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153B1 -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153B1
KR100765153B1 KR1020070066752A KR20070066752A KR100765153B1 KR 100765153 B1 KR100765153 B1 KR 100765153B1 KR 1020070066752 A KR1020070066752 A KR 1020070066752A KR 20070066752 A KR20070066752 A KR 20070066752A KR 100765153 B1 KR100765153 B1 KR 10076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detector
public
input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천
Original Assignee
코지앤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지앤코(주) filed Critical 코지앤코(주)
Priority to KR102007006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의 설비와 비치된 비품의 현황이나 발생되는 문제를 각종 감지수단이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면, 이 신호를 화장실 제어부가 입력받아 문제에 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조치수단을 작동시키는 한편 그 정보를 화장실 관제센터 및 관리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된 때 이 문제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중화장실의 설비와 비치된 비품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로 하여금 해당 문제의 원인을 즉각적으로 해결하게 할 수 있는 등 공중화장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중화장실, 관리, 모니터링, 변기, 통신모듈, 표시장치, 휴지

Description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for public lavatory}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정결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이에 필요한 각종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화장실과는 달리 경기장, 공연장, 공원, 공항, 빌딩, 지하철역, 터미널, 휴게소 등의 화장실(즉 공중화장실)은 설치 개소의 특성상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함께 이용하므로 대부분 그 내부가 혼잡한 데다 불결하기까지 하여 대다수가 이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화장실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변기나 조명등이나 환기장치 따위의 이상 유무, 오수탱크의 만수 여부, 비품 및 화장실 이용 현황 등을 관리자가 해당 화장실을 수시로 방문하여서 체크하고, 또 필요한 조치를 직접 취하여야만 하였는데, 이렇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 이지도 못하였다. 즉 단순히 인력에 의존하는 관리방식은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지 않는 이상, 관리자의 체크가 있기 이전까지는 문제 발생 시 이 문제가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되어 있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 최근 들어 위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관리장치가 공중화장실에 적용되고 있는데, 주로 각 칸(양변기 칸)에 사용 중일 때 이에 관한 표시를 하거나 출입구에 센서를 설치하여 조명등과 환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하는 초보적인 수준의 장치로서, 일부의 자체적인 관리만을 제공하여 줄 뿐 통합적인 관리 면에서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중화장실에 시설된 각종의 설비와 비치된 비품의 현황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함과 아울러 문제 발생 시 이 문제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문제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관리자로 하여금 해당 문제의 원인을 즉각적으로 해결하게 할 수 있는 등 전반적인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변기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와; 각각의 변기가 막혔는지를 감지하는 변기 막힘 감지기와; 각각의 휴지걸이에 걸린 휴지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인지를 감지하는 휴지 잔량 감지기와; 공중화장실의 입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와 동일한 개수의 발광 표시 창을 가지는 변기 사용 현황판과; 상기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의 본관에서 분기된 각각의 분기라인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 변기 막힘 감지기 및 휴지 잔량 감지기가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로부터 특정의 변기가 사용되는 것으로 신호가 입력된 때 이에 해당하는 발광 표시 창을 발광시키고, 상기 변기 막힘 감지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분기라인이 차단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화장실 제어부와; 상기 화장실 제어부가 지정된 화장실 관제센터와 관리서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화장실 제어부가 상기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 변기 막힘 감지기 및 휴지 잔량 감지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오수탱크 내 수위가 일정한 수위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오수 수위 감지기와, 공중화장실의 출입문을 잠그는 도어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화장실 제어부는 상기 오수 수위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중화장실의 출입문이 잠기도록 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고, 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오수 수위 감지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 내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 측정기와, 화재 경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화장실 제어부는 상기 실내온도 측정기로부터 입력된 값이 사전에 설정하여 둔 값 이상인 때 상기 화재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고, 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실내온도 