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56Y1 - 퀵 스노보드 - Google Patents

퀵 스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56Y1
KR200265756Y1 KR2020010036535U KR20010036535U KR200265756Y1 KR 200265756 Y1 KR200265756 Y1 KR 200265756Y1 KR 2020010036535 U KR2020010036535 U KR 2020010036535U KR 20010036535 U KR20010036535 U KR 20010036535U KR 200265756 Y1 KR200265756 Y1 KR 200265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pport
snowboard
board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윤모
Original Assignee
(주)브이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알시스템 filed Critical (주)브이알시스템
Priority to KR2020010036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56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 퀵 스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자가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 가운데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부 및 지지부의 하단에 고정되어 주행자가 양발을 올려놓기 위한 보드부를 구비하여 스노보드를 사용자가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보드만 있는 스노보드 상면에 수직으로 연결지지관을 세워 고정시키고 연결지지관의 선단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조종을 편리하게 하며 보드의 바닥면에 작은 날개날을 결합하여 조종성을 좋게 하고 연결지지관과 손잡이 사이에 댐핑용 스프링을 장착하여 바닥으로부터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 및 연결지지관을 손쉽게 해체 또는 조립할 수 있어 이동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부츠를 보딩시킬 필요가 없이 스노보드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속도감을 느끼면서 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퀵 스노보드{quick snow board}
본 고안은 스노보드(snow board)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개량한 퀵 스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노보드를 사용자가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보드만 있는 스노보드 상면에 수직으로 연결지지관을 세워 고정시키고 연결지지관의 선단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조종을 편리하게 하며 보드의 바닥면에 작은 날개날을 결합하여 조종성을 좋게 하고 연결지지관과 손잡이 사이에 댐핑용 스프링을 장착하여 바닥으로부터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 및 연결지지관을 손쉽게 해체 또는 조립할 수 있어 이동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부츠를 보딩시킬 필요가 없이 스노보드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속도감을 느끼면서 탈 수 있는 퀵 스노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노보드(snow board)는 긴 널빤지를 이용하여 눈 위에서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로, 1959년 무렵 미국 산악지방에서 스키의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널빤지를 이용한 것이 최초이며, 1960년대에 미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였다.
당시 스누퍼라 하여 모노스키와 함께 서핑을 스키에 접목시켜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생겨났으며, 필드도 자연 그대로의 파우더스노를 서핑하듯이 즐겼다. 초기에는 합판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기도 하고, 서핑과 같이 방향성 있는 핀이 달려 있기도 하는 등 그 소재와 모양도 가지각색이었다.
그 뒤 소재도 많이 개발되어 1970년대 말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이때 비로소 바인딩으로 발을 보드에 고정시키는 스타일이 등장하였고 스틸엣지가 붙은 제품이 나왔다. 또한 스노보드라는 이름이 정착된 것도 이 무렵이다.
그 동안 보수성과 안전을 이유로 스노보드를 금지하던 스키장들이 1990년대 들어 개방하고 있으며, 스케이트보드가 인기 스포츠로 자리잡음에 따라 젊은이들사이에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미국의 경우 10∼20대의 많은 청소년은 전통적인 스키 대신 스노보드를 즐기며, 스키장마다 스노보더들을 위한 하프파이프 코스를 설치하는 추세이고 스노보드 전용코스도 생기고 있다.
최초로 조직적으로 대회가 열린 것은 1982년 미국 내셔널 스노보딩 챔피언십이었고, 세계적인 스노보드 대회로는 US오픈 챔피언십, ISF(International Snow Board Federation:국제스노보드연맹) 월드시리즈 및 마스터 월드컵대회가 있고, 일본에서도 ISF월드컵과 ISF콘티넨털오픈이 열린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스포츠로 발전되었으며, 최근 눈부신 소재 개발과 테크닉의 향상으로 1998년 일본 나가노[長野] 동계 올림픽경기대회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경기는 보더크로스, 하프파이프, GS, 패럴렐GS 종목이 있다.
