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454B1 - 전자장치, 데이터 처리시스템, 데이터 처리방법 및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데이터 처리시스템, 데이터 처리방법 및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454B1
KR100760454B1 KR1020060083767A KR20060083767A KR100760454B1 KR 100760454 B1 KR100760454 B1 KR 100760454B1 KR 1020060083767 A KR1020060083767 A KR 1020060083767A KR 20060083767 A KR20060083767 A KR 20060083767A KR 100760454 B1 KR100760454 B1 KR 10076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stored
information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211A (ko
Inventor
가즈노리 후카사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2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비휘발성메모리(25)는 제거가능한 UIM 카드(30)의 인증정보와 관련된 다운로드된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저장한다.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할 때는, CPU(11)는 요청된 콘텐츠데이터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셀룰라폰(10)에 이미 저장되어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요청된 콘텐츠데이터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셀룰라폰(10)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CPU(11)는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만약 저장된 경우, CPU(11)는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를 하지 않고, 콘텐츠데이터와 관련된 인증정보가 현재 장착된 UIM 카드(30)의 인증정보에 맞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인증정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PU(11)는 콘텐츠 ID에 관련된 것 및 인증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셀룰라폰, 메모리, 콘텐츠데이터, 콘텐츠조사정보, UIM 카드, CPU, 콘텐츠 ID

Description

전자장치, 데이터 처리시스템,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록매체{ELECTRONIC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이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이해함으로서 더욱 명백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폰 시스템(100)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2는 콘텐츠서버(53)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UIM 카드(30)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비휘발성메모리(35)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셀룰라폰(1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비휘발성메모리(25)의 메모리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적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의 구조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관리테이블(251)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셀룰라폰(10)으로 실행된 콘텐츠데이터 획득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 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액정디스플레이유닛(17)에 나타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 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지불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A는 요금테이블 데이터베이스(66)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리고 도 13B는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67)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전반적인 무선통신시스템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조건테이블(254)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 데이터 처리시스템,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통신표준용 규격인 IMT(국제 이동통신)-2000에 기초하여 셀룰라폰은 발전해왔다. 이 규격은, 셀룰라폰이 저장된 가입자정보(IMSI: 국제이동가입자인증) 등을 가진 UIM(사용자 인증 모듈)카드가 셀룰라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각 사용자들은 UIM 카드를 셀룰라폰 본체로 삽입시킴으로 서 셀룰라폰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 셀룰라폰은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심사청구된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에 게시된 제 2004-336719 호는 각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도록 UIM 카드의 IMSI에 관련된 고유 폴더에서 암호화된 셀룰라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동단말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UIM 카드를 사용하는 셀룰라폰에서, 각 데이터부분들은 UIM 카드에 관련하여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에 부합하는 UIM 카드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데이터가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셀룰라폰에 또 다른 UIM 카드가 장착되 있을 때 콘텐츠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 경우에서, 다운로드 콘텐츠데이터에 셀룰라폰의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있는 조차도, 다시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은 필요하다. 그 결과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메모리에 과다하게 저장됨으로서 메모리 공간효율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병은 보편적인 기술적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 데이터 처리시스템, 데이터 처리방법, 및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신네트워크를 거쳐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련된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대응지어 저장하는 메모리유닛;
장착된 외부메모리매체를 지닌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로부터 고유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유닛;
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선택지시로 지시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 및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이 선택지시로 지시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된 것으로 판별할 때, 메모리유닛에서 저장된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와 고유 정보의 대응지음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제어를 실행하고,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이 선택지시로 지시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메모리유닛에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할 때, 선택지시로 지시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외부장치에게 요청하는 동작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선택된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이미 획득되어진 경우 또다시 데이터를 획득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과다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막게 되어 메모리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폰 시스템(100)의 시스템구조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라폰 시스템(100)은 셀룰라폰(10), 셀룰라폰(10)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지국(50), 및 콘텐츠서버(53)를 가진다. 기지국(50)과 콘텐츠서버(53)는 이동통신 네트워크(51) 및 인터넷(52)을 통해 함께 연결된다. 사용자는 셀룰라폰(10)에서 UIM 카드(30)를 자유롭게 제거할 수 있고, 이 카드를 셀룰라폰(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UIM 카드(30)는 셀룰라폰(10)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탈착된다. UIM 카드(30)가 장착될 때, 셀룰라폰(10)은 다른 셀룰라폰을 지닌 전화기가 될 수 있고 콘텐츠서버(53)로부터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서버(53)의 구조를 도 2를 언급하면서 설명한다. 콘텐츠서버(53)는 제어기(61), 통신유닛(62), 및 메모리유닛(63)을 가진다.