측정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변기 막힘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장실 제어부의 컨트롤에 따라 상기 변기가 막혔음을 알리는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기 사용 현황판은 설치된 화장실이 남성용 화장실임을 표시하도록 M자형으로 형성되거나, 여성용 화장실임을 표시하도록 W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 막힘 감지수단은 상기 변기 안에 찬 물높이가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위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화장실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일정한 시간 동안 입력된 때 상기 변기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의 설비(소변기, 양변기, 오수탱크 등)와 비치된 비품(휴지)의 현황이나 발생되는 문제를 각종 감지수단(변기 막힘 감지기,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 실내온도 측정기, 오수 수위 감지기, 휴지 잔량 감지기 등)이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면, 이 신호를 화장실 제어부가 입력받아 문제에 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조치수단(변기 사용 현황판, 알림장치, 잠금장치, 제1 및 2개폐밸브, 화재 경보장치 등)을 작동시키는 한편 그 정보를 화장실 관제센터 및 관리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된 때 이 문제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중화장실의 설비와 비치된 비품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리자로 하여금 해당 문제의 원인을 즉각적으로 해결하게 할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관리를 효율 있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중화장실의 전반적인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로서, 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화장실은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되는 바, 둘 모두 조명등(도 2의 도면부호 1 참조), 냉난방기(에어컨과 온풍기, 또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를 말한다)(2), 세면대(3), 환기장치(도 2의 도면부호 4 참조), 양변기(대소변 겸용 변기를 말한다)(7-1), 롤 휴지 디스펜서(도 5의 도면부호 8 참조) 등이 공통적으로 설치되며, 이 외에 남성용 화장실의 경우에는 여성용과 달리 소변기(7-2)가 더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변기(소변기와 양변기 둘 모두를 말한다)(7)는 급수관(5)과 연결되어 사용수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각각의 변기(7)로부터 배수되는 오수는 배수관(6)을 따라 수송되어 오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다. 물론, 양변기(7-1)는 칸막이 따위로 외부와 차단된 양변기 칸 안에 각기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은 공중화장실의 각종 설비 및 비품의 상태나 여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감지하는 각종의 감지수단, 이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이 입력된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화장실 제어부(300), 이 화장실 제어부(300)의 컨트롤에 따라 발생된 문제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각종의 조치수 단, 사전에 지정하여 둔 화장실 관제센터(310) 및 관리서버(320)가 위의 화장실 제어부(300)와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3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감지수단으로는 조도 감지기(101), 실내온도 측정기(102), 유해물질 감지기(103), 유량 측정기(104), 오수 수위 감지기(105), 비상용 벨(106),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30), 변기 막힘 감지기(110), 휴지 잔량 감지기(210) 등이 있다.
그리고 조치수단으로는 도어 잠금장치(410), 화재 경보장치(400), 제1 및 제2개폐밸브(420)(120), 변기 사용 현황판(20), 알림장치(134) 등이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먼저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30)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30)는 남성용과 여성용 화장실의 변기(7) 중에서 현재 어느 변기가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는지를 각각 감지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3가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1> 잠금 감지센서
사용자가 양변기 칸에 들어가서 이 각 양변기 칸의 도어에 설치된 수동식 잠금장치를 잠금 작동시킬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즉 이는 일례로 수동식 잠금장치의 로크 핀이 핀 구멍에 삽입되었는지를 발광부와 수광부로 감지하는 광센서이거나, 핀 구멍에 로크 핀이 삽입된 때 누름 조작되거나 하여 접점이 접촉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2> 하중센서
양변기(7-1)의 경우, 사용자의 대부분은 그 변기 시트에 앉은 자세로 사용하는 바, 이처럼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앉은 때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3> 적외선센서
잠금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문을 잠그지 않게 되면, 현재 양변기(7-1)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한다. 아울러 위의 잠금 감지센서와 하중센서는 소변기(7-2)의 사용 여부에 대한 감지가 불가능하다. 이에,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30)는 사용자가 변기(7)를 사용 가능한 범위 이내에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조도 감지기(101)는 공중화장실, 즉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 안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설치된 조도센서로서, 빛의 양이 일정량 이하인지를 감지하여 화장실 제어부(300)에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이렇게 조도 감지기(101)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화장실 제어부(300)는 조명등(1)을 점등시킨다. 물론,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조명등(1)을 소등시킨다.
