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340B1 -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340B1
KR101222340B1 KR1020110054733A KR20110054733A KR101222340B1 KR 101222340 B1 KR101222340 B1 KR 101222340B1 KR 1020110054733 A KR1020110054733 A KR 1020110054733A KR 20110054733 A KR20110054733 A KR 20110054733A KR 101222340 B1 KR101222340 B1 KR 10122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pper body
airtight
assembl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811A (ko
Inventor
양우석
Original Assignee
양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우석 filed Critical 양우석
Priority to KR102011005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3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과 같이 실외에서 사용되어지는 등기구의 방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이 기밀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어질 수 있게 하는 전선연결기밀부재가 결합되어지는 전선배선용구멍이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벽에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벽에는 하부체의 기밀링안착띠홈으로 장착되는 기밀링을 압박하여 조립부위의 기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해주는 압박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온(on)/오프(off)전환버튼의 전선접지단자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결볼트봉이 끼워지는 설치공이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하부로 위치하여 상부체의 내부 기밀이 가능하도록 하되, 테두리벽에 기밀링이 안착되어지는 기밀링안착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체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나사가 체결되는 조립나사체결부가 네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설치공으로 끼워지는 체결볼트봉이 전선접지단자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볼트봉에는 온(on)/오프(off)푸시봉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볼트봉이 조립되어지는 튜브너트에 의해 상부체에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튜브너트와 커버체사이에 위치하도록 기밀링을 갖고 조립 형성되어지는 온(on)/오프(off)전환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electric all-in-one Waterproof switch}
본 발명은 건설현장과 같이 실외에서 사용되어지는 등기구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기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선상에 스위치를 구성하여 스위치를 별도 설치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함과 더불어 우천에 의한 빗물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방수 스위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 작업조건에 따라 등기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예로는 야간공사시 또는 지하에서의 공사를 진행할 때 시야 확보를 위한 조명이 필요로 하다.
상기 공사현장 등과 같이 옥외에서 사용되어지는 조명용 등기구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전구(램프)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함과 더불어 우천등에 의한 수분 유입을 차단하여 빗물 유입으로 야기되는 누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공통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방수가 가능하여 옥외에서 사용되어지는 조명용 등기구는 온(on) 오프(off)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는 등기구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타입이 있는가 하면, 별도로 형성되어지는 타입으로 대분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옥외에서 사용되어지는 방수용 등기구에 사용되어지는 스위치 역시 방수에 역점을 두고 생산하게 되나, 등기구와 일체형인 스위치는 등기구를 형성하는 재질과 스위치를 구성하는 재질의 수축 공차가 다르기 때문에 혹서기 및 혹한기와 같이 기온 차이가 있을 때 수축률이 서로 달라 조립부위에 간극이 발생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수축률 차이로 간극이 발생하면, 그 틈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여 누수에 의한 누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등기구 일체형 스위치는 제작이 까다로워 생산성 향상을 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등기구 일체형 스위치에 비하여 안정성이 확보된 스위치가 별도의 장소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이다.
상기 등기구 분리형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기밀성을 갖고 있으나, 전선이 연결되어지는 부위의 기밀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옥외에서의 사용시 철저한 관리가 필요로하는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있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빗물이 들이치지 않게 차양 등과 같은 가림막이 시공되어 있는 장소에 설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특정장소에 설치 사용하도록 된 스위치는 건축물등과 같은 구조물이 생성되어지는 건설현장 등에서의 사용은 가능한 반면, 가림막이 없는 들판에서의 사용시 누수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옥외에서 사용되어지는 작업등용 스위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이 관통되어지는 몸체의 전선배선용구멍에 전선연결기밀부재를 개재시켜 전선배선용구멍과 전선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선 배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몸체로 배선된 전선으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단락시켜 등기구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온(on)/오프(off)전환버튼이 기밀유지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진 커버체가 몸체에 조립 구성된 것으로써, 몸체에 커버체가 조립되어질 때 몸체의 테두리벽 상면에 형성된 기밀안착띠홈의 기밀링이 커버체의 테두리벽에 형성된 압박띠돌기가 압박하여 팽창되어지도록 함에 따라 몸체와 커버체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빗물 등이 유입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옥외에서 사용되어지는 등기구에 방수 스위치를 손쉽게 조립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 사용하는 중에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률 차이로 조립부위에서의 