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369B1 -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369B1
KR101693369B1 KR1020150079460A KR20150079460A KR101693369B1 KR 101693369 B1 KR101693369 B1 KR 101693369B1 KR 1020150079460 A KR1020150079460 A KR 1020150079460A KR 20150079460 A KR20150079460 A KR 20150079460A KR 101693369 B1 KR101693369 B1 KR 10169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er
stirred
weight
suspensi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195A (ko
Inventor
김상술
Original Assignee
김상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술 filed Critical 김상술
Priority to KR1020150079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36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J1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9/00Adhesives based on prote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J189/04Products derived from waste materials, e.g. horn, hoof or hair
    • C09J189/06Products derived from waste materials, e.g. horn, hoof or hair derived from leather or sk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진용액, 아교, 강 알칼리성분, 염, 중화제, 상용화제를 물에 용해시킨 현탁액 2.2~2.8중량%, 응고제 42.8~52.2중량%, 물 45~55중량%를 혼합 교반하고 염도 20~25‰ 범위로 조절하여 얻는 발포 폴리스타일렌 난연성 조성물로서, 함유되는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에 의한 접착력과 응집력의 향상 및 방수효과, 그리고 친수성 용제에 의해 폐 발포 폴리스타일렌 입자의 표면에도 잘 도포되도록 물에 용해되는 효과, 그리고 응고제의 작용으로 아교성분이 폐 발포 폴리스타일렌 입자의 표면에 도포 응고되어서 난연성을 지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Non-Flammable composite for foamed polystyrene}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스티로폼이라 불리고 있는 발포 폴리스타이렌은 폴리스타이렌 수지에 펜테인이나 뷰테인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뒤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 제품으로, 체적의 98%가 공기이고 나머지 2%가 수지로 되는 소재로서, 이것은 스타이렌에 펜테인뷰테인가스 등의 발포제를 주입하고 물로 중합한 다음 가열하면 폴리스타이렌 비드(bead: 구상입자)를 얻게 되고, 이 폴리스타이렌 비드를 성형기에 투입하고 증기로 가열 냉각하면 발포된 성형체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제품은 단열성, 방음성, 경량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한 것이면서 제조비용도 저렴하여 건물의 단열재, 물품 포장재 등에 적합한 것이지만, 인화성이 높고 연소 시에 발생하는 유독가스량이 상당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발포 폴리스타이렌에 난연성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난연제에 발포 폴리스타이렌을 함침 시키거나 또는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난연제가 내부까지 침투되지 않아 그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이다.
다음 특허문헌 1은 폴리스타이렌의 표면에 난연제를 코팅하는 방법의 예로서, 폴리스타이렌 알갱이의 표면에 난연성 액상 코팅액을 분사 코팅처리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샌드위치 패널용 단열재로 제조하였을 때에 화재에 견디는 난연성을 지니게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발포 폴리스티렌 알갱이의 표면에 무기성 액상 혼합물을 분사 코팅하고 열풍로에서 건조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하고 장시간 숙성시킨 다음에 샌드위치패널로 성형하는 방법이므로 과정이 번거롭고 소요시간이 길어서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다음 특허문헌 2는 폴리스타이렌 알갱이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용액과, 폴리올을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되는 무기 계열의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이 접착제 조성물이 화재로 인한 열을 1차적으로 차단하여 줌에 따라 샌드위치 패널이 화재의 저항성을 갖게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음 특허문헌 3은 우레탄 바니쉬 및 발포 스타이렌 폼을 포함하는 제1 용액, 알칼리 실리케이트 용액, 알긴산 나트륨 및 카제인산 나트륨 중에서 선택한 1종 이상,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크릴계 비닐바사테이트 유화물을 포함하는 제2 용액, 탄산칼슘 분말, 실리케이트계 미네랄, 점토질 보강재, 및 수산화물로 이루어진 발포 스타이렌 폼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다음 특허문헌 4에도 발포 성형되는 폴리스타이렌 알갱이의 표면에 난연성 유무기 복합 액상 코팅액을 분사 코팅처리하고 건조과정을 반복한 후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를 압축 성형한 것을 샌드위치 패널로 성형하여, 화재 발생시 샌드위치 패널에 충전된 단열재가 난연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서, 