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958B1 -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비젼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비젼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958B1
KR100763958B1 KR1020010011031A KR20010011031A KR100763958B1 KR 100763958 B1 KR100763958 B1 KR 100763958B1 KR 1020010011031 A KR1020010011031 A KR 1020010011031A KR 20010011031 A KR20010011031 A KR 20010011031A KR 100763958 B1 KR100763958 B1 KR 100763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ism
cream solder
camera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107A (ko
Inventor
유원근
김구영
조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김구영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김구영,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Priority to KR102001001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9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광축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는 씨씨디 카메라와; 상기 씨씨디 카메라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중공형 블록과; 상기 중공형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를 상기 씨씨디 카메라의 반대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블록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1 프리즘과; 상기 제 1 프리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프리즘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1 프리즘을 통해 상기 씨씨디 카메라를 향해 반사시키는 미러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수단;을 구비하며, 스크린 프린터의 인쇄 회로 기판과 스크린 사이에서 정렬을 위한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2차원 비젼 검사기능을 수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비젼 검사 방법{Vision apparatus for screen printer and vision inspecting method using therewi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검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2a 및, 도 2b 는 도 1 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검사 장치를 이용한 크림 솔더 도포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a 내지 도 4e 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크림 솔더가 도포될때 발생될 수 있는 현상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설명도.
도 5a 및, 도 5b 는 스크린상에 크림 솔더가 잔류할때 발생될 수 있는 현상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 카메라 12. 중공형 블록
13. 조명 설치부 14. 중공부
21. 제 1 조명부 22. 제 2 조명부
23. 제 3 조명부 24. 제 4 조명부
본 발명은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검사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프린터에서 스크린과 인쇄 회로 기판을 정렬을 수행함과 동시에 2차원 비젼 검사할 수 있는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크린 프린터는 인쇄 회로 기판에 크림 솔더(cream solder)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소정 패턴의 통공이 형성된 스크린을 인쇄 회로 기판상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크림 솔더를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도포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상에 크림 솔더를 소정 형상으로 인쇄하는 장치이다. 통상 인쇄회로 기판은 스크린 프린터 장치에서 인쇄 회로 기판과 스크린의 패턴을 상호 정렬된 상태로 일치시키고 소정의 크림 솔더 도포가 완료되어 스크린 프린터 밖으로 배출이 되면, 솔더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정확하게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또한 스크린 프린터는 크림 솔더의 도포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이 되는 과정에서 스크린상에 크림 솔더가 잔류함에 따라 스크린 크리닝 장치를 작동시켜서 스크린의 저면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일을 수행하게 한다. 통상 이러한 것은 솔더 도포의 횟수나 시간등에 의해서 자동으로 반복 수행을 하거나 작업자에 의해서 육안 검사에 의해서 실시되기도 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르면 솔더 도포의 정상 유무를 검사하는 장비는 통상 비젼검사 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스크린 프린터의 하류에 장치를 두고 검사를 수행한다. 즉, 스크린 프린터에서 크림 솔더의 도포 작업을 마친 인쇄 회로 기판은 콘베이어를 통해서 비젼 장치로 이동하게 되며, 비젼 장치에서 크림 솔더가 올바르게 도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별도의 비젼 장치를 구비한 스크린 프린턴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크린 프린터에 인쇄 회로 기판이 유입되면 인쇄 회로 기판의 기준 위치 마크와 스크린의 기준 위치 마크를 각각 인식하여 인쇄 회로 기판과 스크린을 상호 정렬한다. 인쇄 회로 기판과 스크린이 상호 정렬되면 콘베이어상의 인쇄 회로 기판은 상승하여 스크린에 밀착되고, 다음에 크림 솔더가 도포된다. 이후에 인쇄 회로 기판은 하강하여 기판이 배출된다. 