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643B1 - 방수형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방수형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643B1
KR100760643B1 KR1020060012627A KR20060012627A KR100760643B1 KR 100760643 B1 KR100760643 B1 KR 100760643B1 KR 1020060012627 A KR1020060012627 A KR 1020060012627A KR 20060012627 A KR20060012627 A KR 20060012627A KR 100760643 B1 KR100760643 B1 KR 10076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ase
rear case
earth leakage
fro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994A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6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방수형 누전차단기가 개시된다. 상기 방수형 누전차단기는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의 접촉 부위, 전면케이스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 전면케이스와 연결부재의 접촉 부위 및 후면케이스와 연결부재의 접촉 부위가 완전히 밀봉되므로, 물이 침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호 결합된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가 침수되어도,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누전차단기로는 물이 침투하지 못하므로, 물의 침투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방지된다.

Description

방수형 누전차단기 {WATERPROOF TYPE LEAKAGE BREAKER}
도 1은 종래의 누전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누전차단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일부 절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전면케이스 120 : 후면케이스
130 : 투명캡 140 : 신축부재
150 : 연결부재 210: 누전차단기
본 발명은 방수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누전차단기는 가정용 분전반, 산업용 분전반 또는 배전반 등에 설치되어 인명 피해 및 전기 화재를 예방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가로등 등과 같이 실외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는 침수되어도 물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누전차단기의 사시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11)와 커버(13)의 내부에 누전차단기(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누전차단기는 전선(21)을 매체로 전원측 및 부하측과 각각 접속되는데, 전선(21)의 일측은 상기 누전차단기와 각각 접속되고 타측은 베이스(11)를 통과하여 상기 전원측 및 부하측과 각각 접속된다.
베이스(11)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밀봉을 위한 마개(15)가 결합되는데, 전선(21)의 타측은 마개(15)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누전차단기는 침수되었을 경우, 베이스(11)와 커버(13)의 접촉 부위 및 전선(21)이 통과하는 마개(15)의 중앙부측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어,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수되어도 물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누전차단기는, 전면에는 내부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스위치 및 테스트용 버튼이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관통공과 상기 누전차단기와 접속된 회로기판에 설치된 표시등이 위치되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되며, 후면은 개방된 전면케이스; 전면은 개방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케이스의 후면에 밀폐 결합되는 후면케이스; 상기 전면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밀폐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스위치 및 테스트용 버튼이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돌출관이 형성된 신축부재; 상기 제 3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관통공을 밀폐시키는 투명캡;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을 밀폐시키며 상기 누전차단기와 접속된 전선이 매몰되어 통과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누전차단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형 누전차단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누전차단기(210)가 내장되는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가 마련된다. 이때, 전면케이스(110)의 후면은 개방되고 후면케이스(120)의 전면은 개방되며, 전면케이스(110)의 개방부 및 후면케이스(120)의 개방부가 상호 결합된다.
전면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제 1,2,3 관통공(111,112,113)이 형성되는데, 제 1 및 제 2 관통공(111,112)으로는 누전차단기(210)의 스위치(213) 및 테스트용 버튼(215)이 통과한다. 그리고, 제 3 관통공(113)에는 누전차단기(210)와 접속된 회로기판(220)에 설치되어 누전차단기(210)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등(223)이 위치된다.
제 3 관통공(113)에는 제 3 관통공(113)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표시등(223)을 전면케이스(110)의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캡(130)이 삽입된다. 투명캡(130)은 전면케이스(11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삽입되는데, 투명캡 (130)의 상부측은 제 3 관통공(115)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면케이스(110)의 전면과 접촉하고, 하부측은 제 3 관통공(113)에 삽입된다. 그리고, 투명캡(130)은 전면케이스(110)에 본딩 결합되어 제 3 관통공(113)을 통하여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제 3 관통공(113)을 밀폐시킨다.
제 1 및 제 2 관통공(111,112)은 신축부재(140)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케이스(110)에는 제 1 및 제 2 관통공(111,112)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로(115)가 형성되고, 신축부재(140)에는 삽입로(115)에 삽입되는 삽입레일(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로(115)와 삽입레일(141)은 상호 본딩되어 결합되고, 삽입레일(141) 외측 부위도 전면케이스(110)에 본딩되어 결합된다. 이로인해, 제 1 및 제 2 관통공(111,112)을 통하여 물이 침투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신축부재(140)에는 제 1 및 제 2 관통공(111,112)을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돌출관(143,145)이 형성되는데, 제 1 및 제 2 돌출관(143.145)에는 스위치(213) 및 테스트용 버튼(215)이 삽입된다.
전면케이스(110)의 후단면(後端面)에는 돌출테(117)가 형성되고, 후면케이스(120)의 전단면(前端面)에는 제 1 단면(段面)(121)이 형성된다. 돌출테(117)는 제 1 단면(段面)(121)에 삽입되어 본딩 결합되는데, 이로인해,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물이 침투되지 않는 것이다.
누전차단기(210)는 전선(219)을 매체로 전원측 및 부하측과 접속된다. 즉, 전선(219)의 일측은 누전차단기(210)와 각각 접속되고, 타측은 후면케이스(120)를 통과하여 전원측 및 부하측과 각각 접속된다.
후면케이스(120)의 길이방향측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전선(219)이 통과하는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안착홈(123)에는 안착홈(123)을 밀폐시키기 위한 연결부재(150)가 삽입되는데, 이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일부 절개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23)이 형성된 후면케이스(120)의 부위에는 내측으로 제 2 단면(段面)(125)이 형성된다.
연결부재(150)는 몸체(151), 제 1 접촉테(153), 제 2 접촉테(155), 제 1 접촉면(157) 및 제 2 접촉면(159)을 가진다.
몸체(151)는 안착홈(123)에 삽입되며, 전선(219)이 매몰된 형태로 통과한다. 몸체(151)와 전선(219)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물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몸체(151)와 전선(219)은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접촉테(153,155)는 상호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몸체(15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안착홈(123)이 형성된 후면케이스(120) 부위의 외면 및 내면과 각각 접촉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촉면(157,159)은 안착홈(123) 및 제 2 단면(12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1 접촉테(153)와 제 2 접촉테(155) 사이의 몸체(151)에 형성되어, 안착홈(123)의 내주면 및 제 2 단면(125)의 내주면과 각각 접촉한다. 이때, 상호 접촉하는 후면케이스(120) 부위 및 연결부재(150) 부위는 본딩되어 결합되는데, 이로인해 후면케이스(120)와 연결부재(150)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물이 침투하지 못하는 것이다.
후면케이스(120)의 안착홈(123)에 연결부재(150)가 결합되면, 연결부재(150) 의 상측은 후면케이스(120)의 전면측으로 노출된다. 후면케이스(120)의 전면측으로 노출된 연결부재(150)의 부위에는 전면케이스(110)가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착홈(123)과 대응되는 전면케이스(110)의 돌출테(117)의 부위에는 돌기(119)가 형성된다. 돌기(119)는 후면케이스(120)의 외면측으로 노출된 제 1 접촉테(153) 및 제 1 접촉면(157)과 각각 접촉하고, 돌기(119)가 형성된 돌출테(117)의 부위는 후면케이스(120)의 내측으로 노출된 제 2 접촉테(155) 및 제 2 접촉면(159)과 각각 접촉한다. 그리고, 상호 접촉하는 전면케이스(110) 부위와 연결부재(150) 부위는 상호 본딩되어 결합되는데, 이로인해 전면케이스(110)와 연결부재(150)의 접촉 부위를 통하여 물이 침투하지 못하는 것이다.
후면케이스(120)의 내부에는 누전차단기(210)의 외면, 더 구체적으로는 누전차단기(210)의 모서리부와 접촉하여 누전차단기(210)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돌기(127)가 형성된다. 제 1 지지돌기(127)는 누전차단기(210)가 결합되는 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누전차단기(210)가 후면케이스(1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후면케이스(120)의 내부에는 회로기판(220)의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제 2 지지돌기(129)가 형성된다. 제 2 지지돌기(129)의 상단부에는 삽입봉(129a)이 형성되는데, 삽입봉(129a)은 회로기판(220)에 형성된 결합공(221)에 삽입되어 회로기판(220)의 결합위치를 표시해 준다.
그리고, 후면케이스(120)의 외면에는 고리(120a)가 형성되는데, 고리(120a)는 상호 결합된 전면케이스(110)와 후면케이스(120)를 고정물 등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형 누전차단기는 전면케이스 및 후면케이스의 접촉 부위, 전면케이스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 전면케이스와 연결부재의 접촉 부위 및 후면케이스와 연결부재의 접촉 부위가 완전히 밀봉되므로, 물이 침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호 결합된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가 침수되어도,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누전차단기로는 물이 침투하지 못하므로, 물의 침투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7)

