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932B1 -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 방법 - Google Patents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932B1
KR100762932B1 KR1020060035792A KR20060035792A KR100762932B1 KR 100762932 B1 KR100762932 B1 KR 100762932B1 KR 1020060035792 A KR1020060035792 A KR 1020060035792A KR 20060035792 A KR20060035792 A KR 20060035792A KR 100762932 B1 KR100762932 B1 KR 10076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layer
reflector
slip
slip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풍
김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풍, 김보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풍
Priority to KR102006003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6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a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synthetic resin as binder

Abstract

본 발명은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방법에 있어서, 특히 도로 미끄럼 방지제를 도포후 블로워를 통해 공기를 제공하여 경화속도를 빠르게 하고, 아울러 시인성 확보를 위해 컬러가 선명한 골재를 도포하되 미끄럼 방지제 상부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넓은 면적을 쉽게 미끄럼 방지 공정을 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와, 상기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의 후반부에 장착되며 미끄럼 방지제 살포후 시인성 확보를 위해 컬러 규사를 살포하는 반사체 살포부와, 상기 반사체 살포부의 후반에 장착되며 미끄럼 방지제 및 반사체가 살포된 상부면에 뜨거운 공기를 불어 넣어 경화속도를 빠르게 진행토록 하는 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도로면에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되, 빠른 시간내에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10분 이내에 차량의 소통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아울러 반사체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살포하도록 하고, 블로워를 이용하여 열풍을 불어넣어 줌으로서 미끄럼 방지층의 보다 빠른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로, 미끄럼, 방지

Description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 방법{A Road Layer of Skid Prevent and a Spread Unit and Sprea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통해 도포되는 도포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로의 지면
20: 프라이머 도포층
30: 미끄럼 방지층
40: 반사체층
100: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
200: 반사체 살포부
300: 블로워
400: 컬러인식 센서
500: 제어부
600: 용제 저장통
본 발명은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 미끄럼 방지제를 도포후 블로워를 통해 공기를 제공하여 경화속도를 빠르게 하고, 아울러 시인성 확보를 위해 컬러가 선명한 골재를 도포하되 미끄럼 방지제 상부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면, 특히 급커브길 및 급한 경사를 갖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길에는 통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면이 다수 시공된다.
종래의 미끄럼 방지면은 접착제인 에폭시수지를 도로면에 1차로 도포하고, 그 에폭시 수지의 상부에 모래 또는 규사등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골재를 도포하고, 이 골재를 다수명의 작업자가 삽등을 이용하여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평판 작업이 완료되고 나서 대략 1 - 2일의 시간이 경과하면 미끄럼 방지면의 경화가 완료되어 차량이 통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작업방법은 차량통행이 많은 지역에서 차량 정체로 인하여 미끄럼 방지시설을 기피하는 실정이며, 부득이하게 시공되어야 하는 현장에서는 차량통행이 거의 없는 야간 시간대를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으나, 경화시간이 길게 소요 되어 원할한 차량소통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미끄럼 방지제를 빠르게 경화시키도록 하며, 아울러 컬러가 선명한 골재를 그 위에 도포하여 시인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시공대상 도로의 표면을 청소하는 단계와; 상기 청소된 도로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층 상부에 미끄럼 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미끄럼 방지제가 뿌려진 구역을 컬러인식 센서로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에 의해 미끄럼 방지제 도포구간이 확인되면 미끄럼 방지제 상부에 반사체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체 상부에 열풍을 불어넣어 미끄럼 방지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 방지제는 170도 이상 200도 미만의 온도조건으로 가열된 상태로 도포하며; 작업종료후에는 미끄럼 방지제의 온도가 160도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미끄럼 방지제를 계속 교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통해 도포되는 도포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로서,
