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472A -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472A
KR20230032472A KR1020210115358A KR20210115358A KR20230032472A KR 20230032472 A KR20230032472 A KR 20230032472A KR 1020210115358 A KR1020210115358 A KR 1020210115358A KR 20210115358 A KR20210115358 A KR 20210115358A KR 20230032472 A KR20230032472 A KR 2023003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leakage
mover
plunger
leakage breake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362B1 (ko
Inventor
배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이티
Priority to KR1020210115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36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도로변 등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가로등 지주의 컨트롤박스(분전반)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에 홍수, 집중 호우로 인해 빗물이 침투되어 누전사고 또는 감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조작버튼이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가로등의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분전반에 설치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에 적용되고,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와, 상기 푸쉬타입 로드에 결합된 가압부재에 의해 가동자를 고정자에 접촉시켜 전원을 온(ON) 시키기 위한 스위칭 장치;
누전으로 인해 제1전자석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한 플런저의 이동 및 상기 가동자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쉬타입 로드 및 가압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켜 전원을 오프(OFF) 시키기 위한 누전트립 장치;
상기 푸쉬타입 로드의 중간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전자석 플런저의 로커에 연결되며, 통전모드시 상기 제1전자석의 플런저 가압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자를 상기 고정자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트립 동작시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킨 제2위치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커넥터용 브라킷;
상기 누전트립장치와 대칭되게 형성되고, 자력에 의한 플런저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용 브라킷의 제2격벽을 가압하는 순시트립장치;를 구비하되, 단락사고발생으로 인해 상기 순시트립장치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한 플런저의 이동 및 상기 가동자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켜 전원을 오프(OFF) 시키도록 상기 순시트립장치의 플런저 이동에 의해 상기 제2격벽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용 브라킷을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접촉면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홈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는 입,출력선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빗물이 누전차단기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waterproof type earth leakage breaker for blended street lamp}
본 명세서는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로변 등에 설치되는 가로등의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가로등 지주의 컨트롤박스(분전반)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에 홍수, 집중 호우로 인한 빗물이 침투되어 누전사고 또는 감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누전차단기는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누전 등의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전류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스위치를 말한다. 즉 누전차단기는 누설 전류 또는 지락, 인체의 감전사고, 단락전류 발생시 이상전류를 검출하여 신속하게 회로를 차단함에 따라 부하측 장비 및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로등 및 보안등은 야간에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변, 또는 골목길, 정원 등에 다수개 설치되며, 어둠이 깔릴때 광전식 자동점멸기의 무접점 스위칭 작용에 의해 의해 점등되고, 새벽에 광전식 자동점멸기에 의해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가로등 지주의 내측 하부의 분전반에는 가로등 램프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케이블이 지중에서 내부로 인입되고, 접속 잭 및 안정기와, 누전차단기가 상호 결선되어 가로등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가로등은 부식이나 내구성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뿐, 홍수나 집중 호우시 취부패널을 통해 스며드는 빗물로부터 무방비 상태에 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홍수나 집중 호우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도로변이 침수되어 가로등이 잠기게 되면서 가로등 지주의 하부에 위치한 안정기, 접속단자, 누전차단기와 전원 케이블의 접속단자가 빗물에 잠기게 되어 주변 전위가 상승하면서 그곳을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전기적 