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방수 등기구에 사용되어지는 방수스위치의 신뢰성을 향상시켰으며, 방수 등기구의 모델에 관계 없어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방수 등기구의 모델에 따라 방수스위치를 각각 생산해야 했던 번거러움을 해소함과 더불어 방수스위치가 전선상에 일체로 조립 형성되어 짐에 따라 별도의 장소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 방수스위치가 등기구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의 효과도 발휘되는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선이 기밀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어질 수 있게 하는 전선연결기밀부재가 결합되어지는 전선배선용구멍이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벽에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벽에는 하부체의 기밀링안착띠홈으로 장착되는 기밀링을 압박하여 조립부위의 기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해주는 압박띠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온(on)/오프(off)전환버튼의 전선접지단자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결볼트봉이 끼워지는 설치공이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하부로 위치하여 상부체의 내부 기밀이 가능하도록 하되, 테두리벽에 기밀링이 안착되어지는 기밀링안착띠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체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나사가 체결되는 조립나사체결부가 네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설치공으로 끼워지는 체결볼트봉이 전선접지단자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볼트봉에는 온(on)/오프(off)푸시봉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볼트봉이 조립되어지는 튜브너트에 의해 상부체에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튜브너트와 커버체사이에 위치하도록 기밀링을 갖고 조립 형성되어지는 온(on)/오프(off)전환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연결기밀부재는 상부체에 형성된 전선배선용구멍으로 관통 위치하는 고정볼트관이 조립볼트머리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볼트관의 반대쪽에는 조임너트에 의해 직경이 변하여지는 직경변환부를 포함하는 조임볼트관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연결관체와; 상기 상부체의 전선배선용구멍으로 끼워지는 고정볼트관으로 끼워져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밀링과; 상기 고정볼트관으로 나사결합되어 상부체에 고정되어지게 하는 고정너트와;
상기 조임볼트관으로 나사식 체결되어서 조임볼트관에 형성된 직경변환부를 압박하여 관통 위치하여진 전선에 대하여 기밀튜브관이 밀착되게 해주는 조임너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체의 압박띠돌기는 반달 또는 알파벳 브이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는, 전선(150)이 관통되어지는 상부체(120)의 전선배선용구멍(112)에 전선연결기밀부재(140)를 개재시켜 전선배선용구멍(112)과 전선(150) 사이의 틈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선(150) 배선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체(120)로 배선된 전선으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을 제어하여 방수 등기구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이 기밀유지 가능하도록 조립되어진 상부체(120)에 하부체(110)에 조립 구성된 것으로써,
첫째, 전선연결부와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의 조립부 기밀은 물론 하부체(110)에 상부체(120)가 조립되어질 때 하부체(110)의 테두리벽(111) 상면에 형성된 기밀안착띠홈(113)의 기밀링(160)이 상부체(120)의 테두리벽(121)에 형성된 압박띠돌기(122)가 압박하여 기밀링(160)이 팽창되어지도록 함에 따라 하부체(110)와 상부체(120)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빗물 등의 유입으로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고;
둘째, 옥외에서 사용되어지는 등기구에 방수 스위치를 손쉽게 조립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립 사용하는 중에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률 차이로 조립부위에서의 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방수 등기구에 사용되어지는 방수스위치의 신뢰성을 향상시켰으며;
셋째, 방수 등기구의 모델에 관계 없어 호완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방수 등기구의 모델에 따라 방수스위치를 각각 생산해야 했던 번거러움을 해소하였고;
넷째, 방수스위치가 전선상에 일체로 조립 형성되어 짐에 따라 별도의 장소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 방수스위치가 등기구에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의 효과도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의 측단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의 평면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는, 전선(150)이 배선되는 상부체(120)와, 상기 상부체(120)에 조립되는 하부체(110) 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체(120)에는 전선연결기밀부재(140)와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체(120)는,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과 연결되는 전선(150)이 기밀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어질 수 있게 하는 전선연결기밀부재(140)가 결합되어지는 전선배선용구멍(112)이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벽(121)에 형성되어 일직선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벽(121)에는 하부체(110)의 테두리벽(111)에 형성되어진 기밀링안착띠홈(113)으로 장착되는 기밀링(160)을 압박하여 조립부위의 기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해주는 압박띠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체(120)의 상판(123)에는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의 전선접지단자(13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결볼트봉(132)이 끼워지는 설치공(1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부체(120)의 설치공(124)으로 조립되어지는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는, 상부체(120)의 설치공(124)으로 끼워지는 체결볼트봉(132)이 전선접지단자(131)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볼트봉(132)에는 온(on)/오프(off)푸시봉(13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온(on)/오프(off)푸시봉(134)은 체결볼트봉(132)이 조립되어지는 튜브너트(135)에 의해 씌워진다.
튜브너트(135)와 상부체(120)의 상판(123)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링(135)이 개재되어진다.
