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126B1 -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126B1
KR100762126B1 KR1020010038126A KR20010038126A KR100762126B1 KR 100762126 B1 KR100762126 B1 KR 100762126B1 KR 1020010038126 A KR1020010038126 A KR 1020010038126A KR 20010038126 A KR20010038126 A KR 20010038126A KR 100762126 B1 KR100762126 B1 KR 100762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earview mirror
insert
mirror body
exterior rear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076A (ko
Inventor
플로린 제카누
Original Assignee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라이터 운트 쉐페나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1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고정되는 하나의 거울다리와, 상기 거울다리를 중심으로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고, 내부에 거울유리가 장착되어 있는 하나의 거울본체와, 상기 거울다리를 통하여 거울본체 내에 장치된 최소 1개의 전기기기로 연결되는 최소 1개의 전선을 포함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용 외부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선은 상기 거울다리(2) 내에 장착된 최소 1개의 전선부품과, 상기 거울본체(3) 내에 장착된 최소 1개의 전선부품으로 구성된 전선부분(11, 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부분(11, 12)들은 삽입부(8, 9)들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있고, 이때, 상기 삽입부(8, 9)들은 거울본체(3)가 젖혀질 때 서로 분리되며, 거울본체(3)가 복귀 선회할 때 자동적으로 서로 다시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Description

자동차용 외부백미러{EXTERNAL REAR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도 1은 거울본체의 사용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거울본체와 거울다리로 이루어진 외부백미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울본체의 젖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거울본체와 거울다리 사이에 2개의 삽입부로 장치된 전기선의 삽입결합부를 보여주는 확대 약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3에 따른 삽입결합부의 양쪽 삽입부들이 서로 각각 상이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축소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삽입부의 접촉편과 접촉핀을 보여주는 약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화살표방향(P) 외부백미러(1)
거울다리(2) 거울본체(3)
중간연동장치(4) 선회축(5)
선회축(6) 플러그 커넥터(7)
삽입부(8) 삽입부(플러그 소켓)(9)
전선부분(11, 12) 플러그 핀(13 내지 16)
플러그 핀 삽입부(17 내지 20) 접촉편(20', 20")
지지판(22) 케이스(23)
칼라(25) 접촉부(협착부)(37, 38)
전연부(前緣部)(40) 선회축(41)
전면부(42)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대개념에 따른 차량용, 특히 자동차용 외부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공지된 동종의 외부백미러에 있어서, 거울본체를 사용위치로부터 파킹위치로 차량 진행방향에서 뒤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거울본체는 또한 차량진행방향(이하 "진행방향"이라 칭함)으로 충격작용을 받을 때, 거울다리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와 같은 젖힘 운동을 할 때 거울본체 내에서 거울유리의 가열 또는 거울유리 조정용 전기구동장치와 같은 전기장치와 연결된 전선들도 또한 상응하는 운동을 함께 수행해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울다리를 중심으로 거울본체를 선회할 때, 외부백미러 내의 전기선들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거울본체를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동종류의 외부백미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거울본체가 거울다리를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할 때, 본 발명에 따라, 전선부분들 사이에 서로 삽탈식(揷脫式)으로 결합되는 접속부품의 구조 때문에, 거울본체와 거울다리 사이에서 선회운동을 방해할 도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삽탈식 접속부품들은 그 대신 거울본체가 선회운동을 할 때 서로 분리되며, 다시 사용위치로 복귀선회 할 때 자동적으로 서로 삽입 결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도선의 연결이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종속청구범위들과, 명세서 및 도면에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거울다리(2)와 거울본체(3)로 구성된 외부백미러(1)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거울본체(3) 안에는 거울유리(도시되지 않았음)가 장착되어 조절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외부백미러(1)는 거울다리(2)를 통하여 자동차(도시하지 않았음)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거울다리(2)에는 중간연동장치(4)가 선회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연동장치(4)는 양쪽 단부에 장착된 2개의 선회축(5, 6)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거울본체(3)가 젖혀지거나, 충격을 받아 선회할 때, 상기 선회축(5, 6)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거울본체(3)가 도 1에 도시한 사용위치로부터 진행방향(F)에 반대로 뒤쪽으로 파킹 위치로 선회될 때, 상기 거울본체(3)는 중간연동장치(4)의 선회축(5)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상기 거울본체(3)는 또한 진행방향(F)을 따라 앞쪽으로 도 2에 도시한 위치로 선회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거울본체(3)는 상기 중간연동장치(4)의 맞은편 선회축(6)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울본체(3)가 선회운동을 할 때 상기 거울본체(3)는 공지된 방법으로 맞은편 선회축(5)이 중간연동장치(4)로부터 해제(解除)된다.
