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494B1 -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494B1
KR100770494B1 KR1020057018186A KR20057018186A KR100770494B1 KR 100770494 B1 KR100770494 B1 KR 100770494B1 KR 1020057018186 A KR1020057018186 A KR 1020057018186A KR 20057018186 A KR20057018186 A KR 20057018186A KR 100770494 B1 KR100770494 B1 KR 10077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elevator
screen
call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667A (ko
Inventor
시게키 야마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4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은, 기억부 및 처리부를 구비한다. 기억부에는,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가 저장되고 있다. 그리고, 처리부는, 기억부로부터 읽어낸 화면 표시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TERMINAL FOR MONITORING ELEVATOR AND MONITO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처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시스템은, 예를 들면 특개 2003-212447호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서버(maintenance server) 및 복수의 각종 단말(예를 들면 감시단말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각종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각종 처리에 사용되는 표시 화면이 단말 상에 동시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감시의 효율적인 업무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 감시의 효율적인 업무를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은 기억부 및 처리부를 가지며, 기억부가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복수의 감시관련 화면을 포함한 화면표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처리부는 기억부로부터 읽어낸 화면표시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시관련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는 기억부 및 처리부를 가지며, 기억부가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복수의 감시관련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처리부는 외부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대응하여 복수의 감시관련 화면 중 임의의 감시관련 화면을 선택적으로 상기 화면표시 데이터에 포함시켜, 당해 화면표시 데이터를 감시용 단말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감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의 감시용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1의 감시 서버 및 감시용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1의 감시용 단말상의 화면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2에 관련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발명의 실시형태 1, 2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련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감시 서버(감시장치; 1)는 이더넷(ethernet)(통신 네트워크; 2)를 통해 감시용 단말(3)에 접속되어 있다. 감시 서버(1) 및 감시용 단말(3)은 감시실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실이라고 하는 것은 감시용 단말(3)의 화면표시에 의해 감시원 등이 엘리베이터의 감시를 행하는 장소라면 그 명칭을 묻지 않는 취지이다.
그리고, 감시 서버(1)는 감시용 단말(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의 확인, 엘리베이터 칸 안의 상태의 확인, 및 엘리베이터 칸 안과 감시실과의 사이의 회선 접속에 관한 3개의 서비스가 준비되어 있다.
감시 서버(1)는 복수의 제어장치(4) 및 군(群)관리장치(5)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어장치(4)는 군관리장치(5)의 관리하에, 대응하는 1호기 및 2호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6)의 운전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1호기 및 2호기의 각 엘리베이터 칸(6) 내에는 카메라 장치(7), 통화장치(8), 및 호출버튼(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장치(7)는 영상용 변환기(10) 및 이더넷(2)를 통해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 d1를 감시 서버(1)에 상시 출력하고 있다. 영상용 변환기(10)는 카메라 장치(7)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이더넷(2)에 준거한 신호로 변환한다.
통화장치(8)는, 예컨대 인터폰 자기(子機)(마이크 스피커를 포함)이며, 통화로 선택장치(11)를 통해 통신선(12)으로 통화장치(13)에 접속되어 있다. 통화장치(13)는, 예컨대 인터폰 베이스부(interphone base unit)이며, 감시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통화로 선택장치(11)는, 릴레이회로(11a) 및 랜(local area network; LAN) 인터페이스(11b;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로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회로(11a)는 랜 인터페이스(11b)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통화장치(8, 13) 사이의 회선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즉, 릴레이회로(11a)는 엘리베이터 칸(6)내와 감시실 사이의 회선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호출버튼(9)은 감시원 등을 호출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승객에 의해 조작된다. 호출버튼(9)이 조작되면 통화로 선택장치(11)가 그 지시를 이더넷(2)를 통해 감시 서버(1)에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감시 서버(1) 및 감시용 단말(3)에 대하여 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감시 서버(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감시 서버(1)는 통신부(101), 기억부(102), 및 처리부(103)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101)는,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웹 서버 등이 도 2의 감시 서버에 해당한다.
