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468B1 -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468B1
KR101056468B1 KR1020090052887A KR20090052887A KR101056468B1 KR 101056468 B1 KR101056468 B1 KR 101056468B1 KR 1020090052887 A KR1020090052887 A KR 1020090052887A KR 20090052887 A KR20090052887 A KR 20090052887A KR 101056468 B1 KR101056468 B1 KR 10105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efficiency
amount
measuring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321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림교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림교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림교역
Priority to KR1020090052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4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의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및 이에 따른 관리비용지출을 할 수 있도록 화장실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에 대한 소비변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화장실에 대한 이용자 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소비변수와 이용자 수를 기초로 하여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실 효율측정방법과, 화장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화장실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센서와, 배관에 설치되어 사용 용수량을 측정하는 용수량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화장실의 출입문측에 설치되어 이용자 수를 측정하기 위한 이용자측정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사용전력량과 사용 용수량 및 상기 이용자 수를 기초로 하여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효율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Efficiency Measuring Method of Communal Lavatory and Efficiency Measuring System of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화장실의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화장실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화장실은 가정의 화장실과는 달리, 빌딩이나 관공서 또는 산이나 공원 등의 야외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로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것인 만큼 청결상태와 편의시설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인식된 바, 이를 위하여 공공화장실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는 다양한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공공화장실의 관리방법 및 관리시스템이 청결도와 같은 이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만 국한되어 있고, 또한 실제 이용자 수를 고려하지 않고 공공화장실의 상태만을 파악한 다음 이를 토대로 일괄적으로 관리 및 관리비용지출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 이용자 수에 따른 공공화장실의 효 율을 알 수 없었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와 비용관리를 할 수 없었다.
본원 발명은 화장실의 실제 사용도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 및 이에 따른 관리비용지출을 할 수 있도록, 화장실의 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과 효율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장실에 대한 소비변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화장실에 대한 이용자 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소비변수와 상기 이용자 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실 효율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소비변수는, 상기 화장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전력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전력량과, 용수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 용수량과, 오수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오수량과, 가스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가스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하여 획득된 상기 소비변수를 비용으로 각각 변환한 다음 통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된 비용 총합을 상기 이용자 수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비변수는 상기 화장실의 사용전력비용과, 사용 용수비용, 오수비용, 사용 가스비용으로 하여, 상기 효율을
Figure 112009036004994-pat00001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장실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센서와, 배관에 설치되어 사용 용수량을 측정하는 용수량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화장실의 출입문측에 설치되어 이용자 수를 측정하기 위한 이용자측정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사용전력량과 사용 용수량 및 상기 이용자 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효율측정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의 효율계산은,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전력량과 사용 용수량을 비용으로 각각 변환한 다음 통합하고, 통합된 비용총합을 상기 이용자 수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화장실의 오수배관에 설치되어 오수량을 측정하는 오수량측정센서와, 사용가스량을 측정하는 가스량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화장실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은, 각각의 공공화장실에 대하여 실제 이용자수에 따른 공공화장실의 효율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여 화장실의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최적의 비용지출을 관리함으로써 관리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은, 선정된 화장실에 대한 소비변수를 획득하는 단계와(S10),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 수를 획득하는 단계와(S20), 소비변수와 이용자 수를 기초로 하여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소비변수를 획득하는 단계(S10)에서의 소비변수는, 화장실을 유지관리 하는 데 소비되는 변수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화장실의 사용전력량과, 사용 용수량과, 오수량과, 사용가스량으로 할 수 있지만, 그 외 화장실을 유지관리 하는 데 소요되는 에너지소비량과 관련된 변수라면 모두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소비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화장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전력측정센서와, 배관에 설치된 용수량측정센서와, 오수배관에 설치된 오수량측정센서와, 가스배관에 설치된 가스량측정센서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을 이용하는 이용자 수를 획득하는 단계(S20)는,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하여 해당 화장실의 실제 이용자 수를 측정하는 단계로서, 화장실 출입문과 같은 곳에 설치된 이용자측정센서를 통하여 실제 이용자 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S30)는, 해당화장실에 대하여 실제 이용자수에 대한 효율을 계산하는 것으로, 획득된 소비변수를 비용으로 각각 변환한 다음 통합하고 이를 이용자 수로 나누어 인당 소요되는 비용을 계산하며 그 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9036004994-pat00002