상기 외부백미러(1)의 거울본체(3) 안에는 거울유리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도시하지 않았음)가 장치되어 있다. 그밖에 상기 거울본체(3) 내에는 기타 거울유리 가열기, 전기장치, 발광장치 등과 같은 전기장치가 장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장치들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거울다리(2)를 통하여 거울본체(3) 안으로 전기선(11, 12)을 연결한다.
상기 거울본체(3)가 젖혀지거나 또는 선회할 때, 상기 전기선(11, 12)들이 동시에 움직이고, 이때 거울본체(3)의 선회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선은 2개의 전선부분(11, 12)(도 3)으로 이루어져서, 그 하나는 거울다리(2) 속에, 다른 하나는 거울본체(3) 안에 장치되어 있다. 상기 전선부분(11, 12)들은 플러그 커넥터(7)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7)는 2개의 삽입부(8, 9)들로 이루어지며, 그 하나는 상기 중간연동장치(4)에 제한적으로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거울다리(2) 맞은편에 거울본체(3)의 전면(10)에 고정되어 장치된다.
상기 중간연동장치(4)에 지지되어 선회할 수 있게 장치된 삽입부(9)는 플러그 소켓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거울본체(3)가 도 1 에 도시된 사용위치로 선회하면, 거울본체(3)의 삽입부(8)가 상기 삽입부(9) 속으로 삽입된다.
상기 플러그 소켓(9)은 지지판(22)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지지판(22)에 플러그 핀(13 내지 16)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핀(13 내지 16)들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7)가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부(8)의 플러그 핀 삽입부(17 내지 20) 속으로 결합된다. 도 9에 도시된 플러그 핀(16)에는 칼라(collar)(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플러그 핀(16)이 상기 칼라(25)에 의하여 지지판(22)에 고정된다. 전체 플러그 핀(13 내지 16)들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9)의 케이스(23)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핀 삽입부(17 내지 20)들은 서로 동일하게 머리핀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서 플러그 핀 삽입부(20)의 단부 근처에서 양쪽의 접촉편(接觸片)(20', 20")에 안으로 향하여 v자형으로 돌출한 접촉부(37, 38)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7)가 결합되면, 상기 접촉부(37, 38)들이 초기응력 하에 상기 플러그 핀(13 내지 16)들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 핀 삽입부(17 내지 20)들은 상기 삽입부(8) 내에 고정된다. 상기 플러그 핀(13 내지 16)들과 플러그 핀 삽입부(17 내지 20)들에는 전선(30 내지 33)들 및 (43 내지 46)들이 연결된다.
상기 거울본체(3)가 사용위치(도 1)에 위치하면, 단면이 바람직하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양쪽 삽입부(8, 9)들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7)를 통하여 거울다리(2) 속에 전기기기들이 전기공급을 받는다. 상기 거울 본체(3)가 진행방향(F)으로 젖혀지면 상기 거울본체(3)는 중간연동장치(4)의 선회축(5)으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선회운동을 할 때 양쪽의 삽입부(8, 9)들이 서로 분리된다. 상기 거울본체(3)가 젖혀질 때, 상기 한쪽의 삽입부(9)는 그 중앙(도 8)에 선회축(6)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거울본체(3)가 젖혀질 때, 양쪽의 삽입부(8, 9)들이 서로 확실하게 해제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7)가 서로 해제된 상태를 도 4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도 4에 삽입부(9)의 선회축(41)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거울본체(3)가 사용위치로 복귀 선회하면, 상기 삽입부(8)는 상기 중간연동장치(4)에 있는 삽입부(9)와 접촉한다. 상기 삽입부(9)는 선회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5에서, 상기 삽입부(9)는 삽입부(8)와 접촉할 때, 선회축(41)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삽입부(8)와 정렬한다. 따라서, 상기 거울본체(3)가 계속 복귀 선회하여 양쪽의 삽입부(8, 9)들이 서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7)가 다시 결합한다.