말토오스, 소수성 나노 실리케이트 용액, 알칼리 금속 탄산염 화합물, 스타이렌-부틸렌 고무 유화물,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 지오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다음 특허문헌 5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및 알칼리 실리케이트 화합물의 복합 용액, 석회석 분말 및 팽창 흑연을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로서,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에 비닐아세테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혼합단량체 및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시킨 반응물을 상온에서 냉각하여 폴리비닐아세테이트-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을 얻고, 여기에 다시 알칼리 실리케이트 화합물 및 개시제를 투입하여 반응시킨 다음, 황산제이철 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켜 조성물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부터 폴리스타이렌에 난연성을 부여하여, 이것이 주재료로 되는 샌드위치 패널의 가연성을 낮춰 보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나, 제안된 방법은 신규의 발포 폴리스타일렌에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폐 발포 스타일렌은 표면에 이물이 많은 까닭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920020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114898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034033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321901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489583호,
본 발명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알갱이의 표면으로 코팅되어서 내화염성을 지니게 함과 동시에, 연소 시의 유독가스 발생량도 적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로서, 발포 폴리스타이렌 알갱이일지라도 그 표면에 양호하게 코팅 접합될 수 있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은, 송진용액, 아교, 강 알칼리성분, 염, 중화제, 상용화제를 물에 용해시킨 현탁액 2.2~2.8중량%, 응고제 42.8~52.2중량%, 물 45~55중량%를 혼합 교반하고 염도 21~25‰ 범위로 조절하여 얻는다.
더 구체적으로 현탁액은, 송진용액 1~3중량%, 아교 1.2~3.6중량%, 강 알칼리성분 5~9중량%, 염 3~5중량%, 중화제 0.1~0.3중량%, 상용화제 8~12중량%, 물 67.1~81.7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조성된다.
송진용액은,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계를 안정시키기 위한 수용성 콜로이드안정제, 상기 송진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화제, 및 이들 물질이 물에 더 잘 용해되도록 하는 친수성 용제를 혼합 교반하여 조성되는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32.8중량%, 식물성 연화제 1.9~2.8중량%, 친수성 용제 58.7~67.5중량%, 콜로이드안정제 1.5~2.4중량%, 광유계 연화제 2.3~3.3중량%의 비율로 혼합 교반되어 응집력이 강하고 방수성을 지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은, 통상의 송진을 증류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증류과정에서 고분자물질만 남기고 저분자물질은 소멸시킨 것이다.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에 의해 본 발명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력과 응집력 및 방수성을 갖게 된다.
송진용액에서, 콜로이드안정제는 디에칠렌글리콜, 트리에칠렌글리콜,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송진용액에서 계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연화제는 본 발명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에 부여된 응집력을 증진시켜주며, 이것은 중쇄지방산(middle chain length triglyceride) 등의 식물성 연화제와, 프로세스오일(process oil), 디옥틸테레플레이트(dioctyl terephthalate) 와 같은 광유계 연화제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친수성 용제는, 첨가된 성분이 물에 잘 녹게 하는 작용을 하여 송진의 용해를 돕는 것으로서, 이것은 이소프로필알코올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값이 비싸기 때문에 여기에 비교적 저렴한 메탄올을 적당량 혼합한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현탁액의 아교는 거친 입도의 것도 상관없이 채용할 수 있고, 이것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에 부여되는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향상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현탁액에 첨가되는 강 알칼리성분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고, 이것은 송진성분과 아교성분을 연화시켜서 물에 잘 녹을 수 있도록 작용한다.
염은 현탁액의 pH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며, 이것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은, 염화구리, 염화수은, 염화암모늄, 제3 인산소다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강알카리성분에 송진이 연화될 때 나타나는 접착력의 저감현상을 보강하는 작용도 겸한다.