몸체는 플레이트·바인딩·부츠·덱패드·리슈코드로 이루어져 있다. 플레이트는 보드의 휨성 및 회전, 무게 등에 따라 세분화되지만 알파인 스타일, 프리스타일, 올라운드 스타일로 나뉜다.
프리스타일은 휨성이 좋고 앞과 뒤의 구분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초보자들에게 알맞다.
알파인 스타일은 주로 스피드와 슬라롬 카빙턴 등을 위한 보드이다.
올라운드 스타일은 알파인 스타일과 프리스타일의 장점을 모아 슬라롬 에어리얼 등 어떠한 조건에서도 만족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주로 만년설을 탈 수 있는 외국 라이더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바인딩은 스키와는 다르게 얼마나 라이더의 발이 플레이트로 잘 전달되는가가 문제여서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바인딩은 소프트용과 하드용이 있고, 재질은 금속제와 플라스틱제로 나뉜다.
고급품은 우드코어는 포플러우드, 베이스는 P-tex 2000, 사방을 엣지로 둘러싸는 풀랩엣지, 진동방지시스템이 되어 있다. 부츠는 재질에 따라 가죽이나 천으로 되어 있는 소프트부츠와 플라스틱류로 알파인 보드를 탈 때 사용하는 하드부츠로 나눌 수 있고, 종류에 따라 신는 방법도 다르다.
부츠는 또한 이너부츠가 있는 두겹짜리 부츠와 한겹짜리 부츠가 있으며, 이너부츠가 있는 것이 무겁기는 하지만 방수나 방한면에서는 한겹짜리 부츠보다 성능이 뛰어나다. 부츠가 크거나 작으면 보딩시 불편하므로, 부츠를 신었을 때 발뒤꿈치를 밀착한 상태에서 발가락이 앞쪽에 닿으면서 구부러지지 않는 것이 좋다.
플레이트는 노즈·테일·엣지·베이스·탑·유효엣지·접촉면·인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평한 면에 보드를 놓았을 때 중앙부에 생기는 틈을 캠버라고 한다. 스노보드를 고를 때는 라이딩 스타일, 기술 레벨, 어떠한 활주를 할 것인가, 어느 정도 능숙한가, 어떠한 체격인가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길이가 길면 직진할 때 안정성이 높고, 길이가 짧으면 회전성이 좋다. 체격과 다리의 힘에도 좌우되지만 초보자라면 자신의 키에서 15∼20㎝를 뺀 길이로, 중급자는 10∼15㎝를 뺀 길이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노보드는 그 길이가 길면 직진시 안정감이 있고 주행속도가 빠른 반면 회전성이 나빠 방향을 바꾸려고 턴할 때에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는 반면, 그 길이가 짧으면 주행방향을 바꾸기가 손쉬우나 주행속도가 느리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사용자가 초보자일 경우에는 짧은 길이를 선택하고 고급자일 경우에는 긴 길이의 스노보드를 선택하여야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초보자가 긴 길이의 스노보드를 탈 경우 스노보드의 속도와 그 방향을 임의대로 조절하지 못해 충돌사고 내지는 골절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츠를 신고 플레이트에 적절한 힘으로 보딩시켜야 되기 때문에 적절한 힘보다 세게 보딩시키면 넘어지거나 충돌시 골절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스노보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노보드를 사용자가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보드만 있는 스노보드 상면에 수직으로 연결지지관을 세워 고정시키고 연결지지관의 선단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조종을 편리하게 하며 보드의 바닥면에 작은 날개날을 결합하여 조종성을 좋게 하고 연결지지관과 손잡이 사이에 댐핑용 스프링을 장착하여 바닥으로부터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 및 연결지지관을 손쉽게 해체 또는 조립할 수 있어 이동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부츠를 보딩시킬 필요가 없이 스노보드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속도감을 느끼면서 탈 수 있는 퀵 스노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행자가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 가운데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부 및
지지부의 하단에 고정되어 주행자가 양발을 올려놓기 위한 보드부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손잡이부는 대략 "T" 자형의 관체로 배면측에 하측으로 걸림장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멈춤버튼이 형성되며 상부 양측단이 개방된 손잡이 끼움공이 형성되고 그 양측 선단부에 통공이 각각 형성된 손잡이 지지대와;
고정끈으로 서로 연결되고 선단부에 손잡이 멈춤버튼이 형성되어 손잡이 지지대의 양측 손잡이 끼움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와;
논슬립부재로 손잡이 외주연에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 커버 및