제어기(61)는, CPU(11)를 포함하며, 그리고 메모리유닛(63)에 저장된 동작시스템(OS), 제어프로그램 등에 따른 콘텐츠서버(53)의 각 유닛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61)는 셀룰라폰(10)에 메모리유닛(63)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 등을 전송하기 위해 통신유닛(62)을 제어한다.
통신유닛(62)은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라우터, 또는 모뎀과 같은 소정의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통신유닛(62)은 제어기(61)의 제어하에 셀룰라폰(10)과 통신한다.
메모리유닛(63)은 RAM, ROM, 또는 하드디스크장치와 같은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유닛(63)은 콘텐츠서버(53)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OS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모리유닛(63)은 셀룰라폰(10)에 배분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유닛(63)은 각 콘텐츠데이터용 콘텐츠조사정보(65)를 저장한다. 콘텐츠조사정보 (65)는, 콘텐츠데이터가 셀룰라폰(10)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셀룰라폰(10)에 의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조사정보(65)는 콘텐츠데이터의 관리코드, 제목, 생성 일시, 데이터 용량, 버전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메모리유닛(63)은 콘텐츠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며, 그리고 콘텐츠조사정보(65)는 콘텐츠데이터의 머리말 영역에 저장된다. 각 머리말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관한 목록을 넣는 것은 제어기(61)가 중재 콘텐츠데이터에 부합하는 콘텐츠조사정보(65)를 얻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이 구조는 단지 예이며, 그리고 다른 실시예들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유닛(63)은 요금테이블 데이터베이스(66) 및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67)를 저장한다. 이러한 것들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셀룰라폰(10)이 콘텐츠데이터에 관한 콘텐츠조사정보(65)의 전송을 요청함으로서, 콘텐츠서버(53)는 셀룰라폰(10)에 요청된 콘텐츠조사정보(65)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조를 갖는다. 셀룰라폰(10)이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콘텐츠서버(53)에게 요청함으로서, 콘텐츠서버(53)는 셀룰라폰(10)에 요청된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한다. 콘텐츠서버(53)로 실행된 처리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UIM 카드(3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UIM 카드(30)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UIM 카드(30)는 CPU(중앙처리장치)(31), 외부인터페이스(32), ROM(읽기 전용 메모리)(33), RAM(랜덤 접근 메모리)(34) 및 비휘발성메모리(35)를 가진다.
CPU(31)는 작업 영역내의 ROM(33)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RAM(34)에 서 독출하고, 이런 프로그램들에 따라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외부 인터페이스(32)는 UIM 카드(30)와 셀룰라폰(10)에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해 연결하는 것이다.
ROM(33)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고, CPU(31)로 운영되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RAM(34)은 CPU(31)로 운영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 및 이러한 프로그램들과 관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비휘발성메모리(35)는 UIM 카드(30) 상의 고유 정보인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비휘발성메모리(35)에 저장된 데이터의 콘텐츠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전화번호는 가입자 정보로서 저장된다. 전화번호는, 셀룰라 폰(10)이 무선통신을 실행할 때 또다른 셀룰라폰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셀룰라폰(10)을 식별하는 것이다. 전화번호에 따라, 비휘발성메모리(35)는 사용자 이름, 전자 메일 주소, 네트워크 인증번호, MAC 주소 및 IP주소와 같은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셀룰라폰(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라폰(10)은 CPU(11), 안테나(12), 무선통신유닛(13), 음성코덱유닛(14), 수신기 스피커(15), 전송기 마이크로폰(16), 디스플레이유닛(17), 입력유닛(18), 외부메모리 로딩유닛(19), UIM 로딩유닛(20), 오디오 출력유닛(21), 스피커(22), ROM(23), RAM(24), 및 비휘발성메모리(25)를 가진다.