중화제로는, 약알칼리성분이면 어떤 종류라도 채용가능하고 예를 들면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현탁액의 최종 알카리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용화제로는 케톤이 적합하다.
케톤류는 여러 성분의 액체가 다른 액체와 뒤섞일 수 있게 부유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아세톤,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3-bromo-cyclohexanone), 헥산-3-원(hexan-3-one) 등의 케톤 종류 중에서 선택한 1종을 채용할 수 있다.
응고제는 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염화칼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아교를 굳히기 위하여 첨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은,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에 의한 강한 응집력과 방수성의 작용, 그리고 친수성 용제에 의해 물과 잘 융합됨에 따라, 신규의 발포 폴리스타일렌 입자는 물론, 발포 폴리스타일렌 입자일지라도 그 표면에 간편하게 도포될 수 있고, 또한 보드 형태로 접합되었을 때는 응고제의 작용으로 발포 폴리스타일렌 입자의 표면에 도포된 아교성분이 굳어지면서 보호막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본 발명의 난연성 조성물이 사용된 발포 폴리스타일렌 보드는 난연 효과를 갖추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순도 송진의 강한 응집력과 방수성, 그리고 아교의 불연성과 난연성을 발포 폴리스타이렌 입자 표면에 부여하기 위하여, 일차로 상기 송진이 아교와 혼합될 수 있도록 연화제, 콜로이드안정제, 친수성용제 등과 혼합한 송진용액을 준비하고, 이 송진용액에 아교, 강알카리성분, 염, 중화제, 상용화제를 물과 함께 첨가하여 현탁액을 얻고, 이 현탁액에 응고제를 물과 함께 첨가하여 얻어지는 발포 폴리스타일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안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은, 송진용액 1~3중량%, 아교 1.2~3.6중량%, 강 알칼리성분 5~9중량%, 염 3~5중량%, 중화제 0.1~0.3중량%, 상용화제 8~12중량%, 물 67.1~81.7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현탁액 2.2~2.8중량%에, 응고제 42.8~52.2중량%, 물 45~55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염도를 21~25‰ 범위로 조절하는 것으로 완성된다.
염도 조절은 현탁액과 응고제를 물과 함께 교반기에 투입하고 대략 20분 정도 교반하는 것으로 행해지고, 물의 분량을 가감하는 것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염도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의 불연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실험 결과 염도 25‰ 수준에서 최적의 불연 성능을 나타내었고 그 이하의 염도 20‰ 범위에서는 불연 성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또 염도 25‰를 초과하면 접착제 조성물의 안정성이 저하되기 시작하여 염도 29‰ 이상에서는 사용이 곤란할 정도로 하락하였다.
아교는 본 발명에서 거친 입도의 것이라도 관계없이 채용할 수 있고, 이것은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에 부여되는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향상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강알칼리성분은 송진과 아교를 연화시켜서 이들이 물에 잘 녹을 수 있게 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송진의 접착력 저감현상은 염에 의한 접착력으로 보강된다.
다만, 강알칼리성분은 5중량% 미만에서 혼합물질의 용해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5중량%에서 9중량% 까지는 용해가 양호하게 진행되었으나 9중량%를 초과하면 용해효과가 더 이상 향상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적합한 강알카리성분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염은 현탁액의 pH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며, 이것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은, 염화구리, 염화수은, 염화암모늄, 제3 인산소다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강알칼리성분과 염의 투입으로 인하여 현탁액은 알카리성 용액으로 되기 때문에 중화제를 투입하여 pH를 8.5~9.5 로 조절하여 계의 전체 안정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중화제로는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채용하였다.
그리고, 현탁액의 상용화제로는 케톤류가 적합하다.
케톤류는 여러 성분의 액체가 다른 액체와 뒤섞일 수 있게 부유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아세톤,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헥산-3-원 등의 케톤 종류 중에서 선택한 1종을 채용할 수 있다.