손잡이커버 측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캡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지지부는 대략 단면이 "┸" 형상으로 하부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중간 관체 외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핀공이 형성된 힌지고정단과;
하단부에 힌지고정단의 핀공 연장선상에 힌지축공이 형성되어 힌지고정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 고정되는 힌지와;
관체로 내측에 손잡이 지지대가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하단이 힌지의 상단에 고정되는 연결지지관과;
관체로 하단부 내측에 나사체결부가 형성되어 연결지지관에 끼워져 힌지고정단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축고정 커플링 및
링형상으로 내측에 손잡이 지지대의 걸림장홈에 끼워지는 회동방지턱이 형성되고 연결지지관의 상단부에 클램프 죔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손잡이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클램프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축고정 커플링의 상단에 링형상의 지지링이 형성되고 지지링 상측에 스프링이 형성되며 스프링 상단에 위치된 관체로 일측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손잡이 지지대의 멈춤버튼에 결합되는 스프링 고정구를 갖는 댐핑수단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보드부는 상단에 패드끼움부가 형성되고 전방측에 힌지고정단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후방측 하단면에 다수부위에 끼움공이 형성된 날끼움요부가 길게 형성된 보드몸체와;
보드몸체의 끼움공을 갖는 날끼움요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와 날몸체를 형성하고 하단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날부를 갖는 날개날 및
보드몸체의 패드끼움부에 결합되는 패드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보관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인 축고정 커플링의 사용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인 축고정 커플링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인 날개날의 장착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드부 11 : 보드몸체
12 : 패드끼움부 13 : 체결돌기
14 : 날끼움요부 15 : 끼움공
16 : 패드 20 : 날개날
21 : 날몸체 22 : 끼움돌기
23 : 날부 30 : 지지부
31 : 힌지고정단 32 : 체결공
33 : 나사부 34 : 핀공
35 : 힌지 36 : 힌지축공
37 : 힌지고정핀 38 : 축고정 커플링
39 : 나사체결부 40 : 연결지지관
42 : 클램프 43 : 회동방지턱
44 : 클램프 죔볼트 50 : 댐핑수단
51 : 지지링 52 : 스프링
53 : 스프링 고정구 54 : 고정공
60 : 손잡이부 61 : 손잡이 지지대
62 : 걸림장홈 63 : 멈춤버튼
64 : 손잡이 끼움공 65 : 통공
70 : 손잡이 71 : 손잡이 멈춤버튼
72 : 고정끈 73 : 손잡이레버
74 : 손잡이캡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보관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인 축고정 커플링의 사용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인 축고정 커플링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인 날개날의 장착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퀵 스노보드는 사용자의 양발이 올려지는 보드부(10)와, 보드부(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길이가 조절되고 댐핑수단(50)이 갖춰진 지지부(30)와,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두 손에 의해 잡혀져 진행방향으로 방향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손잡이부(60)로 대별된다.
보드부(10)는 주행자의 발이 올려져서 눈 위에서 미끄러지는 부분으로, 눈과 접촉되는 보드몸체(11)와, 보드몸체(11)에 올려진 주행자의 신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16)와, 보드몸체(11)의 직진성능과 조종성능을 향상시켜 주는 날개날(20)로 구성된다.
보드몸체(11)는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패드끼움부(12)가 형성되고 패드끼움부(12)의 전방측에는 후술하는 힌지고정단(31)의 체결공(32)에 체결 결합되는 체결돌기(13)가 다수 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방측 하단에는 다수 개의 날개날(20)이 결합되는 끼움공(15)을 갖는 날끼움요부(14)가 형성된다.
