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682B1 -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 - Google Patents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682B1
KR100760682B1 KR1020057002569A KR20057002569A KR100760682B1 KR 100760682 B1 KR100760682 B1 KR 100760682B1 KR 1020057002569 A KR1020057002569 A KR 1020057002569A KR 20057002569 A KR20057002569 A KR 20057002569A KR 100760682 B1 KR100760682 B1 KR 10076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element
sheet
light
contrast
imag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704A (ko
Inventor
히토무 와타나베
마코토 혼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6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03Inert supplements
    • G03G5/0507In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03Inert supplements
    • G03G5/051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5Coating meth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5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7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non-six-membered 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9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2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n-metal elements other than hydrogen, halogen, oxygen or nitro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96Phthalocyan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4Inert intermediate or cover layers for charge-receiving layers
    • G03G5/147Cover layers
    • G03G5/14708Cover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03G5/14713Macromolecular material
    • G03G5/14747Macromolecular material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5/14769Other polycondensates comprising nitrogen atoms with or without oxygen atoms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관찰측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콘트라스트가 높고, 지향성도 뛰어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는 제1광학요소(1)와, 이 제1광학요소(1)의 관찰측에 배치된 제2광학요소(2)를 갖도록 되어 있다. 제1광학요소(1)는 한쪽 방향으로 또는 평면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3)를 갖는다. 각 리브(3)는 배면측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4)을 전반사시키는 서로 대향하는 한 벌의 전반사면(5)과, 이들 대향하는 전반사면(5)을 출사면에서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평탄면(6)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 각 리브(3) 사이의 V자 모양의 홈에는 광흡수층(7)이 형성되어 있다. 제2광학요소(2)는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광의 광로를 보정해서 영상광을 관찰측에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키는 광로보정층(9)을 갖는다. 광로보정층(9)은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광(4)을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키기 위한 서로 달리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8)을 갖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CONTRAST IMPROVING SHEET AND REAR PROJECTION SCREEN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관찰측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란, 외부광이나 미광 등에 기인한 콘트라스트의 저감을 억제함으로써, 그것이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서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광학요소를 말한다.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서는, 시야각을 적성화함과 더불어 관찰자가 영상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의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광학요소로서 영상광이 입사하는 배면측(영상광원 쪽)에 광확산요소로서 볼록렌즈요소를 배치함과 더불어, 이 볼록렌즈요소를 통과한 영상광이 통과하지 않은 관찰측 비투과부에 광흡수요소를 배치하여, 관찰측에서 입사하는 외부광이 당해 광흡수요소에 의해 흡수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제2광학요소로서, 관찰측에 광확산요소로서 다수의 리브(광을 전반사시 키는 경사면과 그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사출면을 가진 리브)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인접한 리브(rib) 사이의 V자 모양 홈에 광흡수재료를 충전하여, 관찰측에서 입사하는 외부광을 당해 광흡수재료에 의해 흡수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실개소50-121753호 공보 및 특개소 60-15973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제1광학요소에서는, 콘트라스트의 향상에 관해서는 일정한 효과가 얻어지기는 하지만, 당해 광학요소에 수직으로 입사한 평행 광이 광확산요소인 볼록렌즈요소에서 확산되어 출사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지향성이 필요하게 되는 광학요소에는 이용할 수가 없었다. 또, 이 광학요소에서는, 배면측의 볼록렌즈요소와 관찰측의 광흡수부가 1 대 1로 대응해야만 하기 때문에, 렌즈의 피치가 작게 되면 제조가 현저히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제2광학요소에서도, 관찰측에서 출사되는 광이 3방향의 광(리브의 경사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출사면에서 정면방향으로 출사되는 1방향의 광과, 리브의 대향하는 각 경사면에서 전반사된 후에 출사면에서 2개의 특정한 각도로 출사되는 2방향의 광)으로 나뉘어지게 되므로, 이 제2광학요소에서 균일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광이 통과하는 리브 내에 대량의 광확산제가 첨가되어야만 해서 영상의 선명성이 회손되게 됨으로써, 오히려 지향성이 필요한 광학요소에는 쓰일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발명된 것으로,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관찰측 전면에 배치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 콘트라스트가 높고 지향성도 우수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는,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관찰측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 배면측에서 수직 또는 대체로 수직(이하 단지 "대략 수직"이라 함)으로 입사하는 영상광을 입사위치에 불구하고 관찰측에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킴과 더불어, 배면측에서부터 비스듬히 경사지게 입사하는 미광(迷光) 및 관찰측에서부터 입사되는 외광을 흡수하는 광학요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1)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의 배면측에서부터 대략 수직으로 입사되는 영상광(4)이 대략 수직(입상광에 대해 평행)으로 관찰측으로 출사된다. 또, (2)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의 관찰측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입사한 외부광(41)이 흡수되거나 또는 배면측으로 투과되어 관찰측에 되돌려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3)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의 배면측에서 약 30°이상의 각도로 입사한 미광으로 된 광(42)이 흡수되어 관찰측에 투과되지 않게 된다. 