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631B1 - 기밀성 캡의 구조 - Google Patents

기밀성 캡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631B1
KR100766631B1 KR1020060105045A KR20060105045A KR100766631B1 KR 100766631 B1 KR100766631 B1 KR 100766631B1 KR 1020060105045 A KR1020060105045 A KR 1020060105045A KR 20060105045 A KR20060105045 A KR 20060105045A KR 100766631 B1 KR100766631 B1 KR 10076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se end
inner cap
airtight
kn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959A (ko
Inventor
히데헤이 카게야마
토모아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07004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tracting writing-poin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사용단부가 상대적으로 각도 또는 오프셋을 유지한 채 캡에 삽입될 가능성이 있어도 사용단부와 밀착될 수가 있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밀성 캡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캡(16)이 외부캡(22)과, 이 외부캡(22) 내에 설치된 내부캡(24)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캡(24)이 외부캡(22)에 대해 캡(16)의 중심축선에 대해 자유로이 기울어질 수 있게 부착되어, 사용시에 내부캡(24)이 사용단부(12) 또는 그 주위에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기밀성 캡의 구조{AIRTIGHT CAP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캡의 구조를 필기구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캡의 구조를 필기구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필기구의 전체도로서, (a)는 캡이 사용단부를 덮고 있는 상태를, (b)는 캡이 사용단부를 노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도 4는, 캠 본체의 전개도,
도 5는, 노크 캠의 선단부의 전개도,
도 6의 (a)는 회전캠 봉의 평면도이고, (b)는 회전캠 봉의 부분측면도,
도 7의 (a) ~ (c)는 회전변환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의 (a)는 외부캡의 단면도이고, (b)는 (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9의 (a)는 내부캡의 단면도이며, (b)는 (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캡 장착시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캡의 구조를 필기구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12의 (a)는 외부캡의 단면도이고, (b)는 (a)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13의 (a)는 내부캡의 단면도이고, (b)는 내부캡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캡의 구조를 필기구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 - - 축통 12 - - - - 사용단부
14 - - - - 노크부재 16, 30, 40 - - - - 캡
22, 32, 42 - - - - 외부캡 24, 34, 44 - - - - 내부캡
22a - - - - 베어링 구멍 24c - - - - 축부
32a - - - - 환상 볼록부 34a - - - - 환상 오목부
42a - - - - 받침부 44a - - - - 피봇축부
본 발명은 문방구나 화장품 등을 담는 기구의 사용단부(使用端部)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단부를 착탈될 수 있게 덮어주는 기밀성 캡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캡의 구조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9-3018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캡의 구조는, 저점성 잉크 필기구의 캡의 구조로서, 캡이 외부캡과, 이 외부캡의 내부에 고정되어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컵 모양의 밀봉체로 이루어져, 캡이 피착(被着)되었을 때에 밀봉체의 자유단 주위 가장자리가 축통의 선단 주면에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평9-30187호 공보에 기재된 것에서는, 컵 모양의 밀봉체가 어느 정도 사용단부에 추수(追隨)해서 사용단부에 밀착하도록 되어 있는 데에 한계가 있다. 특히, 캡이 상대적으로 어떤 각도 또는 어느 정도 오프셋 (offset)되어 사용단부에 덮여지는지 모를 경우에는, 삽입 후에 사용단부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캡이 상대적으로 어떤 각도 또는 어느 정도 오프셋 되어 사용단부에 덮여지는지가 보증되지 않는 상태이어도, 사용단부와 밀착될 수 있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밀성 캡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사용단부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단부를 착탈될 수 있게 덮어주는 기밀성 캡의 구조에서, 캡이 외부캡과, 이 외부캡 내에 설치된 내부캡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캡이 외부캡에 대해 캡의 중심축선에 대해 자유로이 기울어지도록 부착되어, 사용시에 내부캡이 사용단부 또는 그 주위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내부캡이, 외부캡에 대해 캡의 중심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축의 주위에서 회동할 수 있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의 어느 한쪽의 주면에 형성되어 직경방향으로 