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567B1 -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 - Google Patents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567B1
KR100764567B1 KR1020050005174A KR20050005174A KR100764567B1 KR 100764567 B1 KR100764567 B1 KR 100764567B1 KR 1020050005174 A KR1020050005174 A KR 1020050005174A KR 20050005174 A KR20050005174 A KR 20050005174A KR 100764567 B1 KR100764567 B1 KR 10076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water
resin
cas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828A (ko
Inventor
전창호
Original Assignee
박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훈 filed Critical 박태훈
Priority to KR102005000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5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소가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성분인 카제인(Casein),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 성분을 가성소다(NaOH) 또는 물 등에 용해한 용해물에 규소산화물 및 다공성 산화미네랄분말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건조시킨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을 수지에 5-20% 첨가하여 중합 및 컴파운드(compound)하여 화재시 불연성 및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는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불연성 수지

Description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omitted}
본 발명은 불연성 수지(Resin)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질소가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성분인 카제인(Casein),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 성분을 가성소다(NaOH) 또는 물등에 용해한 용해물에 규소산화물 및 다공성 산화미네랄분말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건조한 조성물 5-20%를 수지에 첨가하여 중합 및 컴파운드(compound)하여 화재시 불연성 및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는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스티로폼의 원료 폴리스티렌(PS)에 발포제(부탄, 펜탄 가스함유)와 난연제(F, Cl, Br)등이 함유 되어있는 EPS(Expand poly Styrene) 또는 각종의 수지등에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 O3 )을 첨가하여 난연성의 기능을 부여하고 있어나 기존의 첨가물은 강력한 중금속으로서 2차적인 환경문제로 화재발생시 할로겐 화합물발생, 할로겐화 다이옥신 및 퓨란발생등 가공기기를 부식시키며, 금형부식, 수지분해, 착색등의 원인이 되며, 유독가스를 다량 방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폼 및 수지의 난연화 방법에 있어서 분자구조 변경을 통한 내열성 수지의 제조, 난연 성분을 수지 구조내에 화학적으로 결합한 반응형 난연제, 난연제를 수지 내에 물리적으로 첨가한 난연제, 기타 난연제 코팅, 또는 페인팅 하거나 제품의 디자인 변경을 통한 내열성 향상 등의 방법이 있다.
수지의 난연화에 사용되는 난연제의 구분에는 크게 구성성분에 의한 분류와 사용법에 의한 분류로 나눌 수 있는데, 구성성분에 의한 분류로서 유기계로서 인계, 인, 할로겐화합물, 할로겐계, 염소화합물, 금속수산화물등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에 중합 및 컴파운드 방법으로서 제조방법이 용이한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연성이 우수하고, 2종이상의 불연성분의 혼합사용이 가능하며,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불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친환경적이고, 수지 본연의 물성을 저하 시키지 않으며, 가공과 성형이 쉽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1)
(1) 중량 %로 400gr의 물에, 물의 중량비에 20%인 80gr의 가성소다(98%의 NaOH)를 첨가하여 용해해서 가성소다 함유 용해액을 제조하고, (2) 상기 가성소다 함유 용해액에, 물의 중량비에 10%인 40gr의 카제인을 첨가하여 가수분해하여 용해해서 카제인 함유 용해액을 제조하고, (3) 상기 카제인 함유 용해액에, 물의 중량비에 75%인 300gr의 규소산화물 및 물의 중량비에 75%인 300gr의 다공성 산화미네랄분말을 첨가 분산하여 건조시켜서 본 발명의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 물 중량비에 20%인 80gr의 카제인나트륨을 중량%로 400gr의 물에 첨가하여 전기히팅 용기에 넣고서 끓이면서 교반하여 용해해서 카제인나트륨 함유 용해액을 제조하고, (2) 상기 카제인나트륨 함유 용해액에 상기 물의 중량비에 75%인 300gr의 규소산화물 및 물의 중량비에 75%인 300gr의 다공성 산화미네랄분말을 첨가 분산하여 건조시켜서 본 발명의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수지에 5-20중량% 첨가하여 중합 및 컴파운드 또는 스티로폼 발포 공정중 EPS(Expanded poly Styrene) 원료를 예비발포 후 싸이로에서 4-6시간 숙성 후 첨가하여 성형공정에 투입 작업하여 불연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규소산화물로는 ZEOSIL, TIXOLEX, AEROSIL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다공성 산화미네랄분말로는 규조토, 제올라이트, 3인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에서 나타난 조성물들의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요성분 중에 카제인의 화학적 성질로서 PH 4.6을 등전점으로 하는 양성단백질로서 우유속의 주요 단백으로 분자량은 75,000-375,000 정도이며, 15%이상의 질소를 함유한다. 강산, 트리에탄올아민, 오르포린, 요소, 포름아미드, 페놀, 로오트유에 녹으나, 물 또는 유기용제에는 녹지 않으며, 암모니아 및 알칼리와 염류에 의하여 용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 성분 중에 카제인나트륨은 흰색내지 담황색의 입상 또는 분말로서, 92%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물에 녹기 쉬우며, 질소는 15.8%함유 PH는 중성이다. 본 조성물들의 특징과 같이 가성소다 및 물에 용해하여 액상화된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을 화이트카본 및 다공화 산화미네랄분말등에 분산 함침시켜 건조한 분말을 수지에 첨가하여 중합 및 컴파운드하여 성형 가공하여 사용할 경우 화재발생시 피막형성 및 불활성기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에 의하면, 수지에 중합 및 컴파운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불연성이 우수하고, 2종이상의 불연성분의 혼합사용이 가능하며, 시너지 효과로 인하여 불연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수지 본연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가공과 성형이 쉽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1) 중량%로 400gr의 물에, 물의 중량비에 20%인 80gr의 가성소다를 첨가하여 용해해서 가성소다 함유 용해액을 제조하고, (2) 상기 가성소다 함유 용해액에, 물의 중량비에 10%인 40gr의 카제인을 첨가하여 가수분하여 용해해서 카제인 함유 용해액을 제조하고, (3) 상기 카제인 함유 용해액에, 물의 중량비에 75%인 300gr의 규소산화물 및 물의 중량비에 75%인 300gr의 다공성 산화미네랄분말을 첨가 분산하여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2. (1). 물 중량비에 20%인 80gr의 카제인나트륨을 중량%로 400gr의 물에 첨가하여 전기히팅 용기에 넣고서 끓이면서 교반하여 용해해서 카제인나트륨 함유 용해액을 제조하고, (2) 상기 카제인나트륨 함유 용해액에 상기 물의 중량비에 75%인 300gr의 규소산화물 및 물의 중량비에 75%인 300gr의 다공성 산화미네랄분말을 첨가 분산하여 건조시켜서 본 발명의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 5 내지 20중량%를 폴리스티렌 수지에 첨가하여 중합 및 컴파운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수지.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 5 내지 20중량%를 발포스티로폼 제조공정 중 예비발포가 끝나고 싸이로에서 4 내지 6시간 숙성시킨 발포스티로폼 입자에 첨가하여 접착제로 접착한 후, 성형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수지.
KR1020050005174A 2005-01-17 2005-01-17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 KR10076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174A KR100764567B1 (ko) 2005-01-17 2005-01-17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174A KR100764567B1 (ko) 2005-01-17 2005-01-17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828A KR20060083828A (ko) 2006-07-21
KR100764567B1 true KR100764567B1 (ko) 2007-10-09

