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469B1 -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469B1
KR100769469B1 KR1020020061049A KR20020061049A KR100769469B1 KR 100769469 B1 KR100769469 B1 KR 100769469B1 KR 1020020061049 A KR1020020061049 A KR 1020020061049A KR 20020061049 A KR20020061049 A KR 20020061049A KR 100769469 B1 KR100769469 B1 KR 10076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tary blade
deburring tool
fixe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910A (ko
Inventor
이국동
강승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지구
Priority to KR102002006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4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046Scra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성형물의 파팅라인에 형성된 버어(burr)를 제거하기 위한 버어 제거장치(Deburr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관절 로봇의 손목부 플랜지에 디버링 툴(Deburring tool)을 설치하여 합성수지 성형물의 파팅부에 생성되어 외부로 돌출된 버어를 제거하기 위한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로봇의 손목부 플랜지에 결합된 로봇 브래킷과; 상기 로봇 브래킷의 하부에 결합되며 확대된 면적을 갖는 디버링 툴 브래킷과;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형 회전날 브래킷과;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된 부쉬블럭 브래킷과;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저면에 고정되면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의 디버링 툴 베이스와;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의 저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된 다수의 슬라이드 베이스와;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와 슬라이드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슬라이드와;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와 슬라이드 베이스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블럭과;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된 회전날 브래킷과;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날 브래킷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부쉬블럭 브래킷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날 블래킷의 후면에 고정된 부쉬 샤프트가 슬라이드 될 수 있는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된 부쉬블럭을 포함하 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버링, 버어(burr), 버어제거, 로봇

Description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Deburring apparatus for plastic products}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관절 로봇의 일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2는 다관절 로봇의 손목부에 디버링 툴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도3,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툴의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과 회전날 브래킷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툴 베이스와 슬라이드 베이스 및 회전날 브래킷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쉬블럭과 부쉬블럭 브래킷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쿨 브래킷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블럭과 슬라이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평면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의 지그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의 지그에 설치된 수지틀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성형물의 파팅라인에 형성된 버어(burr)를 제거하기 위한 버어 제거장치(Deburr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관절 로봇의 손목부 플랜지에 디버링 툴(Deburring tool)을 설치하여 합성수지 성형물의 파팅부에 생성되어 외부로 돌출된 버어를 제거하기 위한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성형물은 금형이 만나는 접선부를 따라 파팅라인이 형성되고 이러한 파팅라인에는 불가피하게 외부로 돌출된 버어가 생기는데, 이러한 버어는 제품의 외형을 불량하게 하여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합성수지 성형물은 성형후 버어를 제거하기 위한 후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합성수지 성형물이 크고 복잡한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버어를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또한 작업환경등의 요인으로 인한 잦은 이직률은 제품품질의 안정성을 떨어뜨려 많은 불량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동화 장치를 이용하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가공비를 낮출 수 있으며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용접(welding), 자재 취급(material handling), 페인팅(painting), 조립(assembly)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산업용 로봇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로봇이란 작업에 필요한 프로그램(program)들을 제어장치를 통해 실행시켜서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용 기계(machine)로서 일반적으로 하나의 팔(arm)을 갖고 있으며 알맞도록 고안된 도구(tool)를 손목부에 부착하고 제어장치에 내장된 프로그램의 순서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다관절 로봇(articulated robot)은 동작 기구가 여러 개의 관절로 구성되어 있어 6축 운동이 가능하고 특히 손목부의 회전 및 상하 선회운동이 신속하고 정교하기 때문에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를 제거하는 데 적합하다.