이때, 상기 소비변수인 전력량과, 용수량과, 오수량과, 가스량을 비용으로 각각 변환한 것은 이러한 소비변수들을 통합계량화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은, 실제 이용하는 이용자의 인당 소요되는 비용을 토대로 하였기 때문에 계산된 효율을 기초로 하여 화장실의 구조를 개선한다면 최적의 관리비용으로 효과적인 화장실 운영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수에 비하여 소요되는 비용이 높은 경우, 즉 해당되는 화장실의 효율이 낮은 경우에는 변기수나 점등조명의 수 또는 화장실의 크기를 포함한 화장실의 구조를 개선하여 소요되는 비용을 줄임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효율측정방법은, 측정된 효율을 바탕으로 구조를 개선한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난 후 효율을 재측정하여 개선된 구조에 따른 효율을 비교분석할 수 있어 화장실을 모니터링을 하는데 용이하며, 다수의 화장실을 선정하여 측정된 효율에 따라 비교분석한 후 이를 통해 다수의 화장실을 통합관리하는데도 효과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효율측정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효율측정시스템은, 화장실에 설치되어 소요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100)와, 이용자 수를 측정할 수 있는 이용자측정센서부(200)와, 센서부(100)와 이용자측정센서부(200)와 연결되어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00)는, 화장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장실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센서(110)와, 배관에 설치되어 사용 용수량을 측정하는 용수량측정센서(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는 화장실의 오수배관에 설치되어 오수량을 측정하는 오수량측정센서(130)와, 사용가스량을 측정하는 가스량측정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센서부(100)는 화장실을 유지관리하는데 소비되는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센서 외에 센서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이용자측정센서부(200)는 해당하는 화장실의 실제 이용자 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실의 출입문측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부(300)는 센서부(100)에서 측정된 사용전력량, 사용 용수량, 오수 량 및 사용가스량을 포함하는 에너지 소비량과 실제 이용자 수를 기초로 하여, 인당 소비되는 비용을 파악할 수 있는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에서 실시되는 화장실의 효율계산은 상술한 효율측정방법에서의 효율계산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은, 화장실관리장치 또는 통합관리시스템과 연계하면, 측정된 효율정도에 따라 더욱 효율적인 화장실 관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하는 화장실이 인당 소비되는 비용이 높아 효율이 낮은 경우, 화장실 관리시스템의 온도감지기와 냉난방기로 신호를 보내어 화장실내부의 적정온도를 낮추거나 냉난방정도를 조절하여 효율을 높이고, 또한 조명장치와 연결되어 조명시간과 조명정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소비되는 사용전력량을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장실의 관리시스템의 급수량 감시부나, 오수량 감시부와 연결되어 급수량과 오수량을 조절함으로써 해당되는 화장실의 효율에 따라 최적으로 모니터링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실관리장치 또는 통합관리시스템으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야외 공중 화장실의 통합관리시스템(특허등록 0714279호)과, 널리 이산되어 있는 다수의 간이 이동식 야외 공중 화장실의 관리장치(실용등록 0414455호)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화장실로는 빌딩이나 관공서 또는 야외 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공공화장실로 하는 것이 좋다. 이는 공공화장실은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또한 넓은 지역에 야외에 독립적으로 분산 설치되어 있어 유지관리상태파악 및 관리가 더욱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효율측정시스템은, 실제 이용자 수를 측정할 수 있는 이용자측정센서부와, 화장실에 소요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를 통해 화장실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제어부를 통해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할 수 있고, 나아가 이를 통해 효율적인 화장실의 관리 및 관리비용저감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효율측정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센서부 110... 전력측정센서
120... 용수량측정센서 130... 오수량측정센서
140... 가스량측정센서 200... 이용자측정 센서부
300... 제어부

Claims (7)

  1. 화장실에 설치된 센서부 및 이용자측정센서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실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화장실의 효율을 측정하는 화장실 효율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화장실에 대한 소비변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측정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화장실에 대한 이용자 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획득된 상기 소비변수를 비용으로 변환한 다음 통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된 비용 총합을 상기 이용자 수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실 효율측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비변수는,
    상기 화장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전력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전력량과, 용수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 용수량과, 오수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오수량과, 가스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사용가스량인 화장실 효율측정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하여 실시하는 화장실 효율측정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효율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효율측정방법.