응고제는 아교를 굳히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염화칼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채용한다.
또한, 상기 현탁액과는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송진용액은,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32.8중량%, 식물성 연화제 1.9~2.8중량%, 친수성 용제 58.7~67.5중량%, 콜로이드안정제 1.5~2.4중량%, 광유계 연화제 2.3~3.3중량%를 교반기에서 120℃로 60분간 교반 혼합하면 연한 갈색용액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은 응집력이 강하고 방수성을 갖춘 물성이 있다.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은, 통상의 송진을 증류하여 고분자물질만 남기고 저분자물질이 소멸된 상태의 것이다.
상기 송진용액이 혼합될 때 계의 안정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콜로이드 안정제는, 본 발명에서 디에칠렌글리콜, 트리에칠렌글리콜,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혼합된 액상물질의 안정화가 유지된다.
연화제는 중쇄지방산 등의 식물성 연화제, 프로세스오일,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과 같은 광유계 연화제를 혼용할 수 있고, 이 연화제는 송진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므로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물로 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이 증진되도록 한다.
또, 친수성 용제로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은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과 연화제를 용해시켜서 상호 혼합되게 하고 혼합된 여러 종류의 성분물질이 물에 더 잘 녹도록 돕는다.
다만, 이소프로필알코올은 효과가 높지만 값이 비싸므로 경제적 측면에서 비교적 저렴한 메탄올을 대략 2~2.5:1의 비율, 혹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에서, 송진용액은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과 연화제, 콜로이드 용액의 첨가량은 증가시키는 반면에 친수성 용제의 첨가량은 줄였고, 현탁액은 송진, 아교, 강알칼리성분, 염, 중화제, 상용화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물의 첨가량을 줄였으며, 최종적으로 얻고자 하는 난연성 접착제에서는 현탁액과 응고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키고 물의 첨가량은 줄였을 때에 나타나는 물성변화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비교실시예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최적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나타나는 물성변화에 주목하였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3중량%
메탄올 19.2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1‰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2‰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칼슘 2.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 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0.0중량%
메탄올 27.5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아세톤 8.3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4.5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23.0중량%
황산칼슘 10.0중량%
염화칼슘 9.8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2.6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염화칼륨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2‰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1.3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1.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은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황산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나트륨 6.00중량%
염화칼륨 1.50중량%
염화은 1.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1.3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1.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슘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칼슘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23.0중량%
황산칼슘 10.0중량%
염화칼슘 9.8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1‰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7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1.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황산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2‰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2.9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32.8중량%
황산칼슘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13.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칼슘 9.8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7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황산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5.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1‰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마그네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2‰가 되도록 조절하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칼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1.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7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암모늄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7.00중량%
염화나트륨 4.0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1‰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염화칼슘 42.8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9.00중량%
염화칼륨 2.50중량%
제3 인산소다 2.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3.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20중량%
황산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2‰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2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2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0.0중량%
메탄올 27.5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2.30중량%
수산화칼륨 2.7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4.5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칼륨 1.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2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2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염화칼륨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0.0중량%
메탄올 27.5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4.5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2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칼슘 2.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은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0.0중량%
메탄올 27.5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4.5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나트륨 6.00중량%
염화칼륨 1.50중량%
염화은 1.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0.0중량%
메탄올 27.5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4.5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2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8.5중량%
메탄올 19.2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슘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칼슘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0.0중량%
메탄올 27.5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3.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중량%
중쇄 지방산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2.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4.5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2.6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1.3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1.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2.30중량%
수산화칼륨 2.7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칼륨 1.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2.6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염화칼륨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1.3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1.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2.6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칼슘 2.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은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1.3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1.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2.6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나트륨 6.00중량%
염화칼륨 1.50중량%