배출된 기판은 비젼 장치에 유입됨으로써 소정의 비젼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즉, 크림 솔더가 올바르게 도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는 크림 솔더의 도포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와 비젼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 프린터와 동일한 제어장치에 의해 검사장치가 구동이 되어지기도 하지만 장치의 구성이 대형화되고 복잡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비젼 장치를 스크린 프린터에 내장시키기도 하지만, 그러한 예에서는 비젼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별도로 구성되기도 하고, 또한 비젼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복잡하여 고가의 장비가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원 비젼 검사를 수행하는 개선된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속한 비젼 검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비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 프린터에서 스크린과 인쇄회로 기판의 정렬을 수행과 스크린의 상태와 인쇄회로 기판상의 크림 솔더의 도포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비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의 상태에 따른 스크린 자동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광축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는 씨씨디 카메라와; 상기 씨씨디 카메라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중공형 블록과; 상기 중공형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블록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를 상기 씨씨디 카메라의 반대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블록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1 프리즘과; 상기 제 1 프리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프리즘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1 프리즘을 통해 상기 씨씨디 카메라를 향해 반사시키는 미러와 상기 제1 프리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조명수단과 상기 제1프리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조명수단;을 구비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공형 블록의 내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프리즘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조명부; 상기 제 1 조명부의 빛을 상기 블록의 하부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제 1 프리즘의 수직 하부에 설치된 제 2 프리즘; 상기 중공형 블록의 하부에 위치하며 측면방향으로 조명하기 위한 제 3 조명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3 조명수단은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 설치부; 상기 조명 설치부내에 조명 대상물을 향해 원형으로써 다층으로 배치되는 제 2 조명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조명수단은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 1 조명부와 제 2 조명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조명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크림 솔더의 도포가 정상적으로 수행된 인쇄 회로 기판을 촬상하여 이치화함으로써 크림 솔더의 중심 위치와 면적에 대한 기준 데이타를 구하는 단계; 실제의 크림 솔더 도포가 수행된 인쇄 회로 기판을 촬상하여 이치화함으로써 실제 크림 솔더의 중심 위치와 면적에 대한 비교 데이타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데이타와 비교 데이타를 상호 비교하여 크림 솔더의 정상 도포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교 데이타를 형성하는 크림 솔더의 면적이 기준 데이타를 형성하는 면적보다 크거나 작으면 크림 솔더의 과다 또는 부족으로 판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교 데이타를 형성하는 크림 솔더의 중심 위치가 기준 데이타를 형성하는 중심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 크림 솔더의 이탈로 판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크림 솔더의 도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부분의 외곽에 임의로 테두리를 설정하고, 상기 비교 데이타를 형성하는 크림 솔더가 상기 테두리를 침범하면 크림 솔더의 단락으로 판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을 촬상하는 단계; 찰상된 이미지를 이치화함으로써 스크린의 통공의 위치와 면적에 대한 기준 데이타를 구하는 단계; 크림 솔더 도포가 수행된 이후에 스크린을 촬상하여 이치화함으로써 사기 스크린에 잔류하는 크림 솔더의 중심 위치와 면적에 대한 비교 데이타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데이타와 비교 데이타를 상호 비교하여 스크린에 대한 크림 솔더의 잔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검사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은 도 1 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CCD 카메라(11)는 광축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배치된다. CCD 카메라(11)의 전면에는 중공형의 블록(12)이 고정된다. 블록(12)의 내측은 중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다. 블록(12)에 형성된 중공부(14)의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제 1 프리즘(25)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프리즘(25)의 일 측면에 미러(28)가 설치된다. 미러(28)는 미러 조절부(27)를 통해서 조절 가능하다. 상기 미러 조절부는 상기 중공형의 블록에 조절부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와 상기 미러부의 각도를 미세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체결부는 도 2b 에서 29a 로 표시된 고정 나사이며, 조절 수단은 도 2b 에서 29b 로 표시된 조절 나사이다. 이는 비젼장치를 제조시에 상하부에서 들어오는 각각의 이미지를 1개의 카메라에 동일한 광축으로써 일치시키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상기 제 1 프리즘(25)과 미러는 상호 협동에 의해서 중공형 블록(12)의 상부에 게재되는 대상물의 이미지를 상기 CCD 카메라(11)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블록(12)의 상부에 배치된 대상물의 이미지는 제 1 프리즘(25)에 의해서 90 도 각도로 반사되어 미러(28)를 향하게 되며, 다시 미러(28)에서 반사되어 제 1 프리즘(25)을 통과하여 카메라(11)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블록(12)의 상부에 배치되는 대상물은 스크린 프린터에서 스크린이다.