  5. 화장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장실의 사용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센서와, 배관에 설치되어 사용 용수량을 측정하는 용수량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화장실의 출입문측에 설치되어 이용자 수를 측정하기 위한 이용자측정센서부와,
    미리 지정된 기간에 대하여, 상기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사용전력량과 사용 용수량을 비용으로 각각 변환한 다음 통합하고, 통합된 비용총합은 상기 이용자 수로 나누어 상기 화장실의 효율을 계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실 효율측정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화장실의 오수배관에 설치되어 오수량을 측정하는 오수량측정센서와, 사용가스량을 측정하는 가스량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 효율측정시스템.
KR1020090052887A 2009-06-15 2009-06-15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KR10105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87A KR101056468B1 (ko) 2009-06-15 2009-06-15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887A KR101056468B1 (ko) 2009-06-15 2009-06-15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21A KR20100134321A (ko) 2010-12-23
KR101056468B1 true KR101056468B1 (ko) 2011-08-12

Family

ID=4350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887A KR101056468B1 (ko) 2009-06-15 2009-06-15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4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531A (ja) * 2002-09-27 2004-04-15 Sekisui Seikei Ltd 簡易公衆トイレ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2005071121A (ja) * 2003-08-26 2005-03-17 Nippon Safety Kk 仮設トイレ設備の管理システム
KR100765153B1 (ko) * 2007-07-03 2007-10-15 코지앤코(주)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531A (ja) * 2002-09-27 2004-04-15 Sekisui Seikei Ltd 簡易公衆トイレ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2005071121A (ja) * 2003-08-26 2005-03-17 Nippon Safety Kk 仮設トイレ設備の管理システム
KR100765153B1 (ko) * 2007-07-03 2007-10-15 코지앤코(주) 공중화장실의 통합적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21A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entes et al. A review of domestic hot water consumption profiles for application in systems and buildings energy performance analysis
Maier et al. Comparison of physical performances of the ventilation systems in low-energy residential houses
CN101126926B (zh) 一种楼宇智控环保节能系统及其控制方法
JP5570847B2 (ja) 断熱性能測定システム
US201700382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ater usage
CN102466501B (zh) 用于在多单元建筑中分摊公共资源使用的系统和方法
Bagge et al. Measurements of household electricity and domestic hot water use in dwellings and the effect of different monitoring time resolution
JP5534869B2 (ja) 計測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CN204081554U (zh) 景区户外流动式节能洗手间
CN111487874B (zh) 一种用于建筑能耗的复合预测方法
JP2011128930A (ja) 建物営業支援システム
JP2010216953A (ja) 計測管理システム
Pieterse-Quirijns et al. Non-residential water demand model validated with extensive measurements and surveys
KR101056468B1 (ko) 화장실의 효율측정방법 및 효율측정시스템
Liao et al. Air pressure fluctuations of drainage stacks at a high-rise office building
CN105735679A (zh) 环保节能型移动厕所
Buswell et al. Determining heat use in residential buildings using high resolution gas and domestic hot water monitoring
CN102028419B (zh) 一种节能型淋浴室
Krishnamurti et al. Modeling water use for sustainable urban design
JP5503949B2 (ja) 計測管理システム
Bergero et al. Validation and calibration of dynamic energy models: energy audit of a public building
KR101146847B1 (ko) 주거단지의 에너지 데이터 관리 시스템
CN106854888A (zh) 一种用于微生物环保厕所的数字智能控制系统及循环水利用方法
CN201228387Y (zh) 移动封闭式户外厕所
CN201198600Y (zh) 智能节水冲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