상기 (1) ~ (3)의 3가지 작용에 의해, 배면측에서 입사된 영상광을 손실이 일어나지 않고 높은 지향성으로 관찰측에 투과시킴과 더불어, 미광이나 외부광을 흡수할 수가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종래부터 채용되고 있는 렌티큐러 렌즈시트 등과 달리, 영상광을 거의 확산시키지 않아 높은 지향성을 갖고 관찰측으로 투과시키게 되므로, 지향성을 가진 광학요소나 결상계(結像系)의 광학요소 등에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부터 채용되고 있는 렌티큐러 렌즈시트(43)에서는, 배면측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4) 및 배면측에서 약 30°이상의 각도로 입사한 미광으로 되는 광(42)이 확산되어 관찰측으로 출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 상기 광학요소는 한쪽 방향으로 또는 평면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를 가진 제1광학요소로서, 상기 각 리브가 배면측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을 전반사시키는 서로 대향하는 한 벌의 전반사면과, 이들 대향하는 한 벌의 전반사면을 출사면 쪽에서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평탄면을 갖고서, 상기 각 리브 사이에는 광흡수층이 형성된 제1광학요소와, 이 제1광학요소의 관찰측에 적층된 제2광학요소로서,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광의 광로를 보정해서 영상광을 관찰측에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키는 광로보정층을 가진 제2광학요소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광학요소의 상기 광로보정층은,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광을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키기 위한 서로 다르게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 배면측에서부터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 중 제1광학요소의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전반사(全反射)되어 평탄면을 통과한 영상광은, 제2광학요소의 광로보정층(光路補正層)에 포함되는 각 경사면에서 굴절되어 제2광학요소에서 대략 수직으로 출사되게 된다. 또, 배면측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 중 제1광학요소의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평탄면을 통과한 영상광은, 제2광학요소의 광로보정층에 포함되는 각 경사면에서 전반사된 후, 거기에 대향하는 경사면에서 굴절되어 제2광학요소에서 대략 수직으로 출사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광학요소의 광흡수층이 미광 및 외부광을 흡수하고, 또 제2광학요소의 광로보정층에 의해 제1광학요소의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전반사된 영상광의 광로를 보정해서 영상광을 관찰측에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키고, 또 제1광학요소의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평탄면을 통과한 영상광도 관찰측에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키기 때문에, 영상의 불선명성의 문제 등을 생기지 않게 하여, 콘트라스트의 향상 및 높은 지향성의 실현을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 상기 제2광학요소의 상기 광로보정층에 포함되는 상기 각 경사면은, 배면측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 중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평탄면을 통과한 후 당해 각 경사면에서 전반사됨과 더불어 거기에 대향하는 경사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과, 상기 영상광 중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전반사되어 평탄면을 통과한 후에 당해 각 경사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이, 대략 평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리브를 형성하는 재료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투명한 재료 중에 광흡수성 입자를 함유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리브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굴절률이 낮은 착색된 재료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의 구성으로 된 광흡수층이 관찰측에서 입사하는 외부광 뿐만 아니라, 배면측에서 약 30°이상의 각도로 입사하는 미광을 제1광학요소의 전반사면에서 전반사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 의하면, 상기 제2광학요소의 상기 광로보정층의 상기 각 경사면의 경사각(제2광학요소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각도)을 θ2 , 상기 광로보정층 중 상기 각 경사면을 경계로 해서 상기 제1광학요소측에 위치한 부분의 재료의 굴절률을 n2 , 상기 광로보정층 중 상기 각 경사면을 경계로 해서 상기 제1광학요소의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의 재료의 굴절률을 n3 로 하였을 때, n3/n2 = cos(3θ2 )/cosθ2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배면측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여 제1광학요소의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평탄면을 통과한 영상광을 보다 확실하게 관찰측에 수직으로(즉 입사광에 대해 평행하도록) 출사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 결과, 높은 지향성을 실현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 의하면,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의 경사각(제1광학요소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각도)을 θ1 ,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리브를 형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을 n1 , 상기 제2광학요소의 상기 광로보정층의 상기 각 경사면의 경사각(제2광학요소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각도)을 θ2 , 상기 광로보정층 중 상기 각 경사면을 경계로 해서 상기 제1광학요소측에 위치한 부분의 재료의 굴절률을 n2 로 하였을 때, n2·sin(2θ2) = n1·sin(2θ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배면측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해서 제1광학요소의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전반사되어 평탄면을 통과한 영상광을 제2광학요소의 광로보정층의 각 경사면에서 굴절시켜 보다 확실하게 관찰측에 수직으로(즉, 입사광에 대해 평행하도록) 출사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 결과, 높은 지향성을 실현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 상기 제2광학요소를 구성하는 리브는, 상기 제1광학요소를 구성하는 리브가 한쪽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와 평행하도록 한쪽 방향으로 배열되고, 평면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와 평행하도록 평면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스크린은,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에 출사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프레넬 렌즈시트와, 이 프레넬 렌즈시트의 관찰측에 배치된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의하면,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프레넬 렌즈시트와,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조합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높고 지향성에서도 뛰어난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스크린은,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에 출사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프레넬 렌즈시트와, 이 프레넬 렌즈시트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영상광을 확산시키는 렌티큐러 렌즈시트 및, 상기 렌티큐러 렌즈시트의 관찰측에 배치된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원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렌티큐러 렌즈시트가 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야각이 넓은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 상기 렌티큐러 렌즈시트는 그 관찰측에 광흡수층을 갖고 있고, 상기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가 적어도 상기 광흡수층에서 상기 렌티큐러 렌즈시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렌티큐러 렌즈시트의 렌티큐러 렌즈를 짧은 피치로 배열한 경우에도 강성이 뛰어난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면반사형 