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30B1 - 슬라이딩 스키보드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스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330B1
KR100769330B1 KR1020060086978A KR20060086978A KR100769330B1 KR 100769330 B1 KR100769330 B1 KR 100769330B1 KR 1020060086978 A KR1020060086978 A KR 1020060086978A KR 20060086978 A KR20060086978 A KR 20060086978A KR 100769330 B1 KR100769330 B1 KR 100769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iding
ski
ro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성
Original Assignee
김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성 filed Critical 김지성
Priority to KR102006008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6Skis or snowboards with special devices thereon, e.g. ste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2Skis or snowboards collapsible; divid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3Mono skis; Snowboards
    • A63C5/031Snow-ski boards with two or more runners or skis connected together by a rider-supporting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6Skis or snowboards with special devices thereon, e.g. steering devices
    • A63C5/075Vibration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folding,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0Shock or vibration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남녀 노소 누구나 넘어질 두려움 없이 앉아서 탈 수 있도록 안장이 구비되며, 좌/우 회전 및 정지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방향조절봉이 구비된 구조의 슬라이딩 스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사람이 탈 수 있도록 일측에는 발고정띠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안장이 탄설되며, 데크부분의 중심이 양끝단 보다 높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굴곡된 데크부분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양측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일단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키날이 일체로 형성되는 방향조절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키, 보드, 스노우

Description

슬라이딩 스키보드{A sliding ski-bo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의 조작을 도시한 제 1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의 조작을 도시한 제 2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발고정띠
12: 안장 12a: 코일스프링
20: 지지대 30: 지지봉
40: 방향조절봉 41: 손잡이
42: 스키날 50: 고정수단
100: 슬라이딩 스키보드
본 발명은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남녀 노소 누구나 넘어질 두려움 없이 앉아서 탈 수 있도록 안장이 구비되며, 좌/우 회전 및 정지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방향조절봉이 구비된 구조의 스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탈 수 있도록 일측에는 발고정띠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안장이 탄설되며, 데크부분의 중심이 양끝단 보다 높게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굴곡된 데크부분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양측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일단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키날이 일체로 형성되는 방향조절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는 많은 장비와 필요로 하고, 또한 많은 기술을 요하는 것으로 초보자나 노인 어린이 같은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스키는 숙련자 많이 탈 수 있는 것으로 숙련하는 시간 또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스노우보드와 같은 스포츠가 인기가 있는데, 이러한 스노우보드는 사용자가 진행방향을 제어하거나 정지를 하고자 할 때 보조하는 역할을 할수 있는 별다른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의 운동감각과 경험에 의존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약간만 이동하여도 진행방향이 바뀌어버리기 때문에 초보자의 경우 스노우보드 타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는 통상 두발로 서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에 따라 진행방향을 바 꾸기 때문에 기인한다.
따라서 앉아서 남녀노소 구분없이 초보자도 쉽게 탈 수 있으며, 방향제어가 간편한 스노우보드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남녀 노소 누구나 넘어질 두려움 없이 앉아서 탈 수 있도록 안장이 구비되며, 좌/우 회전 및 정지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방향조절봉이 구비된 구조의 슬라이딩 스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사람이 탈 수 있도록 일측에는 발고정띠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안장이 탄설되며, 데크부분의 중심이 양끝단 보다 높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굴곡된 데크부분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양측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일단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키날이 일체로 형성되는 방향조절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키보드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몸체의 양단부는 상향 만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안장은 코일스프링을 통해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돤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남녀 노소 누구나 넘어질 두려움 없이 앉아서 탈 수 있도록 안장(12)이 구비되며, 좌/우 회전 및 정지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방향조절봉(40)이 구비된 구조의 슬라이딩 스키보드(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스키보드(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스키보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지지된 방향조절봉(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키보드 몸체(10)는 앞부분 일부 및 뒤부분 일부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데크부분의 중심이 양끝단 보다 높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10)의 일반 스노우보드와 같이 양단부가 상향 만곡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몸체(10)의 타측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안장(12)이 구비되는데, 상기 안장(12)은 충격흡수를 위해 코일스프링(12a)을 통해 몸체(10)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몸체(10)의 일측에는 양발을 고정하기 위해 발고정띠(11)가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노우보드랑 달리 서서 타는 것이 아니라 앉아서 탈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슬라이딩 스키보드(100)는 방향전환을 손쉽게 하기 위해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1)를 구비한 2개의 방향조절봉(40)이 구비된다.
이러한 방향조절봉(40)은 상기 몸체(10)의 굴곡된 데크부분에 고정수단(50)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20)에 지지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지지대(20)는 방향조절봉(40)을 지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10)의 데크부분 중심 상/하면에 고정수단(50)인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지지대(20)는 중앙부위 저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몸체(10)의 데크부분 상부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몸체(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지지대(20)와 상호 맞대고 볼트 및 너트를 관통시켜 결속되는 구조이다.
한편 지지대(20)의 양측은 스키보드의 몸체(10) 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데, 이는 몸체(10)의 데크부분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다. 즉 지지 대(20)의 전체 길이는 방향조절봉(40)의 손잡이(41) 간격을 감안하여, 보통 성인남성의 어깨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지대(20)의 양측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봉(30)이다. 이러한 지지봉(30)의 하부는 지면과 맞닿는 것이 아니라, 스키날(42)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약 15cm 내지 25cm 정도 떨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3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향조절봉(40) 인데, 이러한 방향조절봉(40)은 일단에 손잡이(4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키날(42)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방향조절봉(40)에 구비된 손잡이(41)를 당기거나 밀면 스키날(42)의 방향이 조절되어 슬라이딩 스키보드(10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키날(42)은 길이는 스키보드 몸체(10)의 돌출된 데크부분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그 길이는 스키보드 몸체(10) 전체길이의 1/2 내지 1/3 정도 비율로 작게 제작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의 조작을 도시한 제 1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의 조작을 도시한 제 2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슬라이딩 스키보드의 속력이 갑자기 상승될 경우, 양 손잡이를 안쪽으로 당겨 속력을 감속시킬 수 있다.
즉, 양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이에 연결된 각 스키날도 동반 회전하게 되는 데, 이 때 양손잡이를 안쪽으로 당기게 되면 각 스키날은 일단이 "ㅅ" 모양으로 회동되어 슬라이딩 스키보드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일반 스키의 브레이크 동작과 같다.
그리고 방향을 전환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손잡이의 한쪽은 당기고 다른 손잡이의 한쪽은 밀어내어 원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스키날을 회동시켜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에 따르면, 안장의 충격흡수를 위해 코일스프링(12a)을 통해 몸체(10)에 고정하는 것 이외에, 충격흡수를 위해 판스프링, 에어스프링 등도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에 따른 스키보드의 조정 편의를 위해 방향조절봉의 높이를 조절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의 편리성을 위해 방향조절봉이 접혀지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스키보드에 따르면, 비 숙련자인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남녀 노소 누구나 넘어질 두려움 없이 앉아서 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좌/우 회전 및 정지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3)

