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801B1 -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801B1
KR100762801B1 KR1020060064068A KR20060064068A KR100762801B1 KR 100762801 B1 KR100762801 B1 KR 100762801B1 KR 1020060064068 A KR1020060064068 A KR 1020060064068A KR 20060064068 A KR20060064068 A KR 20060064068A KR 100762801 B1 KR100762801 B1 KR 10076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dots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edetermin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유림
강재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1Dividing a job according to job requirements, e.g. black/white and colour pages, covers and body of books, ta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화상처리장치는, 양면인쇄 기능을 가지는 인쇄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인쇄데이터의 도트수가 소정치 이하이면 양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이면 단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인쇄 출력물의 품질 저하 가능성을 고려하여 양면인쇄와 단면인쇄 기능을 자동적 또는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상처리장치 110 : 표시부
120 : 사용자 선택부 130 : 통신부
140 : 데이터 처리부 150 : UI생성부
160 : 제어부 200 : 인쇄장치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출력물의 품질 저하 가능성을 고려하여 양면인쇄와 단면인쇄 기능을 자동적 또는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처리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쇄를 원하는 텍스트, 그림, 사진 등의 화상에 대하여 프린터, 복합기 등의 인쇄장치를 통하여 인쇄 가능하도록 소정의 데이터처리를 수행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처리장치는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장치에 전송하고, 인쇄장치는 이에 기초하여 용지나 필름 등의 인쇄매체 상에 인쇄를 수행한다.
인쇄를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는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 중 하나인 양면인쇄 기능은,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의 절약 등의 목적을 위해 인쇄매체의 양면에 인쇄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다. 양면인쇄 기능은 자동 양면인쇄 기능과 수동 양면인쇄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동 양면인쇄 기능은 인쇄매체 앞면의 인쇄가 완료되면, 인쇄장치가 자동으로 인쇄매체를 이송하여 뒤집은 후 인쇄매체의 뒷면에 인쇄를 수행함으로써 양면인쇄를 하는 것이고, 수동 양면인쇄 기능은 앞면의 인쇄가 완료되어 인쇄매체가 인쇄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면, 인쇄면의 뒷면이 인쇄될 수 잇도록 사용자가 인쇄매체를 뒤집은 후 다시 인쇄장치에 장착함으로써 양면인쇄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동 양면인쇄 기능을 설정하면, 기능을 해제하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양면인쇄를 수행하기 된다.
그러나, 잉크를 이용한 습식 인쇄장치를 이용한 인쇄 시, 인쇄데이터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될 도트수가 많은 경우, 앞면에 분사된 잉크가 마르기 전에 뒷면에 화상을 형성하게 되어 앞면에 인쇄된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앞면의 인쇄에 사용된 잉크가 마르지 않은 상태로 뒷면의 인쇄가 진행되어 인쇄장치의 이송롤러, 픽업(pick-up)롤러 등의 내부 부품에 잉크가 묻어 뒷면에 인쇄된 화상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또한, 양면인쇄를 선호하는 사용자에게는 단면인쇄를 수행하는 중에도 양면인쇄 수행 시의 출력 결과물의 품질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양면인쇄로 전환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 출력물의 품질 저하 가능성을 고려하여 양면인쇄와 단면인쇄 기능을 자동적 또는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양면인쇄 기능을 가지는 인쇄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인쇄데이터의 도트수가 소정치 이하이면 양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이면 단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도트수의 평가는 페이지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양면인쇄 또는 단면인쇄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양면인쇄 기능 설정 중,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이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하여 단면 인 쇄의 수행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단면인쇄 기능 설정 중,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하여 양면 인쇄의 수행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양면인쇄 기능을 가지는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인쇄데이터의 도트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하이면 양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이면 단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화상처리장치(100)는 프린터, 복합기 등의 인쇄장치(200)와 연결되어, 용지, 필름 등의 기록매체 상에 인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인쇄장치(200)에 텍스트, 그림, 사진 등의 화상데이터를 제공한다.
인쇄장치(200)는 양면인쇄 기능을 가지며, 화상처리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양면인쇄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 가능하고, 이에 따라 양면 인쇄 또는 단면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100)는 컴퓨터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장치(200)는 양면인쇄 기능 설정 상태인 것을 일예로 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장치(100)는 표시부(110), 사용자 선택부(120), 통신부(130), 데이터 처리부(140), UI생성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UI생성부(150)가 생성한, 양면인쇄 기능이 설정된 상태이며, 현재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데이터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될 화상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UI창을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선택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를 입력받아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사용자 선택부(120)는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사용자 선택부(120)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한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화상처리장치(100) 및 인쇄장치(200)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인쇄데이터를 인쇄장치(200)가 인쇄 가능한 형태로 처리한다.
UI생성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쇄데이터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될 화상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고,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UI창을 생성한다.