블록(12)의 중공부 상부에는 제 1 조명부(21)가 설치된다. 제 1 조명부(21)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원형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 제 1 조명부(21)는 블록(12)의 상부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조명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조명부(21)에 의한 조명은 그 위에 설치되는 확산판(28a)에 의해서 대상물에 고르게 확산된다.
한편, 제 1 프리즘(25)의 수직 하부에는 블록(12)의 중공부내에 제 2 프리즘(2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프리즘(26)의 일측에는 제 2 조명부(22)가 설치된다. 제 2 조명부(22)에 의한 조명은 대상물을 수직으로 조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 2 프리즘(26)에 의해서 하부로 반사됨으로써, 블록(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상물을 조명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조명부(22)는 제 2 프리즘(26)을 통한 조명광의 반사가 극대화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1)의 측에서 수직 방향의 다층으로 전개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다른 예에서는 카메라(11)의 반대 측에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프리즘(26)의 반사 방향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블록(12)의 하부에는 대상물, 즉 도포된 크림 솔더의 측면을 조명하기 위한 수평조명 수단으로써 조명 설치부(13)가 설치된다. 조명 설치부(1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dome)의 형태를 가지며, 그 내측에 제 3 조명부(23)가 설치 되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조명과 상기 수평조명의 중간 부를 조명하기 위한 제 4 조명부(24)가 각각 설치된다. 통상 상기 비젼장치가 스크린과 인쇄회로기판을 정렬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미지를 찰상을 할 경우에는 상기의 제2,제3 및 제4 조명부가 모두 작동할 필요가 없고 선택적으로 1개만 작동을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제2,제3 및, 제 4 조명부는 도포된 크림솔더의 상태를 2차원 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3단 조명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제 3 조명부(23)는 발광 다이오드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다층을 이루어 평면상에서 원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제 4 조명부(24)도 발광 다이오드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2)의 중앙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블록(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대상물은 통상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이다. 인쇄 회로 기판의 이미지는 블록의 중공부(14)에 설치된 제 2 프리즘(26)을 통과하며, 제 1 프리즘(25)에 의해서 반사되어 카메라(11)를 향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는 스크린 프린터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스크린과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스크린 프린터에서 스크린은 회전과 평면 좌표 운동이 가능한 스크린 고정 장치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 회로 기판은 콘베이어에 의해 스크린 고정 장치의 수직 하부에 도달하여 승강 장치에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비젼 장치는 상기의 스크린 고정 장치와 인쇄 회로 기판의 승강 장치 사이에 삽입되거나 이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젼 장치의 작용을 스크린 프린터의 전체적인 작동과 관련하여 도 3 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린이 스크린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인쇄 회로 기판이 콘베이어에 의해 스크린의 수직 하부에 도달하면(단계 31), 상기 비젼 장치는 스크린과 인쇄 회로 기판을 상호 정렬하기 위하여 스크린 및, 인쇄 회로 기판상의 기준 마크를 차례로 인식한다(단계 32). 스크린의 기준 마크를 인식하려면, 제 1 조명부(21)의 조명을 작동시키고, 제 2 내지 제 4 조명부(22,23,24)의 조명은 작동시키지 아니한다. 이렇게 되면 블록(12)의 상부에 배치된 스크린의 기준 마크 이미지는 제 1 프리즘(25)에 의한 직각 방향 반사, 미러(28)에 의한 반사 및, 제 1 프리즘(25)으로의 통과 과정을 통해서 카메라(11)로 촬상된다. 한편, 인쇄 회로 기판의 기준 마크를 인식하려면, 제 1 조명부(21)의 조명을 작동시키지 아니하고, 제 2 내지 제 4 조명부(22,23,24)의 조명을 작동시킨다. 제 2 조명부(22)의 조명은 제 2 프리즘(26)에 의한 직각 반사에 의해 하부의 인쇄 회로 기판을 조명하게 되며, 제 3 및, 제 4 조명부(23,24)의 조명은 직접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을 조명하게 된다. 상기 조명의 도움으로 블록(12)의 하부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의 기준 마크 이미지는 제 2 프리즘(26)을 통과하고, 제 1 프리즘(25)에 의해 반사되어 카메라(11)에 의한 촬상이 가능하게 된다.