날개날(20)은 보드몸체(11)의 날끼움요부(14)에 결합되는 길이방향의 날몸체(21)를 갖고 끼움공(15)에 결합되는 끼움돌기(22)가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날몸체(21)의 하단에는 지면상의 눈과 마주 접하는 날부(23)가 하향으로 돌출된다.
날개날(20)은 하중의 영향을 고려한 조종성을 생각하여 보드몸체(11)의 뒤쪽에 위치시킴이 바람직하고, 사용시 마모를 고려하여 갈아 끼울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간단한 구조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패드(16)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압폴리에틸렌과 초고분자 폴리에틸렌파우더를 섞어서 성형한다.
지지부(30)는 후술되는 손잡이부(60)를 보드부(10)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힌지고정단(31), 힌지(35), 축고정 커플링(38), 연결지지관(40), 클램프(42)와 댐핑수단(50)으로 구성된다.
힌지고정단(31)은 모양이 대략 모자모양인 "┸" 형상을 갖고, 보드부(10)의 보드몸체(11) 체결돌기(13)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32)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핀공(34)이 형성되며 중간측 외주연에는 나사부(33)가 형성된다.
힌지(35)는 연결지지관(40) 하단에 결합되어 힌지고정단(31)의 핀공(34)에 힌지고정핀(37)에 의해 축고정되는 힌지축공(36)이 형성된다.
축고정 커플링(38)은 관체로, 연결지지관(40)의 외주연에 끼워져 하단 내측에 형성된 나사체결부(39)로 힌지고정단(31)의 나사부(33)에 체결함으로써 연결지지관(40)을 보드부(10)에서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다시 힌지고정단(31)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연결지지관(40)을 보드부(10) 상측에 눕혀 이동이 원활하고 부피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연결지지관(40)은 긴 관체로 하단에 힌지(35)가 결합되어 내주연에서 슬라이딩되는 후술하는 손잡이부(60)의 손잡이 지지대(61)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것이다.
클램프(42)는 내측에 회동방지턱(43)이 형성되고 클램프 죔볼트(44)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연결지지관(40)의 상단에 결합되어 후술되는 손잡이 지지대(61)의 승·하강을 안내하고 고정시킨다.
댐핑수단(50)은 클램프(42)의 상단에 결합되어 눈길 진행시 보드부(10)에서 발생한 충격을 후술하는 손잡이부(60)로 직접 전달하지 않고 대부분을 흡수하는 것으로, 클램프(42)의 상단에 위치되어 클램프(42)와 후술하는 스프링(52)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링(51)과, 보드부(10)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52)과, 후술하는 손잡이 지지대(61)의 멈춤버튼(63)에 체결되는 고정공(54)을 갖는 스프링 고정구(53)로 구성된다.
댐핑수단(50)이 바닥면인 보드부(10)의 충격을 원활히 흡수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손잡이 지지대(61)의 걸림장홈(62)을 일부구간에만 한정되게 형성하여 손잡이(70)가 일정 구간에서만 텐션을 갖고 승·하강되며 손잡이부(60)가 연결지지관(40)의 내주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60)는 주행자가 두 손으로 잡고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손잡이 지지대(61)와, 손잡이(70)와, 손잡이커버(73)와, 손잡이캡(74)으로 구성된다.
손잡이 지지대(61)는 대략 "T" 형상으로, 하부는 연결지지관(40)의 내주연에 끼워져 승·하강되고 상부 일측에는 댐핑수단(50)의 스프링 고정구(53)의 고정공(54)이 고정되는 멈춤버튼(63)이 형성된다.
상단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손잡이 끼움공(64)이 각각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통공(65)이 각각 형성된다.