뻗은 1쌍의 축부와, 내부캡과 외부캡의 다른쪽 주면에 형성되어 당해 축부를 받아주는 베어링 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내부캡이, 외부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부의 주위에서 요동(搖動)할 수 있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의 어느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오목부와, 내부캡과 외부캡의 다른쪽 주면에 형성되어 당해 오목부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볼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상기 내부캡이, 외부캡에 대해 캡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피봇이동할 수 있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의 어느 한쪽의 정상면(頂上面)에 형성된 받침부와, 내부캡과 외부캡의 다른쪽 정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에 피봇장착되는 피봇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밀성 캡의 구조를 가진 캡과, 사용단부를 보유지지하는 축통과, 캡의 착탈을 행하도록 축통에 대해 노크할 수 있게 설치된 노크부재를 구비하는 기구에서, 상기 캡이 회전변환기구를 매개로 노크부재와 연락되어 있고, 상기 회전변환기구는 노크부재의 축방향으로의 1회의 노크에 대응해서 캡을 전진시킨 후, 캡을 축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킨 다음 캡을 후퇴시키는 것으로, 노크부재를 노크할 때마다 캡이 사용단부를 덮는 상태와, 캡이 사용단부를 노출시키는 상태가 절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밀성 캡의 구조를 필기구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필기구는 사용단부(12)를 보유지지하는 축통(10)과, 본 발명의 캡의 구조를 가진 캡(16)과, 캡(16)의 착탈조작을 하기 위한 노크부재(14)를 갖고 있다.
사용단부(12)는, 이 예에서는, 축통(10) 내의 메인 축구멍(10b) 내에 수용된 잉크를 전하는 마커용 팁(tip)으로 되어 있는바, 메인 축구멍(10b)의 선단 개구(10a)에 고정되어 있다. 단, 이에 한하지 않고, 볼펜이나 만년필, 아이라이너, 립라이너, 아이섀도 등의 문방구용 또는 화장용 기구에 적합한 임의의 필기매체 또는 칠매체에 적합한 사용단부(12)로 할 수가 있다. 예컨대, 기구가 볼펜인 경우에, 사용단부(12)는 볼을 구비할 수가 있고, 기구가 펠트펜인 경우에는, 사용단부(12)는 펠트 필심을 구비할 수가 있다.
사용단부(12)는, 이 예에서는, 축통(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 정되지 않고, 사용단부(12)가 필심부재의 단부인 경우와 같이, 사용단부(12)가 축통(10)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게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축통(10)이 일체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축통(10)은, 그 내부에 메인 축구멍(10b)과 평행하게 축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을 갖고 있고, 이 슬라이드용 축구멍(10c)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노크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노크부재(14)의 선단부는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삽입된 노크 캠(14a)으로 되어 있고, 노크부재(14)의 후단부는 축통(10)으로부터 노출된 노크조작부(14b)로 되어 있다. 노크 캠(14a)과 노크조작부(14b)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노크조작부(14b)는, 축통(10)에 대해 노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이 노크에 의해 노크 캠(14a)이 슬라이드용 축구멍(10c)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노크조작부(14b)는 노크 스프링(15)에 의해 상시 후방으로 밀어붙여짐과 더불어, 축통(10)으로부터 후방으로 빠지는 것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축통(10)의 선단부에는, 사용단부(12)가 돌출하는 선단 개구(10a)와 나란히 캡(16)이 출입하는 오목부(10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0d)에는 캡(16)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캡(16)에는, 회전캠 봉(17)이 일체로 연결된다. 회전캠 봉(17)은, 캡(16)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되어 상기 슬라이드용 축구멍(10c)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캠 봉(17)의 외주 둘레에는, 압축스프링(18)이 감겨져 있는바, 이 압축스프링(18)은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의 선단 입구 부근에 고정된 스토퍼(19)와 회전캠 봉(17)의 중간부분에서 확경된 플랜지부(17a) 사이에 끼워져, 회전캠 봉(17) 및 캡(16)을 상시 후방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또, 축통(10)의 후단부에는, 메인 축구멍(10b)의 후단을 막는 끝마개(2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캡(16)과 노크부재(14)는 회전캠 봉(17)과,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형성된 캠 본체(10f), 노크 캠(14a) 및 탄성체인 압축스프링(18)으로 구성된 회전변환기구 또는 회전캠기구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즉, 캠 본체(10f)는, 도 4의 전개도로 도시된 것과 같이, 180°마다 산(10f1, 10f1)이 형성되고, 2개의 산 (10f1, 10f1)의 사이는 골짜기로 된 세로 홈(10f2, 10f2)으로 되어 있다. 또, 산 (10f1, 10f1)의 선단은, 전방에 접해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캠면(10f3, 10f3)으로 되어 있다.
