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539B1 -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539B1
KR101133539B1 KR1020110065893A KR20110065893A KR101133539B1 KR 101133539 B1 KR101133539 B1 KR 101133539B1 KR 1020110065893 A KR1020110065893 A KR 1020110065893A KR 20110065893 A KR20110065893 A KR 20110065893A KR 101133539 B1 KR101133539 B1 KR 10113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matic
list
individual
individual room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11006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ilet Supplie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개별룸들의 사용상태를 확인하는 디텍터; 상기 디텍터의 확인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송출기; 상기 송출기에서 송출되는 상기 확인신호 및 기 저장된 상기 공중화장실의 구조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 및 현재 사용상태를 도식으로 제공하는 도식제공기; 상기 도식을 상기 공중화장실의 입구에 화면으로 출력하여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 및 현재 사용상태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텍터, 송출기 및 도식제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텍터에 의해 확인되는 개별룸들의 사용상태가 도식제공기를 통해 제공되는 도식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안내되므로, 화장실의 입구에서 미사용중인 개별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공중화장실 내에서의 혼잡이 감소된다.

Description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GUIDING APPARATUS FOR PUBLIC RESTROOM}
본 발명은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화장실의 개별룸들의 사용현황을 공중화장실의 입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휴게소나 터미널, 공항 등의 공중화장실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이용하므로 혼잡하고, 특히 명절이나 연휴 때 사용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더욱 혼잡한 문제점이 있어서, 이러한 공중화장실의 혼잡함을 해소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에 선행하여 개발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65153호에 개시된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가 있다.
선행기술의 관리장치는 변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변기사용 감지기; 변기의 막힘을 감지하는 변기막힘 감지기; 휴지의 잔량을 감지하는 휴지잔량 감지기; 변기와 동일한 개수의 발광 표시창을 갖는 변기사용 현황판;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에 설치된 개폐밸브; 변기사용 감지기로부터 특정의 변기가 사용되는 것으로 신호가 입력된 때 이에 해당하는 발광 표시창을 발광시키고, 변기막힘 감지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개폐밸브를 차단하는 화장실 제어부; 화장실 제어부가 변기사용 감지기, 변기막힘 감지기 및 휴지잔량 감지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중화장실 관리장치는 공중화장실의 각각의 변기에 설치되는 변기사용 감지기를 통해 변기의 사용을 감지하고, 사용이 감지된 변기가 변기사용 현황판의 발광표시창을 통해 표시되어 사용자가 변기의 사용현황을 확인한다.
그런데 종래의 공중화장실 관리장치는 사용현황판을 통해 변기 각각의 사용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공중화장실 내에 배치된 변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근래의 고속도로 휴게소나 터미널 등의 공중화장실이 대형화되면서 변기가 수십 개씩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면, 사용중이 아닌 변기의 개수 정도만을 안내할 뿐, 사용중이 아닌 변기의 위치를 안내할 수 없어서 화장실 내의 혼잡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공중화장실 관리장치는 단순히 각각의 변기에 해당하는 발광표시창의 발광을 통해서만 변기의 사용현황을 표시하므로 변기의 개수가 많아질 경우 중구난방으로 발광하는 형태가 되어 시각적으로 혼란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변기 각각의 사용현황과 함께 사용중이 아닌 변기들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관리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개별룸들의 사용상태를 공중화장실의 입구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함은 물론, 개별룸들의 위치를 공중화장실에 배치된 개별룸들과 동일하게 배열된 상태로 표시함으로써 미사용중인 개별룸을 안내할 수 있고, 개별룸들의 사용여부와 함께 사용중인 개별룸의 사용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개별룸들의 위치에 따른 사용현황과 더불어 미사용중인 개별룸들을 리스트형태로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리스트에 등록된 개별룸이 공중화장실의 개별룸과 동일하게 배열된 개별룸들 중에서 어떤 것인지 확인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개별룸들의 이용상태를 이용자의 단말기에 도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개별룸의 사용시간이 초과될 경우 이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는,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개별룸들의 사용상태를 확인하는 디텍터; 상기 디텍터의 확인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송출기; 상기 송출기에서 송출되는 상기 확인신호 및 기 저장된 상기 공중화장실의 구조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 및 현재 사용상태를 도식으로 제공하는 도식제공기; 상기 도식을 상기 공중화장실의 입구에 화면으로 출력하여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 및 현재 사용상태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텍터, 송출기 및 도식제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디텍터는,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여부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디텍터는, 상기 감지센서의 사용여부 확인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개별룸들의 사용시간을 카운팅하여 사용시간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식제공기는,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를 그림으로 표시하는 도식이 저장된 파일저장부; 상기 송출기로부터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확인신호 수신부; 상기 도식에 그림으로 표시된 상기 개별룸의 현재 사용상태를 상기 확인신호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확인신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색상표시부; 및 상기 색상이 표시된 상기 도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도식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텍터의 확인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을 사용상태별로 기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리스트로 제공하는 리스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부는,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와 상기 확인신호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개별룸들의 