여기에서, 조명등(1)은 화장실 제어부(300)가 아닌, 화장실 관제센터(310)의 컨트롤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이에, 일례로 화장실 제어부(300)에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30)로부터 감지신호가 일정한 시간 동안 송신되지 않으면, 이를 공중화장실 내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 불필요하게 조명등(1)이 점등되어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내온도 측정기(102)는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 내부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그 값을 화장실 제어부(300)에 감지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실내온도 측정기(102)로부터 측정값(이하, 측정온도)이 입력되면, 화장실 제어부(300)는 이 측정온도를 사전에 설정하여 둔 값(이하, 설정온도)과 비교하는데, 측정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실내온도가 상승되도록 냉난방기(2)를 작동시키고, 반대로 측정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내온도가 떨어지도록 냉난방기(2)를 작동시킨다. 물론, 여기서의 설정온도는 일례로 화장실 관제센터(310)에서 변경이 가능한 바, 일례로 동절기에는 동파가 방지되도록 약 10℃로 설정할 수 있겠고, 하절기에는 쾌적함이 유지도록 20~25℃로 설정할 수 있겠다.
여기에서, 냉난방기(2)는 화장실 제어부(300)가 아닌, 화장실 관제센터(310)의 컨트롤에 따라 그 작동이 온/오프(on/off) 될 수 있다.
한편, 화장실 제어부(300)는 실내온도 측정기(102)로부터 입력된 측정온도가 일례로 50℃(즉 화재온도) 이상인 경우, 이를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 화재 경보장치(400)를 작동시킨다. 이때, 경보장치(400)는 사이렌과 경광등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공중화장실의 밖 사용자 눈에 쉽게 뜨이는 곳에 설치된다.
유해물질 감지기(103)는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 안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의 양이 각각 일정량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일례로 이산화탄소(CO2) 감지센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해물질 감지기(103)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화장실 제어부(300)는 환기장치(4)를 일정한 시간 동안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환기장치(4)는 화장실 제어부(300)가 아닌, 화장실 관제센터(310)의 컨트롤에 따라 그 작동이 온/오프(on/off) 될 수 있다.
유량 측정기(104)는 급수관(5)의 본관(main pipe)(5-1) 상에 설치되어 이 본관(5-1)을 따라 급수되는 사용수의 유량(사용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로서, 사용수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화장실 제어부(300)에 송신하고, 화장실 제어부(300) 또한 화장실 관제센터(310)와 관리서버(320)에 이를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이에 따르면, 화장실 관제센터(310)에서는 사용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일례로 공중화장실 안에 사용자가 없음에도 사용수 사용량이 계속하여 체크될 경우에는 세면대(3) 수도꼭지를 틀어 놓은 상태, 또는 이 수도꼭지나 변기(7)에서 누수가 발생된 상태인 것으로 간주하여 제1 또는 제2개폐밸브(420)(120)를 닫힘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이 제1 또는 제2개폐밸브(420)(120)의 조작은 화장실 관제센터(310)가 아닌, 화장실 제어부(300)의 컨트롤에 따라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개폐밸브(420)는 본관(5-1)에 이 본관(5-1)의 관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제2개폐밸브(120) 본관(5-1)에서 갈라져 나와서 각 변기(7)와 연결된 지관(branch pipe)(5-2)에 이 지관(5-1)의 관로를 개폐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참고로, 제1개폐밸브(420)와 제2개폐밸브(120)는 모두 해당의 관로를 개폐하 는 플런저, 이 플런저가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플런저 케이싱, 이 플런저 케이싱과 플런저 사이에 설치되며 위의 화장실 제어부(300) 컨트롤에 따라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으로 변환되어 해당의 관로가 폐쇄되도록 플런저를 직선 이동시키는 코일, 이 코일의 작용이 정지되면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타입 밸브이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1개폐밸브(420)의 경우에는 본관 개폐밸브라 하고, 제2개폐밸브(120)는 지관 개폐밸브라 하기로 한다.
오수 수위 감지기(105)는 오수탱크의 수위가 일정량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일정량 이상이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만수위를 말한다.
