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870A -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 Google Patents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870A
KR20100112870A KR1020090031379A KR20090031379A KR20100112870A KR 20100112870 A KR20100112870 A KR 20100112870A KR 1020090031379 A KR1020090031379 A KR 1020090031379A KR 20090031379 A KR20090031379 A KR 20090031379A KR 20100112870 A KR20100112870 A KR 2010011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d
steering
base portion
coupled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이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식 filed Critical 이동식
Priority to KR102009003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2870A/ko
Publication of KR2010011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62B13/02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 B62B13/06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arranged in two or more parallel lines
    • B62B13/08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arranged in two or more parallel lines with 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62B13/18Vehicles having alternatively-usable runners and wheels or other trans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6Superstructures; Attachments therefor
    • B62B17/063Seats or other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다용도 썰매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롤러와 스케이트날을 서로 교체하여 도로면이나 빙판에 관계없이 썰매를 탈 수 있도록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계절 모두 썰매를 타고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썰매의 전방측에 조향부를 더 구성하여 썰매의 주행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썰매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조종하면서 썰매를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썰매를 탈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안장을 썰매의 상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앉거나 서서 썰매를 탈 수 있도록 한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안장(12)과, 상기 베이스부(11)의 하부측에 결합되는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의 하부측에 핀(14) 결합되고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구성되는 미끄럼부(15)로 구성된 다용도 썰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의 전방측에는 이 베이스부(11)의 선단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미끄럼부(15)에 의해 미끄러져 주행되는 썰매의 방향을 조종하는 조향부(2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부(20)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선단측에 일측이 볼트(21)결합되는 연결대(22)와; 상기 연결대(22)의 타측이 회전축(23)에 의해 후단측에 결합되어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발안착부(24)가 양측면에 연장형성 된 몸체(25)와; 상기 몸체(25)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구성되는 방향조종미끄럼부(26)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안장(12)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과 안장(12)의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탈부착부(3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탈부착부(30)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과 안장(12)의 하면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는 암/수 벨크로테잎(3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썰매, 다용도 썰매, 사계절 썰매

Description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FOUR SEASON SLEIGH FOR MULTI USE WITH STEERING PART}
본 발명은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계절에 관계없이 탈 수 있는 사계절 썰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썰매의 전방측에 썰매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조향부를 더 구성하여 사용자가 썰매를 탈 때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의 운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썰매를 타고 다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장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앉거나 서서 썰매를 탈 수 있으며, 롤러와 스케이트날부를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써 도로나 얼음 위에서 썰매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썰매는 바퀴가 없이 끌거나 밀어서 짐 또는 사람을 운반하는 장치를 말하며, 처음에 북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이용한 트러보이는 2개의 긴 막대를 한데 묶어 만든 썰매의 일종으로 경사진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보다 진화된 형태의 바퀴와 차축이 새로 등장하면서 그 역할을 대신 하게 됨에 따라 썰매는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고, 지금은 활주부 위에 몸체를 얹어 눈이나 얼음 위를 달리는 썰매가 남아 있다.
그리고, 썰매는 겨울에 얼음판이나 눈위에서만 타는 것으로 고정관념화되어 있을 뿐 아직 지상에서의 썰매타기는 실시되고 있지 않으며, 스케이트 날 부분을 바퀴로 바꾸어 제작한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은 청소년에게 인기 있는 스포츠로 정착되고 있다.
이러한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은 기본적으로 신발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신발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여러 개의 바퀴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다음, 발에 착용하고 주로 매끄러운 노면 상에서 주행하게 된다.
하지만, 특히 상체운동의 기회가 많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있어 종래의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은 하체운동에는 매우 효과적인 반면에 상체의 근육을 단련시키는 데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속도를 내기 위하여 다리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가속이 붙은 상태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하여 급속한 제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역시 하체만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다리에 무리가 가기 쉽고 균형을 잡기 어렵다.