스크린은,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에 출사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 배면측에서 비스듬히 경사지게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프레넬 렌즈시트로서, 그 배면측에 전반사 프레넬렌즈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관찰측에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가 형성된 프레넬 렌즈시트와, 상기 프레넬 렌즈시트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영상광을 확산시키는 렌티큐러 렌즈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의하면, 배면측에 전반사 프레넬렌즈가 형성된 프레넬 렌즈시트를 가진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 미광이나 미러반사에 의한 이중상 등을 대폭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광의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광선추적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제1광학요소의 리브의 배치형태의 1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제1광학요소의 리브의 배치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제1광학요소와 제2광학요소의 적층형태의 1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제1광학요소와 제2광학요소과의 적층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제1광학요소와 제2광학요소와의 적층형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가진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1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가진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시트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가진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1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가진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의 광선추적도,
도 14는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의 광학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종래의 렌티큐러 렌즈시트의 광학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는,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나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같은 디스프레이 표시장치에 조립되어 쓰이는 것으로, 제1광학요소(1)와 이 제1광학요소(1)의 관찰층에 적층된 제2광학요소(2)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중 제1광학요소(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쪽 방향으로 또는 평면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리브(3)를 갖도록 되어 있다. 각 리브(3)는 배면측(영상광원 쪽)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4)을 전반사(全反射)시키는 서로 대향하는 한 벌의 전반사면(5)과, 이들 대향하는 한 벌의 전반사면(5)을 각 리브(3)의 제2광학요소(2)측 표면(출사면)에서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평탄면(6)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 각 리브(3) 사이의 V자 모양의 홈에는 광흡수재료로 된 V자 모양의 광흡수층(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은 각 리브(3)의 대략 사다리꼴 단면을 구성하는 경사면에 상당하는 것으로, 각 리브(3)와 거기에 대응하는 광흡수층(7)과의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광학요소(1)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브(3)의 능선(12)이 한쪽 방향으로 뻗은 상태에서 리브(3)가 거기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열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외에,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뿔대 모양을 이루는 리브(3)가 종횡으로 다수개 정렬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한편, 제2광학요소(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광학요소(1)의 출사면(즉 리브(3)의 평탄면(6) 및 거기에 인접한 광흡수층(7)의 표면) 상에 배 치되도록 되어 있다. 제2광학요소(2)는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광(4)의 광로를 보정해서 영상광(4)을 관찰측에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키는 광로보정층(9)을 갖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광로보정층(9)은 서로 굴절률의 다른 2종류의 투명한 재료로 된 리브(15, 16)로 형성되어 있는 바, 그 경계면이 단면 삼각형상으로 배열되어 경사면(8)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경사면(8)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바, 즉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광(4)을 굴절시켜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광학요소(2)에서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은,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의 형성에 대응해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리브(3)의 능선(12)이 수평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브(15, 16)도 수평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배열되고, 리브(15, 16)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8)도 리브(3)의 능선(12)과 평행이 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배열된다. 또, 리브(3)의 능선(12)이 수직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브(15, 16)도 수직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배열되고, 리브(15, 16)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8)도 리브(3)의 능선(12)과 평행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배열되게 된다. 그리고, 사각뿔대 모양을 한 리브(3)가 종횡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브(15, 16)도 사각뿔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리브(15, 16)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8)도 리브(3)의 전반사면(5)과 대략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한편, 제1광학요소(1)의 리브(3)의 피치(P1)와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경사면(8)의 피치(P2)는, P1/P2 > 3.5,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P1/P2 > 3.5 이고 또 P1/P2 가 비정수(非整數)가 되는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양자의 피치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양자의 피치를 조정함으로써, 양자의 배열주기에 따라 생기는 모아레(moire)가 관찰되기 어렵게 된다
다음에는, 도 2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서의 광의 광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 부호 A의 광은 배면측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서는,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의 경사각(제2광학요소(2)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각도)를 θ2 , 광로보정층(9) 중 각 경사면(8)을 경계로 해서 제1광학요소(1)측에 위치한 부분(리브(16))의 재료의 굴절률을 n2 , 광로보정층(9) 중 각 경사면(8)을 경계로 해서 제1광학요소(1)의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리브(15))의 재료의 굴절률을 n3 로 하였을 때, 다음 식(1) , 즉
n3/n2 = cos(3θ2)/cosθ2
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관계식에서 알 수 있듯이,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에서는, θ2 30°이면서 또 n3 n2 이다.
