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616B1 - 점착 라벨 - Google Patents

점착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616B1
KR100763616B1 KR1020070053992A KR20070053992A KR100763616B1 KR 100763616 B1 KR100763616 B1 KR 100763616B1 KR 1020070053992 A KR1020070053992 A KR 1020070053992A KR 20070053992 A KR20070053992 A KR 20070053992A KR 100763616 B1 KR100763616 B1 KR 10076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olylactic acid
label
transpare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주
Original Assignee
이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주 filed Critical 이석주
Priority to KR102007005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층; 상기 이형층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부에 형성된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필름층이 60 내지 100℃의 온수 중에서 30초간 침지시 길이 방향 (MD 방향) 및 폭 방향 (TD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50 내지 80%이고, 생분해도가 95 내지 100%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용기의 회수 수세 공정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용기로부터 제거되고, 제거된 후 매립 처리되어도 자연 분해하여 친환경적인 생분해성이 우수한 점착 라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 라벨{Adhesive lab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점착 라벨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점착 라벨의 단면도이다.
< 도면에 사용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20: 이형층 11, 21: 점착층
12, 22: 투명 필름층 23: 이형 코팅층
본 발명은 이형층, 상기 이형층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부에 형성된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는 점착 라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용기의 회수 수세 공정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용기로부터 제거되고, 제거된 후 매립 처리되어도 자연 분해하여 친환경적인 생분해성이 우수한 점착 라벨에 관한 것이다.
점착 라벨이라 함은, 저절로 붙거나 혹은 압력을 가하면 붙는, 점착제가 코팅된 라벨을 말하고, 습기(접착제를 바른 면에 물을 묻히면 붙게 되는 종이), 열(열고정) 혹은 접착제(일반종이)가 가해져야만 하는 일반적인 라벨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점착제가 미리 코팅되고 이형지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형지를 떼어내어 점착제가 처리된 면에 의해 라벨이 붙여지게 되는 것으로, 수분이나 열을 가하지 않아도, 점착력을 발휘하는데, 점착라벨은 점착되기 위해 극히 적은 압력을 요하기 때문에 감압성(感壓性) 라벨(PS(pressure sensitive) Label)이라고도 불리어 진다.
감압성 라벨 중에서도 폴리머 필름 라벨의 경우는 투명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시각적인 심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인장 강도나 내마찰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종래의 종이계 라벨 보다 그 수요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한편, 최근 폐기물에 의한 환경 문제가 중요한 사회의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음료 산업에서 사용되는 용기들도 회수, 수세되어 다시 재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렇게 재사용되는 용기들에 부착된 라벨들도 용기의 수세 공정 동안에 용이하게 제거될 것이 또한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종이계 라벨의 경우에는 종이 자체의 수분에 대한 투습성 및 팽윤성을 가지고 있어서 통상의 용기의 수세 공정 조건에서 용이하게 제거되었으나, 폴리머 필름 라벨의 경우는 그 적용에 한계를 갖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점착력을 저하시키거나 페이스 스톡(face tock, 인쇄용 점착 라벨 표면지)의 변형을 꾀하는 여러 가지 노력이 시도되었다.