충격을 주어 보행자가 감전에 의해 사망 또는 상해를 입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빗물이 빠지고 난 후에는 빗물에 침수된 분전반 및 누전차단기의 전기부품 등을 교체 또는 수리해야 되기 때문에 침수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19148호(2008.04.03)에 침수방지용 가로등 누전차단기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홍수, 집중 호우 등으로 인해 불어난 빗물이 가로등지주의 분전반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을 통행하는 보행자를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누전 또는 단란 등으로 인해 전원을 차단시키는 누전차단기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조작버튼이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가로등의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분전반에 설치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에 적용되고,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와, 상기 푸쉬타입 로드에 결합된 가압부재에 의해 가동자를 고정자에 접촉시켜 전원을 온(ON) 시키기 위한 스위칭 장치;
누전으로 인해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의 이동 및 상기 가동자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쉬타입 로드 및 가압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켜 전원을 오프(OFF) 시키기 위한 누전트립장치;
상기 푸쉬타입 로드의 중간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누전트립장치의 플런저의 로커에 연결되며, 통전 모드시 상기 플런저 가압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자를 상기 고정자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트립 동작시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킨 제2위치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커넥터용 브라킷;
상기 누전트립장치와 대칭되게 형성되고, 자력에 의한 플런저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용 브라킷의 제2격벽을 가압하는 순시트립장치;를 구비하되, 단락사고발생으로 인해 상기 순시트립장치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한 플런저의 이동 및 상기 가동자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켜 전원을 오프(OFF) 시키도록 상기 순시트립장치의 플런저 이동에 의해 상기 제2격벽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용 브라킷을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접촉면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홈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는 입,출력선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빗물이 누전차단기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집중 호우 등으로 인해 불어난 빗물이 가로등 지주의 분전반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시켜 안전하게 보호함에 따라 누전에 의해 분전반 및 누전차단기의 고장 발생을 방지하고, 주변을 통행하는 보행자를 감전사고로부터 보호하게 되므로 신뢰성 및 실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누전 또는 단락 등으로 인해 전원을 차단시키는 누전차단기의 전체 메카니즘 구성을 단순화시켜 원가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저가의 누전차단기를 사용자들에게 확대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누전차단기에서, 베이스와 커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누전차단기에서, 제1,2전자석의 배치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누전차단기에서, 가동자 및 고정자의 접촉됨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누전차단기에서, 누전 또는 단락사고로 인한 전자석 자력에 의해 상승되어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한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에 결합되는 커넥터용 브라킷의 장착부위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누전차단기에서, 가동자가 고정자에 접촉(전원 온(ON) 상태)될 때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가 초기위치를 유지하는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누전차단기에서, 가동자가 고정자에서 이격(전원 오프(OFF) 상태)될 때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가 상승될 때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장착되고 조작버튼(31,32,32a)이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커버(11)를 포함하고, 가로등의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분전반(미 도시)에 설치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A)에 적용되고,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push type rod)(14)와, 푸쉬타입 로드(14)의 하강으로 푸쉬타입 로드(14)에 결합된 가압부재(15)에 의해 가동자(16)(가동접점)를 고정자(17)(고정접점)에 접촉시켜 전원을 온(ON) 시키기 위한 스위칭 장치(19)(이때 누전트립장치(20)의 누전트립스프링(18e)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런저(18b)를 가압하여(push) 커넥터용 브라킷(22)을 수평이동시킴에 따라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의 하강상태를 유지하여 가동자(16)와 고정자(17)의 상호 접촉상태(폐로(閉路)상태)를 유지하게 됨);