  1. 전면에는 내부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스위치 및 테스트용 버튼이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관통공과 상기 누전차단기와 접속된 회로기판에 설치된 표시등이 위치되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되며, 후면은 개방된 전면케이스;
    전면은 개방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케이스의 후면에 밀폐 결합되는 후면케이스;
    상기 전면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밀폐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스위치 및 테스트용 버튼이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돌출관이 형성된 신축부재;
    상기 제 3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 3 관통공을 밀폐시키는 투명캡;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을 밀폐시키며 상기 누전차단기와 접속된 전선이 매몰되어 통과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누전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의 후단면(後端面)에는 돌출테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케이스의 전단면(前端面)에는 상기 돌출테가 삽입되어 상호 본딩되는 제 1 단면(段面)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누전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재에는 상기 삽입로에 삽입되어 상호 본딩되는 삽입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누전차단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후면케이스의 부위에는 제 2 단면(段面)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전선이 매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후면케이스 부위의 외면 및 내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접촉테 및 제 2 접촉테, 상기 안착홈 및 상기 제 2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 1 접촉테와 상기 제 2 접촉테 사이의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 및 상기 제 2 단면의 내주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전면케이스의 돌출테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후면케이스의 전면측으로 노출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제 1 접촉테 및 상기 제 1 접촉면과 접촉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된 상기 돌출테의 부위는 상기 후면케이스의 전면측으로 노출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제 2 접촉테 및 상기 제 2 접촉면과 접촉하며,
    상호 접촉되는 상기 전면케이스와 상기 연결부재의 부위 및 상호 접촉되는 상기 후면케이스와 상기 연결부재의 부위는 본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누전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의 상부측은 상기 제 3 관통공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케이스의 전면과 접촉하고,
    상기 투명캡은 상기 전면케이스에 본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누전차단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누전차단기의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누전차단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누전차단기의 결합위치를 표시하는 제 1 지지돌기와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돌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결합위치를 표시하는 삽입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누전차단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케이스의 외면에는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20060012627A 2006-02-09 2006-02-09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076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627A KR100760643B1 (ko) 2006-02-09 2006-02-09 방수형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627A KR100760643B1 (ko) 2006-02-09 2006-02-09 방수형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94A KR20070080994A (ko) 2007-08-14
KR100760643B1 true KR100760643B1 (ko) 2007-09-20