화장실 제어부(300)는 이러한 오수 수위 감지기(105)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도어 잠금장치(410)를 작동시키고, 아울러 각 변기(7)로의 급수가 일제히 중단되도록 본관 개폐밸브(420)를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도어 잠금장치(410)는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에 각각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각 양변기 칸의 문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오수탱크의 수위가 일정량 이상인 때 화장실 제어부(300)의 컨트롤에 따라 잠금 작동되어 변기(7)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물론, 본관 개폐밸브(420)는 오수가 오수탱크로 더 이상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어 잠금장치(410)는 잠금 작동 시 밖에서는 들어올 수 없지만, 이렇 게 잠기기 이전에 들어온 사용자는 나갈 수 있도록, 일례로 안에서 푸시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열리도록 구성된다.
비상용 벨(106)은 사용자가 관리자를 호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된 신호는 화장실 제어부(300) 및 통신모듈(330)을 통하여 화장실 관제센터(310)와 관리서버(320)에 송신되고, 관리자는 이 같이 송신된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호출 요청을 즉각적으로 인지하게 된다.
변기 사용 현황판(20)은 남성과 여성용 화장실의 입구(9) 측 외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해당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7)의 개수와 그 사용 여부 등을 사용자가 화장실 밖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는 화장실의 출입문 밖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변기 사용 현황판(20)은 남성용 화장실 것과 여성용 화장실 것이 서로 형상적으로 상이한 바, 남성용은 맨(man)의 영문 첫 자인 M자형으로 형성되고, 여성용은 우먼(woman)의 영문 첫 자인 W자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때의 형상은 이것이 설치되는 화장실이 남성용인지 여성용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변기 사용 현황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이때, 이는 여성용 화장실임을 표시하는 변기 사용 현황판이다.
위와 같은 변기 사용 현황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체(엘이디(LED)일 수 있다)(50)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창(70)을 복수 개 가진다. 이때, 발광 표시 창(70)의 개수는 변기 사용 현황판(20)이 설치되는 화장실 안 변기(7)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즉 도 1과 같이 여성용 화장실에는 변기(7)가 2개 설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변기 사용 현황판(20)은 여성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발광 표시 창(70)을 2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론, 남성용 화장실에는 변기(7)가 3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남성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그것은 3개의 발광 표시 창(70)을 가진다.
여기에서, 발광 표시 창(70)의 발광체(50)는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30)로부터 어느 한 변기가 사용되고 있음이 감지되어 이 감지신호가 화장실 제어부(300)에 입력되면, 이 화장실 제어부(300)의 컨트롤에 따라 사용되는 변기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가 발광된다.
한편, 변기 사용 현황판(20)은 구체적으로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의 입구(9) 측 외벽이나 그 출입문 밖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4)와, 이 베이스 부재(24)와 결합되어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커버 부재(26)와, 이 커버 부재(26)와 베이스 부재(24)의 사이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8)으로 구성된다. 이때, 회로기판(28)에는 위의 발광체(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 부재(26)에는 회로기판(28)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체(5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발광 표시 창(70)이 각각 마련되는데, 이 발광 표시 창(70)은 발광체(50)의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발광 표시 창(70)과 변기 사용 현황판(20)이 설치되는 화장실 내 변기(7)에는 서로간의 연관성이 두드러지도록 순번에 따라 번호가 표시되거나 연속성을 가지는 문자(알파벳 등)가 표기될 수 있다. 이에, 일례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변기(7)가 ①번이라고 가정할 경우, ①번 발광 표시 창(70)이 발광하게 된다.