기억부(102)는, 예컨대, 메모리, 하드 디스크이다. 기억부(102)에는, 화면표시 데이터 d2가 저장되어 있다. 화면표시 데이터 d2는, 감시용 단말(3)상에서 시각 적으로 구획되어서 표시되는 윈도우를 구성하는 데이터이며, 이 화면 표시 데이터 d2에는 복수의 감시관련 화면이 포함되어 있다.
각 감시관련 화면은, 윈도우의 구성요소로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감시관련 화면으로서 화상데이터 d1의 표시화면 S1, 감시정보 d3의 표시화면 S2, 및 접속요구 화면 S3의 3개의 화면이 있다. 그리고, 이들 3개의 화면 중 임의의 화면이, 감시용 단말(3) 또는 통화로 선택장치(1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화면 표시 데이터 d2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감시용 단말(3) 및 통화로 선택장치(11)를 외부장치라고 부른다.
감시정보 d3는, 1호기 및 2호기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군관리장치(5)에 있어서의 최신의 관리상황에 의거하여 정기적으로 갱신되고 있다. 감시정보 d3에는, 예를 들면, 각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6)의 정지층 등이 포함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d1는, 각 카메라 장치(7)에 있어서의 최신의 엘리베이터 칸(6)내의 상황에 의거하여 상시 갱신되고 있다.
접속요구 화면 S3은, 감시원 등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6)내의 승객이 호출 버튼(9)에 의해 통화장치(13)의 호출을 행하고 있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통화』를 나타내는 버튼 표시가 접속요구 화면 S3에 설정되어 있다.
처리부(103)는, 예를 들면 CPU이다. 처리부(103)는, 기억부(102)의 웹 등의 서버 프로그램, 소켓(SOKET) 등의 통신용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도 3은, 감시용 단말(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감시용 단말(3)은 통신부(301), 입력부(302), 표시부(303), 기억부(304), 및 이들 각부를 제어하는 처리부(305)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PC 등이 도 3의 감시용 단말(3)에 해당한다.
통신부(301)는,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입력부(302)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이다. 표시부(30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기억부(304)는, 예를 들면 메모리, 하드 디스크이다. 기억부(304)에는 화면표시 데이터 d2가 저장된다. 처리부(305)는, 예를 들면, CPU이다. 처리부(305)는, 예를 들면, 기억부(304)의 브라우저, 자바(JAVA(R)) 등의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도 4는 감시 서버(1) 및 감시용 단말(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서는, 감시용 단말(3)로부터의 요구(예를 들면, URL의 지정 등)에 의해, 감시 서버(1)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면 표시 데이터 d2에 포함되는 감시정보 d3의 표시화면 S2이 감시용 단말(3)의 표시부(303) 상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감시 서버(1)와 감시용 단말(3)과의 사이에서는, 예를 들면,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1호기의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승객이 호출버튼(9)을 누르면, 통화로 선택장치(11)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호출신호를 이더넷(2)를 통해 감시 서버(1)에 출력한다.
그러면, 감시 서버(1)의 처리부(103)는 호출신호를 수신하고(S101), 기억부(102)를 참조하여, 화상 데이터 d1의 표시 화면 S1, 및 접속 요구 화면 S3을 선택한다.
여기서는, 1호기의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 d1의 표시 화면 S1, 및 1호기의 엘리베이터 칸(6) 내의 통화장치(8)와 감시실의 통화장치(13)와의 사이의 통화 회선의 접속을 요구하기 위한 접속 요구 화면 S3이 선택되고 있다(S102).
그리고, 처리부(103)는 2개의 화면 S1, S3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 d2를 기억부(102)로부터 읽어내고, 그 화상 표시 데이터 d2를 이더넷(2)를 통해 감시용 단말(3)에 송신한다(S103).
감시용 단말(3)의 처리부(305)는 감시 서버(1)로부터 화상 표시 데이터 d2를 수신하여 기억부(304)에 저장하고, 기억부(304)로부터 읽어낸 화상 표시 데이터 d2를 표시부(303)에 표시한다(S104).