현재 사용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공중화장실의 개별룸들 중에서 입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미사용 개별룸부터 순차적으로 순위를 선정하는 순위선정부; 및 상기 순위선정부에서 선정된 순위별 상기 개별룸을 리스트로 가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부는, 상기 확인신호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장시간 사용된 개별룸부터 순차적으로 순위를 선정하여 상기 리스트 제공부에 제공하는 사용시간 순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면의 일측에 상기 도식제공기에서 제공하는 상기 도식을 현시하고, 상기 화면의 타측에 상기 리스트부의 상기 리스트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리스트를 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스트부는, 상기 리스트에 기재된 상기 개별룸들 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개별룸이 상기 도식에 현시된 개별룸들 중에서 어느 것인지를 확인하는 개별룸 확인부; 및 상기 개별룸 확인부에 의해 상기 도식에서 확인된 해당 개별룸을 점멸시키는 점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리스트의 터치에 의해 상기 해당 개별룸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디텍터의 확인신호나 상기 도식제공기의 도식을 기반으로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의 사용상태를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중화장실의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는 예컨대, 상기 도식제공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도식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도식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상기 업데이트된 도식을 저장하는 도식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도식을 상기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텍터는,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되는 상기 개별룸의 사용시간이 설정된 사용시간을 초과하였는가를 확인하여 이상신호를 제공하는 알러트;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에 의하면, 디텍터에 의해 확인되는 개별룸들의 사용상태가 도식제공기를 통해 제공되는 도식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안내되므로, 화장실의 입구에서 미사용중인 개별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공중화장실 내에서의 혼잡이 감소된다.
또한, 디텍터가 감지센서를 통해 개별룸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카운터를 통해 사용중인 개별룸의 사용시간을 카운팅하므로 개별룸의 사용현황과 함께 사용중인 개별룸의 사용시간을 디스플레이로 확인함은 물론, 사용시간이 과도하게 경과된 개별룸을 파악할 수 있다.
또, 도식제공기가 색상표시부를 통해 개별룸의 사용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파일저장부의 도식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므로 각 개별룸들의 사용상태를 색상의 구분을 통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개별룸들의 사용상태가 리스트부에 의해 사용상태별로 기재되어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므로, 개별룸들의 사용상태를 도식과 함께 리스트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리스트부가 공중화장실의 입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면서 미사용중인 개별룸부터 순위를 선정하여 리스트를 제공하므로, 미사용중인 개별룸으로 신속하게 안내할 수 있어서 화장실 내의 혼잡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리스트부가 개별룸들의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장시간 사용된 개별룸부터 순위를 선정하므로, 미사용중인 개별룸이 없을 경우 리스트를 통해 사용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은 개별룸들을 순서대로 안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화면 일측에 도식이 현시되고, 화면 타측에 리스트가 현시되므로 리스트에 현시된 개별룸을 도식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리스트에 기재된 개별룸을 개별룸 확인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에서 터치식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개별룸이 점멸부를 통해 도식에서 점멸되므로 이용하고자 하는 개별룸의 위치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덧붙여, 개별룸들의 사용상태가 중계기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므로 디스플레이의 확인이 없이도 공중화장실의 사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기가 도식제공기에서 제공되는 도식을 수신하여 업데이트된 상태로 전송하므로 개별룸들의 현재상황을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개별룸의 사용시간이 초과될 경우 알러트가 이상신호를 제공하므로 개별룸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텍터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식제공기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스트부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기를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중화장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의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터(10), 송출기(20), 도식제공기(30), 디스플레이(40) 및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텍터(10)는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개별룸들의 사용상태를 확인하는 수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미도시된 변기가 설치된 개별룸(R)들의 각각에 사용자가 있는가를 확인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디텍터(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룸(R)들의 내측에서 개별룸(R)들의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여부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11)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센서(11)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개별룸(R)의 사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센서(11)는 개별룸(R)의 도어(DR)의 잠김을 감지하는 록킹센서나, 미도시된 변기의 시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 또는 개별룸(R)들의 내부에 사용자가 들어왔는가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11)의 구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디텍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운터(13)는 감지센서(11)에서 생성된 사용여부 확인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사용중인 개별룸(R)의 사용시간을 카운팅하여 사용시간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 감지센서(11)에 의해 어느 개별룸(R)의 사용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개별룸(R)의 사용시간 카운팅을 시작하여 사용시간 확인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개별룸(R)에서 사용자가 나감에 따라 감지센서(11)의 감지가 종료되면 사용시간 카운팅을 리셋한다.
