일을 주문할 수도 있게 한다. 도 2에 점선(2A)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 제조 방법(200)은 상이한 하우징 스타일을 갖는 복수개의 하우징을 사용자 집단에게 전시하는 단계(2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스타일은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및 카타로그를 이용하거나, 또는 종래의 매장(retail setting)에서 사용자 집단에게 전시될 수 있다. 또한, 헤드셋 제조 방법(200)은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수신하는 단계(218)를 포함한다.
이어서, 주문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우징 스타일(및 수량)을 확인한다. 주문은, 예를 들어 대화형 웹 페이지 및 문서 형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매장의 담당자를 통해서 수령할 수 있다. 일단 주문을 수령하면, 배달이 예약된다. 매장에서는 보유중인 재고품을 판매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셋을 조립한 후에 하우징을 사용자 집단에게 전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조 단계중 일부의 단계가 헤드셋에 대한 주문을 수령한 후까지 지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제조 방법(1500)을 예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헤드셋 제조 방법(1500)은 헤드셋 제조 방법(200)과 유사하며, 그 결과 양 헤드셋 제조 방법에서 공통되는 단계를 지정하는데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셋 제조 방법(1500)은 헤드셋 제조 방법(200)과 단계(212)까지 동일(하우징 스타일의 형성)하며, 다음 단계, 즉 복수개의 하우징 스타일을 사용자 집단에게 전시하는 단계 1514에서 헤드셋 제조 방법(200)과 달라진다. 헤드셋 제조 방법(200)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스타일은 웹 페이지, 카타로그 또는 매장을 이용하여 사용자 집단에게 전시할 수 있다. 또한, 헤드셋 제조 방법(1500)은 주문을 사용자로부터 수령하는 단계 1516을 포함한다. 주문에서는 다시 사용자가 선택한 하우징 스타일(및 수량)을 확인한다. 주문은 예를 들어 대화형 웹 페이지 및 문서 형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매장의 담당자를 통해서 수령할 수 있다.
다음에, 헤드셋 제조 방법(1500)은 이 헤드셋 제조 방법(1500)에서 사용자가 조립을 행할 것인 지를 결정하는 단계 1520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조립을 행할 경우, 헤드셋 제조 방법(1500)은 단계 1522로 이동하며, 이 단계 1522에서는 선택된 하우징(하우징만을 구매한 경우), 또는 선택된 하우징 및 송수신기 양쪽 모두(하우징 및 송수신기를 구매한 경우)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선택된 하우징 및 송수신기 양쪽 모두를 수령한 경우, 사용자는 송수신기를 하우징에 장착함으로써 헤드셋을 조립한다.
사용자가 조립을 행하지 않는 경우, 헤드셋 제조 방법(1500)은 단계 1524로 이동하며, 이 단계 1524에서는 이전의 기간중에 수령한 주문에 기초하여 송수신기를 하우징에 장착한다. 예를 들면, 2주(週)마다 주문한 하우징에 송수신기를 장착하여 이전의 2주일중에 수령한 주문을 만족시키도록 헤드셋을 완성할 수 있다. 주문한대로 송수신기를 장착함으로써, 헤드셋 조립 비용을 판매중인 헤드셋에 보다 더 관련지을 수 있다. 사용자가 최종 조립을 마무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헤드셋 조립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 스타일의 선택 외에, 선택된 하우징에 형성할 장식물의 일례를 선택 또는 제공할 수도 있다. 장식물은, 예를 들어 로고, 상표, 사진 또는 소정의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그들 자신의 장식물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자가 인쇄 가능한 라벨을 판매된 각 하우징에 포함시킬 수 있다. 주문에 대한 요금 지불은 주문 승인 이전이나 또는 주문에 대한 배송 이후에 수령할 수 있다.
또한, 샘플 헤드셋을 사용자에게 전시하여, 헤드셋에 대한 주문을 수령한 얼마 후까지 헤드셋 구성품 중의 일부를 제조하거나 어느 것도 제조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의 2주일 동안 수령한 주문을 만족시키도록 2주마다 헤드셋을 제조하여도 좋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각종 변경예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들 특허 청구 범위 및 그들의 동등물의 범위 내의 방법들 및 구조체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커버된다.