Family

ID=3860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627A KR100760643B1 (ko) 2006-02-09 2006-02-09 방수형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12Y1 (ko) * 2009-10-16 2011-08-03 신재식 가로등 누전차단기 방수함
KR20230032472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에스이티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9122B2 (en) * 2008-02-19 2011-11-01 Siemens Industry, Inc. Moisture resistant push to test button for circuit breakers
KR101119409B1 (ko) * 2010-07-16 2012-02-22 라도엽 배선용 방수차단기
KR101700245B1 (ko) * 2015-03-09 2017-01-26 (주)한기술이엔지 전기차단이 용이한 방수커넥터
CN104992886A (zh) * 2015-07-01 2015-10-21 余姚市嘉荣电子电器有限公司 漏电保护装置防水结构
KR101951743B1 (ko) * 2018-03-06 2019-02-25 탑에어주식회사 모터 방수 장치
CN113571349B (zh) * 2021-07-12 2024-05-14 湖南蓝桥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浸水防漏电的多功能保护器
CN114068253A (zh) * 2021-11-15 2022-02-18 重庆渝都晶达科技有限公司 一种防误触的漏电断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424A (ja) * 1992-09-25 1994-04-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取付け枠へのブレーカ取付け構造
JPH0935585A (ja) * 1995-07-19 1997-02-07 Kunimori Kagaku:Kk スティックスイッチ
JPH09245551A (ja) * 1996-03-11 1997-09-19 Hoshizaki Electric Co Ltd 漏電遮断器の防水装置
JP2002042630A (ja) * 2000-07-26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防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424A (ja) * 1992-09-25 1994-04-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取付け枠へのブレーカ取付け構造
JPH0935585A (ja) * 1995-07-19 1997-02-07 Kunimori Kagaku:Kk スティックスイッチ
JPH09245551A (ja) * 1996-03-11 1997-09-19 Hoshizaki Electric Co Ltd 漏電遮断器の防水装置
JP2002042630A (ja) * 2000-07-26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の防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912Y1 (ko) * 2009-10-16 2011-08-03 신재식 가로등 누전차단기 방수함
KR20230032472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에스이티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2584362B1 (ko) 2021-08-31 2023-10-05 주식회사 에스이티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94A (ko)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643B1 (ko) 방수형 누전차단기
JPH02174082A (ja) 車両用の中央分電盤システム
KR100611573B1 (ko) 방수 콘센트
BR9908162A (pt) Grupo de contatos elétricos vedados passìvel de teste
KR20100068898A (ko) 콘센트 커버
KR200454912Y1 (ko) 가로등 누전차단기 방수함
CN214254876U (zh) 一种防水后接式漏电保护插头
KR101945248B1 (ko) 지중배전선로의 활선작업 안정장치
JP2008215959A (ja) 水道メータ用無線機
KR100967894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CN211456096U (zh) 一种防水插座
ES2039140B1 (es) Conectador electrico de tipo de bloqueo doble.
ES2364949T3 (es) Caja de conéctica y conjunto de conéctica que comprende una caja de ese tipo.
JP6710109B2 (ja) 回路遮断器
CN208457659U (zh) 条形灯以及灯具
CN105869936A (zh) 一种具有防尘防水隔绝罩的开关
CN104735938B (zh) 过线密封件、接线器组件以及电器盒组件
KR100594760B1 (ko) 공동주택 전기실 케이블 트렌치
KR950025805A (ko) 검출스위치용 케이스와 그 제조방법
KR100703611B1 (ko) 케이블 접속재 콘센트 방수구조
CN111028703A (zh) 密封圈以及led显示屏
KR100655883B1 (ko) 공동주택용 수배전반의 패널구조
CN210955925U (zh) 密封圈以及led显示屏
CN201490445U (zh) 插头插座防溅盒
JP7054491B2 (ja) 長尺led発光体の筐体端部におけるキャ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