상기 거울본체(3)가 복귀 선회할 때, 상기 삽입부(8)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선회방향(P)으로 전연부(前緣部)(39)가 상기 삽입부(9)의 전연부(40)와 접촉한다. 그 다음, 상기 삽입부(9)는 선회축(41)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계속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까지 선회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핀(13 내지 16)들이 플러그 핀 삽입부(17 내지 20)들과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8, 9)들은 서로 확실하게 결합된다 (도 7에서 삽입방향 P'). 최종위치에서 상기 삽입부(8)는 상기 삽입부(9) 쪽으로 향한 전면부(42)가 상기 지지판(22)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9)는 상기 선회축(41)을 중심으로 단지 제한적으로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거울본체(3)가 복귀 선회할 때 삽입부(9)가 삽입부(8)와 결합하여 분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부품들 사이에 서로 삽탈식(揷脫式)으로 결합/해제되는 구조 때문에, 거울본체와 거울다리의 선회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삽탈식 접속부품들은 거울본체가 젖혀질 때 서로 분리되며, 다시 사용위치로 복귀선회 할 때 자동적으로 서로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도선의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하다.










Claims (14)

  1. 자동차에 고정되는 하나의 거울다리와, 상기 거울다리를 중심으로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고, 내부에 거울유리가 장착되어 있는 하나의 거울본체와, 상기 거울다리를 통하여 거울본체 내에 장치된 최소 1개의 전기기기로 연결되는 최소 1개의 전선을 포함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용 외부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상기 거울다리(2) 내에 장착된 최소 1개의 전선부품과, 상기 거울본체(3) 내에 장착된 최소 1개의 전선부품으로 구성된 전선부분(11, 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선부분(11, 12)들은 삽입부(8, 9)들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있으며, 이때, 상기 삽입부(8, 9)들은 거울본체(3)가 젖혀질 때 서로 분리되며, 거울본체(3)가 복귀 선회할 때 자동적으로 서로 다시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의 삽입부(8)는 상기 거울다리(2)에 인접된 거울본체(3)의 단부에 장착되고, 다른 쪽 삽입부(9)는 상기 거울다리(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 삽입부(9)는 외부백미러의 중간연동장치(4)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 삽입부(9)는 1개의 플러그 핀 삽입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외부백미러(1)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거울본체(3)의 1개 삽입부(8)가 상기 플러그 핀 삽입부 속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본체(3) 쪽의 삽입부(8)는 최소한 1개,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접촉편(20', 20")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20', 20")은 본질적으로 U-자형 플러그 핀 삽입부(17 내지 20)의 생크(shank)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20', 20")은 자유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에 협착부(狹窄部)(37, 3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37, 38)는 상기 접촉편(20', 20")에 최소 1개,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변형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삽입부(9)는 최소 2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놓여있는 다수의 플러그 핀(13 내지 16)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핀(13 내지 16)들을 하나의 지지판(22)에, 바람직하게는 삽입부(9)의 지지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8, 9) 중 최소 1개는 선회할 수 있게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동장치(4)에 장치된 삽입부(9)는 선회축(41)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선회 가능하게 장치된 상기 삽입부(9)는 상기 거울본체(3)의 젖혀진 위치에서 제한적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삽입부(9)는 중공체(中空體)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KR1020010038126A 2000-07-27 2001-06-29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KR100762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6592A DE10036592A1 (de) 2000-07-27 2000-07-27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DE10036592.2 2000-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076A KR20020010076A (ko) 2002-02-02
KR100762126B1 true KR100762126B1 (ko) 2007-10-01

Family

ID=765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126A KR100762126B1 (ko) 2000-07-27 2001-06-29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33424B2 (ko)
EP (1) EP1176055A1 (ko)
KR (1) KR100762126B1 (ko)