또한, 디텍터(10)는 알러트(15)가 마련될 수 있다.
알러트(15)는 카운터(13)에서 카운팅되는 개별룸(R)의 사용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였는가를 확인하여 이상신호를 생성한다. 즉, 알러트(15)는 감지센서(11)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이 감지된 개별룸(R)의 사용시간이 과도하게 경과된 경우에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개별룸(R)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의의 사고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송출기(20)는 감지센서(11)에서 생생된 사용여부 확인신호나 카운터(13)에서 생성된 사용시간 확인신호와 같은 디텍터(10)의 확인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송출기(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1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감지센서(11) 및 카운터(13)의 확인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한편, 송출기(20)는 감지센서(11) 및 카운터(13)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여부 확인신호와 사용시간 확인신호를 유선으로 송출할 수도 있다.
도식제공기(30)는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개별룸(R)들의 위치 및 현재 사용상태(사용여부, 사용시간)를 도식(圖式)으로 후술되는 디스플레이(40)에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써, 송출기(20)에서 송출되는 확인신호와 기 저장된 공중화장실의 구조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식을 생성한다.
이러한 도식제공기(30)는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미도시된 관리서버에 내장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저장부(31), 확인신호 수신부(33), 색상표시부(35) 및 도식전송기(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일저장부(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화장실에 배치된 개별룸(R)들과 동일한 형태의 그림으로 도시된 도식(31a)이 저장된다. 즉, 도식(31a)은 개별룸(R)들의 실제 배치구조와 동일하게 배열된다.
확인신호 수신부(33)는 송출기(20)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되는 사용여부 확인신호와 사용시간 확인신호를 수신한다.
색상표시부(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식(31a)에 그림으로 표시된 개별룸(Ra)에 해당하는 실제 개별룸(R)의 사용상태를 확인신호 수신부(33)에 수신된 확인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색상표시부(35)는 전술한 감지센서(11)의 사용여부 확인신호에 따라 사용중과 미사용중인 개별룸(R)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사용중인 개별룸(R)을 카운터(13)의 사용시간 확인신호에 따라 사용시간이 경과된 단계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한다. 예컨대, 색상표시부(35)는 도 7의 우측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도식(31a)에 표시한다.
도식전송부(3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가 색상으로 표시된 도식(31a)을 후술되는 디스플레이(40)에 전송하는 것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유선을 통해 연결되어 도식(31a)을 전송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식제공기(30)에서 제공된 도식(31a)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부재로써, 공중화장실의 입구에 설치되어 화면을 통해 개별룸(R)의 위치 및 현재 사용상태를 안내한다.
컨트롤러(50)는 전술한 디텍터(10), 송출기(20), 도식제공기(30) 및 디스플레이(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술한 관리서버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성되어 기 입력된 프로그램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리스트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스트부(60)는 디텍터(10)에서 제공되는 확인신호(사용여부, 사용시간)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상태별로 개별룸(R)들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60a)로 기재하여 디스플레이(40)에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위선정부(61) 및 리스트 제공부(63)를 포함한다.