Claims (80)

  1.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변환기 및 음향에 응답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변환기를 각각이 갖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복수개의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나의 몸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내부 공동 및 상이한 외형을 각각이 갖는 복수개의 하우징 유형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들이 상이한 하우징 유형에 장착되도록 하나의 몸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동에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헤드셋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스피커 변환기 및 상기 마이크 변환기에 결합된 신호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신호 처리 회로에 결합된 무선 송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스피커 변환기 및 상기 마이크 변환기에 결합된 무선 송수신기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세장형(細長型) 형상, 원형 형상, 평평한 층상 형상 및 사각 형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형상을 갖는 것인 헤드셋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는 유지 구조체를 각 하우징 내측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단계는 상기 몸체를 상기 유지 구조체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조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개의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단계는 상기 몸체를 상기 복수개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영역 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조체는 복수개의 측벽, 상기 복수개의 측벽에 연결된 부분 측벽, 상기 부분 측벽의 한 평면 내에서 상기 부분 측벽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요성 부재, 및 상기 가요성 부재에 연결된 유지 걸쇠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단계는 상기 몸체를 상기 복수개의 측벽 및 상기 부분 측벽에 의해 형성된 영역 내에 미끄러지듯 집어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가지며, 몸체는, 상기 몸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에 부착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인 헤드셋 제조 방법.
  10. 내부 공동을 각각이 갖는 복수개의 제1 하우징과;
    내부 공동을 각각이 갖는 복수개의 제2 하우징과;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변환기 및 음향에 응답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변환기를 각각이 갖고, 각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동 및 각 제2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복수개의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하우징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헤드셋.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스피커 변환기 및 상기 마이크 변환기에 결합된 신호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신호 처리 회로에 결합된 무선 송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스피커 변환기 및 상기 마이크 변환기에 결합된 무선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헤드셋.
  14. 제10항에 있어서, 각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동은 상기 몸체를 상기 내부 공동에 유지하는 유지 걸쇠를 갖는 가요성 부재에 의해 속박되는 것인 헤드셋.
  15. 제10항에 있어서, 각 제1 하우징은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것인 헤드셋.
  16. 제10항에 있어서, 각 제1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동은 하우징의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4개의 측벽에 의해 속박되는 것인 헤드셋.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변환기는 상기 몸체의 제1 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 변환기는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에 배열되는 것인 헤드셋.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마이크 변환기에 대해서 상기 스피커 변환기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세장형(細長型)의 강체인 것인 헤드셋.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KR1020037006452A 2000-11-15 2001-11-15 헤드셋 KR100770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12,867 2000-11-15
US09/712,867 US6760458B1 (en) 2000-11-15 2000-11-15 Heads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eadsets that utilize a single transceiver form-factor design with a number of different housing styles
PCT/DK2001/000754 WO2002041608A1 (en) 2000-11-15 2001-11-15 Head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142A KR20030048142A (ko) 2003-06-18
KR100770618B1 true KR100770618B1 (ko) 2007-10-29

Family

ID=2486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452A KR100770618B1 (ko) 2000-11-15 2001-11-15 헤드셋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760458B1 (ko)
EP (1) EP1334603B1 (ko)
JP (1) JP3973555B2 (ko)
KR (1) KR100770618B1 (ko)
CN (1) CN1213586C (ko)
AT (1) ATE441997T1 (ko)
AU (1) AU2002223496A1 (ko)
DE (1) DE60139798D1 (ko)
HK (1) HK1060952A1 (ko)
WO (1) WO20020416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619B1 (ko) * 2022-07-18 2022-12-01 김종호 헤드셋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4435B2 (en) * 2003-05-28 2012-06-19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headset supporting enhanced call functions
US20050136839A1 (en) * 2003-05-28 2005-06-23 Nambirajan Seshadri Modular wireless multimedia device
US20060166717A1 (en) * 2005-01-24 2006-07-27 Nambirajan Seshadri Managing access of modular wireless earpiece/microphone (HEADSET) to public/private servicing base station