전원공급라인에 누전 등이 발생되어 누전회로의 트립 신호에 의해 누전트립코일(18d)에 전류가 흐를 경우, 누전트립장치(20)(누전트립 솔레노이드(18d))에 형성되는 자력(磁力)에 의한 플런저(18b)의 이동 및 가동자(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푸쉬타입 로드(14) 및 가압부재(15)를 상승시켜 가동자(16)(가동접점)를 고정자(17)(고정접점)에서 이격시켜 전원을 오프(OFF) 시키기 위한 누전트립 장치(20)(즉 누전트립 솔레노이드(18d)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18b)를 푸쉬타입 로드(14)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잡아당겨(pull) 커넥터용 브라킷(22)을 수평이동시킴에 따라(이때 누전트립장치(20)의 누전트립스프링(18e)은 압축력을 받게 됨)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를 상승시켜 가동자(16)를 고정자(17)로부터 이격시킨 상태(개로(開路)상태)를 유지하게 됨);
푸쉬타입 로드(14)의 중간위치에 결합되고 누전트립장치(20)의 플런저(18b)의 로커(18a)에 연결되며, 통전 모드시 누전트립장치(20)의 플런저(18b) 가압으로 이동되어 가동자(16)를 고정자(17)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트립 동작시 가동자(16)를 고정자(17)에서 이격시킨 제2위치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커넥터용 브라킷(22);
누전트립장치(20)와 대칭되게 형성되고, 자력에 의한 플런저(30a) 이동에 의해 커넥터용 브라킷(22)의 제2격벽(29)을 가압하는 순시트립장치(30);를 구비하되, 전원공급라인에 단락사고 발생으로 대전류 유입으로 인해 순시트립장치(30)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한 플런저(30a)의 이동 및 가동자(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동자(16)를 고정자(17)에서 이격시켜 전원을 오프(OFF) 시키도록 순시트립장치(30)의 플런저(30a) 이동에 의해 제2격벽(29)을 푸쉬타입 로드(14)쪽으로 가압하여 커넥터용 브라킷(22)을 제2위치(이때 순시트립장치(30)의 순시트립 스프링(30c)은 압축력을 받게 됨)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
전술한 순시트립장치(30)의 순시트립 솔레노이드(30b)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30a)를 도 3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플런저(30a) 이동에 의해 커넥터용 브라킷(22)을 푸쉬타입 로드(14) 쪽으로 가압(push)하게 되므로 커넥터용 브라킷(22)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베이스(10) 및 커버(11)의 접촉면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홈(40)에 결합되고, 관통홈(40)을 통과하는 입,출력선(41)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빗물이 누전차단기(A)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용 방수캡(42)(일 예로서, 실리콘재가 사용될 수 있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넥터용 브라킷(22)은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가 관통되는 결합공(23a)이 형성되는 바닥판(23);
누전트립장치(20)의 장착부(25) 일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레일홈(24)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바닥판(23)에 돌출형성되는 날개형 돌출편(26);
로커(18a)의 연결턱(18c)이 결합되는 요홈(27)이 형성되는 제1격벽(28);
제1격벽(28)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격벽(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10)의 상면에 빙둘러 형성되는 안착홈(43);
안착홈(43)과 대응되게 커버(11)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44);을 구비하되,
베이스(10)와 커버(11)의 접촉면 틈새를 통해 빗물이 누전차단기(A)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결합되는 안착홈(43)과 돌출턱(44)의 접촉면을 용융(일 예로서, 초음파 융착고정시킬 수 있다)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베이스(1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43)과, 이와 대응되게 커버(11)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돌출턱(44)을 요철결합시킨 후 안착홈(43)과 돌출턱(44)의 상호 요철결합부를 초음파 등에 의해 열융착시킴에 따라, 홍수 또는 집중 호우로 인해 가로등 지주의 하단이 침수될 경우에도 범람하는 빗물이 안착홈(43)과 돌출턱(44)의 접촉면 틈새를 통해 누전차단기(A)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안착홈(43)과 돌출턱(44)의 상호 요철결합부를 초음파 등에 의해 열융착시켜 실링처리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업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8은 PCB이고, 31은 커버(11)의 상면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누전차단기(A)의 누전 동작의 시험(test)을 위한 시험버튼이며, 32는 전원스위치이며, 32a는 가압시 가동자(16)를 고정자(17)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트립용 스위치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의 승강에 따라 가로등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on),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원의 온, 오프는 가동자(16)가 고정자(17)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가동자(16)의 가동접점이 고정자(17)의 고정접점에 접촉되면 전원 측과 부하 측이 통전(通電)되도록 연결되므로(소위 폐로(閉路)상태를 말함) 부하 측에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온(on) 상태가 된다.
전술한 스위칭 장치(19)는 수직방향으로 가압되는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에 결합된 가압부재(15)의 승강됨에 의해 가동자(16)를 고정자(17)에 접촉시키거나 또는 이격시키게 된다.