첫째, 점착 라벨의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방법은 페이스 스톡으로 PVA 필름 또는 다공형 필름과 같은 침투성이 우수한 재질을 적용하여 용기의 수세 용액인 가 성 소다 용액이 점착제 층에 영향을 줌으로써 점착력이 저하되어 용이하게 라벨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이 경우 점착제의 점착력 손실과 팽윤 현상이 동시에 진행되어 가성소다용액에 점착제 잔류분이 용해되므로 용액의 보존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둘째, 페이스 스톡의 변형에 의한 방법은 페이스 스톡을 이층구조로 형성하고 각층의 변형력 및 변형 온도에 반응하는 속도 차를 이용하여 컬링이 발생하게 하고 이러한 컬링이 되는 힘을 지탱하지 못하는 정도의 점착력을 가진 감압 점착제를 선택하여 라벨이 제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이는 라벨이 과도하게 컬링이 되어 수세되는 용기 속으로 들어가서 작업이 곤란해지고, 이를 막기 위해 컬링 정도를 낮추는 경우 라벨의 제거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용기의 회수 공정의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필름 점착 라벨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세계적으로 무수히 쏟아져 나오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데, 기존에 점착 라벨의 필름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 등은 연소시의 높은 발열량으로 인하여 소각로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매립, 처리하여도 화학적, 생물학적 안정성 때문에 거의 분해하지 않고, 잔류하여 매립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소열량이 낮고, 토양 중에서 분해되며, 매립 시에도 자연 분해함으로써 매립지의 조기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생분해성 필름을 사용한 점착 라벨에 대한 요구도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용기의 회수 수세 공정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용기로부터 제거되고, 제거된 후 매립 처리되어도 자연 분해하여 친환경적인 생분해성이 우수한 점착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형층;
상기 이형층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부에 형성된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필름층이 60 내지 100℃의 온수 중에서 30초간 침지 시 길이 방향 (MD 방향) 및 폭 방향 (TD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50 내지 80%이고, 생분해도가 95 내지 100%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광학 순도 96 내지 100 % 의 결정성 폴리락트산 40 내지 80 중량부와 광학 순도 55 내지 95 % 의 비정질 폴리락트산 2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필름은 길이 방향으로 2 내지 4배의 연신 배율 및 폭 방향으로 2 내지 4배의 연신 배율로 연신 되고, 60 내지 120℃의 온도에서 0.5 내지 5 분 동안 열처리되어 제조된 40 내지 200㎛ 두께의 이축 연신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또는 합성 고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층은 KS A 1107-8의 시험법에 따라 유리 피착체에 대한 상온 점착력은 400 내지 850gf/inch이고, 내열 점착력(40℃에서 10일 조건)은 600 내지 800gf/inch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이형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이형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은 재사용용 용기의 회수 수세 공정 조건에서도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고, 제거된 후에도 자연 분해하여 친환경적인 생분해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은 이형층(10), 상기 이형층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11), 및 상기 점착층 상부에 형성된 투명 필름층(12)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층은 상기 점착층 및 투명 필름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이형성, 밀착성, 표면 평활성, 치수안정성 등이 요구되며, 상기 점착층에서 잘 박리되어야 하므로 낮은 박리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형층에는 상기와 같은 물성을 만족시키는 소재라면 아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 라미네이트지, 플라스틱 필름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에는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가 있다.
이와 같은 이형층의 두께는 12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5㎛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2㎛ 미만인 경우에는 보호층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 곤란하며, 100 ㎛를 초과하면 권취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점착층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에 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의 고무계 점착제,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가교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가소제, 노화 방지제, 점착 증진제, 용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헬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주 단량체와,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무수말레산 등의 공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에폭시 수지, 금속 킬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교형 아크릴 점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제로서, 주로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용매,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과 같은 케톤류 용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알코올류 용매 등이 단독 혹은 혼합하 여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및 N-헥산이 사용되어서,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젖음성과 유동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층은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 의 두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두께가 10 ㎛ 미만이면 점착력이 불균일해지고, 100 ㎛를 초과하면 점착제 층단 밀림이 발생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은 KS A 1107-8의 시험법에 따라 유리 피착제에 대한 상온 점착력은 400 내지 850gf/inch이고, 내열 점착력(40℃에서 10일 조건)은 600 내지 800gf/inch이다. 또한, 동일한 시험법에서 표준 피착제인 SUS-304를 사용한 경우에는 점착력이 800 내지 1,000gf/25mm이다.
이때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이 상기 범위 보다 작은 경우에는 통상의 보관 유통 조건에서도 용기로부터 점착라벨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보다 큰 경우에는 용기의 수세 조건에서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점착 라벨은 재사용용 용기의 수세 조건에서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고, 필름 라벨인 경우에 폐기물로서 환경 오염의 문제가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은 고온의 수세 조건에서 점착층의 점착력 보다 더 큰 열수축성을 가져서 그 결과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고, 우수한 생분해성을 갖는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투명 필름층은 60 내지 100℃의 온수 중에서 30초간 침지시 길이 방향 (MD 방향) 및 폭 방향 (TD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50 내 지 80%이고, 생분해도가 95 내지 100%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polylacide resin)는 락트산 단량체 단위를 85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락트산의 단독 중합체, 또는 락트산과 다른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 디카르복실산, 디올류와의 공중합체, 또는 락트산 단량체 단위를 85 중량% 이상 함유하는 이들의 중합체 조성물이다.