따라서, 배면측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는 부호 A의 광은,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에서 반사되지 않고 평탄면(6)을 통과한 후에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에서 전반사된 후, 거기에 대향하는 경사면에서 굴절되어 제2광학요소(2)에서 수직으로(즉, 입사광과 평행하도록) 출사된다
부호 B의 광도 부호 A의 광과 마찬가지로 배면측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서는,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의 경사각(제1광학요소(1)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각도)을 θ1 , 제1광학요소(1)의 리브(3)를 형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을 n1,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의 경사각(제2광학요소(2)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란 각도)을 θ2 , 광로보정층(9) 중 각 경사면(8)을 경계로 해서 제1광학요소(1)측에 위치한 부분(리브(16))의 재료의 굴절률을 n2 로 하였을 때, 다음 식(2) , 즉
n2 ·sin(2θ2) = n1 ·sin(2θ1)
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면측에서 수직으로 입사되는 부호 B의 광은,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에서 전반사되어 평탄면(6)을 통과한 후에,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에서 굴절되어 제2광학요소(2)에서 수직으로(즉 입사광과 평행하도록) 출사된다. 한편 이때, 제2광학요소(2)에서 출사되는 부호 A 및 부호 B의 광은 서로 평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학식 1 및 상기 수학식 2를 함께 만족시키기 위한 1가지 해법으로는, θ1 = θ2 및 n1 = n2 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학식 2가 무의미해지도록 하고, 상기 수학식 1의 조건만 만족시키도록 굴절률 n2 와 굴절률 n3 의 비를 선택하여도 좋다. 또, 각 재료의 굴절률 n1, n2, n3 와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의 경사각 θ2 의 관계를, 상기 수학식 1 및/또는 상기 수학식 2에서 근소하게 차이가 나게 함으로써, 제2광학요소(2)에서 출사하는 부호 A의 광과 부호 B의 광을 비평행하게 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 약한 확산효과를 갖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제1광학요소(1)에서는, 광흡수층(7)을 형성하는 재료(투명한 수지)의 굴절률 n4가 리브(3)를 형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n1에 비해 낮고, 또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의 경사각 θ1 , 리브(3)를 형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n1 및 광흡수층(7)을 형성하는 재료의 굴절률 n4가, 다음 식(3) , 즉
θ1 = cos-1(n4/n1) - sin-1(1/2 ·n1)
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면측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는 부호 A 및 부호 B의 광은,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와 그에 대응하는 각 광흡수층(7)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한 전반사면(5)에서 전반사하게 된다.
한편, 배면측에서 약 30°의 입사각도(θ3)로 비스듬히 입사하는 부호 C의 광은,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와 그에 대응하는 각 광흡수층(7)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한 전반사면(5)에서는 전반사되지 않고 광흡수층(7)에 진입해서 흡수된다. 한편, 부호 C의 광은 정규의 광로에서 투과하는 영상광과 출광위치가 다른 광(미광)으로서 주로 이중상의 원인으로 된다.
한편, 광흡수층(7)을 형성하는 굴절률이 낮은 재료(투명한 수지) 중에는, 광흡수성의 미립자를 분산함유시키거나, 광흡수효과를 가진 염료를 함유시켜 착색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그에 따라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부호 D의 광은 배면측에서 부호 C의 광보다 작은 입사각도(θ4)로 비스듬히 입사하는 영상광이다. 이 부호 D의 광은 부호 B의 광과 마찬가지로, 제1광학요소(1)의 각 리브(3)의 전반사면(5)에서 전반사되어 평탄면(6)을 통과한 후에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에서 굴절되어 입사각도 θ4 의 2배의 각도(출사각도) θ5 로 제2광학요소(2)에서 출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 5°~ 10°정도의 입사각도 θ4 로 확산광을 입사시켜 줌으로써, 관찰측에 출사되는 광의 출사각도 θ5를 약 2배로 넓힐 수 있어, 지향성을 가진 광의 출사각 도를 얼마간 더 확대할 수가 있게 된다.