이와 같은 썰매의 단점과 인라인스케이트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등록실용 신안 제20-0390505호인 조립식 다용도 썰매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사용자가 탄 상태에서 끌거나 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썰매에 있어서, 양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그 하단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종대와 상기 종대를 연결하는 횡대가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볼트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 기 횡대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볼트 결합되어지되, 그 하부에는 소정의 보관함이 형성된 안장 및 상측에는 상기 양측 종대 하단의 가이드홈에 대응 결합하도록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그 하측에는 접촉되는 바닥과 밀착된 상태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형성된 미끄럼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끄럼수단은 빙판 위에서 얼음을 지칠 수 있도록 형성된 스케이트 날과 눈 위에서 미끄러질수 있도록 형성된 스키 플레이트 및 지면 위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롤러가 동시에 구비되어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썰매를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썰매의 보관이나 휴대에 따른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스케이트 날, 스키 플레이트, 롤러 등이 구비됨으로서 하나의 썰매를 이용하여 빙판 위나 눈 위 또는 평지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다용도 썰매의 경우 롤러와 스케이트날을 서로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썰매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썰매에 별다른 조향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썰매의 주행시에 장애물에 충돌하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에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 기술의 경우 별다른 조향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썰매를 타는 사용자가 미끄러지는 썰매의 주행방향을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몸을 틀어 썰매의 주행방향을 달리하여야 함에 따라 몸을 트는 과정에서 중심이 흔들려 썰매로부터 떨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몸을 틀어 썰매의 주행방향을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빠른 속도로 썰매가 주행할 경우에는 미처 몸을 트는 동작이 늦어 썰매가 원하는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그대로 직진함에 따라 장애물에 충돌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구성된 안장에 의해 썰매를 앉아서만 탈 수 있음에 따라 서서 썰매를 타거나 하는 동작을 취할 경우, 안장에 사용자의 양 발을 그대로 올려 놓고 썰매를 탈 수 밖에 없어 안장이 쉽게 더럽혀지고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다용도 썰매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롤러와 스케이트날을 서로 교체하여 도로면이나 빙판에 관계없이 썰매를 탈 수 있도록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계절 모두 썰매를 타고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썰매의 전방측에 조향부를 더 구성하여 썰매의 주행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썰매의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조종하면서 썰매를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썰매를 탈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안장을 썰매의 상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앉거나 서서 썰매를 탈 수 있도록 한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안장과,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측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측에 핀 결합되고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구성되는 미끄럼부로 구성된 다용도 썰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측에는 이 베이스부의 선단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미끄럼부에 의해 미끄러져 주행되는 썰매의 방향을 조종하는 조향부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측에 일측이 볼트결합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측이 회전축에 의해 후단측에 결합되어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발안착부가 양측면에 연장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구성되는 방향조종미끄럼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향부의 몸체 상면 전방측에는 야간 주행시에 전방측의 시야를 확보하는 조명램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안장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안장의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탈부착부에 의해 베이스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안장의 하면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는 암/수 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는, 지면 또는 빙판에 미끄러져 주행되는 썰매의 미끄럼부를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계절에 관계없이 사계절 모두 썰매를 통해 유희를 즐기고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방측에 썰매의 주행방향을 변경하는 조향부가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썰매의 주행방향을 조종하면서 썰매를 탈 수 있기 때문에, 몸을 틀어 주행방향을 변경함에 따라 야기되는 허리통증이나 충돌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에 구성되는 조향부에 조명램프가 더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야간에 전방시야확보를 유도할 수 있고 타인의 차량이나 자전거 또는 보행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썰매위치를 각인시킬 수 있다.