염화은 1.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1.3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1.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3.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2.6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을 띈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2.9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슘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칼슘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3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2.9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3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2.30중량%
수산화칼륨 2.7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칼륨 1.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2.9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염화칼륨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3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8.3중량%
중쇄 지방산 2.10중량%
프로세스 오일 1.30중량%
디옥틸텔레프탈레이트 1.3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트리에칠렌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0.7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2.3중량%
메탄올 23.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칼슘 2.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2.9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9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은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9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3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9.8중량%
중쇄 지방산 2.3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1.9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트리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100 0.50중량%
폴리에칠렌 글리콜 200 0.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20.1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된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나트륨 6.00중량%
염화칼륨 1.50중량%
염화은 1.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슘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칼슘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2.30중량%
수산화칼륨 2.7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칼륨 1.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30℃ 분위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용액으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염화칼륨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칼슘 2.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은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1.3중량%
중쇄 지방산 2.5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1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1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1.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15℃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나트륨 6.00중량%
염화칼륨 1.50중량%
염화은 1.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슘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칼슘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2.30중량%
수산화칼륨 2.7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00중량%
아교 1.2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칼륨 1.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세톤 8.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1.50중량%
염화칼륨 2.0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1.50중량%
아교 1.80중량%
수산화칼륨 2.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염화암모늄 2.0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9.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칼슘 2.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5.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염화나트륨 2.00중량%
염화은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00중량%
아교 2.4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은 0.50중량%
염화암모늄 2.50중량%
트리메틸아민 0.20중량%
헥산-3-원 1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2.00중량%
수산화나트륨 6.00중량%
염화칼륨 1.50중량%
염화은 1.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15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아세톤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5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5.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염화칼슘 2.50중량%
염화은 0.50중량%
제3 인산소다 1.50중량%
암모니아 0.2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05중량%
아세톤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6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2.50중량%
아교 3.0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5.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구리 1.5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1.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30중량%
황산칼슘 25.8중량%
염화마그네슘 19.4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슘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염화칼슘 1.00중량%
염화암모늄 1.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2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50중량%
염화칼슘 22.8중량%
염화마그네슘 24.3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3‰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60중량%
황산칼슘 20.0중량%
염화마그네슘 29.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4‰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2.8중량%
중쇄 지방산 2.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30중량%
프로세스 오일 1.0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00중량%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3.0중량%
메탄올 15.7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물질로 변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3.00중량%
아교 3.60중량%
수산화나트륨 3.00중량%
수산화칼륨 3.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3.00중량%
염화나트륨 1.00중량%
제3 인산소다 2.00중량%
염화수은 2.00중량%
암모니아 0.10중량%
아미노메틸프로판올 0.10중량%
트리메틸아민 0.10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는 8.8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80중량%
황산칼슘 32.0중량%
염화마그네슘 20.2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5‰가 되도록 조절하여 소망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 실시예1]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0중량%
중쇄 지방산 1.8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2.2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1.4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46.6중량%
메탄올 22.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송진용액은 교반을 거듭할수록 연한 갈색의 점성의 송진용액으로 변화하였다.
현탁액
송진용액 0.50중량%
아 교 1.00중량%
수산화나트륨 4.00중량%
제3 인산소다 2.50중량%
암모니아 0.05중량%
아세톤 7.0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다.
현탁액의 산도는 pH 8.9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2.10중량%
염화마그네슘 42.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0‰가 되도록 조절하여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 실시예2]
송진용액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33.2중량%
중쇄 지방산 2.90중량%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3.40중량%
디에칠렌 글리콜 2.5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38.0중량%
메탄올 20.0중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120℃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송진용액을 얻었다.
현탁액
송진 용액 3.50중량%
아 교 4.0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10.0중량%
염화나트륨 5.50중량%
트리메틸아민 0.35중량%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13.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한 갈색의 현탁액을 얻었으며 pH 9.0으로 측정되었다.