손잡이(70)는 관체로 선단부에 손잡이 멈춤버튼(71)이 형성되어 손잡이 지지대(61)의 손잡이 끼움공(64)이 끼워 통공(65)에 멈춤버튼(63)을 결합시킨다. 두 개의 손잡이(70)는 손잡이 지지대(61)의 손잡이 끼움공(64) 내에서 고정끈(7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손잡이커버(73)는 손잡이(72)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논슬립부재이고, 손잡이 캡(74)은 손잡이커버(73)의 개방된 일단을 막아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와 같이 패드(16) 상면에 뉘여진 손잡이부(60)와 지지부(30)를 일으켜 세우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부(60)를 갖는 연결지지관(40)을 힌지고정판(31)의 힌지고정핀(37)을 축으로 회동시켜 패드(16)와 직각을 이루게 한 다음, 연결지지관(40)의 외주연에 위치한 축고정 커플링(38) 내주연의 나사체결부(39)로 힌지고정단(31)의 나사부(33) 상에서 회동시켜 체결시키면 된다.
이런 본 고안의 퀵 스노보드는 주행코스로 올라간 주행자가 미끄럽지 않는 소재의 신발을 신고 손잡이부(60)의 손잡이커버(73)를 잡고 보드부(10)의 패드(16) 상면에 두 발을 올려놓으면 퀵 스노보드는 서서히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코스에서 하강하면서 주행자는 손잡이부(60)를 우측으로 약간 눕히면서 몸의 무게 중심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보드부(10) 하단의 날개날(20)은 퀵 스노보드의 주행경로를 우측으로 수정하여 우측으로 진행하게 되고 날개날(20)의 안내를 받아 빠르게 활강하게 된다.
이때, 지면으로부터 보드부(10)를 통해 연결지지관(40)으로 전달되는 충격은 연결지지관(40) 내에서 손잡이 지지대(61)를 승·하강시키면서 스프링(52)의 탄발력에 의해 상쇄되어 해소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퀵 스노보드는 두손으로 손잡이부(10)를 잡고 주행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을 보다 손쉽게 우측에서 좌측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자유롭고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활강시 진로의 변경이 손쉽고 그에 따라 제동도 손쉽게 이루어져 보드 상면에 두발을 고정시키고 몸의 무게중심 이동만으로 턴닝하며 활강하는 기존의 스노보드보다 안전하게 편하며 손쉽게 스노보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사용 후에는 연결지지관(40)의 하측에서 축고정 커플링(38)을 힌지고정단(31)의 나사부(33)에서 분리시킨 다음, 절첩하여 보관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스노보드를 사용자가 비교적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보드만 있는 스노보드 상면에 수직으로 연결지지관을 세워 고정시키고 연결지지관의 선단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조종을 편리하게 하며 보드의 바닥면에 작은 날개날을 결합하여 조종성을 좋게 하고 연결지지관과 손잡이 사이에 댐핑용 스프링을 장착하여 바닥으로부터 손으로 전달되는 충격량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 및 연결지지관을 손쉽게 해체 또는 조립할 수 있어 이동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부츠를 보딩시킬 필요가 없이 스노보드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속도감을 느끼면서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주행자가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잡이부(60)와;
    손잡이부(10) 가운데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부(30) 및
    지지부(30)의 하단에 고정되어 주행자가 양발을 올려놓기 위한 보드부(1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퀵 스노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60)는 대략 "T" 자형의 관체로 배면측에 하측으로 걸림장홈(62)이 형성되고 일측에 멈춤버튼(63)이 형성되며 상부 양측단이 개방된 손잡이 끼움공(64)이 형성되고 그 양측 선단부에 통공(65)이 각각 형성된 손잡이 지지대(61)와;
    고정끈(72)으로 서로 연결되고 선단부에 손잡이 멈춤버튼(71)이 형성되어 손잡이 지지대(61)의 양측 손잡이 끼움공(64)에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70)와;
    논슬립부재로 손잡이(70) 외주연에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 커버(73) 및
    손잡이커버(73) 측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캡(7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퀵 스노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30)는 대략 단면이 "┸" 형상으로 하부에 다수개의 체결공(32)이 형성되고 중간 관체 외주연에 나사부(33)가 형성되며 상단에 핀공(34)이 형성된 힌지고정단(31)과;
    하단부에 힌지고정단(31)의 핀공(34) 연장선상에 힌지축공(36)이 형성되어 힌지고정핀(3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힌지(35)와;