그러나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합성수지 성형물 버어 제거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곡면상에 형성된 버어를 본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신속히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을 다관절 로봇의 손목부 플랜지에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를 제거할 수 있는 디버링 툴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복잡한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성형물의 다양한 곡면에 대응할 수 있는 다수 개 의 회전날을 하나의 디버링 툴에 구비한 디버링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어를 절삭하는 회전날에 탄성바이어스를 가할 수 있도록 스프링 블럭 및 슬라이더을 설치함과 아울러 회전날에 의해 합성수지 성형물의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를 설치한 디버링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디버링 툴에 서로 다른 곡면을 갖는 4개의 회전날를 콤팩트하게 설치하여 다양한 곡면에 형성된 버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디버링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관절 로봇의 손목부 플랜지에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를 제거하는 디버링 툴을 설치한다. 상기 디버링 툴과 손목부 플랜지 사이에는 이들이 서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봇 브래킷이 설치된다. 상기 로봇 브래킷은 상기 손목부 플랜지의 하단에 결합되는 원판과 상기 디버링 툴의 상단에 결합되는 원판으로 구성되며 이 원판들 사이에는 원통형의 지지 원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로봇 브래킷은 스페이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로봇 브래킷의 하부에 결합되는 디버링 툴은 크게 상기 로봇 브래킷의 저면에 체결되는 수평형 디버링 툴 브래킷과 상기 수평형 디버링 툴 브래킷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형 회전날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하방에는 원통형 회전날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날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날 구동수단이 설치되며, 이들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 회전날은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버어를 절삭하는 다수의 날이 구동축 방향으로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버어를 깍아낼 수 있도록 성형물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 주위에 설치된 회전날 가이드는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날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날의 곡면부와 대응되는 곡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홈에는 돌출된 버어가 삽입되는 버어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날 브래킷에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 블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블럭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날 브래킷이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중간에는 상기 회전날 브래킷이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쉬블럭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블럭은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저면에 고정된 디버링 툴 베이스와 상기한 디버링 툴 베이스로부터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며 다수의 슬라이더를 개재시켜 결합된 슬라이드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의 전면 돌출부에 나사 체결되고 스프링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샤프트 블럭과,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 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부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 샤프트가 회전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며 소정의 채널이 형성된 슬라이드 블럭과,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채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채널 및 슬라이드 레일의 측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결합돌부 및 결합홈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부쉬블럭은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저면에 고정된 다수의 수직형 부쉬블럭 브래킷과 상기 부쉬블럭 브래킷의 하단에 고정되고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부쉬가 형성된 부쉬블럭과, 상기 부위블럭의 부쉬에 대응되며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부쉬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툴이 설치되는 6축 다관절 로봇의 일예을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1은 고정베이스, 102는 고정베이스 위에서 회전하는 회전테이블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103은 상기 회전테이블에 고정된 베이스, 104는 상기 베이스 위의 힌지축(105)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제1아암(에어실린더), 107은 상기 제1아암(104) 위의 힌지축(108)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제2아암, 109는 제1아암(104)와 함께 평행링크를 구성하는 링크, 111은 제2아암(107)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 112는 제2아암의 선단에 부착된 손목부로서, 굽힘 및 비틀림동작을 한다. 한편, 상기 손목부(112)의 선단에는 여러 가지 툴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플랜지(1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툴은 반드시 상기 다관절 로봇(100)에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술한 로봇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어 제거장치의 권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도2는 상기 다관절 로봇(100)의 손목부 플랜지(113)에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툴(10)을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버링 툴(10)은 상기 플랜지(113)에 나사 체결된 로봇 브래킷(13)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로봇 브래킷(13)은 상하 원판(12) 사이에 소정 높이의 지지 원통(14)이 일체로 결합되어 일종의 스페이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3, 도4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툴(10)을 보여주는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시되 바와같이, 상기 디버링 툴(10)은 로봇 브래킷(13)의 저면에 일체로 나사 체결된 디버링 툴 브래킷(15)의 하부에 결합된 4개의 수직 브래킷과 상기 수직 브래킷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4개의 회전날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15)는 그 하부에 다수의 수직 브래킷이 설치될 수 있도록 확장된 면적을 갖는 일종의 수평형 브래킷으로서,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부와 120도 각도로 돌출된 세 개의 돌출부 저면에 4개의 수직형 브래킷(하나의 부쉬블럭 브래킷과 세개의 회전날 브래킷)이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그 상단에는 상술한 로봇 브래킷(13)이 나사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15)의 돌출부 하부에는 설치된 회전날 브래킷(20)은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T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 고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적 강도를 보강한 것으로서, 상단에는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15)에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중앙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개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15)의 중심부 저면에 설치되는 부쉬블럭 브래킷(25)은 도4 및 도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 플레이트(24)의 자장자로로부터 3개의 수직 플레이트(26)가 120도 각도로 이격되게 하방으로 신장되고, 각 수직 플레이트(26)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부쉬블럭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체결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은 도4 내지 도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하단에 