기준 마크의 인식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호 정렬이 이루어진다(단계 33). 통상적으로 정렬은 스크린을 회전시키거나 평면 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스크린 고정 장치가 스크린을 회전시키거나 평면 운동시키는 것이다. 정렬의 이후에(또는 정렬의 이전에도 무방하다) 비젼 장치가 인쇄 회로 기판과 스크린 사이에서 철수되어야 한다(단계 34). 이러한 비젼 장치의 철수는 차후에 인쇄 회로 기판과 스크린이 상호 밀착할때 그 사이에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이다.
정렬이 종료되면 인쇄 회로 기판은 상승하게 되고, 그에 의해서 스크린과 인쇄 회로 기판이 상호 밀착하게 된다(단계 35). 다음에 크림 솔더의 도포가 이루어지며(단계 36), 다시 인쇄 회로 기판이 하강한다(단계 37). 인쇄 회로 기판이 하강한 이후에는 다시 비젼 장치가 인쇄 회로 기판과 스크린 사이에 삽입된다(단계 38).
비젼 장치는 크림 솔더의 도포가 종료된 스크린의 저부 표면과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을 촬상하게 된다(단계 39). 이때, 상부의 스크린 및, 하부의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촬상 작업은 상기의 기준 마크를 촬상하는 것(단계32)에서와 동 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표면들에 대한 촬상에 있어서, 스크린의 저부 표면에 크림 솔더가 잔류하면 소정의 클리닝 공정을 수행하는 후처리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클리닝 공정은 정기적인 클리닝과는 별도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클리닝 공정에 의해서 잔류 크림 솔더가 차후 도포 공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회피된다. 이는 크림솔더의 도포횟수나 작동시간의 정도에 따른 자동적인 스크린 세척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실제적인 스크린의 상태에 따른 세척이 이루어 지므로 불필요한 크리닝 단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상의 크림 솔더 도포 상태가 불량하면 인쇄 회로 기판을 불량으로 처리하게 된다. 불량으로 처리된 인쇄 회로 기판은 별도의 이송 기구를 통해서 정상의 경로와는 달리 배출된다. 통상적으로 불량으로 판정이 된 기판은 스크린 프린터의 하류에 설치되는 콘베이어에서 다른 경로로 배출이 된다. 즉, 스크린프린터의 하류일측에 설치된 콘베이어에서 해당 불량기판이 도착하면 컨베이어가 승강수단에 의해서 콘베이어부가 소정 하강하여 90회전을 하고 해당 기판을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는 다시 역회정을 하고 상승하여 다음의 인쇄회로 기판의 유입을 대기한다. 그리고 크림 솔더의 도포 상태가 정상으로 판정된 것이 유입되면 정상의 경로로 배출하여 다음 처리 공정으로 이동시킨다(단계 40).
다음에는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대한 크림 솔더의 도포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d 내지 도 4e 는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크림 솔더를 도포 하였을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a 는 정상 상태의 크림 솔더 도포 상태를 나타낸다. 즉,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비젼 장치로써 검사 영역(41)을 설정하여 촬상을 하게 되는데, 크림 솔더가 도포 부위인 패드(43)의 면적 및, 위치와, 실제의 크림 솔더(42)의 면적 및, 위치가 일치하는 것이다.