부호 E의 광은 관찰측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는 외부광이다. 또, 이 부호 E의 광은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에서 굴절되어 제2광학요소(2)와 제1광학요소(1) 사이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제1광학요소(1)의 각 광흡수층(7)에 진입해서 흡수된다. 또, 도시는 되어 있지 않으나, 관찰측에서 예컨대 50°이상의 각도로 입사하는 외부광에 대해서는,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각 경사면(8)에 의해 광로가 시트의 두께방향으로 굽혀지기 때문에,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에서 제1광학요소(1)의 각 광흡수층(7)으로 입사될 때, 앞에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반사되지 않고 진입해서 각 광흡수층(7)에서 흡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서는, 상기 수학식 1~3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구성된 제1광학요소(1)와 제2광학요소(2)를 적층시켰기 때문에, 배면측인 제1광학요소(1)측에서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는 부호 A 및 부호 B의 광(영상광)을 입사위치에 관계없이 관찰측에 대략 수직으로 출사시킬 수가 있게 되고, 또 배면측인 제1광학요소(1) 측에서 비스듬하게 입사하는 부호 C의 광(미광) 및 관찰측인 제2광학요소(2) 측에서 입사하는 부호 E의 광(외부광)을 제1광학요소(1)의 각 광흡수층(7)에서 흡수할 수가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콘트라스트를 향상 시킴과 더불어, 배면측에서 입사한 영상광이 손실되지 않고 높은 지향성으로 관찰측에 투과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는, 배면측에 배치되는 제 1광학요소(1)와 관찰측에 배치되는 제2광학요소(2)를 각각 별개로 형성시켜 놓고서, 양자를 접합시켜줌으로써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그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제1광학요소(1)의 리브(3)의 피치(P1)와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경사면(8)의 피치(P2)가 달라, 양자의 사이에 P1/P2 > 3.5,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P1/P2 > 3.5 이면서 또 P1/P2 가 비정수로 되도록 하는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양자의 피치비가 선택되므로, 양자의 위치맞춤을 실행할 필요가 없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를 쉽게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제1광학요소(1)을 만들 때는 가열프레스법이나 열중합법, 방사선경화법 같은 주지의 방법을 이용한 성형몰드로 복제를 해서 복수의 리브(3)를 형성한 후, 각 리브(3) 사이의 V자 모양 홈에 광흡수재료를 와이핑 등의 방법으로 충전시켜 광흡수층(7)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광학요소(2)를 만들 때에는, 출사면측에 위치한 부분(리브(15)) 또는 입사면측에 위치한 부분(리브(16))의 어느 한쪽을 앞에서 설명한 제1광학요소(1)의 리브(3)를 형성하는 방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형성한 후, 이 형성된 한쪽 부분(리브(15) 또는 리브(16))의 V자 모양 홈에 방사선경화형 수지 등을 충전해서 경화시켜 줌으로써, 다른쪽 부분(리브(16) 또는 리브(15))을 형성한다. 그 때, 출사면측의 부분(리브(15))을 성형몰드로 먼저 형성시켜 놓고서, 출사면측 부분(리브(15))의 V자 모양 홈에 입사면측 부분(리브(16))용 수지를 충전하고, 그 위에다 제1광학요소(1)을 적층한 후, 제2광학요소(2)의 입사면측 부분(리브(16))을 경 화시켜주도록 하여도 좋다. 그에 따라, 제2광학요소(2)를 만드는 과정에서 제1광학요소(1)와 제2광학요소(2)를 접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그 외에도 제1광학요소(1)의 리브(3)나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을 실질적으로 투명한 필름 또는 시트상에 형성한 후, 양자를 접착제층을 매개로 접착하여도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상의 관점에서 제1광학요소(1)의 리브(3)를 형성하는 재료 및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리브(15, 16)를 형성하는 2종류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는 방사선경화형 수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사선경화형 수지로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을 들 수가 있는 바, 예컨대 아크릴계나 에폭시계, 우레탄계 등의 자외선경화형 수지나 전자선경화형 수지 등을 적절히 쓸 수가 있다. 또, 제1광학요소(1)의 리브(3)나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을 지지하는 투명한 필름 또는 시트에 대해서도, 폴리에스텔 필름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일반적인 것을 적절히 쓸 수가 있다.
또, 제1광학요소(1)의 광흡수층(7)은 굴절률이 낮은 투명한 수지 중 광흡수성의 미립자를 분산함유시키거나 광흡수효과를 가진 염료를 함유시켜 착색 하거나 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흡수층(7)의 색으로는 흑색이나 회색 등의 무채색이 바람직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광의 특성에 맞추어 특정한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광흡수성의 미립자로는 카본블랙이나 흑연, 흑색 산화철 등의 금속염 외에, 착색된 유기미립자, 착색된 유리비즈 등을 쓸 수가 있다. 또, 착색용 염료로는 아시드레드(acid red) 등의 키산텐계 유기염료나 칼본산네오디뮴(neodymium carboxylate) 등의 유기산 네오디뮴 등 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광학요소(1)의 리브(3)를 형성하는 재료와,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의 리브(15, 16)를 형성하는 2종류의 재료 및, 제1광학요소(1)의 리브(3)나 제2광학요소(2)의 광로보정층(9)을 지지하는 투명한 필름 또는 시트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는 착색재료를 혼입하여도 좋은 바, 그에 따라 콘트라스트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서는, 제2광학 요소(2)의 관찰측에 자외선 흡수 작용을 가진 자외선 흡수층(필름이나 시트 등을 포함한)을 더 적층시켜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의 가장 관찰측쪽 면에는 하드코팅 층이나 반사방지층, 방현처리층, 대전방지층 등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적층시켜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는,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나 직시형 평면디스플레이(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EL 디스플레이 등)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서, 그 화상형성면인 관찰측 앞면에 배치해서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를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에 쓰게 되는 경우에는, 외부광에 대한 콘트라스트의 향상을 꾀할 수가 있고, 또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 중에 조립된 프레넬렌즈나 배면의 거울에 기인한 고스트(ghost)나 레인보우(rainbow) 등의 화상장해광도 유효하게 흡수하기 때문에 매우 좋은 화상을 얻을 수가 있다.