또한, 안장과 베이스부가 벨크로테잎과 같은 탈부착 수단에 의해 쉽게 이탈시키거나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썰매를 앉아서 타거나 또는 서서 탈 수 있어 신체의 각 부분에 대한 운동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또한, 조향부와 안장과의 거리가 연결대에 의해 거리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어른이나 어린아이 또는 청소년과 같이 신장이 서로 다른 사용자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의 미끄럼부 장착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의 미끄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미끄럼부 장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향북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는,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안장(12)과, 상기 베이스부(11)의 하부측에 결합되는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의 하부측에 핀(14) 결합되고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구성되는 미끄럼부(15)로 구성된 다용도 썰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1)의 전방측에는 이 베이스부(11)의 선단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미끄럼부(15)에 의해 미끄러져 주행되는 썰매의 방향을 조종하는 조향부(2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조향부(20)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선단측에 일측이 볼트(21)결합되는 연결대(22)와, 상기 연결대(22)의 타측이 회전축(23)에 의해 후단측에 결합되어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발안착부(24)가 양측면에 연장형성된 몸체(25)와, 상기 몸체(25)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구성되는 방향조종미끄럼부(26)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안장(12)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양 발을 상기 조향부(20)의 발안착부(24)에 올려 놓은 다음, 별도의 스틱(40)을 이용하여 지면이나 빙판을 젖히면서 썰매를 즐기는 것으로, 상기 미끄럼부(15)와 조향부(20)의 방향조종미끄럼부(26)는 사용자가 지면이나 빙판을 젖히는 추진력에 의해 앞으로 전진한다.
상기 스틱(40)은, 상부측에 손잡이(41)가 구성되고 하부측에 디딤부(42)가 구성되되, 상기 디딤부(42)는 본 발명의 사계절용에 맞도록 디딤부(42)의 중앙에 나사체결부(42a)가 형성되고 이 나사체결부(42a)의 양측에 각각 빙판을 젖히는 빙판디딤부(42b)나 도로면을 젖히는 지면디딤부(42c)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스틱(40)의 하부측에 상기 디딤부(42)의 위치를 바꾸어 스틱(40)에 체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썰매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주행하는 썰매의 방향을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바꾸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발안착부(24)에 올려진 사용자의 양 발 중 어느 한 발을 더 밀어 줌으로써 상기 발안착부(24)의 위치가 틀어지도록 하여 썰매의 주행방향을 바꾸어준다.
즉, 사용자의 한 발이 상기 발안착부(24) 중 하나의 발안착부(24)를 밀어주면 밀린 발안착부(24)에 의해 이 발안착부(24)가 연장형성된 상기 조향부(20)의 몸 체(25)가 발안착부(24)의 밀리는 방향으로 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25)의 틀어짐에 의해 몸체(25)에 하부측에 결합된 방향조종미끄럼부(26)가 일방향으로 틀어지면서 주행하는 썰매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 때, 상기 연결대(22)와 상기 몸체(25)가 회전축(23)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발안착부(24)를 트는 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25)의 틀어짐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썰매를 타면서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조종하여 썰매를 즐길 수 있음으로써, 썰매를 즐김이 더욱 수월하고 방향을 바꾸기 위해 몸을 틀거나 하여 발생되는 종래 다용도 썰매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의 선단측에 일측이 볼트(21)결합되는 상기 연결대(22)의 일측에 상기 연결대(22)의 설치길이를 가변시키는 간격유지공(27)이 더 통공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길이에 따라 상기 연결대(22)의 연결길이를 가변시켜 썰매를 탈 수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나 청소년, 성인에 관계없이 모두 즐길 수 있다.