    관체로 내측에 손잡이 지지대(61)가 끼워져 슬라이딩되고 하단이 힌지(35)의 상단에 고정되는 연결지지관(40)과;
    관체로 하단부 내측에 나사체결부(39)가 형성되어 연결지지관(40)에 끼워져 힌지고정단(31)의 나사부(33)에 나사결합되는 축고정 커플링(38) 및
    링형상으로 내측에 손잡이 지지대(61)의 걸림장홈(62)에 끼워지는 회동방지턱(43)이 형성되고 연결지지관(40)의 상단부에 클램프 죔볼트(44)에 의해 결합되어 손잡이 지지대(61)의 높이를 조절하는 클램프(4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퀵 스노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축고정 커플링(38)의 상단에 링형상의 지지링(51)이 형성되고 지지링(51) 상측에 스프링(52)이 형성되며 스프링(52) 상단에 위치된 관체로 일측에 고정공(54)이 형성되어 손잡이 지지대(61)의 멈춤버튼(63)에 결합되는 스프링 고정구(53)를갖는 댐핑수단(50)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퀵 스노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보드부(10)는 상단에 패드끼움부(12)가 형성되고 전방측에 힌지고정단(31)의 체결공(3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13)가 형성되며 후방측 하단면 다수부위에 끼움공(15)이 형성된 날끼움요부(14)가 길게 형성된 보드몸체(11)와;
    보드몸체(11)의 끼움공(15)을 갖는 날끼움요부(14)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22)와 날몸체(21)를 형성하고 하단에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날부(23)를 갖는 날개날(20) 및
    보드몸체의 패드끼움부(12)에 결합되는 패드(16)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퀵 스노보드.
KR2020010036535U 2001-11-27 2001-11-27 퀵 스노보드 KR200265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35U KR200265756Y1 (ko) 2001-11-27 2001-11-27 퀵 스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35U KR200265756Y1 (ko) 2001-11-27 2001-11-27 퀵 스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56Y1 true KR200265756Y1 (ko) 2002-02-25

Family

ID=7307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535U KR200265756Y1 (ko) 2001-11-27 2001-11-27 퀵 스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8274A (en) Surf-type snow ski
US6923455B2 (en) Two-handled snow scooter
US6217073B1 (en) Collapsible snow pole
US20030151215A1 (en) Sliding device
US7351155B2 (en) Half pipe harness safety system
US4632408A (en) Ski for the handicapped
US8322730B2 (en) Hinged rotatable binding system for snowboards
US5547204A (en) Multipurpose mobile device with open sided foot engagement
US11844997B2 (en) Support and suspension assembly for a snow sports board
US8733782B2 (en) Hinge mechanism, collapsible ascension ski having such a hinge mechanism, and related methods and kits
US6592150B2 (en) Ski rocker training device for instructing able bodied and disabled skiers
CN111921182B (zh) 一种多功能滑行运动装备
US4744584A (en) Handlebars for tucked-in skiing
US9004503B2 (en) Rotatable binding system for snowboards
KR20090003996U (ko) 균형이 쉽게 잡히는 에스보드
US20070222202A1 (en) Protective ski appliance
KR200265756Y1 (ko) 퀵 스노보드
US20050029757A1 (en) Swivelable mount for attaching a binding to a snowboard
WO2018075348A1 (en) Binding and support assembly for a snow sports board
KR20030039407A (ko) 퀵 스노보드
US20060027982A1 (en) Kneeboard device and method of attaching a person to a snowboard deck
US20030209901A1 (en) Snow arc ski board and sports arc
WO2014120007A1 (en) Apparatus comprising a body support frame and means for manoeuvring this frame with respect to a sports board
KR200435676Y1 (ko) 3륜 스케이트 보드
KR100769330B1 (ko) 슬라이딩 스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