(배면투사형 스크린)
다음에는, 앞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배면투사형 스크린은 배면투사형 디스플레이 등에서 적절히 쓰이게 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1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면투사형 스크린(2lA)은,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으로 출사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프레넬 렌즈시트(22)와, 이 프레넬 렌즈시트(22)의 관찰측에 배치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를 갖도록 되어 있다. 한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는 앞에서 설명한 제1광학요소(1) 및 제2광학요소(2)에 더해, 그 관찰측에 자외선 흡수층 등의 층(19)을 갖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배면투사형 스크린(21A)에서는, 영상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학요소인 렌티큐러 렌즈시트 등은 쓰이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서는, 배면측에서 입사하는 영상광이 확산광이라면, 그 확산각(도 2의 부호 θ4 참조)을 약 2배로 확대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배면투사형 스크린(21A)에서, 예컨대 프레넬 렌즈시트(22)로부터 나온 출사광에 약 10°의 확산각이 얻어지는 정도의 광확산제를 혼입하면, 배면투사형 스크린(21A) 전체로는 수직방향으로 약 10°, 수평방향으로 약 20°정도의 확산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를 가진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면투사형 스크린(21B)은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편향시킨 프레넬 렌즈시트(22)와, 이 프레넬 렌즈시트(22)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영상광을 확산시키는 렌티큐러 렌즈시트(23) 및, 이 렌티큐러 렌즈시트(23)의 관찰측에 배치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를 가진 3매로 구성된 스크린이다. 한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는 앞에서 설명한 제1광학요소(1) 및 제2광학요소(2)에 더해, 그 관찰측에 자외선흡수층 등의 층(19)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서는, 배면측에서 입사하는 영상광을 약 2배의 확산각으로 확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렌티큐러 렌즈시트(23)에 혼입되어야 할 광확산제의 양을 줄일 수가 있어,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비해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와 렌티큐러 렌즈시트(23)는 접착제층을 매개로 접착시켜도 좋다. 특히, 렌티큐러 렌즈시트(23)가 세밀도가 높고 박판인 경우에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와 렌티큐러 렌즈시트(23)를 렌티큐러 렌즈시트(23)의 관찰측에 형성시킨 광흡수층(23b; 블랙스트라이프) 부분에서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시트로서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배면사형 디스플레이의 영상원이 LCD 나 DLP 같은 단관형(單管型) 광원이고, 배면투사형 스크린(21B)에 조립되는 렌티큐러 렌즈시트의 출사면이 평탄한 경우에는, 렌티큐러 렌즈시트의 관찰측 전체면에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에 접착되도 록 하여도 좋다.
또,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티큐러 렌즈시트(23)는 그 배면측에 수직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렌티큐러 렌즈(23a)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투사형 스크린(21B)에서 렌티큐러 렌즈시트(23)의 렌티큐러 렌즈(23a)의 능선과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의 리브(3)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배면투사형 스크린(21A) 및 도 9에 도시된 배면투사형 스크린(21B)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11)를 프레넬 렌즈시트(22)와는 별도로 설치하였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도 1a에 도시된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의 기능을 프레넬 렌즈시트의 일부로 짜넣어도 좋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는 배면측에서 비스듬히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것으로, 그 배면측에는 전반사 프레넬렌즈(32)가 형성되고, 그 관찰측에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구성하는 제1광학요소(1) 및 제2광학요소(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에서, 배면측에 형성된 전반사 프레넬렌즈(32)의 입사면(33)에서 입사하여 전반사면(34)에서 전반사되는 부호 F의 광(영상광)은, 관찰측에 형성된 제1광학요소(1)에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기 때문에, 제1광학요소(1) 및 제2광학요소(2)를 통과해서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에서 출사할 때에도 대략 수직으로 출사된다. 이에 대해, 배면측에 형성된 전반사 프레넬렌즈(32)의 입사면(33)에서 입사해서 전반사면(34)에서 전반사되지 않아 미광으로 되 는 부호 G의 광은, 관찰측에 형성된 제1광학요소(1)에 비스듬하게 입사되기 때문에, 광흡수층(7)에서 흡수되어 관찰측으로 출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면투사형 스크린(21C)에서 쓰이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면투사형 스크린(21C)은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와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의 관찰측에 배치된 렌티큐러 렌즈시트(24)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면투사형 스크린(21D)에서도 쓰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면투사형 스크린(21D)은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과 이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31)의 관찰측에 배치된 전반사 렌티큐러 렌즈시트(25)를 갖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 실시예
다음에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 실시예 1)
두께 50㎛의 PET 필름(굴절률 1.6)의 한쪽 면에, 경화 후의 굴절률(nl)이 1.55인 자외선경화형 수지에 의해 단면이 사다리꼴로 된 리브를 형성하였다. 이 리브의 피치(P1)는 O.3 mm , 리브의 높이는 O.6mm, 선단부인 평탄면의 폭은 O.169mm, 경사면인 전반사면의 경사각(θ1)은 8°로 하였다. 그 후, 사다리꼴 형상 리브 사이의 V자 모양의 홈에, 굴절률(n4)이 1.49인 아크릴계 도료 중 평균입자지름이 6㎛인 흑색 비즈를 분산시킨 광흡수재료를 충전해서 광흡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제1광학요 소를 만들었다.