Family

ID=3717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174A KR100764567B1 (ko) 2005-01-17 2005-01-17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944B1 (ko) * 2012-07-13 2013-01-04 백창현 스티로폼알갱이가 혼합된 난연성 건축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성 건축판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594A (ja) * 1989-10-25 1991-06-13 Daiichi Kasei Sangyo Kk 耐水性防災剤
KR100202833B1 (ko) 1997-01-17 1999-06-15 김성곤 난연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594A (ja) * 1989-10-25 1991-06-13 Daiichi Kasei Sangyo Kk 耐水性防災剤
KR100202833B1 (ko) 1997-01-17 1999-06-15 김성곤 난연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828A (ko) 200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0042B1 (en) A syntactic phenolic foam composition
KR101796067B1 (ko)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포장용 스티로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스티로폼
CN105111677A (zh) 一种聚苯乙烯/三聚氰胺改性脲醛树脂复合泡沫塑料及其制备方法
AU2017300726A1 (en) Use of geopolymeric additive in combination with non-brominated flame retardant in polymer foams
KR102181722B1 (ko) 열가소성 충격 변성 스티렌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 환경 친화적인 난연제 성형 조성물
KR101693369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CN107129552A (zh) 一种无卤纳米阻燃剂/聚苯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一种防火保温板及其制备方法
KR100764567B1 (ko) 불연성 수지 첨가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불연성 수지
KR100529285B1 (ko) 난연 폴리스티렌 패널
KR101093995B1 (ko)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20140006146A (ko)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1268A (ko) 단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발포체
CN104829796B (zh) 一种塑料用阻燃剂的制备方法
KR101555612B1 (ko) 건축 외장재용 드라이비트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034638A (ko) 입자상 발포성 폴리스타이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99591B1 (ko) 난연성 스티로폼의 난연성 첨가물
CN108250666B (zh) 一种氨基三亚甲基膦酸盐负载氧化石墨烯增强增韧酚醛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45148B1 (ko) 염소화파라핀이 침투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0059A (ko) 불연성 스티로폼의 불연성 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52484A (ko) 단열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발포체
JPS609055B2 (ja) 可塑性耐炎性発泡体の製法
KR101317265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단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23680Y1 (ko) 난연 폴리스티렌 패널
KR101607058B1 (ko) 친환경적인 고난연성 플라스틱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5835532B2 (ja) 無機↓−有機結合発泡体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