한편, 노크 캠(14a)의 선단부에는, 도 5의 전개도로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외주면에 180°마다 돌기(14a1, 14a1)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면은 180°마다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2종류의 캠면(14a2, 14a3)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14a2)은 완경사면으로, 캠면(14a3)은 급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양자는 전방에서 접하고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돌기(14a1, 14a1)는 상기 캠 본체(10f)의 세로 홈(10f2, 10f2) 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져 있고, 이에 따라 노크 캠(14a)은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없고 축방향이동은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캠 봉(17)의 플랜지부(17a)보다 후방의 외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2개의 세로방향 리브(17b, 17b)가 18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방향 리브(17b, 17b)는, 캠 본체(10f)의 세로 홈(10f2, 10f2) 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반입된다. 그리고, 그 세로방향 리브(17b, 17b)의 후단면은 캠면(17c, 17c)으로 되어 있다. 회전캠 봉(17)은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대해 축방향이동할 수 있고, 세로방향 리브(17b, 17b)가 캠 본체(10f)의 세로 홈(10f2, 10f2)으로부터 탈출해서 전방에 있을 때에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크조작부(14b)를 노크하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크 캠(14a)이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을 전진해서, 그 선단이 회전캠 봉(17)의 후단부에 닿아 회전캠 봉(17)을 전진시킨다. 회전캠 봉(17)의 세로방향 리브(17b, 17b)가 캠 본체(10f)의 세로 홈(10f2, 10f2)을 탈출하면 압축스프링(18)의 부세력에 의해 이의 후퇴와 동시에 회전캠 봉(17)의 캠면(17c, 17c)이 노크 캠(14a)의 캠면(14a2, 14a2)을 따라 미끄럼이동해서 회전캠 봉(17)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노크조작부(14b)의 노크력을 해제하면, 캠 본체(10f)의 세로 홈(10f2, 10f2)을 따라 캠면(17c, 17c)이 미끄럼이동해서, 회전캠 봉(17)이 180°회전한 후, 세로방향 리브(17b, 17b)가 캠 본체(10f)의 전번과 180°다른 세로 홈(10f2, 10f2) 내에 끼워져 후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회전캠 봉(17)의 전진, 180°회전, 후퇴의 운동에 수반해서, 캡(16)도 전진하게 되어, 캡(16)이 사용단부(12)보다 더 전진하여, 회전캠 봉(17) 의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해서 180°회전하고, 후퇴를 해서, 오목부(10d)에 수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필심부재의 선단부(12a)가 노출되어, 필기를 할 수가 있게 된다(도 2, 도 3b 참조).
필기가 종료되어, 다시 노크조작부(14b)를 노크하면, 전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노크 캠(14a)과 캠 본체(10f) 및 회전캠 봉(17)의 협동에 의해, 회전캠 봉(17)의 전진, 180°회전, 후퇴의 운동이 이루어져, 캡(16)이 오목부(10d)로부터 전진해서, 회전캠 봉(17)의 축선을 회전중심으로 해서 180°회전하고, 후퇴해서, 사용단부(12)를 덮어주게 된다(도 1, 도 3a 참조).