원통형 회전날(30)이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회전날(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30)은 구동축(31)을 통해 구동모터(35)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이때 상기 구동축(31)이 관통되는 원통형 케이스(32)는 그 외주면에는 설치된 다수의 케이스 브래킷(40)에 의해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35)는 압축공기에 의해 동력이 생성되는 에어모터(air mo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처(35)의 상단에는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주입구와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호스를 통해 압축기와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브래킷(4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케이스(32)가 안치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에 고정되는 베이스 브래킷(42)과 상기 원통형 케이스(32)를 개재시켜 상기 베이스 브래킷(42)의 상단에 체결되는 커버 브래킷(4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회전날(30)은 도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성형물의 곡면과 대응하는 곡면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칼날이 나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툴(10)은 각각의 회전날 브래킷(20)에 서로 다른 형태의 곡면부(33)가 형성된 회전날(30)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곡면을 갖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이 큰 쪽에서 사용하는 회전날(30)과 곡률반경이툴서 사용하는 회전날(30)을 구분하고 신속히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성형물 본체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회전날(30)의 교체는 상기 디버링 툴(10)를 회전시킴으로써 매우 간단히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4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20)의 주위에는 회전날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회전날(20)과 상기 원통형 케이스(32)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의 하단에 체결되는 가이드 브래킷(55)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50)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날(20)의 곡면부(33)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홈(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곡면홈(53)의 중앙에는 일정 길이의 버어 슬릿(5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성형물의 버어는 상기 버어 슬릿(54)으로 삽입된 후 회전하는 회전날(20)에 의해 절삭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날(20)이 상기한 가이드(50)의 버어 슬릿(54)을 지나 온 버어만을 절삭하기 때 문에 성형물 본체를 과도하게 깍아 내어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회전날(20)의 곡면부(33)의 중심으로 버어가 위치되게 안내하는 동시에 가이드(50)의 측면이 성형물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과도하게 절삭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15)의 저면과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의 상면 사이에는 다수의 디버링 툴 베이스(63)와, 슬라이드 베이스(67)가 설치되고,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63)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7) 사이에는 스프링 블럭(70)과 다수의 슬라이더(80)가 설치된다. 즉, 도4, 도5 및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15)의 저면에는 120도 방향으로 이격되게 세 개의 디버링 툴 베이스(63)가 설치되는데,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63)는 사각 판형상으로서 전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사각형상의 돌출부(6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63)의 하부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게 슬라이드 베이스(6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7)의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스프링 블럭(70)이 안치되는 레일(6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들어간 사각형상의 요홈부(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5 및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버링 툴 베이스(63)과 슬라이드 베이스(67) 사이에는 2개의 슬라이드(80)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3)와 디버링 툴 베이스(67)를 수평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80)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7)의 상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블럭(82)과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63)의 저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83)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82)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83)이 수평이동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 및 레일의 측면에는 대응되는 걸리홈과 걸림돌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7)과 디버링 툴 베이스(63)는 서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7)의 중심부에 형성된 레일(68) 사이에는 스프링 블럭(70)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블럭(7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74)와 나사부(75)가 형성된 스프링 샤프트(73)와, 상기 손잡이(74)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술한 디버링 툴 베이스(63)의 돌출부(40)의 저면에 고정되는 샤프트 블럭(76)과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7)에 고정되며 소정의 코일 스프링(78)과 상기 스프링 샤프트(73)의 나사부(75)가 관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77)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77)의 후단에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사각형상의 구멍(74)이 형성된 샤프트 플레이트(79)와, 상기 샤프트 플레이트(79)에 형성된 사각형 구멍(74)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샤프트의 나사부(75)에 나사 체결되는 샤프트 캡(7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 샤프트(73)의 선단에 형성된 손잡이(74)는 샤프트 블럭(76)에 접촉되어 스톱퍼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프링 하우징(70)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78)은 슬라이드 베이스(67)가 후방으로 밀릴 때, 상기 샤프트 캡(72)의 전면과 접촉되어 전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 샤프트(73)의 후단에 설치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샤프트 캡(72)은 상기한 샤프트 플레이트(79)의 사각형 구멍(74)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샤프트(73)가 회전하는 것 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손잡이(74)를 회전시켜 수평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날(3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이 후방으로 밀리면,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7)가 슬라이드(80)의 작용으로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67)가 이동하면 그 상면에 고정된 스프링 하우징(77) 역시 후방으로 수평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 하우징(77) 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78)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상기 샤프트 캡(72)의 전면과 접촉되어 더 이상 이동하기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78)을 압축되어 복원력을 발생하고 그 힘을 스프링 하우징(77)에 가하여 슬라이드 베이스(67)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다. 따라서 상기 회전날(30)이 성형물과 접촉되어 일정한 힘을 받게 되면 그 힘에 대응하는 복원력이 발생되어 회전날(30)을 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78)은 상기 회전날(30)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날(30)에는 비교적 균등한 힘이 일정하게 가해지게 된다.