즉, 전원공급라인에 누전이 발생될 경우, 누전트립장치(20)의 누전트립 솔레노이드(18d)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누전트립장치(20)의 플런저(18b)를 도 3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커넥터용 브라킷(22)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를 상승시켜 가동자(16)의 가동접점을 고정자(17)의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가 하강될 경우 푸쉬타입 로드(14)에 결합된 가압부재(15)에 압착된 가동자(16)를 하강시켜 고정자(17)에 접촉시키게 된다.
이때, 전술한 누전트립장치(20)의 누전트립 스프링(18e)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런저(18b)를 푸쉬타입 로드(14)쪽으로 가압하여(push) 커넥터용 브라킷(22)을 수평이동(도 3의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됨)시킴에 따라 커넥터용 브라킷(22)의 바닥판(23)에 형성된 결합공(23a)에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의 걸림턱(14a)이 걸리게 된다(즉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의 상하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이로 인해,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의 하강상태를 유지하여 가동자(16)와 고정자(17)의 상호 접촉상태(전원 온(ON)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가로등 전원공급라인에 낙뢰 또는 누전이 발생될 경우, 누전트립장치(20)(누전트립 솔레노이드(18d))에 형성되는 자력(磁力)에 의해 플런저(18b)를 도 3의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잡아당겨(pull) 플런저(18b)의 로커(18a)에 연결된 커넥터용 브라킷(22)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이때 누전트립 스프링(18e)은 압축력을 받게 됨), 커넥터용 브라킷(22)의 바닥판(23)에 형성된 결합공(23a)으로부터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의 걸림턱(14a)이 이탈된다.
이로 인해, 가동자(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를 설정거리만큼 상승시켜 가동자(16)를 고정자(17)에서 이격시킴에 따라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누전트립장치(20) 및 순시트립장치(30)의 누전트립솔레노이드(18d), 순시트립 솔레노이드(30b)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18b,30a)를 구동시키고, 누전트립 스프링(18e) 및 순시트립 스프링(30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런저(18b,30a)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에 의하면,
관리자에 의한 수동으로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14)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킴에 따라 가동자(16)의 가동접점을 고정자(17)의 고정접점에 접촉시켜 가로등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ON) 시킬 수 있어 누전차단기(A)의 전체 메카니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홍수 또는 집중 호우로 인해 가로등 지주의 하단이 침수될 경우에, 가로등 지주의 분전반에 설치된 누전차단기(A)의 베이스(10)와 커버(11)의 접촉면 틈새를 통해 빗물이 누전차단기(A) 내부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시킴에 따라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베이스
11; 커버
14;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
15; 가압부재
16; 가동자
17; 고정자
18; PCB
18a; 로커
18b; 플런저
18c; 연결턱
19; 스위칭 장치
20; 누전트립장치
22; 커넥터용 브라킷
23; 바닥판
23a; 결합공
24; 레일홈
25; 장착부
26; 날개형 돌출편
27; 요홈
28; 제1격벽
29; 제2격벽
30; 순시트립장치
30a; 플런저
31; 시험버튼
32; 전원스위치
40; 관통홈
41; 입출력선
42; 실링용 방수캡
A; 누전차단기

Claims (3)

  1.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조작버튼이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고, 가로등의 램프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분전반에 설치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에 적용되고,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와, 상기 푸쉬타입 로드에 결합된 가압부재에 의해 가동자를 고정자에 접촉시켜 전원을 온(ON) 시키기 위한 스위칭 장치;
    누전으로 인해 형성되는 자력에 의한 플런저의 이동 및 상기 가동자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쉬타입 로드 및 가압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켜 전원을 오프(OFF) 시키기 위한 누전트립 장치;
    상기 푸쉬타입 로드의 중간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누전트립장치의 플런저의 로커에 연결되며, 통전 모드시 상기 플런저 가압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자를 상기 고정자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위치와, 트립 동작시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킨 제2위치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커넥터용 브라킷;