상기 상부체(120)의 전선배선용구멍(112)으로 조립되는 전선연결기밀부재(140)는 전선연결관체(146)와, 기밀링(147)과, 고정너트(148)와, 조임너트(1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연결기밀부재(140)의 전선연결관체(146)는, 상부체(120)에 형성된 전선배선용구멍(112)으로 관통 위치하는 고정볼트관(141)이 조립볼트머리(142)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볼트관(141)의 반대쪽에는 조임너트(145)에 의해 직경이 변하여지는 직경변환부(144)를 포함하는 조임볼트관(1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전선연결관체(146)의 고정볼트관(141)으로 끼워지는 기밀링(147)은 상부체(120)의 전선배선용구멍(112)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너트(148)는 상기 고정볼트관(141)으로 나사결합되어 상부체(120)에 고정되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조임볼트관(143)에 나사식 조립되는 조임너트(145)는 조임볼트관(143)에 형성된 직경변환부(144)를 압박하여 관통 위치하여진 전선(150)에 대하여 기밀튜브관(149)이 밀착되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상부체(120)의 압박띠돌기(122)는 반달 또는 알파벳 브이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상기 상부체(120)로 조립되는 하부체(110)는 사방으로 형성되어진 테두리벽(111)의 상면에 상부체(120) 테두리벽(121)에 형성되어진 압박띠돌기(122)에 압박되어 팽창되어지는 기밀링(160)이 안착되어지는 기밀링안착띠홈(113)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기밀링안착홈(113)을 포함하는 테두리벽(111)의 포함하는 네개소 상부체(12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나사가 체결되는 조립나사체결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는, 먼저 상부체(120)의 상판(123)에 형성된 설치공(124)에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의 체결볼트봉(132)을 끼운다.
상기 체결볼트봉(132)이 설치공(124)에 끼워진 상태에서 기밀링(136)을 개재시킨 다음 튜브너트(135)를 나사식 체결하여 상부체(120)에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을 조립 완료한다.
상기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의 조립이 완료되어지면 전선배선용구멍(112)에 전선연결기밀부재(140)를 조립한다.
상기 전선연결기밀부재(140)를 조립할 때에는 전선연결관체(146)의 고정볼트관(141)을 상부체(120)의 전선배선용구멍(112)에 끼운후, 고정너트(148)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볼트관(141)을 고정시킬 때 기밀부재인 기밀링(147)을 개재시킨다.
고정볼트관(141)이 상부체(120)에 고정되어진 전선연결기밀부재(140)에 조임볼트관(143) 쪽에서 전선(150)을 관통시켜 단부가 상부체(120)의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전선(150)을 관통시킬 때 기밀 유지가 가능하도록 조임볼트관(143)에 기밀튜브관(149)이 끼워진 상태에서 전선(150)을 관통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전선(150)이 관통되어진 상태에서 조임너트(145)를 조임볼트관(143)에 나사식 체결한다.
조임너트(145)가 조임볼트관(143)에 체결될 때 조임볼트관(145)에 연장 형성된 직경변환부(144)가 압박되어지면서 기밀튜브관(149)가 전선(150)에 밀착되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과 전선연결기밀부재(140)이 조립 완료되어진 상부체(120)를 하부체(110)에 조립하게 되는데, 상부체(120)에 하부체(110)를 조립할 때에는 하부체(110)의 테투리벽(111)상부로 형성된 기밀링안착띠홈(113)에 기밀링(160)을 위치시킨다.
상기 기밀링안착띠홈(113)에 기밀링(160)이 위치하여진 하부체(110)에 상부체(120)를 위치시켜 조립나사(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스크류체결부(114)에 체결시켜 조립하게 된다.
상기 조립나사에 의해 상부체(120)에 하부체(110)가 조립될 때 상부체(120)의 테두리벽(121)에 형성된 압박띠돌기(122)가 기밀링(160)에 압박을 가하게되어 탄성 변형되어지면서 하부체(110)와 상부체(120)의 조립부위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을 기밀링(160)이 안정적으로 차단시켜 조립부위에서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선(150)에 일체로 형성되어진 방수 스위치는 옥외에서 사용되어지는 등기구의 스위치로 사용되어질때 전선(150)과 일체로 형성되어져 별도의 장소에 고정시키니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연결부위 및 조립부위의 기밀이 안정저그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부재가 기온변화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수축률을 가지고 신축변형되어지는 것이어서 건설현장 및 사용장소에 구애받지않고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110 : 하부체 111,121 : 테두리벽
112 : 전선배선용구멍 113 : 기밀링안착띠홈
114 : 스크류체결부 120 : 상부체
122 : 압박띠돌기 123 : 상판
124 : 설치공 130 : 온(on)/오프(off)전환버튼
131 : 전선접지단자 132 : 체결볼트봉
134 : 온/오프푸시봉 135 : 튜브너트
140 : 전선연결기밀부재 141 : 고정볼트관
142 : 조립볼트머리 143 : 조임볼트관
144 : 직경변환부 145 : 조임너트
146 : 전선열결관체 147,160 : 기밀링
148 : 고정너트 149 : 기밀튜브관
150 : 전선

Claims (3)

  1. 전선(150)이 기밀 유지된 상태로 연결되어질 수 있게 하는 전선연결기밀부재(140)가 결합되어지는 전선배선용구멍(112)이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벽(121)에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벽(121)에는 하부체(110)의 기밀링안착띠홈(113)으로 장착되는 기밀링(160)을 압박하여 조립부위의 기밀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해주는 압박띠돌기(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의 전선접지단자(13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결볼트봉(132)이 끼워지는 설치공(124)이 상판(123)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체(120)와;