순위선정부(61)는 개별룸(R)들의 위치와 현재 사용상태를 비교하여 공중화장실의 입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미사용 중인 개별룸(R)부터 순차적으로 순위를 선정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되는 리스트(60a)의 기재순서를 미사용중이면서 화장실의 입구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순위를 선정한다. 물론, 순위선정부(61)는 전술한 디텍터(10)의 확인신호를 기반으로 개별룸(R)의 사용상태를 비교하면서, 기 저장된 입구와 개별룸(R)들의 거리데이터를 통해 순위를 선정한다.
리스트 제공부(63)는 순위선정부(61)에 의해 선정된 순위별 개별룸(R)을 리스트(60a)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40)에 제공한다.
또한, 리스트부(60)는 사용시간 순위부(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시간 순위부(65)는 사용중인 개별룸(R)들을 장시간 사용된 개별룸(R)부터 순위를 선정하여 리스트 제공부(63)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사용시간 순위부(65)는 카운터(13)에서 제공되는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중인 개별룸(R)들을 비교하여 장시간 사용된 개별룸(R)부터 순차적으로 순위를 선정한다.
즉, 리스트(60a)는 순위선정부(61)를 통해 미사용중이면서 입구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개별룸(R)들이 우선적으로 기재되며, 미사용중인 개별룸(R)이 없을 경우 사용시간 순위부(65)를 통해 장시간 사용된 개별룸(R)부터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된다.
또, 리스트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룸 확인부(67) 및 점멸부(6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별룸 확인부(67)는 디스플레이(40)에 출력된 리스트(60a) 중에서 디스플레이(40)의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개별룸(R)이 도식(31a)에 표시된 개별룸(Ra)들 중에서 어느 것인지를 확인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40)는 도식(31a) 및 리스트(60a)를 출력하는 동시에 리스트(60a)가 현시된 부위가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즉, 개별룸 확인부(6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60a)의 일측에 현시된 개별룸 확인버튼(67a)의 터치에 따라 터치된 개별룸 확인버튼(67a)에 해당하는 리스트(60a)의 개별룸(R)을 확인하고, 확인된 개별룸(R)을 도식(31a)에 현시된 개별룸(Ra)들과 비교하면서 도식(31a)에서 어느 곳에 현시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점멸부(69)는 개별룸 확인부(67)의 확인에 따라 도식(31a)에 표시된 해당 개별룸(Ra)을 점멸시키는 요소이다. 이러한 점멸부(69)는 전술한 색상표시부(35)에 의해 도식(31a)의 해당 개별룸(Ra)에 표시된 색상을 상반된 색상으로 교번적으로 출력하면서 점멸시키거나 표시된 색상을 온오프시키면서 점멸시키며, 이와 달리 도식(31a)에 표시된 해당 개별룸(Ra)의 일측에 화살표와 같은 별개의 안내표시를 출력하면서 점멸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디스플레이(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일측(도면상 좌측)에 전술한 도식제공기(30)에서 제공하는 도식(31a)을 현시하고, 화면의 타측(도면상 우측)에 리스트부(60)의 리스트 제공부(63)에서 제공하는 리스트(60a)를 현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40)의 화면상 도식(31a)에 표시되는 개별룸(Ra)을 통해 실제 개별룸(R)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리스트(60a)에 표시되는 순위별 또는 사용시간별 개별룸(Ra)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먼저 완료되는 실제 개별룸(R)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식(31a) 및 리스트(60a)가 디스플레이(40)의 화면에 병기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계기(70)는 전술한 디텍터(10)의 확인신호(사용여부, 사용시간)나 도식제공기(30)에서 생성된 도식(31a)을 기반으로 한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를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화장실 이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중계기(70)는 데이터를 송수신시키는 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되어 전술한 관리서버에 내장되거나 별개의 송수신기 형태로 제작되어 전술한 컨트롤러(50) 및 도식제공기(30)와 스마트폰과 같은 이용자 단말기에 연결되며, 도식제공기(30)에 의해 디스플레이(40)에 출력되는 도식(31a)과 동일한 형태의 도식(31a)을 이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이때, 중계기(70)는 이용자 단말기에 탑재되는 앱(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이용자 단말기와 연결된다.