이때, 상기 락트산으로는 광학이성질체로서 L-락트산 , D-락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으로는 글리콜산, 3-히드록시부티르산, 히드록시길초산, 히드록시펜타노산, 히드록식카프로산, 및 히드록시헵타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족 환상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라이드, 락티드, β-프로피오락톤, γ-부티로락톤, δ-발레로락톤, ε-카프로락톤 및 이들에 메틸기 등의 다양한 기가 치환된 락톤류를 들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비스페놀/에틸렌 옥시드 부가 반응물 등의 방향족 다가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옥탄디올, 글리세린, 소르비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에테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축합 중합법, 개환 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폭시 화합물, 산무수물, 다관능산 염화물 등의 결합제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500,000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200,000 의 범위이다. 분자량이 20,000 미만인 경우에는 용융 점도가 낮아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0,000 초과인 경우에는 용융 점도가 높아서 필름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은 통상의 용기 수세 공정에서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사용용 용기의 통상의 수세 공정은, 용기를 40℃ 이상의 온도에서 예비 가열시켜서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단계, 및 이후 상기 용기를 교반되는 수세 액에 침지시키거나 수세 액으로 스프레이 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거침으로써 라벨이 용기로부터 제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비 가열시키는 단계는 50℃ 이상의 온도를 갖는 수조에 용기를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세 액은 60 내지 100℃의 고온의 물 또는 알칼리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 내지 2.5%의 농도를 갖는 NaOH의 수용액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의 투명 필름층은 상기 수세 조건에서 점착층의 용기에 대한 점착력 보다 더 상회하는 열수축률을 가짐으로써, 그 결과 상 기 투명 필름층이 수축되어 용기로부터 제거될 것이 요구된다.
상기의 투명 필름은 60 내지 100℃의 온수 중에서 30초간 침지 시 길이 방향 (MD 방향) 및 폭 방향 (TD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이다. 상기 열수축률이 50% 미만인 경우에는 용기 탈리성이 저하되고, 80% 초과인 경우에는 연신 공정상 불균일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투명 필름의 열수축률은 폭 방향에서의 열수축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필름이 이러한 열수축률과 같은 물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폴리락트산계 수지에서 결정성 폴리락트산과 비정질 폴리락트산과의 혼합 조성, 투명 필름의 MD 방향, TD 방향의 연신 시의 온도, 연신 배율 및 열처리 조건 등을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D-락트산과 L-락트산을 주성분으로 하는데, 상기 D-락트산과 L-락트산 중 하나 만으로 이루어진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결정성이 매우 높고, 내열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지만, 열수축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연신 하면, 연신 배향에 따른 결정화가 진행하여, 열수축률을 조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바람직한 열수축률을 갖는 투명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결정성을 적절히 저하시키는 것이 요구되는데, 일반적으로, D-락트산과 L-락트산과의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그 광학 이성체의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결정성이 저하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결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광학 이성체의 비율을 조정할 목적으로, D-락트산과 L-락트산의 구성 비율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결정화 정도는 하기의 수학식 1로 나타내는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광학 순도와 상관 관계가 있는데, 상기 광학 순도 값이 클수록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구성하는 광학 이성질체인 D-락트산과 L-락트산 중 일방의 비율이 커서 결정화 정도가 크고, 상기 광학 순도 값이 작을수록 D-락트산과 L-락트산 양쪽 모두가 공통으로 포함되므로 결정화 정도가 작아지게 된다.
[수학식 1]
광학 순도 (%)=|[L] - [D]|,
(식 중, [L]+[D]=100이고, |[L]-[D]|는 [L]-[D]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이때, 폴리락트산 중합체를 구성하는 L-락트산 및(또는) D-락트산 단량체 단위의 구성 비율은, 시료를 1N-NaOH로 알칼리 분해한 후에, 1N-HCl로 중화하고 증류수로 농도를 조정하여 가수분해 시료(액)를 제조하고, 이 가수분해 시료를 광학 이성체 분리 컬럼을 장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LC-10A-VP)에 통과시키고, 자외선 UV 254 nm에서의 L-락트산과 D-락트산의 검출 피크 면적비 (수선(垂線)법에 의한 면적 측정)를 얻고, 이로부터 폴리락트산 중합체를 구성하는 L-락트산의 중량 비율 [L] (단위%) 및 폴리락트산 중합체를 구성하는 D-락트산의 중량 비율 [D] (단위%)를 구하여, 중합체 당 3점의 산술 평균 (반올림)을 구성 비율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투명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광학 순도 96 내지 100 %의 결정성 폴리락트산 40 내지 80 중량부와 광학 순도 55 내지 80 %의 비정질 폴리락트산 2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정성 폴리락트산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투명 필름의 결정화도가 저하되어서 제막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고, 8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투명 필름의 결정화도가 커져서 내 충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투명 필름은 폴리락트산계 수지 이외에,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필름은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9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9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투명 필름에 요구되는 열수축률을 만족시키지 못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1축 또는 2축 압출기에 원료가 되는 수지를 공급하여 용융 혼합한다. 이어서, 용융물을 그대로 T 다이, 원통 다이, I 다이 등에 의해 압출시키고, 일단 압출된 수지를 급랭시켜 비정질에 가까운 상태로 만든다. 이 때의 용융 압출 온도는 통상 100 내지 250 ℃의 온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급랭시킬 때에는 냉각 온도가 0 내지 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롤법, 텐터법, 튜블러 (tubular)법 등의 종래 공지된 연신 방법으로 2축 연신 한다. 이들 연신 방법 중, MD 방향과 TD 방향의 연신 배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을 얻기 쉬운 점에서 텐터법이 바람직하다.