본 발명은 도로의 지면(10)에 프라이머 도포층(20)과 미끄럼 방지층(30)과 반사체층(40)을 차례로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장치(1000)로서, 도로의 넓은 면적을 쉽게 미끄럼 방지 공정을 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와, 상기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의 후반부에 장착되며 미끄럼 방지제 살포후 시인성 확보를 위해 컬러 규사를 살포하는 반사체 살포부(200)와, 상기 반사체 살포부(200)의 후반에 장착되며 미끄럼 방지제 및 반사체가 살포된 상부면에 뜨거운 공기를 불어 넣어 경화속도를 빠르게 진행토록 하는 블로워(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바퀴와 손잡이 등 미끄럼 방지제와 반사체를 살포하는 기본적인 구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더이상의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인식 센서(400)를 이용하여 시인성 확보를 위한 컬러규사가 미끄럼 방지제 상부면에 자동으로 살포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의 작동을 제어부(500)에서 인지하고, 아울러 컬러인식 센서(400)에 의해 미끄럼 방지제의 살포를 확인하여 반사체 도포 시점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제어할 수 있고, 아울러 블로워(300)의 작동시간의 시점을 자동으로 지정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컬러인식 센서(400)의 색 구분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컬러 이미지 센서에 의해 입력 이미지는 R,G,B의 256(0-255)단계로 양자화되고, 임의의 색은 양자화된 RGB의 합으로 표현된다. 임의의 색 중 Red, Green, Blue와 모서리 색인 Yellow, Cyan, Magenta의 색은 양자화된 R, G, B 각각의 합으로 충분히 구별가능하다. Red의 경우 256단계로 양자화된 RGB의 값에서 (255,0,0)인 경우로 구분되고, Green의 경우 256단계로 양자화된 RGB의 값에서 (0,255,0)인 경우로 구분되고, Blue의 경우 256단계로 양자화된 RGB의 값에서(0,0,255)인 경우로 구분되고, Yellow의 경우 256단계로 양자화된 RGB의 값에서 (255,255,0)인 경우로 구분되고, Cyan의 경우 256단계로 양자화된 RGB의 값에서 (0,255,255)인 경우로 구분되고, Magenta의 경우 256단계로 양자화된 RGB의 값에서 (255,0,255)인 경우로 구분된다. 실제 입력되는 이미지로부터 RGB의 양자화된 값이 0과 255로서 정확히 구분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오차범위로 ±40을 설정하여도 각 색은 양자화 값이 겹치지 않으므로 충분히 구별 가능하다.
상기에서 만약 광신호를 이용한다면 일반도로는 검은색에 가깝기 때문에 대부분의 광을 흡수하게 되어 반사되어 나온 광의 양이 적을 것이고, 본원 발명이 적용된 미끄럼 방지제는 컬러색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광이 외부로 반사되어 결국 반사되어 나온 광의 양이 많을 것이며, 본 발명의 컬러인식장치를 구성하는 수광부에서는 이러한 반사된 광의 차이를 이용하여 광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미끄럼 방지제 를 도포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현재 광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단순히 도로를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용제 저장통(600)을 이용하여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200도 가까이 가열한다.
그리고, 어느정도 교반이 완료되면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에 이송시키고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에서 가열온도를 유지하면서 도로에 미끄럼 방지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 용제 저장통(600)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의 보일러 장치를 통해 충분히 가열하여 용제가 빠른시간내에 원하는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는 상기 용제 저장통(600)으로부터 소량의 미끄럼 방지제를 넘겨받아 수동조작에 의해 도로면에 살포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는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가스통(700)을 항시 탑재하며, 상기 가스통(70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를 가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제 살포부(100)를 움직일때 반사체가 자동으로 살포되도록 하였는바, 반사체 살포부(100)의 하단에 컬러인식 센서(400)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색변환되는것을 인식하게 되고, 인식이 완료되면 반사체 살포부(100)로부터 반사체를 도로면에 살포하여 시인성을 극대화시킨다.