표시부(303)에 표시된 화상 표시 데이터 d2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서는, 감시정보 d3의 표시화면 S2외에, 화상 데이터 d1의 표시 화면 S1 및 접속 요구 화면 S3이 표시부(303) 상에 표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감시원은 표시화면 S2에 의해 1호기의 엘리베이터 칸(6)의 운행상황을 파악하거나, 표시화면 S1에 의해 1호기의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상황을 파악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감시원은, 접속요구 화면 S3에 의해 승객이 통화장치(13)의 호출을 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감시원이 감시용 단말(3)을 조작하여, 표시부(303) 상의 접속요구 화면 S3에 대한 조작(예를 들면, 클릭 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감시용 단말(3)이, 접속 요구 화면 S3에 따른 접속 요구를 감시 서버(1)에 이더넷(2)를 통해 행한다 (S105).
그러면, 감시 서버(1)의 처리부(103)는 감시용 단말(3)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른 접속 커멘드를 이더넷(2)를 통해 통화로 선택장치(11)에 출력한다.
접속 코멘드는, 예를 들면 1호기의 통화장치(8)와 감시실의 통화장치(13)와의 사이의 회선접속을 지시하기 위한 커맨드이며, 기억부(102)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판독된다(S106).
그러면, 통화로 선택장치(11)의 랜 인터페이스(11b)는, 감시 서버(1)로부터의 접속 커맨드에 따라서, 1호기의 통화 장치(8)와 감시실의 통화장치(13)와의 사이의 릴레이 회선(11a)을 동작시킨다. 이것에 의해, 1호기의 통화장치(8)와 감시실의 통화장치(13)와의 사이의 회선이 접속되고, 감시원은 1호기의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승객과 집적 통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감시 서버(1)는, 외부장치(3, 11)로부터의 지시(감시용 단말(3)으로부터의 요구, 통신로 선택장치(11)로부터의 호출신호의 수신)에 따라 기억부(102)를 참조하고, 복수의 감시관련 화면 중 임의의 감시 관련 화면을 선택적으로 화면 표시 데이터에 포함시켜서, 화면 표시 데이터 d2를 감시용 단말(3)에 이더넷(2)를 통해 송신한다. 이 때문에, 감시 서버(1)는 화면 표시 데이터 d2에 포함되는 소정의 감시 관련 화면을 동시에 감시용 단말(3)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감시의 효율적인 업무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감시용 단말(3)은 기억부(304)로부터 읽어낸 화면 표시 데이터 d2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을 표시부(303)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을 하나의 윈도우로서 표시부(303)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문에 감시원 등은,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한 각종 업무를 감시용 단말(3) 상에서 동시에 통합하여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감시 업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 d1의 표시 화면 S1, 감시 정보 d3의 표시화면 S2, 및 접속 요구 화면 S3이 감시 관련 화면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상 데이터 d1의 표시, 감시 정보 d3의 표시, 접속 요구 화면 S3에 대한 조작을 감시용 단말(3) 상에서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감시 업무의 효율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호출버튼(9)이 조작되면, 감시용 단말(3)은 화상 데이터 d1의 표시 화면 S1 및 접속 요구 화면 S3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 d2를 감시 서버(1)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부(303)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호출버튼(9)이 조작되면, 감시원 등은 호출버튼(9)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상황을 감시용 단말(3)상에서 확인하거나 그 엘리베이터 칸(6) 내와 감시실과의 사이의 접속회선의 지시를 감시용 단말(3) 상에서 행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감시원 등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6) 내에 있어서의 비상 시의 대응을 적절히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감시 서버(1)는 통신로 선택장치(11)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2개의 화면 S1, S3을 포함하는 화면표시 데이터 d2를 감시용 단말(3)에 송신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 를들면, 감시 서버(1)는, 3개의 화면 S1~S3를 포함하는 화면표시 데이터 d2를 감시용 단말(3)에 송신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도 6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각 통화장치(8, 13)는 음성용 변환기(14)를 통해 이더넷(2)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음성용 변환기(14)는, 각 통화장치(8, 13)의 음성을 이더넷(2)에 준거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용 단말(3)이 표시부(303)에 표시되고 있는 접속 요구 화면 S3에 대한 조작에 의거하고, 예를 들면, 1호기의 통화장치(8)와 통화장치(13)와의 사이의 통화 회선의 접속 요구를 감시 서버(1)에 대하여 행하면, 감시 서버(1)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감시 서버(1)는, 감시용 단말(3)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는 각 음성용 변환기(14)에 대해, 디지털 신호에의 변환동작을 개시시키는 지시 신호를 이더넷(2)를 통해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1호기의 엘리베이터 칸(6) 내와 감시실과의 사이에서는 이더넷(2)를 통한 통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도 호출 버튼(9)이 조작되면, 각 통화장치 (8, 13)에 있어서의 통화용의 음성이 각 음성용 변환기(1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엘리베이터 칸(6) 내와 감시실과의 사이에서는 이더넷(2)를 통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의 형태 2에서는, 통신선(12) 및 통화로 선택장치(11)가 불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 1, 2에 있어서, 감시 서버(1) 및 감시용 단말(3)을 각각 별체의 