연신을 행할 때의 연신 배율은 MD 방향으로 2 내지 4 배 및 TD 방향으로 2 내지 4 배, 바람직하게는 MD 방향으로 2.5 내지 3.5 배 및 TD 방향으로 2.5 내지 3.5 배 이다.
상기 연신 배율이 2 배 미만인 경우에는 수축률 발현이 안되고 4 배 초과인 경우에는 연신 시 파단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폴리락트산계 수지 2축 연신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2축 연신 후에 원료로서 사용된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이고 융점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필름을 열처리한다. 튜블러법이면 내부에 기체를 밀봉하여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필름을 긴장 상태로 만들고, 외부로부터 열풍 등으로 필름을 가열, 열처리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텐터법이면, 필름을 클립으로 꽉 조인 상태에서 열처리 영역을 통과시키는 방법이 통상 이용된다. 바람직한 열처리 방법으로서는, 필름의 연신 온도 이상이고 융점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처리 온도에 의존하여 1 초 이상 열처리하는 방법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 의 온도 범위에서 3 내지 5 분 동안 열처리하는 방법이다. 열처리 온도가 60℃ 미만이거나 처리 시간이 3 미만이면 수축 온도가 낮거나 수축율이 불균일하고, 열처리 온도가 120℃ 초과하거나 처리시간이 5 분 초과하면 필름의 열병형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투명 필름층의 투명성은 헤이즈값(ASTM D-1003에 따라 측정)에 의하여 평가되는데, 상기 헤이즈값이 0.5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이다. 상기 투명 필름층의 헤이즈값이 0.5 % 미만인 경우에는 블로킹이 발생하고, 10 % 초과인 경우에는 인쇄 선명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투명 필름층의 두께는 4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두께가 40 ㎛ 미만인 경우에는 두께 불균일이 발생하고 , 200 ㎛를 초과하면 컬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은 용기로부터 제거된 후에 폐기물로서 환경 오염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우수한 생분해성을 갖는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라벨에 사용되는 투명 필름은 KS M-3100-1 시험법에 의하여 생분해도가 95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필름의 생분해도가 95% 미만인 경우에는 용기 세척 탱크 내에 미세 분해 잔류물이 생기게 되어 이를 청소 제거하는데 비용이 증가하고, 라벨의 폐기 과정에서 환경 오염의 문제가 커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점착 라벨에서는 이형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이형층(20)과 점착층(21) 사이에 이형 코팅층(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 코팅층은 점착 라벨이 이형층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폴리에틸렌, 실리콘, 불소계 화합물로 형성되어 이형층 상부에 코팅된다.