즉,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제는 붉은 색과 같이 컬러풀한 색으로 이루어져 어느정도 시인성이 확보되나 보다 강력한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끄 럼 방지제 상부에 반사체를 더 살포하도록 하며, 상기 반사체 살포부는 컬러인식 센서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미끄럼 방지제에 정확하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로워(300)를 반사체 살포부(300) 전면에 배치하였는바, 이는 미끄럼 방지제를 보다 빠르게 경화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며, 미끄럼 방지제와 반사체 살포가 이루어진 다음에 불로워(300)를 이용하여 빠르게 경화시키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소통이 빠른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미끄럼 방지제 살포장치에 제어부(500)를 구비토록 하여, 컬러인식 센서(400)를 인지하여 미끄럼 방지제 상부로 반사체를 자동으로 살포하도록 하며, 아울러 반사체가 살포된 다음에 불로워(300)가 작동하여 미끄럼 방지제에 일정한 풍력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빠른 경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원발명의 구성요소와 동작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층(30) 특수 폴리머와, 미끄럼 방지용 입자와, 세라믹과, 무기 파우더로 이루어지며, 미끄럼 방지제 살포가 필요한 버스전용차로나 학교 안전구역 부분에 뿌려진다.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층(30)은 도로 표면에 제품을 용융 도포하여 미끄럼 저항성을 주는 공법으로 미끄럼 방지용 입자를 별도로 살포하지는 않고, 시인성 확보를 위해 규사를 살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층(30)은 1회 시공으로 모든 공정이 완성되며, 경화시간은 5분이내이고, 차량의 소통이 가능한 시간은 10분 이내이다. 그리고, 도장조건 은 이슬점 온도보다 3도 이상, 또는 도장 노면 온도보다 5도 이상이다.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제를 살포하기 전에 콘크리트 표면의 경우 먼지, 수분, 흙 및 레이턴스 등이 제거된 청결 건조한 면을 만들어야 한다. 참고로 아스콘 표면은 충분히 양생(20도에서 20일 이상)되어야 하며, 표면의 먼지, 모래, 유분(기름등), 돌출부위, 강도가 약한 부위 등이 완전히 제거된 청결 건조한 표면을 이루어야 한다.
즉, 이러한 공정을 표면처리 공정으로 약칭하는바, 아스콘 소지는 충분히 양생되어야 하며, 양생기간동안 아스콘 소지에 함유된 유분기는 7회(일) 이상 물을 뿌려서 씻어내고 완전히 건조시키도록 하여야 하며, 아스콘 소지표면의 먼지, 모래, 유분, 돌출부위, 강도가 약한 부위는 완전히 제거하고 고압 물청소후 고압공기로 불어 내거나 빗자루로 깨끗이 쓸어내고 2일이상 건조시켜야 한다.
이러한 표면처리 공정이 마무리 되면 하도 프라이머 도장 공정을 실시하는바, 비가 온후 또는 안개나 서리가 있을 경우 이때 발생하는 수분은 수포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고 먼지 등 오염물질은 접착제의 접착력을 저하시켜 도막의 박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한 후에 하도 도장을 실시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해 시공면이 깨끗해지면 초벌용 프라이머(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용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한다. 이때, 초벌용 프라이머는 30분 - 12시간 이내에 사용되어져야 하는바, 이는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오염될 가능성이 높으며 오염되면 부착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어 재도장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하도작업이 마무리되면 상조 도장을 실시하는바, 상도도장에 사 용되는 재료를 혼합한 뒤 가열하며, 가열 온도는 170도 이상 200도 미만이다.
상기와 같이 온도범위를 책정한 이유는 170도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히 용해 및 교반되지 않아서 접착성 불량 또는 내마모성 불량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며, 마찬가지로 습도가 85% 이상이거나 온도가 5도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또한, 200도 이상일 경우에는 안료가 변하여 제품이 변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이 마무리된 후 가스를 끄고 용해조 안의 제품 온도가 160도 이하로 떨어질때 까지 계속교반해 주어야 하는바, 이는 교반기를 동시에 정지시킬 경우 제품이 냉각되는 동안 규사, 안료 등의 침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향후 재사용시 침전물이 타서 찌꺼기로 변하는 일명 누룽지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미끄럼 방지층(30) 작업이 완료되면 동시에 반사체층(40) 형성작업을 실시하여 미끄럼 방지와 동시에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면에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되, 빠른 시간내에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10분 이내에 차량의 소통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아울러 반사체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살포하도록 하고, 블로워를 이용하여 열풍을 불어넣어 줌으로서 미끄럼 방지층의 보다 빠른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시공대상 도로의 표면을 청소하는 단계와;