한편, 두께 1.5mm인 아크릴스틸렌 공중합 수지 필름(굴절률 1.53)의 한쪽 면에, 아크릴을 개질해서 굴절률(n3)을 1.48로 한 수지로 단면이 삼각형인 리브를 형성했다. 이 리브의 피치(P2)는 제1광학요소의 리브와의 사이에 생기는 모아레가 눈에 띄지 않도록, 40㎛(피치의 비 : P1/P2 = 7.5)로 하고, 리브의 높이는 135㎛, 경사각(θ2)은 제1광학요소의 리브(3)와 마찬가지로 8°로 하였다. 그 후, 리브 사이의 V자 모양의 홈에 경화 후의 굴절률(n2)이 1.6인 스틸렌계의 EB 경화수지를 충전해서 경화시켜줌으로써 제2광학요소를 만들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해서 만들어진 제1광학요소와 제2광학요소를 각각의 리브가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적층시켜 접착하였는 바, 그에 따라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평가결과)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프레넬 렌즈시트, 렌티큐러 렌즈시트, 얇게 착색된 투명수지 시트(착색시트)의 3매로 구성된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가진 시판(市販)의 배면투사형 텔레비젼(히타치사 제품)을 준비하였다. 이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착색시트 대신,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배치시켜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양자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사용한 경우의 텔레비젼 영상을 대비관찰하였다. 한편, 이 경우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제1광학요소와 제2광학요소과의 적층형태 및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조립해 넣었을 경우의 배치형태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으로 되었다.
그 결과,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장착한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는, 착색시트를 장착한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비해 영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고, 밝은 실내의 환경에서도 보다 선명한 영상을 표시하고 있었다. 또, 착색시트를 장착한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는, 프레넬 렌즈에 기인한 레인보우가 얇게 관찰되었지만,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장착한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도 13은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의 광선추적 도이고, 도 14는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어진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구체적 실시예 1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는 뛰어난 지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 14에 나타내어진 게인은,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후방에서 평행 광선을 입사한 경우에 전방으로 나오는 광의 휘도의 각도분포를 측정해서,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의 조도와 각각의 휘도로부터 「게인(G) = 휘도/조도의 관계식」으로 구한 값이다.
(구체적 실시예 2)
제2광학요소 중 배면측(제1광학요소측)에 위치한 부분의 수지를 제1광학요소의 리브과 동일한 수지(굴절률 1.55)로 하고, 관찰측(제1광학요소의 반대측)의 수 지를 굴절률 1.43인 실리콘수지로 한 것 외에는 구체적 실시예 1과 마찬가지 재료 및 수법으로 구체적 실시예 2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만들었다.
(평가결과)
구체적 실시예 2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투사거리가 300mm , 투사각 65°, 화면사이즈가 60인치인 배면투사형 텔레비젼(평가용 TV세트)을 준비하였다. 이 배면투사형 텔레비젼에는,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와 렌티큐러 렌즈시트로 이루어진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이 쓰여졌다. 이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의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 대신, 동일한 광학특성을 가진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의 관찰측 면에 구체적 실시예 2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접착시킨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를 배치하여 배면투사형 스크린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양자의 배면투사형 스크린를 사용한 경우의 텔레비젼 영상을 대비관찰하였다. 한편, 이 경우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제1광학요소와 제2광학요소과의 적층형태 및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짜넣었을 경우의 배치형태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되었다.
그 결과, 구체적 실시예 2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접착한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를 가진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는,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에 비해 영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고, 밝은 실내의 환경에서도 보다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었다. 또, 종래의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는 전반사 프레넬렌즈에 기인하는 이중상 및 거울반사에 의한 이중상이 관찰되었지만, 구체적 실시예 2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접착한 전반사 프레넬 렌즈시트를 가진 배면투사형 스크린에서 는 그것들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구체적 실시예 3)
제1광학요소의 리브의 피치(Pl)를 O.063mm , 그 높이를 O.126mm로 하고, 제2광학요소의 피치(P2)를 18㎛(피치의 비 : Pl/P2 = 3.5), 그 높이를 60㎛으로 한 것 이외에는 구체적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구체적 실시예 3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얻었다.
(평가결과)
구체적 실시예 3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먼저, 15인치형의 퍼스널 컴퓨터(PC)용 액정 모니터를 준비하였다. 이 액정 모니터에 구체적 실시예 3에 따른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장착하고서 액정 모니터의 화면을 관찰하였다. 한편, 이 경우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에서의 제1광학요소와 제2광학요소과의 적층형태 및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액정 모니터에 짜넣었을 경우의 배치형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으로 하였다.