US7778601B2 (en) * 2005-01-24 2010-08-17 Broadcom Corporation Pairing modular wireless earpiece/microphone (HEADSET) to a serviced base portion and subsequent access thereto
US7555318B2 (en) * 2005-02-15 2009-06-30 Broadcom Corporation Handover of call serviced by modular ear-piece/microphone between servicing base portions
KR100757462B1 (ko) * 2006-07-14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US8355515B2 (en) * 2008-04-07 2013-01-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Gaming headset and charging method
TWI433554B (zh) 2009-03-18 2014-04-01 Htc Corp 耳機
CN104219357A (zh) * 2013-05-30 2014-12-17 巍世科技有限公司 语音指令网络电话及其操作方法
US10021476B2 (en) * 2014-08-26 2018-07-10 Timothy Val Kolton Earphone with interchangeable housing
USD747295S1 (en) * 2014-12-23 2016-01-12 Intel Corporation In-ear headphone
USD790505S1 (en) * 2015-06-18 2017-06-27 Hand Held Products, Inc. Wireless audio headset
USD944228S1 (en) * 2021-03-16 2022-02-22 Shenzhen Quanmeng Technology Co., Ltd. Earph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0236A (ja) * 1993-06-03 1996-01-09 エリクソン ジーイー モービ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ヘッドセットを含む無線電話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6987A (en) * 1973-05-30 1974-07-30 J Stevens Miniature radio receiver
US4302635A (en) 1980-01-04 1981-11-24 Koss Corporation Headphone construction
US4319095A (en) 1980-06-06 1982-03-09 Northern Telecom Limited Telephone handset transducer mounting
US4901355A (en) * 1986-08-04 1990-02-13 Moore Michael R Combination multiple supported variable position audio intake control devices
JP3097340B2 (ja) * 1992-08-19 2000-10-10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JPH06237499A (ja) * 1993-02-09 1994-08-23 Sony Corp ヘッドホン
DE4343702C1 (de) * 1993-12-21 1995-03-09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Am Kopf tragbares Hörgerät
US5581627A (en) 1994-08-03 1996-12-03 Bowser; Bradford E. Convertible cover headphones
US5960094A (en) * 1996-01-24 1999-09-28 Gn Netcom,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6347218B1 (en) 1996-02-28 2002-02-12 Nokia Mobile Phones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housing supplement
US6038329A (en) * 1996-07-08 2000-03-14 Lee; Youn M. Earphone device
US6230029B1 (en) * 1998-01-07 2001-05-08 Advanced Mobile Solutions, Inc. Modular wireless headset system
US6490362B1 (en) * 1998-06-10 2002-12-03 Wren Clegg External ear speaker ear-hook boom microphone
DE19837765A1 (de) 1998-08-20 2000-02-24 Georg Floeh Schutzabdeckung für Mobiltelefone
US6084976A (en) * 1999-06-11 2000-07-04 Lin; Chung-Yu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conductive hearing loss
US6374090B1 (en) * 1999-11-16 2002-04-16 William E. Morales Cellular telephone handset holder
US6373942B1 (en) * 2000-04-07 2002-04-16 Paul M. Braund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0236A (ja) * 1993-06-03 1996-01-09 エリクソン ジーイー モービ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ヘッドセットを含む無線電話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619B1 (ko) * 2022-07-18 2022-12-01 김종호 헤드셋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4603B1 (en) 2009-09-02
KR20030048142A (ko) 2003-06-18
EP1334603A1 (en) 2003-08-13
CN1213586C (zh) 2005-08-03
US20040190744A1 (en) 2004-09-30
DE60139798D1 (de) 2009-10-15
CN1475071A (zh) 2004-02-11
ATE441997T1 (de) 2009-09-15
US6760458B1 (en) 2004-07-06
AU2002223496A1 (en) 2002-05-27
WO2002041608A1 (en) 2002-05-23
HK1060952A1 (en) 2004-08-27
JP2004514345A (ja) 2004-05-13
JP3973555B2 (ja) 200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618B1 (ko) 헤드셋
US6373942B1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
US7031485B2 (en) Ear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component
US6137883A (en) Telephone set hav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via keypad
US20060126882A1 (en) Earphone
US20080159579A1 (en)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374374B2 (en) Headset with a pivoting microphone arm
US7864974B2 (en) Earphone device integrated with microphone
WO2000076184A1 (fr) Unite de communication mobile comprenant un haut-parleur a conduction par les os
TW524025B (en) Loopdown and loop around headsets
KR100620827B1 (ko)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송수화장치
GB2504723A (en) Waveguide housing for a portable device with built-in passive amplification of the loudspeaker
US20070135163A1 (en) Wireless earphone with retractable microphone
EP0651546A1 (en) Cellular radio telephone set
US8861769B2 (en) Headphone device
CN112243180B (zh) 扬声器组件以及电子装置
US20030083111A1 (en) Compact mobile phone device with hook
CN209964104U (zh) 盖板装饰圈、中框组件以及电子装置
EP2230859B1 (en) Earpiece
JP2002078060A (ja) ヘッドホン兼用ストラップ
JP2004361910A (ja) 耳装着構造およびリズム発生装置
JP3048283U (ja) 携帯通受信装置用の付帯用具
CN220108155U (zh) 喇叭构件及智能眼镜
GB2417166A (en) A headset assembly
JP3083582U (ja) 携帯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