이상과 같이 캡(16)의 착탈이 노크조작부(14b)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등에는, 캡(16)과 사용단부(12) 사이의 약간의 경사 또는 위치어긋남 등에 기인해서 캡(16)의 장착불량이 일어나, 사용단부(12)의 기밀성이 훼손될 염려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캡(16)은 외부캡(22)과, 외부캡(22)의 본체 내부에 배설되는 내부캡(24)으로 구성되고서, 내부캡(24)이 외부캡(22)에 대해 캡의 중심축선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세히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캡(22)은 그 본체의 개구에 인접해서 베어링 구멍(22a, 22a)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 외부캡(22)은, 본체와는 별도로, 상기 회전캠 봉(17)의 선단을 상대회전할 수 없고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도 없게 받쳐주는 받침구멍(22b)을 갖고 있다.
한쪽의 내부캡(24)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질(硬質)수지로 된 경질부(24a)와, 이 경질부(24a)의 안쪽에 위치되어 탄성이 있는 연질(軟質)수지로 된 연질부(24b)가 2색으로 성형된 것으로 되어 있다. 연질부(24b)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경질부(24a)로 된 내부캡(24)의 외주면에는, 상기 베어링 구멍(22a, 22a)에 삽입될 수 있게 된 축부(24c, 24c)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내부캡(24)의 축부(24c, 24c)가 외부캡(22)의 베어링 구멍(22a, 22a)에 끼워짐으로써, 내부캡(24)은 축부(24c)를 중심으로 해서, 외부캡(22)에 대해 캡(16)의 중심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축의 주위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캡(24)이 회동할 수 있는 상태이면, 만일 캡(16)의 장착시에 캡(16)과 사용단부(12) 각각의 중심축선이 정합(整合)되어 있지 않거나, 캡(16)과 사용단부(12)의 중심축선이 상호 경사져 있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캡(24)이 캡의 중심축선에 대해 기울어져 사용단부(12)에 적합하게 캡(16)의 위치를 보정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올바른 위치에서 캡(16) 내에 사용단부(12)가 들어가게 되어, 내부캡(24)의 연질부(24b)가 사용단부(12)의 주위인 축통(10)의 선단부에 확실하게 접촉을 해서 기밀성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외부캡(22)에 베어링 구멍(22a, 22a)을, 내부캡(24)에 축부(24c, 24c)를 설치하는 대신, 외부캡에 축부를, 내부캡에 베어링 구멍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외부캡 및 내부캡은 각각 복수의 부품으로 된 것이어도 좋다. 내부캡은 전부가 연질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조가 적용된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 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조에 의한 캡(30)은 외부캡(32)과, 이 외부캡(32)의 내부에 배설되는 내부캡(34)으로 구성되고서, 내부캡(34)이 외부캡(32)에 대해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세히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캡(32)은 그 내주면에 환상 볼록부(32a)를 갖고 있다. 또, 외부캡(32)은, 본체와는 별개로, 상기 회전캠 봉(17)의 선단을 회전할 수가 없고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도 없게 받쳐주는 받침구멍(32b)을 갖고 있다.