CPU(11)는 작업영역내의 ROM(23)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RAM(24)에서 독출하고, 이런 프로그램들에 따른 다양한 처리들을 실행하며, 그리고 RAM(24)에 소정 영역내에 처리결과를 저장한다. CPU(11)는 처리결과를 나타나게 하는 디스플레이유닛(17)을 가진다.
무선통신유닛(13)은 CPU(11)로부터 입력된 통신데이터를 변조하고, 안테나(12)를 통하여 기지국(50)에 무선통신신호를 전송한다. 무선통신유닛(13)은 안테나(12)를 통하여 기지국(50)으로부터 수신된 무선통신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기저대역신호로부터 무선제어데이터, 음성데이터, 콘텐츠데이터 등을 획득하고 CPU(11)에 이러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성코덱유닛(14)은 A/D(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로 전송기 마이크로폰(16)으로부터 음성신호입력 상에 암호화를 실행하고, 암호화된 신호를 음성데이터로 전환하며, 그리고 음성데이터를 무선통신유닛(13)에 출력한다. 음성코덱유닛(14)은 무선통신유닛(13)으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암호화된 신호로 전환하는 것을 실행하며, D/A(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로 암호화된 신호를 음성신호로 해독하여 수신기 스피커(15)에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유닛(17)은 CPU(11)로부터 입력된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를 나타나게 한다. 디스플레이유닛(17)은, 예를 들면, LCD(액정디스플레이)를 가진다. 디스플레이유닛(17)은 CPU(11) 및 디스플레이유닛(17)의 영상동작처리기(미도시)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 후에 디스플레이유닛(17)의 출력버퍼(미도시)에 관한 처리된 데이터를 기록한다. 출력버퍼에 관한 기록된 영상정보는 소정의 동기타이밍에서 영상신호로 전환하고 LCD로 출력한다. 이것은 다양한 영상을 나타 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입력유닛(18)은 숫자 키이, 커서 키이, 및 다양한 기능 키이와 같은 입력 키이를 가지며, 그리고 사용자의 키이 누름에 부합하는 아래-누름 신호를 CPU(11)에 출력한다. 입력유닛(18)은 다른 입력장치를 가질 수 있다.
외부메모리 로딩유닛(19)에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메모리(40)가 장착된다. CPU(11)는 외부메모리(40)에 데이터를 쓰고, 데이터를 외부메모리(40)에서 독출한다. UIM 로딩유닛(20)에는 UIM 카드(30)가 장착된다. CPU(11)는 UIM 카드(30)에 데이터를 쓰며, 그리고 데이터를 UIM 카드(30)에서 독출한다. 사용자는 외부메모리(40) 및 UIM 카드(30)를 자유롭게 제거하거나 부착시킬 수 있다.
셀룰라폰(10)이 수신통화일 때, 오디오출력유닛(21)은 CPU(11)로부터 벨소리지시에 따른 소정의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고, 벨소리신호를 스피커(22)에 출력하며, 그리고 전화통화의 사용자 또는 메일의 수신을 알려준다. 스피커(22) 및 수신기 스피커(15)는 공유된 단일 스피커일 수 있다.