난연성 접착제
현탁액 3.00중량%
염화마그네슘 54.0중량%
물 잔량
상기 성분물질을 교반기에서 20분간 교반하면서 염도 29‰가 되도록 조절하여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술한 실시예 1, 25, 50, 75, 100, 125 및 비교실시예 1, 2에서 얻어진 난연성 접착제에 무기 바인더를 섞은 혼합물 25 질량비에, 폐 발포 폴리스타이렌 분말과 입경 1 ~ 2mm의 발포 폴리스타이렌 비드 혼합물 50 부피중량%, 입도 200 ~ 300 메시의 황토분 5 부피중량%, 입경 1 ~ 2mm의 건축용 펄라이트 13 부피중량%, 산화마그네슘 10 부피중량%를 각각 투입하고 5분 정도 교반하여 잘 섞어 얻어지는 폐 발포 폴리스타이렌 혼합물을, 60 ~ 70℃로 유지되는 성형틀에 주입하고 3분간 체류시켜 발포 성형시키고, 다시 건조실에서 35℃로 2시간 건조 시켜서 제조되는 폐 발포 폴리스타이렌 보드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외관의 균열이나 공극, 그리고 손으로 눌러 파쇄되는 부위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로 나타냈다.
실시예 1 25 50 75 100 125 비교1 비교2
판정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비교실시예 1의 보드는 표면에 1mm 이상의 균열과 공극이 존재하였고, 비교실시예 2는 보드 표면을 부분적으로 눌렀을 때 접착제 도포가 불균일하게 된 부분에서 쉽게 파쇄되는 현상이 나타나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 50의 폐 발포 폴리스타일렌 보드와, 시판되고 있는 비난연 발포 폴리스타일렌 보드, 역시 시판되고 있고 난연 3급으로 인가된 발포 스타일렌 보드를 각각 지름 45mm, 높이 50mm로 절단하여 준비하고, 각 시료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39호의 규정에 따라 800℃ 이상의 불꽃을 가하여 연소되는 시간과 연소된 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냈다.
본 발명시료 비난연시료 난연3급시료
Figure 112016078937252-pat00001
Figure 112016078937252-pat00002
Figure 112016078937252-pat00003
본 발명시료 비난연시료 난연3급시료
(800℃ 5분경과) (800℃ 5초경과) (800℃ 30초경과)
Figure 112016078937252-pat00004
Figure 112016078937252-pat00005
Figure 112016078937252-pat00006
상기의 사진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발포 폴리스타일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로 만들어진 폐 발포 폴리스타일렌 보드의 난연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50의 폐 발포 스타일렌 보드로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고 시판중인 비난연 샌드위치패널과 대비하여 각각 토오치 불꽃에 10분 접촉시킨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이 적용된 패널 시판의 비난연 패널
Figure 112016078937252-pat00007
Figure 112016078937252-pat00008
토오치 불꽃시험의 결과, 본 발명이 적용된 샌드위치 패널은 연기 발생이 극히 적고 불꽃과 접촉된 부분 외에는 연소가 퍼지지 않아 우수한 난연성능을 갖춘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판중인 비난연 샌드위치 패널은 불꽃과 접촉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유독성 연기가 피어 오르고, 게다가 불꽃과 접촉된 부분의 주변으로 연소가 진행되어 화재에 취약성을 노출하였다.