한편,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설치된 회전날 브래킷(20)의 상단에는 슬라이드 베이스(67)가 설치되고 그 위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디버링 베이스(6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버링 베이스(63)는 부쉬블럭(90)의 저면에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블럭(70)과 슬라이더(80)의 구조 및 기능을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부쉬블럭(90)은 도4 및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0도 방향으로 돌출된 3개의 부쉬(93)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부쉬블럭 브래킷(26)을 통해 디버링 툴 브래킷(15)의 저면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각 부쉬(93)에는 소정 길이의 부쉬 샤프트(95)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쉬 샤프트(95)는 회전날 브래킷(20)의 후면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부쉬 샤프트(95)가 소정 길이의 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이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게 한다. 즉, 상기 회전날 브래킷(20)의 상단부에 설치된 다수의 슬라이더(80)와 상기 부쉬블럭(90)이 상호 작용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 버어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 버어 제거장치는 에어 스포일러(200)와 같이 비교적 크고 다양한 곡면을 갖는 성형물을 가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에어 스포일러(200)와 같은 중공 성형품은 파팅라인(202)을 따라 외부로 돌출된 버어(204)가 생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30)은 외주면에 스포일러(200)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부(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물의 본체을 손상하지 않고 버어(204)만을 깍아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버링 툴(10)은 하나의 툴에 여러 종류의 회전날(3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성형물의 곡면에 대응하도록 그때 그때 다른 종류의 회전날(3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날(30)이 진행하는 앞쪽에 상기 버어(204)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50)가 설치되어 회전날(30)의 정확한 위치를 신속하게 정해 줄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날(30)이 성형물의 본체를 깍아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12, 도13 및 도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어 제거장 치는 소정의 지그(300) 위에 합성수지 성형물(200)을 고정시켜 놓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그(300)는 지그 고정대(302)와 수지틀 고정대(303)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틀 고정대(303) 위에는 디버링 작업이 필요한 에어 스포일러(200)의 저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가 복제된 수지틀(30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지틀(305) 위에 에어 스포일러(200)를 올려 놓으면 쉽게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틀(305)에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흡입부(320)을 설치하여 스포일러(200)를 단단히 고정시키다. 이때 상기 흡입부(302)는 진공 흡입로(325)를 통해 공기를 배기시키고, 상기 흡입부(302)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밀봉씰(327)를 부착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329는 진공 흡입구로서 니플(328)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와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는 다관절 로봇의 손목부 플랜지에 디버링 툴을 설치하여 복잡한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합성수지 성형물의 다양한 곡면에 대응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회전날을 하나의 디버링 툴에 구비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버어 제거장치는 회전날를 탄성바이어스하는 스프링 블럭과 다수의 슬라이더 및 부쉬블럭을 설치함으로써 회전날에 의해 합성수지 성형물의 본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로봇의 손목부 플랜지에 결합된 로봇 브래킷과; 상기 로봇 브래킷의 하부에 결합되며 확대된 면적을 갖는 디버링 툴 브래킷과;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하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형 회전날 브래킷과;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저면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된 부쉬블럭 브래킷과;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저면에 고정되면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의 디버링 툴 베이스와;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의 저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된 다수의 슬라이드 베이스와;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와 슬라이드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슬라이드와;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와 슬라이드 베이스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블럭과;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된 회전날 브래킷과;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하단부에 설치된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날 브래킷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부쉬블럭 브래킷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날 블래킷의 후면에 고정된 부쉬 샤프트가 슬라이드 될 수 있는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된 부쉬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블럭은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의 전면 돌출부에 나사 체결되고 스프링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샤프트 블럭과,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 되고 상기 스프링 샤프트가 관통되는 중공부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 샤프트가 회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샤프트 플레이트와, 전방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사각형상의 샤프트 캡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나선부가 형성된 스프링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며 