도 4는 변기 막힘 감지기가 적용된 양변기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변기 막힘 감지기(110)는 각각의 변기(7)가 막혔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7)의 본체(즉 변기 본체)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거리 떨어져 있도록 변기 본체의 내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수위센서로 구성되고, 변기 본체의 안에 찬 물높이가 일정한 높이(이하, 설정수위)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이 설정수위에 도달한 때 감지신호를 화장실 제어부(300)에 송신한다. 즉 변기(7)가 막힌 경우에는 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차오르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변기 막힘 감지기(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화장실 제어부(300)는 해당 지관(5-2)(막힌 변기와 연결되어 있는 지관)의 관로가 폐쇄되도록 해당의 지관 개폐밸브(120)를 작동시킨다. 또 화장실 제어부(300)는 알림장치(134)를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알림장치(134)는 변기 막힘 감지기(110)에 의하여 감지된 변기(7)가 막혔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서, 일례로 “변기 고장” 등의 문자를 출력하는 LED 표시장치와 같은 표시부일 수 있다. 또는 이 대신에 “고장입니다” 등과 같은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부일 수도 있다.
한편, 화장실 제어부(300)는 위의 변기 막힘 감지기(110)로부터 해당 감지신호가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10~15초)(이하,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때 그제야 비로소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일례로 변기 막힘 감지기(11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같이 화장실 제어부(300)에 변기 막힘 감지수단(110)의 감지신호가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어야만 화장실 제어부(300)가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변기(7)를 사용하고 물을 내리면 보통 5~10초 동안 물이 흘러나오는데, 이 과정 중에 변기 본체 내 수위가 상승되는 것을 변기(7)가 막힌 것으로 인지하는 오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휴지 잔량 감지기(210)는 롤 휴지 디스펜서(8)의 휴지걸이 봉(도 5의 도면부호 35 참조)에 걸린 롤 휴지(두루마리 휴지)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인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자세하게는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가 상승하면 서로 접촉되고 그 반대로 하강하면 접촉이 해제되는 접점과, 승강부재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휴지 잔량 감지기(210)는 그 승강부재가 휴지걸이 봉(35)과 이 휴지걸이 봉(35)에 걸린 롤 휴지의 사이에 위치되어 롤 휴지의 하중을 받도록 설치되는 바, 롤 휴지가 새것인 초기에는 승강부재가 이 롤 휴지의 하중에 눌려서 하강되고, 이후 롤 휴지의 사용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됨에 따라 승강부재는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서서히 상승하게 되며, 종국에는 접점이 서로 붙게 된다. 물론, 이렇게 접점이 접촉되면, 감지신호가 화장실 제어부(300)에 송신되고, 화장실 제어부(300)는 이 정보를 화장실 관제센터(310)와 관리서버(320)에 송신한다.
한편, 휴지 잔량 감지센서(210)는 위의 스위치 대신에 하중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휴지 잔량 감지기가 적용된 휴지걸이, 즉 롤 휴지 디스펜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롤 휴지 디스펜서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롤 휴지 디스펜서(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이 되는 전방 보디(10a)와 후방 보디(10b)에 의하여 대략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하측에 휴지 배출구(12)가 마련된 디스펜서 하우징(10)과, 이 디스펜서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휴지걸이 봉(35)과, 이 휴지걸이 봉(35)에 걸린 롤 휴지를 필요한 길이로 절취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휴지 배출구(12) 좌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에 구비된 절취 날(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렇게 구성되는 롤 휴지 디스펜서(8)는 이 밖에 마운팅 로드(80)와 센서 장착수단(90) 등이 더 구비된다.
전방 보디(10a)와 후방 보디(10b)는 그 하단부나 상단부가 전방 보디(10a)를 후방 보디(10b)에 대하여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도록 힌지 방식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후방 보디(10b)는 앵커볼트 따위에 의하여 벽면에 견고하게 정착된다.