그 결과, 밝은 실내의 환경에서도 반사가 없고, 화면의 정면에서는 콘트라스트가 높아 명료하게 관찰할 수 있었지만, 수평방향에 25°이상의 기울기부터는 전혀 화상이 관찰되지 않아, 엿보기방지 시트로서 충분한 기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에 조립되어 쓰이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로서,
    배면측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을 입사위치에 관계없이 관찰측으로 수직으로 출사시킴과 더불어, 배면측에서 비스듬히 입사하는 미광 및 관찰측에서 입사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광학요소를 구비하되,
    상기 광학요소가,
    한쪽 방향으로 또는 평면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를 가진 제1광학요소로서, 상기 각 리브가 배면측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을 전반사시키는 서로 대향하는 한 벌의 전반사면과, 이들 대향하는 한 벌의 전반사면을 출사면측으로 하여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평탄면을 갖고, 상기 각 리브의 사이에는 광흡수층이 형성된 제1광학요소와,
    상기 제1광학요소의 관찰측에 적층된 제2광학요소로서,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광의 광로를 보정해서 영상광을 관찰측으로 수직으로 출사시키는 광로보정층을 가진 제2광학요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학요소의 상기 광로보정층이,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 의해 전반사된 영상광을 수직으로 출사시키기 위한 서로 달리 형성된 복수의 경사면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학요소의 상기 광로보정층에 포함되는 상기 각 경사면이, 배면측에서 수직으로 입사하는 영상광 중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평탄면을 통과한 후에 당해 각 경사면에서 전반사 및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과, 상기 영상광 중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에서 전반사되어 평탄면을 통과한 후에 당해 각 경사면에서 굴절되어 출사되는 광이 평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광흡수층이,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리브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굴절률이 낮은 투명한 재료 중에 광흡수성 입자를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광흡수층이,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리브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굴절률이 낮은 착색된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7.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학요소의 상기 광로보정층의 상기 각 경사면의 경사각(제2광학요소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각도)을 θ2 , 상기 광로보정층 중 상기 각 경사면을 경계로 해서 상기 제1광학요소측에 위치한 부분의 재료의 굴절률을 n2 , 상기 광로보정층 중 상기 각 경사면을 경계로 해서 상기 제1광학요소의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의 재료의 굴절률을 n3 로 하였을 때, n3/n2 = cos(3θ2 )/cosθ2 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8.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각 리브의 전반사면의 경사각(제1광학요소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각도)을 θ1 , 상기 제1광학요소의 상기 리브를 형성하는 재료의 굴절률을 n1 , 상기 제2광학요소의 상기 광로보정층의 상기 각 경사면의 경사각(제2광학요소의 시트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각도)을 θ2 , 상기 광로보정층 중 상기 각 경사면을 경계로 해서 상기 제1광학요소측에 위치한 부분의 재료의 굴절률을 n2 로 하였을 때, n2·sin(2θ2) = n1·sin(2θ1)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9.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으로 출사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으로서,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프레넬 렌즈시트와,
    이 프레넬 렌즈시트의 관찰측에 배치된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
  10.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에 출사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으로서,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프레넬 렌즈시트와,
    이 프레넬 렌즈시트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영상광을 확산시키는 렌티큐러 렌즈시트 및,
    이 렌티큐러 렌즈시트의 관찰측에 배치된 상기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큐러 렌즈시트는 그 관찰측에 광흡수층을 갖고서, 상기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가 적어도 상기 광흡수층에서 상기 렌티큐러 렌즈시트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
  12. 배면측에서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에 출사시켜 영상을 표시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으로서,
    배면측에서 비스듬히 투사된 영상광을 관찰측을 향해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프레넬 렌즈시트로서, 그 배면측에 전반사 프레넬렌즈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관찰측에 상기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가 형성된 프레넬 렌즈시트와,
    이 프레넬 렌즈시트의 관찰측에 배치되어 영상광을 확산시키는 렌티큐러 렌즈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투사형 스크린.
KR1020057002569A 2005-02-15 2004-04-26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 KR10076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569A KR100760682B1 (ko) 2005-02-15 2004-04-26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569A KR100760682B1 (ko) 2005-02-15 2004-04-26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704A KR20060033704A (ko) 2006-04-19
KR100760682B1 true KR100760682B1 (ko) 2007-09-20

Family

ID=3714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569A KR100760682B1 (ko) 2005-02-15 2004-04-26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793B1 (ko) * 2013-04-18 2020-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206A (ja) * 2001-08-27 2003-03-05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次元視野角拡大部材および表示装置
JP2004086187A (ja) * 2002-06-27 2004-03-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206A (ja) * 2001-08-27 2003-03-05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次元視野角拡大部材および表示装置
JP2004086187A (ja) * 2002-06-27 2004-03-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704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0253B2 (ja) コントラスト向上シートおよび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
US9285669B2 (en) Reflection screen and image display system
US7599117B2 (en) View angle control sheet and display device
KR100809772B1 (ko) 투과형 스크린
US20100002306A1 (en) View angle control sheet
JP4788314B2 (ja) 光拡散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330631A (ja) 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
JP2014010404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4186249A (ja) スクリーンユニット、マルチ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16062031A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4853418B2 (ja) 光学シート及び該光学シートを備える表示装置
JP2014071278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1215399A (ja) プリズムシート、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0921703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14115343A (ja)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US20080102230A1 (en) Diffusing Plate For Transmissive Screen, Transmissive Screen And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5949355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3213882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4142429A (ja) 反射型スクリーン、前面投射型表示装置、多画面表示装置
US6560025B2 (en) Translucent screen
KR100760682B1 (ko) 콘트라스트 향상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배면투사형 스크린
WO2005103769A1 (ja) コントラスト向上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
JP2014119607A (ja)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多画面表示装置
JP6747132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2008225209A (ja)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