DE (1) DE10036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2935B1 (en) 2005-03-28 2013-05-29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etal-like laminated films
ATE539916T1 (de) 2009-11-26 2012-01-15 Smr Patents Sarl Rückspiegeleinheit mit elektrischer teileinhe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6792A1 (de) * 1981-02-24 1982-09-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Elektrisch verstellbarer aussenrueckblickspiegel an kraftfahrzeugtueren
US4877319A (en) * 1987-04-23 1989-10-31 Mittelhaeuser Bernhard External mirror for a vehicle
US4973147A (en) * 1989-03-23 1990-11-27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Holding device for a connector associated with an electrically controlled automotive mirror
DE29915605U1 (de) * 1999-09-07 1999-12-23 Hohe Gmbh & Co Kg Außenrückspiegel mit elektrischer Steckverbind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822Y2 (ko) * 1986-11-26 1993-02-16
US5455716A (en) * 1990-08-14 1995-10-03 Prince Corporation Vehicle mirror with electrical accessories
US5889624A (en) * 1996-05-01 1999-03-30 Paccar Inc Plug-in mirror
US6011518A (en) * 1996-07-26 2000-01-04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Vehicle antenna
DE29618937U1 (de) * 1996-10-31 1997-01-02 Em Kunststofftechnik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DE19841551B4 (de) * 1998-09-11 2006-01-05 Donnelly Hohe Gmbh & Co. Kg Elektrischer Rückspiegel
DE19844269B4 (de) * 1998-09-26 2005-04-07 Reitter & Schefenacker Gmbh & Co. K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Außenpiegel für Kraftfahrzeu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6792A1 (de) * 1981-02-24 1982-09-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Elektrisch verstellbarer aussenrueckblickspiegel an kraftfahrzeugtueren
US4877319A (en) * 1987-04-23 1989-10-31 Mittelhaeuser Bernhard External mirror for a vehicle
US4973147A (en) * 1989-03-23 1990-11-27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Holding device for a connector associated with an electrically controlled automotive mirror
DE29915605U1 (de) * 1999-09-07 1999-12-23 Hohe Gmbh & Co Kg Außenrückspiegel mit elektrischer Steckverbi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24750A1 (en) 2002-02-28
EP1176055A1 (de) 2002-01-30
KR20020010076A (ko) 2002-02-02
DE10036592A1 (de) 2002-02-07
US6533424B2 (en) 200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878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KR930001987Y1 (ko) 자동차용 백밀러 방향전환 장치
US6007222A (en) Mod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ES2370407T3 (es) Dispositivo de conexiones eléctricas.
ES2117899T3 (es) Dispositivo de acoplamiento electrico de un motoventilador para un intercambiador de calor de vehiculo automovil.
KR20110089279A (ko) 전기 부품이 제공된 거울 조정 유닛
JPS6080959A (ja) 風防ガラス用ワイパー構造物
US8226064B2 (en) Pivot connecting structure
CA2156564A1 (en) Courtesy light fixture of the rearview mirror
US7244912B1 (en) Vehicular mirror with heater circuit module
EP0889555A3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284488B1 (fr) Faisceau électrique de véhicule automobile
KR100762126B1 (ko)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EP1255076A3 (en) Ceramic heater, glow plug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811530B1 (en) Wiring structure in motorcycle
ES2256634T3 (es) Aparato de conmutacion electrica.
JP2541696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100572898B1 (ko) 차량용 미러
ES2280691T3 (es) Unidad de servicio de techo para su colocacion en el techo interior de un vehiculo.
JPH08185932A (ja) 電気的接続カプラ
JP2634761B2 (ja) 鉄道模型車両
KR19990006660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9990025255U (ko) 자동차용 시트
JPS6298511A (ja) スイツチ
FR2556513A1 (fr) Circuit modulaire d'alimentation de lampes d'eclairage et de signalisation, notamment pour feu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