  1. 사람이 탈 수 있도록 일측에는 발고정띠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안장이 탄설되며, 데크부분의 중심이 양끝단 보다 높게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굴곡된 데크부분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양측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일단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키날이 일체로 형성되는 방향조절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단부는 상향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코일스프링을 통해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키보드.
KR1020060086978A 2006-09-08 2006-09-08 슬라이딩 스키보드 KR100769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978A KR100769330B1 (ko) 2006-09-08 2006-09-08 슬라이딩 스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978A KR100769330B1 (ko) 2006-09-08 2006-09-08 슬라이딩 스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330B1 true KR100769330B1 (ko) 2007-10-24

Family

ID=3881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978A KR100769330B1 (ko) 2006-09-08 2006-09-08 슬라이딩 스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606A (ko) 2022-07-01 2024-01-09 하이지하 주식회사 난 지형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저면 확장 부력발생 운송도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912A (en) 1977-10-27 1978-09-19 Sweeney James E Sled apparatus
US4175760A (en) 1977-11-07 1979-11-27 Gustafson Thomas A Ski-sled
US4632408A (en) 1983-12-24 1986-12-30 GFL Formteile-und Larmschutz Technik GmbH & Co. Ski for the handicapped
JP2004141616A (ja) 2002-08-29 2004-05-20 Mikio Ishizawa イス式スキー橇
US6969074B2 (en) 2003-07-02 2005-11-29 Piper Robert W Ski-sled frame for mounting to snow ski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912A (en) 1977-10-27 1978-09-19 Sweeney James E Sled apparatus
US4175760A (en) 1977-11-07 1979-11-27 Gustafson Thomas A Ski-sled
US4632408A (en) 1983-12-24 1986-12-30 GFL Formteile-und Larmschutz Technik GmbH & Co. Ski for the handicapped
JP2004141616A (ja) 2002-08-29 2004-05-20 Mikio Ishizawa イス式スキー橇
US6969074B2 (en) 2003-07-02 2005-11-29 Piper Robert W Ski-sled frame for mounting to snow sk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606A (ko) 2022-07-01 2024-01-09 하이지하 주식회사 난 지형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저면 확장 부력발생 운송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038B2 (en) Foot propelled scooter
WO2006138297A9 (en) Balance and motion exercise training and conditioning device
JPS637791B2 (ko)
US62063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ble skateboards
CN111921182B (zh) 一种多功能滑行运动装备
KR100769330B1 (ko) 슬라이딩 스키보드
WO2018127154A1 (zh) 动平衡多人协同单板滑行设备
US20070096432A1 (en) Snowboard brake
US9403551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ody support frame and means for manoeuvring this frame with respect to a sports board
CN206853090U (zh) 动平衡多人协同滑行设备
KR100844620B1 (ko) 썰매형 롤러보드
US7717799B2 (en) Glider teeter-totter
WO2018075348A1 (en) Binding and support assembly for a snow sports board
KR200401158Y1 (ko) 상체 전방 위치형 스키 타입 썰매
JPH11347174A (ja) 競技用滑走機
KR200414560Y1 (ko) 자유로운 방향전환과 제동기능의 스노우보드
KR200274658Y1 (ko) 눈썰매
KR100965096B1 (ko) 제동수단을 개선시킨 링크 동력 킥보드
US20180333634A1 (en) Hybrid board and methods of riding the same
JPH07275429A (ja) スキ−ボ−ド
KR200435676Y1 (ko) 3륜 스케이트 보드
KR200265756Y1 (ko) 퀵 스노보드
KR200422466Y1 (ko) 스키연습장치용 카빙스키 모션 콘트롤 유니트
JPH11155996A (ja) ハンドル付き雪上滑走具
KR20100112870A (ko)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