이형 코팅층의 두께는 0.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이다. 상기 두께가 0.01 ㎛ 미만인 경우에는 이형력이 저하하고, 5 ㎛ 초과하면 이형 코팅층의 파괴되거나 건조 불량의 발생가능성이 높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라벨에서는, 상기 투명 필름층(12, 22) 상부에 인쇄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쇄층은 각종 인쇄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 종이를 사용하는 라벨지가 표면이 거칠어 목적하는 인쇄물 출력 시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나, 인쇄층을 형성하는 경우 표면 조도가 향상되어 출력물의 선명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1 내지 15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인쇄의 밀착 상태가 불량해지며, 15 ㎛를 초과하면 인쇄물의 투명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층 및 점착층은 도포액을 도포하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바도포법, 나이프도포법, 롤도포법, 브레이드도포법, 다이도포법, 그라비아도포법 등을 사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점착 필름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형층, 상기 이형층 상부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부면에 형성된 투명 필름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형층은 투명의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50 ㎛ 의 두께를 가졌으며, 이형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 코폴리머 45 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35 중량%, N-헥산 20 중량%의 조성으로 배합된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 (㈜임덕화학의 솔벤트 아크릴계 접착제)을 그라비아 코팅법을 사용하여 20㎛ 의 두께로 하여, 상기 이형층 상부면에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투명 필름층으로는 광학 순도 97 %의 결정성 폴리락트산 60 중량 부와 광학 순도 75 % 의 비정질 폴리락트산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락트산계 수지로 이루어진 50 ㎛ 두께의 필름 (일본 미쯔비시사 제품 ECOLOGY CP-100)을 상기 점착층 상부 면에 적층하여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점착 라벨의 투명 필름으로 50 ㎛ 의 두께를 갖는 PP 필름(화승인더스트리 HB501)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점착 라벨의 투명 필름으로 50 ㎛ 의 두께를 갖는 PET 필름(SKC Co., Ltd. SH71d)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점착 라벨의 투명 필름으로 50 ㎛ 의 두께를 갖는 PVC 필름(아성화학 제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라벨을 제조하였다.
점착 라벨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라서 제조된 점착 라벨을 하기 항목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열수축률
투명 필름을 MD l00mm, TD l00mm의 크기로 절취하고, 80℃의 온수조에 10초간 침지하여 수축량을 측정했다. 열수축률은 수축 전의 필름의 원래 치수에 대한 수축량의 비율을 %값으로 표시했다.
(2) 투명성 (헤이즈)
ASTM D 1003 분석 조건으로 헤이즈(HAZE)를 구하였다.
(3) 생분해도
KS M 3100-1 조건으로 생분해도를 측정하였다.
(4) 점착력
KS A 1107-8의 시험법에 따라 유리 피착체에 대한 상온 점착력 및 내열 점착력(40℃에서 10일 조건)을 측정하였다.
(5) 용기로부터의 라벨 제거 시간 및 제거 양상 평가
점착 라벨이 부착된 맥주병을 80℃ 의 2% NaOH 용액에 침지시킨 후, 라벨이 맥주병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는 시간 및 제거 양상을 평가하였다.
열수축률(%) (MD/TD) 80℃/30초 흐림도(Haze) (%) 생분해도 (%) 점착력(상온/내열) (gf/inch) 라벨 제거 시간(초) 및 제거 양상
실시예 1 5/55 3.0 98 600/720 80초 이하 라벨이 전체적으로 수축되면서 제거되고, 과도한 컬링 현상이 없어서 라벨이 용기내로 다시 들어가지 않았음.
비교예 1 3/6 4.0 12 640/700 제거 안됨
비교예 2 5/7 3.5 18 540/620 제거 안됨
비교예 3 5/15 3.0 0 580/420 제거 안됨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서 제조된 점착 라벨은 용기로부터 전혀 제거되지 않았으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은 통상의 용기 수세 조건에서 라벨이 전체적으로 수축되면서 용이하게 제거되었고, 또한 제거시에도 과도한 컬링 현상이 없어서 라벨이 용기내로 다시 들어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점착 라벨은 비교예 1 내지 3의 점착라벨에 비하여 생분해도가 우수하여 제거된 후 매립 처리되어도 자연 분해하여 친환경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용기의 회수 수세 공정 조건에서도 용이하게 용기로부터 제거되고, 제거된 후 매립 처리되어도 자연 분해하여 친환경적인 생분해성이 우수한 점착 라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이형층;
    상기 이형층의 일면 상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부에 형성된 투명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필름층이 60 내지 100℃의 온수 중에서 30초간 침지시 길이 방향 (MD 방향) 및 폭 방향 (TD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열수축률이 50 내지 80%이고, 생분해도가 95 내지 100%인 폴리락트산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가 광학 순도 96 내지 100 % 의 결정성 폴리락트산 40 내지 80 % 중량부와 광학 순도 55 내지 95 % 의 비정질 폴리락트산 20 내지 60 %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이 길이 방향으로 2 내지 4배의 연신 배율 및 폭 방향으로 2 내지 4배의 연신 배율로 연신되고, 60 내지 120℃의 온도에서 0.5 내지 5 분 동안 열처리되어 제조된 40 내지 200㎛ 두께의 이축 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이 아크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점착제, 또는 합성 고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KS A 1107-8의 시험법에 따라 유리피착체에 대한 상온 점착력은 400 내지 850gf/inch이고, 내열 점착력(40℃에서 10일 조건)은 600 내지 800gf/inc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이형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라벨.