이러한 중계기(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71), 업데이트부(73), 도식저장부(75) 및 전송부(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부(71)는 도식제공기(30)에서 생성되는 도식(31a)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업데이트부(73)는 수신부(71)에 수신되는 도식(31a)을 업데이트하고, 도식저장부(75)는 업데이트된 도식(31a)을 저장한다. 그리고 전송부(77)는 도식저장부(75)에 저장된 도식(31a)을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화장실 이용자는 도식제공기(30)에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40)에 출력되는 것과 동일한 도식(31a)을 전송부(77)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로 수신하여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디텍터(10)는 감지센서(11)를 통해 공중화장실의 개별룸(R)에 이용자가 있는가를 확인하여 사용여부 확인신호를 생성하고, 감지센서(11)의 확인에 따라 카운터(13)가 작동하면서 사용중인 개별룸(R)의 사용시간 확인신호를 생성한다.
도식제공기(30)는 디텍터(10)에서 생성된 확인신호(사용여부, 사용시간)를 송출기(20)를 통해 수신하여 개별룸(R)들과 동일하게 배치된 그림형태의 도식(31a)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40)에 전송한다. 이때, 도식제공기(30)는 색상표시부(35)를 통해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도식전송부(37)를 통해 전송한다.
디스플레이(40)는 공중화장실의 입구에 설치되어 도식제공기(30)에서 전송된 도식(31a)을 출력하며, 미사용중이면서 입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순서로 리스트부(60)에 의해 기재된 리스트(60a)를 출력한다.
따라서, 화장실 이용자는 공중화장실의 입구에서 디스플레이(40)에 표시된 도식(31a)을 통해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사용여부, 사용시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리스트(60a)를 통해 입구에서 가까우면서 미사용중인 개별룸(R)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60a)는 미사용중인 개별룸(R)이 없을 경우, 사용시간 순위부(65)를 통해 장시간 사용된 순서로 개별룸(R)들이 기재되므로 사용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은 개별룸(R)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화장실 이용자는 리스트(60a)에 기재된 미사용중인 개별룸(R)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리스트(60a)의 개별룸 확인버튼(67a)을 터치한다. 이때, 도식(31a)에 표시된 개별룸(Ra)은 개별룸 확인부(67) 및 점멸부(69)의 작동에 의해 터치된 리스트(60a)에 해당하는 개별룸(Ra)이 점멸하면서 위치를 안내한다.
따라서, 화장실 이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개별룸(R)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화장실 이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앱(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중화장실의 현재 사용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중계기(70)는 도식제공기(30)에서 생성된 도식(31a)을 수신하고 업데이트하여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화장실 이용자는 공중화장실의 입구에 가지 않고도 이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도식(31a)을 통해 공중화장실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에 의하면, 디텍터(10)에 의해 확인되는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가 도식제공기(30)를 통해 제공되는 도식(31a)에 의해 디스플레이(40)에 안내되므로, 화장실의 입구에서 미사용중인 개별룸(R)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공중화장실 내에서의 혼잡이 감소된다.
또한, 디텍터(10)가 감지센서(11)를 통해 개별룸(R)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카운터(13)를 통해 사용중인 개별룸(R)의 사용시간을 카운팅하므로 개별룸(R)의 사용현황과 함께 사용중인 개별룸(R)의 사용시간을 디스플레이(40)로 확인함은 물론, 사용시간이 과도하게 경과된 개별룸(R)을 파악할 수 있다.
또, 도식제공기(30)가 색상표시부(35)를 통해 개별룸(R)의 사용상태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파일저장부(31)의 도식(31a)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40)에 전송하므로 각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를 색상의 구분을 통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가 리스트부(60)에 의해 사용상태별로 기재되어 디스플레이(40)에 제공되므로,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를 도식(31a)과 함께 리스트(60a)를 통해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리스트부(60)가 공중화장실의 입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면서 미사용중인 개별룸(R)부터 순위를 선정하여 리스트(60a)를 제공하므로, 미사용중인 개별룸(R)으로 신속하게 안내할 수 있어서 화장실 내의 혼잡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리스트부(60)가 개별룸(R)들의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장시간 사용된 개별룸(R)부터 순위를 선정하므로, 미사용중인 개별룸(R)이 없을 경우 리스트(60a)를 통해 사용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은 개별룸(R)들을 순서대로 안내할 수 있다.