길이 방향으로 채널이 형성된 슬라이드 블럭과, 상기 디버링 툴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채널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부 및 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비어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블럭은 상기 디버링 툴 브래킷의 저면에 고정된 다수의 수직형 부쉬블럭 브래킷과 상기 부쉬블럭 브래킷의 하단에 고정되고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부쉬가 형성된 부쉬블럭과, 상기 부위블럭의 부쉬에 대응되며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부쉬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하방에는 원통형 회전날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날 브래킷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날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날 구동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날을 구동시키는 회전축은 원통형 케이스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회전날은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버어를 절삭하는 다수의 날이 구동축 방향으로 나선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곡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 주위에는 상기 회전날의 곡면부와 대응되는 곡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홈에는 돌출된 버어가 삽입되는 버어 슬릿이 형성된 회전날 가이드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KR1020020061049A 2002-10-07 2002-10-07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KR10076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049A KR100769469B1 (ko) 2002-10-07 2002-10-07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049A KR100769469B1 (ko) 2002-10-07 2002-10-07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910A KR20040031910A (ko) 2004-04-14
KR100769469B1 true KR100769469B1 (ko) 2007-10-23

Family

ID=3733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049A KR100769469B1 (ko) 2002-10-07 2002-10-07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4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22B1 (ko) 2008-05-07 2010-04-06 김형권 턴 테이블 방식의 자동 밀핀 사상기
KR100965781B1 (ko) * 2009-07-22 2010-06-24 주식회사금강코엔 프레임 디버링 장치
KR101898824B1 (ko) * 2017-12-20 2018-09-13 성의기 라디에이터 받침대의 버어 제거장치
KR102191932B1 (ko) * 2020-06-23 2020-12-16 주식회사 경원화학 곡면 면취 가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314B1 (ko) * 2004-09-24 2006-05-11 용 준 배 페트병용 프리폼의 버어 절단장치
KR101012818B1 (ko) * 2008-11-20 2011-02-08 (주)아이티시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이 부가된 체외 충격파 치료기
KR101893511B1 (ko) 2018-04-09 2018-08-30 박진오 차량용 그로밋 디버링 장치
CN109352883B (zh) * 2018-11-12 2023-08-22 安徽康柰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过滤网毛边切边设备
CN113977692A (zh) * 2021-10-08 2022-01-28 江苏华富精密高速模具工程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自动化塑料零件无毛刺冲压模具
CN117124177B (zh) * 2023-10-20 2024-01-23 四川恒迪新材料集团有限公司 一种玄武岩纤维板材侧边去毛刺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47A (ja) * 1992-04-07 1994-02-08 Nippon Palletec Kk バリ取り装置
JPH0740300A (ja) * 1993-07-29 1995-02-10 Tokyo Seat Kk 合成樹脂製品のバリ除去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970014885A (ko) * 1995-09-13 1997-04-28 츠지 요시후미 트리밍 가공장치 및 트리밍 가공방법
JPH09192927A (ja) * 1996-01-09 1997-07-29 Inax Corp プラスチック製品のバリ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47A (ja) * 1992-04-07 1994-02-08 Nippon Palletec Kk バリ取り装置
JPH0740300A (ja) * 1993-07-29 1995-02-10 Tokyo Seat Kk 合成樹脂製品のバリ除去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970014885A (ko) * 1995-09-13 1997-04-28 츠지 요시후미 트리밍 가공장치 및 트리밍 가공방법
JPH09192927A (ja) * 1996-01-09 1997-07-29 Inax Corp プラスチック製品のバリ取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022B1 (ko) 2008-05-07 2010-04-06 김형권 턴 테이블 방식의 자동 밀핀 사상기
KR100965781B1 (ko) * 2009-07-22 2010-06-24 주식회사금강코엔 프레임 디버링 장치
KR101898824B1 (ko) * 2017-12-20 2018-09-13 성의기 라디에이터 받침대의 버어 제거장치
KR102191932B1 (ko) * 2020-06-23 2020-12-16 주식회사 경원화학 곡면 면취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910A (ko)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1285B2 (en) Ultrasonic trimming apparatus
KR100769469B1 (ko) 합성수지 성형물의 버어 제거장치
KR102452672B1 (ko) 사상장치
JP4780528B2 (ja) 卓上切断機
CN210633442U (zh) 眼镜料头裁切抛光机
CN214921469U (zh) 激光切割机
JP2005040921A (ja) 倣いガイド部材を備えた工具、その工具を使用したバリ取り加工機、およびそれらを使用したバリ取り方法
TWI530379B (zh) 毛邊移除裝置
TWI426015B (zh) 毛邊移除系統及毛邊移除裝置
US54031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mming flash from plastic molded parts
KR100734973B1 (ko) 합성수지 성형물 샌딩장치
US20070082583A1 (en) Head for a robot ar intended to perform a deflashing or rouging operation
JP3578741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仕上げ加工装置およびその仕上げ加工方法
KR101930072B1 (ko) 사출 성형품 절단 장치
KR101383297B1 (ko) 수치제어를 이용한 다축 디버링 장치
CN220660990U (zh) 一种冲裁工装
KR100960566B1 (ko) 사이드 밀링 커터의 절삭 에지 가공장치
TWI602675B (zh) 切除器刀刃
CN213946632U (zh) 一种吹塑产品切割废料工装
CN210967159U (zh) 一种外圆自动加工装置
KR101930073B1 (ko) 사출 성형품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품 절단 방법
KR200331109Y1 (ko) 모형을 이용한 표면절삭 장치
JPH0415455Y2 (ko)
KR200315263Y1 (ko) 보이스 코일 모터용 상부요크 스토퍼의 자동 가공장치
CN116038470A (zh) 一种铸件毛边处理用多轴工作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