제어부(160)는 표시부(110), 사용자 선택부(120), 통신부(130), 데이터 처리부(140) 및 UI생성부(150)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 지시가 있으면, 인쇄데이터를 인쇄장치(200)가 인쇄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40)를 제어한다. 제어 부(160)는 현재 인쇄장치(200)가 양면인쇄 기능 설정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인쇄장치(200)가 양면인쇄 기능 설정 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처리된 인쇄데이터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될 도트수를 카운트한다. 제어부(160)는 카운트된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트수의 평가는 페이지 단위로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 인쇄 잡(job)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이라면, 사용자에게 인쇄데이터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될 화상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고,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UI창을 생성하도록 UI생성부(150)를 제어하고, 생성된 UI창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도트수에 대응되는 커버리지(coverage)가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고, 예컨대, 카운트된 도트수에 대응하는 커버리지가 50% 이상이 되는 도트수를 기준값으로 잡을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이 되는 도트수는 인쇄장치(200)의 사양, 또는 사용자 및 개발자의 선호도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선택부(1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양면인쇄 기능 해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하도록 인쇄장치(200)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를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인쇄장치(200)의 양면인쇄 기능 설정을 유지시킨다. 제어부(160)는 데이터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인쇄데이터를 인쇄장치(200)로 전송하고, 인쇄장치(200)가 양면인쇄 기능 설정 여부에 기초하여 인쇄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CPU 등의 범용 프로세서에 적합하도록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 되고, 소정의 메인메모리(예컨대, RAM)에 로딩되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처리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인쇄 지시가 있으면(S10), 인쇄데이터를 인쇄장치(200)가 인쇄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도록 데이터 처리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현재 인쇄장치(200)가 양면인쇄 기능 설정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S12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인쇄장치(200)가 양면인쇄 기능 설정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인쇄장치(200)로 데이터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인쇄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에 기초한 단면인쇄를 수행하도록 한다(S22). S12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인쇄장치(200)가 양면인쇄 기능 설정 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처리된 인쇄데이터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될 도트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S14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도트수가 소정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 인쇄장치(200)로 데이터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인쇄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에 기초한 양면인쇄를 수행하도록 한다(S16). S14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인쇄데이터에 의해 인쇄매체에 형성될 화상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고,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UI창을 생성하도록 UI생성부(150)를 제어하고, 생성된 UI창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S18).
제어부(160)는 사용자 선택부(1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양면인쇄 기능 해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S20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양면인쇄 기능 해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하도록 인쇄장치(200)를 제어하고, 인쇄장치(200)로 데이터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인쇄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에 기초한 단면인쇄를 수행하도록 한다(S22).
S20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양면인쇄 기능을 해제를 선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인쇄장치(200)의 양면인쇄 기능 설정을 유지시키고, 인쇄장치(200)로 데이터 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인쇄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에 기초한 양면인쇄를 수행하도록 한다(S16).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장치(200)가 양면인쇄 기능 설정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인쇄장치(200)가 양면인쇄 기능 해제 상태인 경우, 인쇄데이터의 도트수가 소정치 미만이면, 인쇄매체에 형성될 화상의 품질 저하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로부터 양면인쇄 기능의 설정 여부를 선택받아 이에 기초한 양면인쇄 또는 단면인쇄를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인쇄 출력물의 품질 저하 가능성을 고려하여 양면인쇄와 단면인쇄 기능을 자동적 또는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출력물의 품질 저하 가능성을 고려하여 양면인쇄와 단면인쇄 기능을 자동적 또는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양면인쇄 기능을 가지는 인쇄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인쇄데이터의 도트수가 소정치 이하이면 양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이면 단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수의 평가는 페이지 단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양면인쇄 또는 단면인쇄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양면인쇄 기능 설정 중,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이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하여 단면 인쇄의 수행 여부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면인쇄 기능 설정 중,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부를 통하여 양면 인쇄의 수행 여부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5. 양면인쇄 기능을 가지는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인쇄데이터의 도트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하이면 양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도트수가 소정치 이상이면 단면 인쇄를 수행하도록 상기 인쇄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060064068A 2006-07-07 2006-07-07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6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068A KR100762801B1 (ko) 2006-07-07 2006-07-07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068A KR100762801B1 (ko) 2006-07-07 2006-07-07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801B1 true KR100762801B1 (ko) 2007-10-02

Family

ID=3941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068A KR100762801B1 (ko) 2006-07-07 2006-07-07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8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682A (ko) * 2002-11-27 2004-06-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잉크 제트 인쇄 방법 및 잉크 제트 인쇄 장치
KR20050000742A (ko) * 2003-06-24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기기의 양면 인쇄방법
KR20050054092A (ko) * 2003-12-03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
KR20050066576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프린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682A (ko) * 2002-11-27 2004-06-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잉크 제트 인쇄 방법 및 잉크 제트 인쇄 장치
KR20050000742A (ko) * 2003-06-24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팅기기의 양면 인쇄방법
KR20050054092A (ko) * 2003-12-03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
KR20050066576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프린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4276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200625110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171830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US7755789B2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to conserve developer
KR100762801B1 (ko)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70964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3256123A (ja)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46016A (ja) 印刷システム、プリンタードライバー、及びコピー機
JP2006039599A (ja) 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リンタ、並びにこれら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H09267537A (ja) 出力制御装置と出力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6690353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63612B2 (ja) 印刷装置
JP748236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84793A (ja)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ドライバ
JP2009066796A (ja) 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2099179A (ja) 画像形成装置
JP7040118B2 (ja) 印刷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5328501B2 (ja)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46874A (ja) 画像形成装置
JP7284577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7564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401393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7969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31187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22073555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