휴지걸이 봉(35)은 그 한쪽 끝이 전방 보디(10a)를 향하도록 후방 보디(10b) 에 관통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후방 보디(10b)와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중공축의 구조를 가지도록 그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의 관통구멍(32)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구멍(32)에는 마운팅 로드(80)의 한쪽이 끼워진다. 이 같은 휴지걸이 봉(35)은 후방 보디(10b)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마운팅 로드(80)는 관통구멍(32)에 꼭 맞게 끼워지는 크기를 가지며, 길이는 관통구멍(32)에 비하여 약간 길도록 형성된다. 또 그 안에는 일정한 크기의 부품챔버(72)가 마련되며, 둘레의 한쪽에는 이 부품챔버(72)의 출입구인 개구(74)가 형성된다. 아울러 마운팅 로드(80)는 관통구멍(32)에 끼워지는 한쪽 끝에 부품챔버(72)와 통하는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바, 개구(74)가 상측을 향하도록 앵커볼트 등에 의하여 벽면에 이 체결구멍을 통하여 견고하게 정착된다. 이때, 부품챔버(72)에는 일례로 롤 휴지 디스펜서(8)가 독립적으로 설치된 경우, 제어부나 통신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센서 장착수단(90)은 원형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바, 이 플레이트는 휴지걸이 봉(35) 밖에 위치하도록 중앙부가 마운팅 로드(80)의 다른 쪽 끝 부분에 장착된다. 또 플레이트는 이 같이 장착된 때 상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휴지 잔량 감지센서(210)가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는 마운팅 홈이 마련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마운팅 홈의 경우, 이 마운팅 홈에 휴지 잔량 감지센서(210)를 결합시킨 때 이 휴지 잔량 감지센서(210)의 롤 휴지 하중을 받아야 하는 부분(승강부재)이 롤 휴지의 하중을 받도록 휴지걸이 봉(35)과 롤 휴지의 사이에 위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플레이트의 경우, 그 크기(둘레)가 휴지걸이 봉(35)에 걸린 롤 휴지의 보빈보다 커서 롤 휴지를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플레이트는 마운팅 로드(80)와 대응하는 부분에 일례로 3개의 잭이 관통된 상태로 장착되고, 마운팅 로드(80)는 각각의 잭과 결합되도록 잭 소켓이 장착된다. 즉 마운팅 로드(80)와 플레이트는 잭 소켓에 잭을 끼우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복수 개의 잭 중 어느 둘은 휴지 잔량 감지센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잭 소켓은 여기에 잭이 삽입된 때 휴지 잔량 감지센서(210)가 화장실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화장실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화장실 관제센터(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의 감지수단으로부터 해당 신호를 모두 입력받아 그 정보를 화장실 관제센터(310)에 통신모듈(330)을 통하여 송신하는데, 이 같이 송신된 정보를 화장실 관제센터(310)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관리서버(320)로 보내진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정보는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사전에 지정하여 둔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위의 알림장치(134)는 변기 막힘 감지기(110)의 감지신호가 화장실 제어부(300)에 입력되면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이 아니라 오수 수위 감지기(105)나 휴지 잔량 감지기(210) 등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된 때에도 마찬가지로 해당 부분의 이상을 알리게끔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지 잔량 감지기(210)(또는 오수 수위 감지기)의 감지신호가 화 장실 제어부(300)에 입력된 때 화장실 제어부(300)의 컨트롤에 따라 표시부에 “휴지 교체”(또는 “사용 금지”)와 같은 문자가 출력될 수 있겠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07은 관리자 확인부로서, 청소하거나 문제가 발생되어 이것에 대한 조치를 취하거나 하기 위하여 공중화장실에 방문하였을 때 이 방문 사실을 화장실 관제센터(310)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관리자 확인부(107)는 체크 스위치이거나 RF(radio frequency) 태그(RF ID tag) 판독기일 수 있는데, 이 관리자 확인부(107)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 받은 화장실 제어부(300)는 통신모듈(330)을 통하여 해당 정보를 화장실 관제센터(310)로 보낸다. 물론 이렇게 수신된 정보는 관리서버(320)로 보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중화장실의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변기 사용 현황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변기 막힘 감지기가 적용된 양변기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휴지 잔량 감지기가 적용된 롤 휴지 디스펜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7 : 변기 20 : 변기 사용 현황판
30 :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 102 : 실내온도 측정기
105 : 오수 수위 감지기 110 : 변기 막힘 감지기
120 : 제2개폐밸브 134 : 알림장치
210 : 휴지 잔량 감지기 300 : 화장실 제어부
310 : 화장실 관제센터 320 : 관리서버
330 : 통신모듈 400 : 화재 경보장치
410 : 도어 잠금장치 420 : 제1개폐밸브

Claims (6)

  1. 각각의 변기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와;
    각각의 변기가 막혔는지를 감지하는 변기 막힘 감지기와;
    각각의 휴지걸이에 걸린 휴지의 잔량이 일정량 이하인지를 감지하는 휴지 잔량 감지기와;