도 4b 는 크림 솔더(42)의 면적이 패드(43)의 면적보다는 작다. 이것은 크림 솔더의 부족 상태이다. 도 4c 는 크림 솔더(42)의 면적이 패드(43)의 면적보다 크다. 이것은 크림 솔더의 과다 상태이다. 또한 도 4d 는 크림 솔더(42)가 일측으로 밀려나서 패드(43)의 경계 부분을 침범한 경우이다. 도 4e 는 이웃하는 크림 솔더(42) 사이에 연결부(45)가 형성됨으로써 단락이 발생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인쇄 회로 기판상의 다양한 유형의 크림 솔더 도포 상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판정된다. 우선 정상적인 크림 솔더의 도포가 이루어진 인쇄 회로 기판을 비젼 장치로 촬상함으로써 소위 이치화를 수행한다. 이치화는 인쇄 회로 기판 표면의 이미지를 크림 솔더가 도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이원화하여 단순화시킨 것이다. 즉, 크림 솔더가 도포된 부분이 백색으로 나타내게 되면, 그렇지 않은 부분은 흑색으로 나타내는 식이다.
다음에, 크림 솔더 도포 부분의 중심 위치와 면적을 산출하여 그러한 데이타를 기준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기준의 중심 위치와 면적 데이타는 차후의 실제 촬상 작업시에 판단의 기준이 되며, 이러한 데이타가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다. 또한, 도 4a 에서 검사 영역(41)의 외곽에 임의로 일정 영역을 설정하여 그에 대한 데이 타도 함께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외곽부에 관련된 데이타는 도 4e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락을 판정하는 기준이 된다.
실제의 스크린 인쇄 작업시에 도포된 인쇄 회로 기판상의 크림 솔더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촬상 및, 이치화의 과정을 통해서 처리되어 그것의 면적 및, 중심에 대한 데이타가 구해지며, 그러한 데이타는 기준 데이타에 비교된다. 즉, 실제 도포된 크림 솔더의 면적이 기준 면적보다 작거나 크면 도 4b 및,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림 솔더의 부족 또는 과다로 판정된다. 한편, 실제 도포된 크림 솔더의 중심이 기준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도 4d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림 솔더의 이탈 상태가 된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검사 영역(41)의 외곽에 임의로 설정된 테두리를 크림 솔더가 침범하게 되면 도 4e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락으로 판정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스크린의 저부 표면에 크림 솔더가 잔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a 를 참조하면, 이것은 스크린(51)상에 형성된 통공(52)의 주변에 크림 솔더(53)가 번져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공(52)은 그 뚫려있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통공(52) 주위의 스크린(51) 면에는 크림 솔더(53)가 많이 번져 있다.
도 5b 를 참조하면, 이것은 스크린(51)상에 형성된 통공(52)을 크림 솔더(53)가 직접적으로 막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크림 솔더(53)가 통공(52)을 막고 있기 때문에 크리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차후 공정에서 정상적인 크림 솔더 의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상의 크림 솔더 상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판정된다. 우선 크림 솔더가 전혀 부착되지 아니한 스크린을 비젼 장치로 촬상함으로써 소위 이치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이치화에 의해서 스크린의 통공(52)은 흑색으로 나타나며, 그렇지 않은 스크린 면은 백색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이치화된 통공(52)의 면적 및, 위치를 기준 데이타로 제어기에 입력한다.
실제의 크림 솔더 도포 작업이 종료된 이후에, 스크린면을 촬상하여 이치화시킨다. 이때는 크림 솔더의 부분을 분리하여 이치화시킨다. 예를 들면, 크림 솔더의 부분을 흑색으로 나타내고, 나머지 부분을 백색으로 나타내어 그 면적 및, 위치 데이타를 구한다.