ROM(23)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며, 그리고 CPU(11)로 운영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RAM(24)은 CPU(11)로 운영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 및 이 프로그램에 관한 데이터들을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휘발성메모리(25)는 관리테이블(251),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 및 다른 메모리영역(253)을 가진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은, 음악 데이터( 예를 들면, 벨 소리), 비디오 데이터(예를 들면, 영화), 및 문자 데이터(예를 들면, 소설)와 같은 콘텐츠서버(53)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한다. CPU(11)는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내의 무선통신유닛(13)으로 수신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한다. CPU(11)는 콘텐츠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콘텐츠데이터를 콘텐츠 ID에게 준다. 주목할 점은, 콘텐츠 ID는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저장된 각 콘텐츠데이터를 식별시키는 1 개일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ID는 파일이름, 생성 날짜, 및 데이터 용량과 같은 프로파일 데이터로부터 인용될 수 있다.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콘텐츠데이터는 콘텐츠조사정보(65),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머리말 영역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조사정보(65)는 관리코드, 제목, 생성 일시, 데이터 용량 및 버전을 포함한다. 관리코드는 콘텐츠데이터의 분배 시점 이전에 콘텐츠서버(53)에 의해 주어지는 유일한 코드이다. 예를 들면, 관리코드는 숫자, 문자, 및 기호로 나타나게 된다. 제목은 문자, 문자열, 또는 텍스트 등이다. 생성 일시는 콘텐츠데이터가 만들어질 때의 날짜 및 시간이다. 데이터 용량은 콘텐츠데이터의 데이터 크기이다. 데이터 용량의 유닛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버전은 콘텐츠데이터의 생성 시점에서 주어지고,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나타내지는 코드이다. 예를 들면, 콘텐츠데이터의 일부가 업데이트됨으로서, 관리코드는 변하지는 않지만 버전은 변하게 된다. 즉, 버전이 다름으로서, 사용자들은 콘텐츠데이터가 업데이트된 것을 알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콘텐츠데이터의 본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콘텐츠데이터의 구조는 단지 예이며, 그리고 콘텐츠데이터 의 구조를 임의로 수정하는 실시예는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관리코드는 일부 제목 또는 모든 제목, 생성 일시, 데이터 용량, 및 버전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콘텐츠조사정보(65)의 구조를 간단하게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데이터가 다운로드될 때, 관리테이블(251)은 장착된 UIM 카드(30)의 인증정보에 관련된 콘텐츠 ID를 저장한다. 전화번호는 도면에서 UIM 카드(30)의 인증정보로서 사용된다. 콘텐츠 ID 및 UIM 카드(30)의 인증정보가 차례로 서로 관련될 필요는 없다. 1 개의 콘텐츠 ID는 복수의 UIM 카드(30)의 복수의 인증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UIM 카드(30)를 가지는 사용자가 UIM 카드(30)를 바꾸고 동일한 콘텐츠 ID를 가진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함에 따라, CPU(11)는 복수의 UIM 카드(30)에 관련된 콘텐츠 ID를 설정한다. CPU(11)는 중재 타이밍에서 관리테이블(251)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고, 업데이트하고, 추가하고 및 삭제한다. 가입자 번호, 사용자 이름, UIM 카드(30)의 유일한 코드, 및 MAC 주소는 UIM 카드(30)의 인증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각 콘텐츠 ID에 대해, 또는 UIM 카드(30)의 각 인증정보에 대해,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추가되거나 또는 삭제될 때에 날짜 및 시간은 저장되고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메모리영역(253)은 CPU(11)로 실행된 다양한 처리의 시점에서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 영역이다. 다른 메모리영역(253)은 셀룰러폰(10)의 다양한 설정값, 사용자로 인해 생성 날짜 등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셀룰라폰(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는 셀룰라폰(10)으로 실행된 콘텐츠데이터 획득처리를 도시하는 순서도 이다. CPU(11)가 ROM(2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4)내에서 독출하고 실행시킴으로서 이 처리는 실현된다.