    상기 청소된 도로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 도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층 상부에 미끄럼 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미끄럼 방지제가 뿌려진 구역을 컬러인식 센서로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에 의해 미끄럼 방지제 도포구간이 확인되면 미끄럼 방지제 상부에 반사체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체 상부에 열풍을 불어넣어 미끄럼 방지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 방지제는 170도 이상 200도 미만의 온도조건으로 가열된 상태로 도포하며;
    작업종료후에는 미끄럼 방지제의 온도가 160도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미끄럼 방지제를 계속 교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60035792A 2006-04-20 2006-04-20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 방법 KR10076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92A KR100762932B1 (ko) 2006-04-20 2006-04-20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92A KR100762932B1 (ko) 2006-04-20 2006-04-20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739U Division KR200423508Y1 (ko) 2006-04-21 2006-04-21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932B1 true KR100762932B1 (ko) 2007-10-08

Family

ID=3941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792A KR100762932B1 (ko) 2006-04-20 2006-04-20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97B1 (ko) 2009-04-14 2009-11-24 주식회사 예승종합기술공사 고화재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용토 노체 시공방법
KR20220057509A (ko) * 2019-04-09 2022-05-09 정찬홍 옐로카펫에 적용되는 싸인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614A (ja) * 1991-12-09 1993-06-22 Hitachi Chem Co Ltd 溶融用路面標示材の施工方法及び施工装置ならびに該方法によって作成した路面標示線
KR19980058162U (ko) * 1997-02-19 1998-10-26 김창욱 미끄럼 방지시설
JP2001271309A (ja) * 2000-03-24 2001-10-05 Nichireki Co Ltd 散布式表面処理作業車
KR100316083B1 (ko) * 1998-12-22 2002-02-19 한정국 미끄럼방지도로의시공방법
KR200288099Y1 (ko) * 2002-05-28 2002-09-05 지유진 차선도색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614A (ja) * 1991-12-09 1993-06-22 Hitachi Chem Co Ltd 溶融用路面標示材の施工方法及び施工装置ならびに該方法によって作成した路面標示線
KR19980058162U (ko) * 1997-02-19 1998-10-26 김창욱 미끄럼 방지시설
KR100316083B1 (ko) * 1998-12-22 2002-02-19 한정국 미끄럼방지도로의시공방법
JP2001271309A (ja) * 2000-03-24 2001-10-05 Nichireki Co Ltd 散布式表面処理作業車
KR200288099Y1 (ko) * 2002-05-28 2002-09-05 지유진 차선도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97B1 (ko) 2009-04-14 2009-11-24 주식회사 예승종합기술공사 고화재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용토 노체 시공방법
KR20220057509A (ko) * 2019-04-09 2022-05-09 정찬홍 옐로카펫에 적용되는 싸인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503864B1 (ko) * 2019-04-09 2023-02-28 정찬홍 옐로카펫에 적용되는 싸인블록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8739B2 (ja) 速乾性多成分水性コーティングを製造する方法
CN110735371B (zh) 一种耐候性彩色树脂罩面及其制备方法
CN100445303C (zh) 环境友好的100%固体光化辐射可固化的涂料组合物、被涂表面、被涂制品及其制备方法和装配体
CN106833203A (zh) 一种冷涂快干型彩色路面防滑涂料
DK165340C (da) Fremgangsmaade og koeretoej til tilvejebringelse eller fornyelse af en horisontal markering paa veje
KR100713563B1 (ko) 미끄럼 방지 노면 시공방법
KR200423508Y1 (ko)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장치
US6624232B2 (en) Pavement seal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MY132809A (en) Coating method and coating composition used therein
KR100760584B1 (ko) 차량을 이용한 초속경 도로 미끄럼 방지제 도포장치 및방법
KR100762932B1 (ko) 융착식 도로면 미끄럼 방지층 도포 방법
CN106320139A (zh) 一种水性丙烯酸树脂塑胶跑道的施工方法
KR100780574B1 (ko) 미끄럼 방지용 도로 포장방법과 포장도로
KR200420495Y1 (ko) 차량을 이용한 초속경 도로 미끄럼 방지제 도포장치
WO1997022757A1 (en) A method for applying markings and signs on a surface
KR200414451Y1 (ko) 노면 미끄럼방지층 구조
KR100725759B1 (ko) 미끄럼 방지용 저감재 조성물
KR20030075838A (ko) 포장도로의 도장공법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CN107151959A (zh) 一种训练学校场地路面施工工艺
JP2007327328A (ja) 太陽熱遮断性舗装体
KR20060124129A (ko) 미끄럼방지설비 및 그 시공 방법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100193336B1 (ko) 도로 표지선의 난-슬립 시공 방법
KR100827004B1 (ko) 도로 유색 라이닝 박피포장 공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