한쪽의 내부캡(34)의 외주면에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환상 볼록부(32a)와 끼워맞춰지는 환상 오목부(34a)와 이 환상 오목부(34a)에 인접한 환상 볼록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캡(34)의 환상 오목부(34a) 내에 외부캡(32)의 환상 볼록부(32a)가 여유를 갖고 느슨하게 끼워짐으로써, 내부캡(34)은 그 환상 볼록부(34b)의 외부캡(32)에 접촉하는 환상 접촉선을 중심으로 해서 외부캡(32)에 대해 요동할 수 있게 된다. 이 요동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환상 볼록부(34b)의 표면은 도시된 것과 같이 곡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부캡(34)이 요동을 함으로써, 내부캡(34)이 캡의 중심축선에 대해 기울어져,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 작용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환상 오목부 및 환상 볼록부는, 각각 외부캡 및 내부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외부캡 및 내부캡은 각각 복수의 부품으로 된 것이어도 좋다. 또, 이 예에 있어서도 내부캡이 적어도 일부의 안쪽 또는 전부가 연질부로 구성되어 있 어도 좋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조가 적용된 필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조에 의한 캡(40)은 외부캡(42)과, 이 외부캡(42)의 내부에 배설되는 내부캡(44)으로 구성되고서, 내부캡(44)이 외부캡(42)에 대해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세히는, 외부캡(42)은 그 캡의 본체 내부의 정상면 이면측에 받침부(42a)를 갖고 있다. 또, 외부캡(42)은, 본체와는 별도로, 상기 회전캠 봉(17)의 선단을 상대회전할 수 없고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도 없게 받쳐주는 받침구멍(42b)을 갖고 있다.
한쪽의 내부캡(44) 외부의 정상면 표면 쪽에, 상기 받침부(42a)에 끼워질 수 있게 된 피봇축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캡(44)의 피봇축부(44a)의 선단이 받침부(42a)의 입구로부터 끼워짐으로써, 내부캡(44)은 캡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즉 피봇장착되어 외부캡(42)에 대해 피봇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피봇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피봇축부(44a)의 받침부(42a) 내에 삽입되는 삽입단의 형상은 구면형상으로 되어, 구면베어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부캡(44)이 피봇이동을 함으로써, 내부캡(44)이 캡의 중심축선에 대해 기울어져,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 작용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받침부 및 피봇축부는 외부캡 및 내부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외부캡 및 내부 캡은 각각 복수의 부품으로 된 것이어도 좋다. 또, 이 예에서도 내부캡이 적어도 일부의 안쪽 또는 전부가 연질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캡의 구조는, 캡(16, 30, 40)의 착탈을 노크조작부(14b)에 의해 간접적으로 실행하는 적용예로서, 이와 같은 경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직접 손으로 조작하는 형식의 캡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캡이 상대적으로 각도 또는 오프셋을 유지하고서 사용단부에 덮여지도록 접근하더라도, 내부캡이 기울어져, 사용단부에 추수해서 정상적인 방향 및 위치로 유도하기 때문에, 사용단부 또는 그 주위에 확실히 밀착할 수가 있게 되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Claims (8)

  1. 사용단부의 건조를 방지하도록 사용단부를 착탈될 수 있게 덮는 기밀성 캡의 구조에서,
    캡이 외부캡과, 이 외부캡 내에 설치된 내부캡으로 이루어지고서, 내부캡이 외부캡에 대해 캡의 중심축선에 대해 자유로이 기울어지도록 부착되어, 사용시에 내부캡이 사용단부 또는 그 주위에 밀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캡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이, 외부캡에 대해 캡의 중심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축의 주위에서 회동할 수 있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캡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의 어느 한쪽의 주면에 형성되어 직경방향으로 뻗은 1쌍의 축부와, 내부캡과 외부캡의 다른쪽 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를 받쳐주는 베어링 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캡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이, 외부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부의 주위에서 요동할 수 있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캡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의 어느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오목부와, 내부캡과 외부캡의 다른쪽 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볼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캡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이, 외부캡에 대해 캡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피봇이동할 수 있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캡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의 어느 한쪽의 정상면에 형성된 받침부와, 내부캡과 외부캡의 다른쪽 정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에 피봇장착되는 피봇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 캡의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밀성 캡의 구조를 가진 캡과, 사용단부를 보유지지하는 축통과, 캡의 착탈을 행하도록 축통에 대해 노크할 수 있게 설치된 노크부재를 구비한 기구에서,