KR1020070053992A 2007-06-01 2007-06-01 점착 라벨 KR10076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992A KR100763616B1 (ko) 2007-06-01 2007-06-01 점착 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992A KR100763616B1 (ko) 2007-06-01 2007-06-01 점착 라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616B1 true KR100763616B1 (ko) 2007-10-04

Family

ID=3941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992A KR100763616B1 (ko) 2007-06-01 2007-06-01 점착 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6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59B1 (ko) * 2008-11-26 2009-06-26 주식회사 백스코 열수축성 클리어 라벨
KR100910406B1 (ko) * 2008-04-29 2009-08-04 (주)원정 수축라벨
WO2014046320A1 (ko) * 2012-09-21 2014-03-27 (주)엘지하우시스 점착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KR20200126210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친환경 라벨
CN112760048A (zh) * 2020-12-23 2021-05-07 深圳昌茂粘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热收缩可自然降解透明标签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9775A1 (en) 2001-08-17 2003-02-27 Dan-Cheng Kong Multilayer sleeve labels
KR20040030538A (ko) * 2001-03-15 2004-04-09 유씨비 소시에떼아노님 라벨
KR20050088245A (ko) * 2003-01-06 2005-09-0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40112A (ja) 2005-03-04 2006-09-1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ポリ乳酸系印刷用フィルムおよび印刷体並びに自動販売機内模擬缶用ラベ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538A (ko) * 2001-03-15 2004-04-09 유씨비 소시에떼아노님 라벨
US20030039775A1 (en) 2001-08-17 2003-02-27 Dan-Cheng Kong Multilayer sleeve labels
KR20050088245A (ko) * 2003-01-06 2005-09-02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40112A (ja) 2005-03-04 2006-09-14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ポリ乳酸系印刷用フィルムおよび印刷体並びに自動販売機内模擬缶用ラベル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06B1 (ko) * 2008-04-29 2009-08-04 (주)원정 수축라벨
KR100904959B1 (ko) * 2008-11-26 2009-06-26 주식회사 백스코 열수축성 클리어 라벨
WO2014046320A1 (ko) * 2012-09-21 2014-03-27 (주)엘지하우시스 점착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US9403348B2 (en) 2012-09-21 2016-08-02 Lg Hausys, Ltd. Biodegradable sheets having adhesive layer
KR20200126210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친환경 라벨
KR102189505B1 (ko) 2019-04-29 2020-12-11 주식회사 삼영특수인쇄 친환경 라벨
CN112760048A (zh) * 2020-12-23 2021-05-07 深圳昌茂粘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热收缩可自然降解透明标签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8538B1 (en) Heat-shrinkable white polyester film, process for producing heat-shrinkable white polyester film, label, and package
JP6802535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4882919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
KR101242906B1 (ko) 밀도 유지력이 개선된 공극 함유 폴리에스터 수축 필름
JP4782002B2 (ja) プロパンジオール系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から成る収縮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286829B2 (ja) ラベル
KR20030068461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라벨
KR20130031242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그의 포장체, 및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KR100763616B1 (ko) 점착 라벨
KR20180031681A (ko)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포장체
CN111918909A (zh) 热收缩性聚酯系薄膜
JP2014031012A (ja) 白色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白色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包装体
KR20020092819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2003181919A (ja) 生分解性熱収縮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シュリンク包装体
JP2003160675A (ja) 透明な耐衝撃性ポリ乳酸系延伸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7390B1 (ko) 적층 열수축성 필름 및 병용 라벨
KR20070107427A (ko) 생분해성 열수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780532B1 (ko) 열수축성 열가소성 수지계 필름
JP2009202445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KR20090062882A (ko) 열수축성 적층필름 및 이를 기재로 이용한 열수축성 라벨
JP2005263931A (ja) 無機フィラー入り艶消しフィルム
KR102411172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라벨, 포장체 및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라벨의 제조방법
JP2006289727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熱収縮性ラベル
JP2004131726A (ja) 生分解性艶消しフィルム
JP2005263932A (ja) 微粒子ポリマー入り艶消し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