    상기 누전트립장치와 대칭되게 형성되고, 자력에 의한 플런저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용 브라킷의 제2격벽을 가압하는 순시트립장치;를 구비하되, 단락사고발생으로 인해 상기 순시트립장치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한 플런저의 이동 및 상기 가동자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자를 고정자에서 이격시켜 전원을 오프(OFF) 시키도록 상기 순시트립장치의 플런저 이동에 의해 상기 제2격벽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용 브라킷을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접촉면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홈에 결합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과하는 입,출력선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빗물이 누전차단기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용 방수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용 브라킷은
    상기 핸들용 푸쉬타입 로드가 관통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제1전자석의 장착부 일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레일홈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바닥판에 돌출형성되는 날개형 돌출편;
    상기 로커의 연결턱이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제1격벽;
    상기 제1격벽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빙둘러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게 상기 커버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을 더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와 커버의 접촉면 틈새를 통해 빗물이 누전차단기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결합되는 상기 안착홈과 돌출턱의 접촉면을 용융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20210115358A 2021-08-31 2021-08-31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258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58A KR102584362B1 (ko) 2021-08-31 2021-08-31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58A KR102584362B1 (ko) 2021-08-31 2021-08-31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472A true KR20230032472A (ko) 2023-03-07
KR102584362B1 KR102584362B1 (ko) 2023-10-05

Family

ID=8551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358A KR102584362B1 (ko) 2021-08-31 2021-08-31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3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072A (ko) * 2004-02-17 2005-08-22 강성화 회로고장이나 정전 시 리셋할 수 없는 구조의 누전차단콘센트
KR100760643B1 (ko) * 2006-02-09 2007-09-2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1222340B1 (ko) * 2011-06-07 2013-01-14 양우석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KR101813148B1 (ko) * 2017-07-21 2018-01-25 이종훈 자동 복구형 누전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072A (ko) * 2004-02-17 2005-08-22 강성화 회로고장이나 정전 시 리셋할 수 없는 구조의 누전차단콘센트
KR100760643B1 (ko) * 2006-02-09 2007-09-2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1222340B1 (ko) * 2011-06-07 2013-01-14 양우석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KR101813148B1 (ko) * 2017-07-21 2018-01-25 이종훈 자동 복구형 누전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362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586B1 (ko) 영구-자석 소호를 갖는 스위칭 디바이스
US8462006B2 (en) GFCI with overcurrent protection and end-of-life warning and tripping functions
KR101984197B1 (ko) 복합절연 개폐회로
US9312081B2 (en) Arcless fusible switch disconnect device for DC circuits
KR20230032472A (ko)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CN111383864B (zh) 断路器
EP4109486A1 (en) Safety device and three-pole base
CN204614744U (zh) 一种户外智能分界断路器总成
JP6864998B2 (ja) 防水型筐体装置
KR102541247B1 (ko) 가로등용 버튼식 자동 복구형 누전차단기
KR200255182Y1 (ko) 감전사고 방지용 전원 차단 장치
CN112503491A (zh) 一种市政安防用路灯杆漏电警示装置
CN217114278U (zh) 一种带远程控制的有明显标识的智能化断路器
CN219477359U (zh) 一种带自动断电功能的防雷电源箱
JP6813964B2 (ja) 防水型筐体装置
RU2189681C1 (ru) Комплектная трансформаторная подстанция
KR200261861Y1 (ko) 패드일체형 수변전설비
KR102329133B1 (ko)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CN204651233U (zh) 一种防误操作隔离开关
CN217134300U (zh) 一种具有滑轨式安装机构的柱上断路器
CN210985347U (zh) 一种安全防护装置
KR102541679B1 (ko) 가로등용 누전방지장치
DK2620969T3 (en) Electric high voltage switching device
CN115662813B (zh) 一种具有触电保护功能的园区建设用紧急电路保护装置
JP7349306B2 (ja) 防水型信号制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