또, 리스트(60a)에 기재된 개별룸(R)을 개별룸 확인부(67)를 통해 디스플레이(40)에서 터치식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개별룸(R)이 점멸부(69)를 통해 도식(31a)에서 점멸되므로 이용하고자 하는 개별룸(R)의 위치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덧붙여, 개별룸(R)들의 사용상태가 중계기(70)를 통해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므로 디스플레이(40)의 확인이 없이도 공중화장실의 사용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계기(70)가 도식제공기(30)에서 제공되는 도식(31a)을 수신하여 업데이트된 상태로 전송하므로 개별룸(R)들의 현재상황을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디텍터 11 : 감지센서
13 : 카운터 20 : 송출기
30 : 도식제공기 31 : 파일저장부
33 : 확인신호 수신부 35 : 색상표시부
37 : 도식전송부 40 : 디스플레이
50 : 컨트롤러 60 : 리스트부
61 : 순위선정부 63 : 리스트 제공부
65 : 사용시간 순위부 67 : 개별룸 확인부
69 : 점멸부 70 : 중계기
71 : 수신부 73 : 도식저장부
75 : 전송부

Claims (10)

  1.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개별룸들의 사용상태를 확인하는 디텍터;
    상기 디텍터의 확인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송출기;
    상기 송출기에서 송출되는 상기 확인신호 및 기 저장된 상기 공중화장실의 구조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 및 현재 사용상태를 도식으로 제공하는 도식제공기;
    상기 도식을 상기 공중화장실의 입구에 화면으로 출력하여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 및 현재 사용상태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텍터, 송출기 및 도식제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디텍터는,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여부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디텍터는,
    상기 감지센서의 사용여부 확인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개별룸들의 사용시간을 카운팅하여 사용시간 확인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식제공기는,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를 그림으로 표시하는 도식이 저장된 파일저장부;
    상기 송출기로부터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확인신호 수신부;
    상기 도식에 그림으로 표시된 상기 개별룸의 현재 사용상태를 상기 확인신호 수신부로 수신되는 상기 확인신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색상표시부; 및
    상기 색상이 표시된 상기 도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도식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텍터의 확인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을 사용상태별로 기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리스트로 제공하는 리스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부는,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위치와 상기 확인신호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개별룸들의 현재 사용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공중화장실의 개별룸들 중에서 입구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미사용 개별룸부터 순차적으로 순위를 선정하는 순위선정부; 및
    상기 순위선정부에서 선정된 순위별 상기 개별룸을 리스트로 가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부는,
    상기 확인신호에 의해 확인되는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들의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장시간 사용된 개별룸부터 순차적으로 순위를 선정하여 상기 리스트 제공부에 제공하는 사용시간 순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면의 일측에 상기 도식제공기에서 제공하는 상기 도식을 현시하고, 상기 화면의 타측에 상기 리스트부의 상기 리스트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리스트를 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부는,
    상기 리스트에 기재된 상기 개별룸들 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해당 개별룸이 상기 도식에 현시된 개별룸들 중에서 어느 것인지를 확인하는 개별룸 확인부; 및
    상기 개별룸 확인부에 의해 상기 도식에서 확인된 해당 개별룸을 점멸시키는 점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리스트의 터치에 의해 상기 해당 개별룸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의 확인신호나 상기 도식제공기의 도식을 기반으로 상기 공중화장실에 마련된 상기 개별룸의 사용상태를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공중화장실의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도식제공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도식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도식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상기 업데이트된 도식을 저장하는 도식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도식을 상기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되는 상기 개별룸의 사용시간이 설정된 사용시간을 초과하였는가를 확인하여 이상신호를 제공하는 알러트;를 더 포함하는 공중화장실용 화상 안내장치.