    상기 상부체(120)의 하부로 위치하여 상부체의 내부 기밀이 가능하도록 하되, 테두리벽(111)에 기밀링(160)이 안착되어지는 기밀링안착띠홈(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체(12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나사가 체결되는 조립나사체결부(114)가 네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체(110)와;
    상기 상부체(120)의 설치공(124)으로 끼워지는 체결볼트봉(132)이 전선접지단자(131)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볼트봉(132)에는 온(on)/오프(off)푸시봉(134)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볼트봉(132)이 조립되어지는 튜브너트(135)에 의해 상부체(120)에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튜브너트(135)와 상부체 (120)사이에 위치하도록 기밀링(136)을 갖고 조립 형성되어지는 온(on)/오프(off)전환버튼(1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기밀부재(140)는 상부체(120)에 형성된 전선배선용구멍(112)으로 관통 위치하는 고정볼트관(141)이 조립볼트머리(142)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볼트관(141)의 반대쪽에는 조임너트(145)에 의해 직경이 변하여지는 직경변환부(144)를 포함하는 조임볼트관(143)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연결관체(146)와;
    상부체(120)의 전선배선용구멍(112)으로 끼워지는 고정볼트관(141)으로 끼워져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밀링(147)과;
    상기 고정볼트관(141)으로 나사결합되어 상부체(120)에 고정되어지게 하는 고정너트(148)와;
    상기 조임볼트관(143)으로 나사식 체결되어서 조임볼트관(143)에 형성된 직경변환부(144)를 압박하여 관통 위치하여진 전선(150)에 대하여 기밀튜브관(149)이 밀착되게 해주는 조임너트(14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20)의 압박띠돌기(122)는 반달 또는 알파벳 브이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KR1020110054733A 2011-06-07 2011-06-07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KR101222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33A KR101222340B1 (ko) 2011-06-07 2011-06-07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33A KR101222340B1 (ko) 2011-06-07 2011-06-07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811A KR20120135811A (ko) 2012-12-17
KR101222340B1 true KR101222340B1 (ko) 2013-01-14

Family

ID=4790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33A KR101222340B1 (ko) 2011-06-07 2011-06-07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72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에스이티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20U (ko) * 2016-11-21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다운 라이트용 전선연결단자 및 가요 전선관 마운팅 브래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6738A (ja) 2005-02-24 2006-09-07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スイッチの防水構造及び電動シャッター
KR100824909B1 (ko) 2007-05-18 2008-04-23 강선우 수중용 마이크로스위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6738A (ja) 2005-02-24 2006-09-07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スイッチの防水構造及び電動シャッター
KR100824909B1 (ko) 2007-05-18 2008-04-23 강선우 수중용 마이크로스위치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72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에스이티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KR102584362B1 (ko) * 2021-08-31 2023-10-05 주식회사 에스이티 가로등용 방수형 누전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811A (ko) 201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2425B (zh) 電源裝置與其組裝方法
KR20160018446A (ko) 통용형 led 벌브 구성 방법 및 플랜지 스냅 링 타입의 led 벌브 및 램프
EP2522901A1 (en) Luminaire
KR101222340B1 (ko) 전선 일체형 방수 스위치
EP2527721A2 (en) Luminaire
CN205592680U (zh) 一种三防led灯
US10935229B2 (en) Adjustable lighting fixture for decorative light
JP4333432B2 (ja) ダウンライト
KR102344789B1 (ko) 연결과 분리가 용이한 smps모듈 구조로 된 조명기구
CN105605452A (zh) 一种led灯具
KR102118832B1 (ko) 전선 직결형 엘이디 램프
CN201000008Y (zh) 组合式数码护栏灯管
CN205610539U (zh) 光伏板安装组件
CN203395776U (zh) 一种装配方便的led路灯
CN216667623U (zh) 一种led投光灯防水结构
CN219640174U (zh) 投光灯
CN219713159U (zh) 灯具模组
CN205640350U (zh) 一种led灯具
CN205640260U (zh) 一种灯具的端盖接线装置
CN220793081U (zh) 一种仿形火焰灯
CN104421793A (zh) 舱顶灯
CN209909851U (zh) 一种复合型线条防爆灯
KR102594406B1 (ko) 난간 조명장치
KR101525995B1 (ko) 엘이디 방폭등용 착탈식 컨버터장치
CN203431739U (zh) 灯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