장치로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감시용 단말(3)에 감시 서버(1)의 기능을 편입함으로써 1대의 장치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감시 서버(1)는 감시용 단말(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3 개의 화면 S1~ S3 을 자유롭게 편성하여 생성한 화면 표시 데이터 d2를 감시용 단말(3)에 송신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감시용 단말 및 감시 장치는 엘리베이터 감시의 효율적인 업무를 행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 및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낸 화면 표시 데이터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에 관한 감시 정보의 표시 화면, 엘리베이터 칸 안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 및 엘리베이터 칸 내의 통화장치와 감시실용 통화장치와의 통화 회선의 접속 요구 화면 중 적어도 두 개의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안에 설치되어 있는 호출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 및 상기 접속 요구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접속 요구 화면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통화 회선의 접속 요구를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에 대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행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 통화장치와 상기 감시실용 통화장치와의 사이에는, 통화용의 음성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5. 엘리베이터의 감시에 관련하는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표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 및
    외부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 중 임의의 감시 관련 화면을 선택적으로 상기 화면 표시 데이터에 포함시켜서, 해당 화면 표시 데이터를 감시용 단말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 관련 화면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태에 관한 감시 정보의 표시 화면, 엘리베이터 칸 안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 화면, 및 엘리베이터 칸 내의 통화장치와 감시실용 통화장치와의 통화 회선의 접속 요구 화면 중 적어도 두 개의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
KR1020057018186A 2005-09-27 2004-03-01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 KR100770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8186A KR100770494B1 (ko) 2005-09-27 2004-03-01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8186A KR100770494B1 (ko) 2005-09-27 2004-03-01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67A KR20060058667A (ko) 2006-05-30
KR100770494B1 true KR100770494B1 (ko) 2007-10-25

Family

ID=3715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186A KR100770494B1 (ko) 2005-09-27 2004-03-01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4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79A (ja) * 2002-04-09 2003-10-2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4189358A (ja) * 2002-12-09 200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79A (ja) * 2002-04-09 2003-10-2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4189358A (ja) * 2002-12-09 2004-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67A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1857B1 (en) Terminal for monitoring elevator and monitor for elevator
EP1876130A1 (en) Elevator monitor system
JP6401069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WO2006016405A1 (j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JP2008189413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通話装置
JP2010083604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通話システム
JP2008137788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5408599B2 (ja) エレベータの通話システム
KR100770494B1 (ko) 엘리베이터의 감시용 단말 및 엘리베이터의 감시 장치
KR20200134415A (ko) Pstn 기반 비상통화장치를 이용한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CN101152940B (zh) 电梯的功能可变型远程监视系统以及远程监视方法
JP3981349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8285261A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制御システム
KR20040032191A (ko) 엘리베이터 보안시스템
JP2007217138A (ja) エレベータの通信装置
JP2008120581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001734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プログラム書き換え装置
WO2023067725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872935B1 (ko)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JP201108869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3051895A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監視プログラム
JP2005109803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23052418A (ja) エレベーターの通話方法
JP2024033119A (ja) 遠隔作業者見守りシステム及び遠隔作業者見守り方法
JP3341054B2 (ja) 自動通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