    공중화장실의 입구 측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와 동일한 개수의 발광 표시 창을 가지는 변기 사용 현황판과;
    상기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의 본관에서 분기된 각각의 분기라인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 변기 막힘 감지기 및 휴지 잔량 감지기가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로부터 특정의 변기가 사용되는 것으로 신호가 입력된 때 이에 해당하는 발광 표시 창을 발광시키고, 상기 변기 막힘 감지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분기라인이 차단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화장실 제어부와;
    상기 화장실 제어부가 지정된 화장실 관제센터와 관리서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화장실 제어부가 상기 변기 사용 여부 감지기, 변기 막힘 감지기 및 휴지 잔량 감지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수탱크 내 수위가 일정한 수위 이상인지를 감지하는 오수 수위 감지기 및, 공중화장실의 출입문을 잠그는 도어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 제어부는 상기 오수 수위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중화장실의 출입문이 잠기도록 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고, 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오수 수위 감지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공중화장실 내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 측정기 및, 화재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 제어부는 상기 실내온도 측정기로부터 입력된 값이 사전에 설정하여 둔 값 이상인 때 상기 화재 경보장치를 작동시키고, 또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실내온도 측정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막힘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장실 제어부의 컨트롤에 따라 상기 변기가 막혔음을 알리는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사용 현황판은 설치된 화장실이 남성용 화장실임을 표시하도록 M자형으로 형성되거나, 여성용 화장실임을 표시하도록 W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막힘 감지수단은 상기 변기 안에 찬 물높이가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수위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화장실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일정한 시간 동안 입력된 때 상기 변기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KR1020070066752A 2007-07-03 2007-07-03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KR10076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752A KR100765153B1 (ko) 2007-07-03 2007-07-03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752A KR100765153B1 (ko) 2007-07-03 2007-07-03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153B1 true KR100765153B1 (ko) 2007-10-15

Family

ID=3941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752A KR100765153B1 (ko) 2007-07-03 2007-07-03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15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592B1 (ko) * 2008-06-20 2010-11-05 (주)에이스그린텍 화장실 자동 제어 구조
KR101056468B1 (ko) * 2009-06-15 2011-08-12 주식회사 무림교역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KR101133539B1 (ko) * 2011-07-04 2012-04-05 김민규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KR101486575B1 (ko) 2007-12-07 2015-02-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능형 순번 발급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535754B1 (ko) * 2014-11-14 2015-07-09 백귀란 진공 밀봉 및 원격관리 기능을 갖는 생리대 수거장치
KR101553353B1 (ko) * 2013-06-03 2015-09-17 (주)아이리녹스 스마트 에코 화장실 시스템
KR20180074422A (ko) * 2016-12-23 2018-07-03 (주)유미테크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WO2019108996A1 (en) * 2017-11-30 2019-06-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ing system
WO2019133787A1 (en) * 2017-12-29 2019-07-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shroom monitoring system
KR102069453B1 (ko) * 2018-12-19 2020-02-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실 클린 관리시스템
JP2021129954A (ja) * 2020-02-21 2021-09-09 Toto株式会社 トイレ管理方法、トイレ管理システム、トイレ管理装置、及びトイレ管理プログラム
KR20220142755A (ko) * 2021-04-15 2022-10-24 종 신 김 사용수의 재활용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689A (ja) 2001-05-25 2002-12-03 Toto Ltd トイレシステム
JP2003166274A (ja) 2001-11-26 2003-06-13 Sloan Valve Co 個人用衛生またはサニタリ設備の遠隔操作のためのシステム