Claims (12)

  1. 99% 이상의 고순도 송진 26.8~32.8중량%, 식물성 연화제 1.9~2.8중량%, 친수성 용제 58.7~67.5중량%, 콜로이드안정제 1.5~2.4중량%, 광유계 연화제 2.3~3.3중량%의 비율로 혼합 교반하여 얻어지는 송진용액과, 아교와, 강 알칼리성분과, 염과, 중화제와, 상용화제를 물에 용해하여 얻어지는 현탁액 2.2~2.8중량%를, 응고제 42.8~52.2중량%와 함께 물 45~55중량%에 투입하고 혼합 교반하여 염도 21~25‰ 범위로 조절하여 얻어지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은, 송진용액 1~3중량%, 아교 1.2~3.6중량%, 강 알칼리성분 5~9중량%, 염 3~5중량%, 중화제 0.1~0.3중량%, 상용화제 8~12중량%, 물 67.1~81.7중량%의 비율로 혼합 교반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는, 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염화칼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 알칼리성분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은, 염화구리, 염화수은, 염화암모늄, 제3 인산소다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암모니아, 트리에틸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아세톤, 3-브로모-사이클로헥사논, 헥산-3-원 중에서 선택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안정제는, 디에칠렌글리콜, 트리에칠렌글리콜, 폴리에칠렌글리콜 100, 폴리에칠렌글리콜 200, 폴리에칠렌글리콜 300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연화제는, 중쇄지방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계 연화제는, 프로세스오일, 디옥틸테레플레이트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인 것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용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과 메탄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KR1020150079460A 2015-06-04 2015-06-04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KR10169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460A KR101693369B1 (ko) 2015-06-04 2015-06-04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460A KR101693369B1 (ko) 2015-06-04 2015-06-04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195A KR20160143195A (ko) 2016-12-14
KR101693369B1 true KR101693369B1 (ko) 2017-01-05

Family

ID=5757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460A KR101693369B1 (ko) 2015-06-04 2015-06-04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66450A (zh) * 2018-11-13 2019-04-23 宁波中科朝露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醛阻燃型大豆胶粘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99895B1 (ko) * 2019-09-11 2020-04-27 주식회사 유로월드 천연 수용성 접착제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건축용 내장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1234774B (zh) * 2020-03-10 2022-05-17 浙江云峰莫干山地板有限公司 一种改性大豆无醛阻燃胶及其制备方法
CN111286304A (zh) * 2020-03-18 2020-06-16 李宏儒 一种水溶性粘接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77B1 (ko) * 2015-01-29 2015-04-21 김영선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용 난연화 도포제를 위한 수성 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난연 접착제를 이용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20B1 (ko) 2007-12-29 2009-10-05 안철호 난연성 샌드위치 패널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4898A (ko) 2008-04-30 2009-11-04 아이케이 주식회사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샌드위치패널
KR101034033B1 (ko) 2011-03-04 2011-05-11 주식회사 엠씨엠그룹 발포 스티렌폼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101321901B1 (ko) 2012-01-31 2013-10-28 임홍빈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
KR20130104382A (ko) * 2012-03-14 2013-09-25 주식회사 지엔케이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불연 샌드위치 판넬
KR101489583B1 (ko) 2013-06-21 2015-02-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77B1 (ko) * 2015-01-29 2015-04-21 김영선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용 난연화 도포제를 위한 수성 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난연 접착제를 이용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195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369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JP5203944B2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得られた発泡体及びその使用法
KR101179943B1 (ko) 인계 난연제와 팽창흑연을 이용한 발포 폴리스티렌폼의 난연방법
US20180305620A1 (en) Flame retardant partic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lame retardant styrofoam using same
KR101796067B1 (ko)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포장용 스티로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스티로폼
JP2009506150A (ja) フォームプレートの製造方法
KR101028523B1 (ko) 고단열성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0485A (ko) 난연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102729A (ko) 발포체 입자용 코팅 조성물
KR20130136625A (ko) 난연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KR20150142769A (ko) 개질 유황을 포함하는 마그네시아 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경량패널 표면재 및 그 제조방법, 및 경량복합패널
KR101758308B1 (ko) 불연성 경량 건축 내·외장재 제조용 다공성 세라믹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93995B1 (ko)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0878775B1 (ko)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및 이를 이용한폴리스티렌 발포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EP0507368B1 (en) A method of preparing a binder
KR101758309B1 (ko) 불연성 경량 건축 내·외장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237988B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KR101555612B1 (ko) 건축 외장재용 드라이비트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17370A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KR101683141B1 (ko) 난연성이 부여된 단열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재 제조방법
US8128849B2 (en) Environmentally safe fire retardant protein free composi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S609055B2 (ja) 可塑性耐炎性発泡体の製法
KR20160142178A (ko) 건축자재용 불연성 조성액
CN114051517A (zh) 隔离材料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