    상기 캡이 회전변환기구를 매개로 노크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변환기구는 노크부재의 축방향으로의 1회의 노크에 대응해서, 캡을 전진시킨 후, 캡을 축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킨 다음, 캡을 후퇴시키는 것으로,
    노크부재의 노크마다, 캡이 사용단부를 덮는 상태와, 캡이 사용단부를 노출시키는 상태가 절환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KR1020060105045A 2005-11-09 2006-10-27 기밀성 캡의 구조 KR10076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5270 2005-11-09
JP2005325270A JP4738985B2 (ja) 2005-11-09 2005-11-09 気密性キャップ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959A KR20070049959A (ko) 2007-05-14
KR100766631B1 true KR100766631B1 (ko) 2007-10-15

Family

ID=3771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045A KR100766631B1 (ko) 2005-11-09 2006-10-27 기밀성 캡의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90954B2 (ko)
EP (1) EP1785283A3 (ko)
JP (1) JP4738985B2 (ko)
KR (1) KR1007666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187A (ja) * 1995-07-20 1997-02-04 Kotobuki:Kk 低粘性インキ筆記具のキャッ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115A (en) * 1975-11-10 1976-11-16 Culver Craig F Self-contained closure for writing instruments and the like
JPS62160298A (ja) * 1986-01-09 1987-07-16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化粧用具等塗布具のキヤツプ
US4969766A (en) * 1989-02-15 1990-11-13 Binney & Smith, Inc. Cap for marking instruments
US5000604A (en) * 1989-10-03 1991-03-19 Mitsubishi Pencil Co., Ltd. Removable cap attached to a writing instrument
JPH0725599B2 (ja) * 1989-10-13 1995-03-22 石福金属興業株式会社 陶材焼付用合金の陶材焼付前処理方法及び該陶材焼付前処理剤
JPH03126682U (ko) * 1990-03-31 1991-12-20
JP2600060Y2 (ja) * 1993-11-26 1999-09-27 オート株式会社 流体塗布具のキャップ
US5590971A (en) * 1995-06-26 1997-01-07 Pentech International Inc. Marking pen and cap
JP2001113880A (ja) * 1999-10-21 2001-04-24 Tombow Pencil Co Ltd 筆記具用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187A (ja) * 1995-07-20 1997-02-04 Kotobuki:Kk 低粘性インキ筆記具のキャッ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5283A3 (en) 2009-07-08
US7290954B2 (en) 2007-11-06
KR20070049959A (ko) 2007-05-14
JP2007130848A (ja) 2007-05-31
US20070104533A1 (en) 2007-05-10
EP1785283A2 (en) 2007-05-16
JP4738985B2 (ja)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4081C (fi) Kombinerat skrivdon
KR100503569B1 (ko) 필기구
US20090136284A1 (en) Slide Type Writing Tools Having Device for Prevent Dryness
JP2008260291A (ja) 筆記用具
CN110217016A (zh) 一种写字笔笔壳和写字笔
KR100766631B1 (ko) 기밀성 캡의 구조
US6244769B1 (en) Stick cosmetic container
JPH0215669Y2 (ko)
JP3737035B2 (ja) キャップ位置決め構造
WO2016002779A1 (ja) 塗布具
CN1718446A (zh) 工具
JP6351099B2 (ja) 塗布具
CN109311342A (zh) 带有可借助单个按钮伸缩的两个头部的手动装置
CN210026791U (zh) 揿动式笔
JP3897977B2 (ja) 複合保持具が組込まれたキャップを備えた筆記具
JP4086828B2 (ja) 器具
JP5501698B2 (ja) 筆記具の軸筒
JP6351098B2 (ja) 塗布具
KR200286955Y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7419591B2 (ja) 筆記具
JP3803826B2 (ja) 消ゴム付筆記具
JP6403256B2 (ja) 塗布具
JP4861231B2 (ja) 筆記具
KR20220000041A (ko) 3종 펜
JP2001517166A (ja) マーキング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