KR1020110065893A 2011-07-04 2011-07-04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KR10113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93A KR101133539B1 (ko) 2011-07-04 2011-07-04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893A KR101133539B1 (ko) 2011-07-04 2011-07-04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539B1 true KR101133539B1 (ko) 2012-04-05

Family

ID=4614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893A KR101133539B1 (ko) 2011-07-04 2011-07-04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5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150B1 (ko) * 2012-04-06 2014-04-21 김민규 광고기능을 갖는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US9607497B1 (en) 2014-08-25 2017-03-28 ProSports Technologies, LLC Wireless communication security system
US9892371B1 (en) 2014-07-28 2018-02-13 ProSports Technologies, LLC Queue information transmission
US9965938B1 (en) 2014-07-11 2018-05-08 ProSports Technologies, LLC Restroom queue management
US10290067B1 (en) 2014-06-05 2019-05-14 ProSports Technologies, LLC Wireless concession delivery
CN112731364A (zh) * 2020-12-25 2021-04-30 北京木牛领航科技有限公司 毫米波雷达智能厕位管理方法、系统、平台、介质及设备
CN113283668A (zh) * 2021-06-17 2021-08-20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厕所使用信息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153B1 (ko) * 2007-07-03 2007-10-15 코지앤코(주)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KR20090062098A (ko) * 2007-12-12 2009-06-17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공중화장실용 사용상태 외부표시장치 및 이를 설치한사용상태 외부표시형 공중화장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153B1 (ko) * 2007-07-03 2007-10-15 코지앤코(주)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KR20090062098A (ko) * 2007-12-12 2009-06-17 주식회사 진성모바일 공중화장실용 사용상태 외부표시장치 및 이를 설치한사용상태 외부표시형 공중화장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150B1 (ko) * 2012-04-06 2014-04-21 김민규 광고기능을 갖는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US10290067B1 (en) 2014-06-05 2019-05-14 ProSports Technologies, LLC Wireless concession delivery
US9965938B1 (en) 2014-07-11 2018-05-08 ProSports Technologies, LLC Restroom queue management
US9892371B1 (en) 2014-07-28 2018-02-13 ProSports Technologies, LLC Queue information transmission
US9607497B1 (en) 2014-08-25 2017-03-28 ProSports Technologies, LLC Wireless communication security system
CN112731364A (zh) * 2020-12-25 2021-04-30 北京木牛领航科技有限公司 毫米波雷达智能厕位管理方法、系统、平台、介质及设备
CN112731364B (zh) * 2020-12-25 2024-05-03 北京木牛领航科技有限公司 毫米波雷达智能厕位管理方法、系统、平台、介质及设备
CN113283668A (zh) * 2021-06-17 2021-08-20 新奥数能科技有限公司 厕所使用信息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539B1 (ko)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CN107667394B (zh) 用于操作自行式清洁设备的方法
KR102147667B1 (ko) 숙박시설의 객실예약 및 관리시스템
JP2017152029A (ja) 個室管理システム
US9651930B2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corded with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remote control
US20150355828A1 (en) Operation mode switching device
KR101387150B1 (ko) 광고기능을 갖는 공중화장실용 안내장치
JP2010050664A (ja)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7102591A (ja) 個室管理システム
JP2009015444A (ja) 警備装置および警備方法
JP4958662B2 (ja) 自動ドアシステム、サブシステム、調整端末、及び自動ドアシステムの調整方法
KR20110093969A (ko) 도서관 좌석 사용 유무 표시 및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EP2902983B1 (en) Wireless system
JP7052181B2 (ja) 警備システム、携帯端末、警備装置、警備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06876A (ko) 호텔객실 관리 및 제어장치
KR100576762B1 (ko) 객실 관리 시스템
JP6850656B2 (ja) 警備システム、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警備メッセージの表示方法
KR101225480B1 (ko) 공동주택의 멀티 정보 알림 장치
JP5885090B2 (ja) 防犯システム、防犯方法
KR20160050963A (ko) 지능형 홈 에코 시스템의 제어기기 등록용 스마트 단말장치와 그 등록 방법
KR101294365B1 (ko) 터치스크린에 의한 직관적인 ui를 이용한 전력사용 제어장치 및 방법
JP6508581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132089B1 (ko) 엘리베이터의 엘이디 인디케이터 장치
JP5875018B2 (ja) 防犯システム、防犯方法
KR20160033323A (ko) 화장실 안내 및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