상기 연결대(22)의 내부에는 연결대(22)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심재(28)가 더 내삽되어 있음에 따라 연결대(22)의 강성을 더욱 보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연결대(22)의 보강심재(28)는 강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부(20)의 몸체(25) 상면 전방측에는 야간 주행시에 전방측의 시야를 확보하는 조명램프(29)가 더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개가 끼이거나 또는 야간에 썰매를 즐길 때 전방의 시야확보를 상기 조명램프(29)에 의 해 얻을 수 있어 썰매를 즐김이 더욱 용이하고, 타인의 차량이나 자전거 또는 보행자들이 상기 조명램프(29)를 통해 썰매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충돌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한다.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안장(12)이,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과 안장(12)의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탈부착부(3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탈부착부(30)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과 안장(12)의 하면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는 암/수 벨크로테잎(3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장(12)을 암/수벨크로테잎(31)(32)으로 구성된 탈부착부(3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탈부착시킬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로 썰매를 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안장(12)을 이용하여 앉아서 썰매를 탈 경우 사용자의 상체는 물론 하체근육강화 운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안장(12)을 분리하여 사용자가 베이스부(11)에 올라 선 자세에서 썰매를 탈 경우에는 사용자의 상체근육과 허리근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의 미끄럼부 장착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의 미끄럼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미끄럼부 장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베이스부 12 : 안장
13 : 브라켓 14 : 핀
15 : 미끄럼부 20 : 조향부
21 : 볼트 22 : 연결대
23 : 회전축 24 : 발안착부
25 : 몸체 26 : 방향조종미끄럼부
27 : 간격유지공 28 : 보강심재
29 : 조명램프 30 : 탈부착부
31. 32 : 암수벨크로테잎

Claims (7)

  1.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안장(12)과, 상기 베이스부(11)의 하부측에 결합되는 브라켓(13)과, 상기 브라켓(13)의 하부측에 핀(14) 결합되고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구성되는 미끄럼부(15)로 구성된 다용도 썰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의 전방측에는 이 베이스부(11)의 선단측에 일측이 결합되는 연결대(2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미끄럼부(15)에 의해 미끄러져 주행되는 썰매의 방향을 조종하는 조향부(2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20)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선단측에 일측이 볼트(21)결합되는 연결대(22)와;
    상기 연결대(22)의 타측이 회전축(23)에 의해 후단측에 결합되어 좌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발안착부(24)가 양측면에 연장형성된 몸체(25)와;
    상기 몸체(25)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롤러 또는 스케이트날로 구성되는 방향조종미끄럼부(26)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부가 구비된 사 계절 다용도 썰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의 선단측에 일측이 볼트(21)결합되는 상기 연결대(22)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대(22)의 설치길이를 가변시키는 간격유지공(27)이 더 통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2)의 내부에는 연결대(22)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심재(28)가 더 내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20)의 몸체(25) 상면 전방측에는 야간 주행시에 전방측의 시야를 확보하는 조명램프(29)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측에 구성되는 안장(12)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과 안장(12)의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탈부착부(3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30)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면과 안장(12)의 하면에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는 암/수 벨크로테잎(31)(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KR1020090031379A 2009-04-10 2009-04-10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KR20100112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79A KR20100112870A (ko) 2009-04-10 2009-04-10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79A KR20100112870A (ko) 2009-04-10 2009-04-10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870A true KR20100112870A (ko) 2010-10-20

Family

ID=4313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379A KR20100112870A (ko) 2009-04-10 2009-04-10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28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92B1 (ko) * 2021-05-26 2021-12-29 박순복 하지 부자유자를 위한 스마트 재활 훈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892B1 (ko) * 2021-05-26 2021-12-29 박순복 하지 부자유자를 위한 스마트 재활 훈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101938A4 (en) Improved all-terrain board or mountainboard
CA2519333A1 (en) Winter recreational vehicle
US9592434B2 (en) Stand-on 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US9517806B2 (en) Foot-propelled wheeled hobby and/or sport device
US10407117B2 (en) Scooter
CA2655481C (en) Motorised snow vehicle
CN101745213B (zh) 滑板
US9889368B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KR20100112870A (ko) 조향부가 구비된 사계절 다용도 썰매
EP3344512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KR20030093551A (ko) 유희용 놀이구
US20010026056A1 (en) Ride-on toy
WO2003020381A1 (de) Fahrzeug für gleitsport und rollsport
KR100769330B1 (ko) 슬라이딩 스키보드
CN2647376Y (zh) 多用途滑撬
KR200413650Y1 (ko) 레포츠 썰매
WO2017192150A1 (en) Stand-on-land vehicle for simulating skiing
KR200419755Y1 (ko) 롤러식 썰매
JP3079631U (ja) キックボード
AU2016100159A4 (en) A Scooter with Walkable Wheels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70115608A (ko) 횡으로 이동하는 롤러 주행장치
KR200387383Y1 (ko) 바퀴달린 썰매
KR200373899Y1 (ko) 개인용 견인 기구
CN204323457U (zh) 协调转向非助力撑杆驱动多环境快速滑行车
KR200384624Y1 (ko) 바퀴달린 롤러썰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