다음에 상기의 스크린 통공에 대한 기준 데이타와 크림 솔더에 대한 비교 데이타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크림 솔더가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통공을 막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임의로 설정되어 미리 제어기 입력된 스크린 통공 외곽의 테두리를 크림 솔더가 침범했다면 그것은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림 솔더의 번짐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검사 방법은 스크린 프린터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스크린과 인쇄 회로 기판의 상호 정렬을 위한 기능과 스크린 및, 인쇄 회로 기판상의 크림솔더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 검사와 그 상태에 따른 스크린 세척을 수행함으 로써 불필요한 스크린 세척작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광축이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는 씨씨디 카메라;
    상기 씨씨디 카메라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상태의 중공형 블록;
    상기 중공형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중공형 블록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를 상기 씨씨디 카메라의 반대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블록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를 향하여 반사시키는 제 1 프리즘;
    상기 제 1 프리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프리즘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1 프리즘을 통해 상기 씨씨디 카메라를 향해 반사시키는 미러;
    상기 중공형 블록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프리즘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 조명부;
    상기 중공형 블록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프리즘의 수직 하부에 설치된 제 2 프리즘;
    상기 중공형 블록의 내측 하부에서 상기 제 2 프리즘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프리즘을 향해 측면방향으로 조명하기 위한 제 2 조명부;를 구비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 설치부;및,
    상기 조명 설치부내에 원형으로써 다층으로 배치되는 제 3 조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설치부내에서 상기 중공형 블록의 중앙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 4 조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10011031A 2001-03-03 2001-03-03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비젼 검사방법 KR100763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031A KR100763958B1 (ko) 2001-03-03 2001-03-03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비젼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031A KR100763958B1 (ko) 2001-03-03 2001-03-03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비젼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07A KR20020071107A (ko) 2002-09-12
KR100763958B1 true KR100763958B1 (ko) 2007-10-05

Family

ID=2775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031A KR100763958B1 (ko) 2001-03-03 2001-03-03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비젼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57A (ko) * 2016-01-12 2017-07-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스크린 프린터의 비전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6149B (en) * 2004-05-05 2007-03-11 Bobst Sa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atterns on a substrate
CN107886854A (zh) * 2017-11-21 2018-04-06 上海蓝硕数码科技有限公司 升降旋转交叉显示异形led显示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791A (ko) * 1995-09-19 1997-04-30 김광호 인쇄회로기판의 크림솔더 검사 장치 및 방법
JPH11245369A (ja) * 1998-02-27 1999-09-14 Tenryu Seiki Kk 画像認識装置及びクリームはんだ印刷装置
KR20000007250A (ko) * 1998-07-01 2000-02-07 윤종용 인쇄회로기판의 크림솔더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791A (ko) * 1995-09-19 1997-04-30 김광호 인쇄회로기판의 크림솔더 검사 장치 및 방법
JPH11245369A (ja) * 1998-02-27 1999-09-14 Tenryu Seiki Kk 画像認識装置及びクリームはんだ印刷装置
KR20000007250A (ko) * 1998-07-01 2000-02-07 윤종용 인쇄회로기판의 크림솔더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557A (ko) * 2016-01-12 2017-07-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스크린 프린터의 비전 검사 장치
KR102602504B1 (ko) 2016-01-12 2023-11-14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스크린 프린터의 비전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07A (ko)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9528B2 (en) Automated wafer defect inspection system and a process of performing such inspection
KR101305262B1 (ko) 기판 검사 장치
EP1031417B1 (en) Screen inspecting method, screen inspecting apparatus, and screen printing machine
KR101013573B1 (ko) 반도체 칩 외관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US20070102478A1 (en) Optimal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a stencil printer
US6529624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ream solder on PCB and method thereof
KR20080090384A (ko) 스텐실 프린터를 위한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
KR101514409B1 (ko) 비전검사장치
JPH07260701A (ja) 検査範囲認識方法
KR100763958B1 (ko) 스크린 프린터의 비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비젼 검사방법
KR101079686B1 (ko) 영상인식장치 및 영상인식방법
JP4818572B2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方法
KR100769797B1 (ko) 패턴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2602504B1 (ko) 스크린 프린터의 비전 검사 장치
KR100200213B1 (ko)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검사장치
KR19980072996A (ko) Pcb기판 검사장치 및 pcb기판 검사방법
JPH0682732B2 (ja) Icパッケージのリード端子浮き量検査装置
KR100292343B1 (ko) 기판상의크림솔더도포상태검사방법
JP4818571B2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方法
KR200336984Y1 (ko) 표면 및 형상 검사장치
KR100789698B1 (ko) 웨이퍼 식별 코드 인식 장치
JPH09238000A (ja) 電子部品の認識方法及び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KR101192332B1 (ko) 솔더 볼의 비전 검사장치
JP2007010586A (ja) 赤外反射膜コーティング部材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2139440A (ja) パターン検査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