KR200414455Y1 (ko) 2006-02-09 2006-04-20 주식회사 무림교역 야외 공중 화장실의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060091185A (ko) * 2005-02-14 2006-08-18 주식회사 무림교역 야외 공중 화장실의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689A (ja) 2001-05-25 2002-12-03 Toto Ltd トイレシステム
JP2003166274A (ja) 2001-11-26 2003-06-13 Sloan Valve Co 個人用衛生またはサニタリ設備の遠隔操作のためのシステム
KR20060091185A (ko) * 2005-02-14 2006-08-18 주식회사 무림교역 야외 공중 화장실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200414455Y1 (ko) 2006-02-09 2006-04-20 주식회사 무림교역 야외 공중 화장실의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575B1 (ko) 2007-12-07 2015-02-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능형 순번 발급기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992592B1 (ko) * 2008-06-20 2010-11-05 (주)에이스그린텍 화장실 자동 제어 구조
KR101056468B1 (ko) * 2009-06-15 2011-08-12 주식회사 무림교역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KR101133539B1 (ko) * 2011-07-04 2012-04-05 김민규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KR101553353B1 (ko) * 2013-06-03 2015-09-17 (주)아이리녹스 스마트 에코 화장실 시스템
KR101535754B1 (ko) * 2014-11-14 2015-07-09 백귀란 진공 밀봉 및 원격관리 기능을 갖는 생리대 수거장치
KR20180074422A (ko) * 2016-12-23 2018-07-03 (주)유미테크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KR101889913B1 (ko) * 2016-12-23 2018-08-21 (주)유미테크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WO2019108996A1 (en) * 2017-11-30 2019-06-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ing system
CN111295120A (zh) * 2017-11-30 2020-06-16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分配系统
KR20200084014A (ko) * 2017-11-30 2020-07-0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분배 시스템
KR102594304B1 (ko) * 2017-11-30 2023-10-2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분배 시스템
WO2019133787A1 (en) * 2017-12-29 2019-07-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shroom monitoring system
US11299872B2 (en) 2017-12-29 2022-04-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shroom monitoring system
KR102069453B1 (ko) * 2018-12-19 2020-02-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장실 클린 관리시스템
JP2021129954A (ja) * 2020-02-21 2021-09-09 Toto株式会社 トイレ管理方法、トイレ管理システム、トイレ管理装置、及びトイレ管理プログラム
JP7482389B2 (ja) 2020-02-21 2024-05-14 Toto株式会社 トイレ管理方法、トイレ管理システム、トイレ管理装置、及びトイレ管理プログラム
KR20220142755A (ko) * 2021-04-15 2022-10-24 종 신 김 사용수의 재활용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525014B1 (ko) * 2021-04-15 2023-04-21 김종신 사용수의 재활용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153B1 (ko)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US6938280B2 (en) Lavatory with sensor
US6347414B2 (en) Intelligent demand-based dispensing system
JP6223951B2 (ja) 個室管理システム
US20060097189A1 (en) Disinfecting system for a toilet
JP5871278B2 (ja) トイレ
CN102122166A (zh) 智能家居系统及其工作方法
US20040199989A1 (en) Toilet and urinal leak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20160376773A1 (en) Method for Automatic Water Leak Detection and Mitigation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Water Supply Systems
KR100812591B1 (ko) 공중 화장실 관리 시스템
US20150053140A1 (en) Modularly connected device for cleaning a pet toilet
US20060200897A1 (en) System for extracting odors
EP1747326A2 (en) Exhaust unit for a toilet bowl
CN104806549A (zh) 一种室内排气扇及灯的控制系统
CN111866151A (zh) 一种智慧卫生间管理系统
KR100821934B1 (ko) 공중화장실용 사용상태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0804055B1 (ko) 변기의 오물 넘침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JP4403054B2 (ja) 個室使用状況報知システム
US20160069048A1 (en) Water flow control and supply system
JP2017212003A (ja) 個室管理システム
JP2017212003A5 (ko)
KR100714279B1 (ko) 야외 공중 화장실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598030B1 (ko) 자동개폐식 변기를 이용한 이동식 화장실
KR20180135378A (ko) 변기의 오물 넘침 방지장치 및 사전 알림
CA2556137C (en) Networking of discrete plumb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