우선, CPU(11)는 입력유닛(18)으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서버(53)에 연결되고 사용되는 콘텐츠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1). 콘텐츠서버(53)는 셀룰라폰(10)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을 가졌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사용자 인증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입력유닛(18)은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와 같은 사용자 인증에 대해 요구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한다. CPU(11)는 무선통신유닛(13)을 제어하며, 그리고 이런 정보를 콘텐츠서버(53)에 전송한다. 메모리유닛(63)에 저장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와 같은 정보가 사용자의 이름 및 패스워드에 과한 수신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는 콘텐츠의 사용을 허가하고, 그리고 수신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허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의 설계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증은, 셀룰라폰(10)이 사용(재생) 콘텐츠데이터의 기능을 가진 사실 여부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음악데이터의 기능을 가지지 않거나 또는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 소정의 재생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셀룰라폰(10)이 음악데이터를 배분하는 콘텐츠를 사용할 때,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는 콘텐츠의 사용을 허락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는 재생 수, 오디오출력유닛(21), LCD의 영상 해상도, 및 재생 프로그램의 종류 및 버전과 같은 셀룰라폰(10)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셀룰라폰(10)에게 요청한다. 셀룰라폰(10)의 CPU(11 는 무선통신유닛(13)을 제어하며, 그리고 요청된 정보를 콘텐츠서버(53)에게 전송한다.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는 셀룰라폰(10)이 콘텐츠를 사용하는 수신된 정보 및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사용하는 기능을 가진 여부를 간주하여 인증한다. 또는, 콘텐츠서버(53)는 셀룰라폰(10)의 모델 수 등에 기초하여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은 실질적으로 사용가능하지 않는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CPU(11)는 메모리영역을 사용하지 않고 비휘발성메모리(25)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CPU(11)는 선택된 콘텐츠데이터에 부합하는 콘텐츠조사정보(65)를 전송하기 위해 콘텐츠서버(53)에게 요청한다(단계 S2).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는 셀룰라폰(10)에게 요청된 콘텐츠조사정보(65)를 전송한다. CPU(11)는 콘텐츠서버(53)로부터 선택된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조사정보(65)를 획득한다(단계 S3). CPU(11)는 획득한 콘텐츠조사정보(65)를 다른 메모리영역(253)에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CPU(11)는, 선택된 콘텐츠데이터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서버(53)으로부터 획득한 콘텐츠조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 더 자세하게, CPU(11)는 콘텐츠서버(53)로부터 획득한 콘텐츠조사정보(65)에 포함된 관리코드, 제목, 생성 일시, 데이터 용량, 및 버전이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여부를 판별한다. 실시예에서, 콘텐츠조사정보(65) 둘 다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CPU(11)는 둘 다 동일한 콘텐츠데이터인 것으로 판별한다. 그러나, 판별 기준을 임 의로 변화시키는 실시예는 사용될 수 있다.
선택된 콘텐츠데이터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된 경우(단계 S4: YES), CPU(11)는 UIM 로딩유닛(20)에 현재 장착된 UIM 카드(30)에 관한 인증정보를 독출한다. CPU(11)는 비휘발성메모리(25)의 관리테이블(251)에서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 ID에 관련된 인증정보가 UIM 카드(30)의 독출된 인증 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5). 복수의 인증정보가 1개의 콘텐츠 ID와 관련되어 있는 경우, CPU(11)는 모든 관련된 인증정보로 판별을 실행한다. 반대로, 선택된 콘텐츠데이터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 영역(252)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단계 S4: NO), CPU(11)는 이후에 설명될 단계 S9의 처리로 이동한다.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 ID에 관련된 인증정보가 UIM 카드(30)의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단계 S5: YES), CPU(11)는 콘텐츠데이터가 이미 다운로드되고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단계 S6). 예를 들면, CPU(11)는 디스플레이유닛(17)을 제어하며, 그리고 소정의 시간 동안 LCD에 관한 도 10A에서 도시된 스크린을 나타나게 한다. 그 후에, CPU(11)는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한다. 그 결과로,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이미 다운로드 된 경우, 셀룰라폰(10)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를 다시 다운로드하지 않는다. 따라서, 셀룰라폰 시스템(100)의 통신 트래픽을 막는 것은 가능하다. 셀룰라폰(10)의 통신 단가도 줄게 된다. CPU(11)는 사용자에게 통보없이 재생 콘텐츠데이터를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CPU(11)는 단계 S6으로 건너뛴다. 이것은 사용자 가 콘텐츠를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S5에서,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 ID에 관련된 인증정보가 UIM 카드(30)의 인증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단계 S5: NO), CPU(11)는 콘텐츠데이터가 다운로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7). 예를 들면, CPU(11)는 디스플레이유닛(17)을 제어하며, 그리고 LCD에 관한 도 10B에 도시된 스크린을 나타나게 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CPU(11)는 예를 들면, "데이터가 이미 저장되었습니다. 데이터의 다운로드없이 콘텐츠가 사용가능하도록 관련성을 변경할까요?" 이 스크린은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 없이 관리테이블(251)만을 변화시키는 (1)지시용 입력버튼(171),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로부터 개별적으로 콘텐츠데이터를 새롭게 획득시키는 (2)지시용 입력버튼(172), 및 콘텐츠를 사용하는 동작을 취소시키는 지시용 입력버튼(173)을 포함한다. CPU(11)는 입력 버튼의 누름에 기초하여 콘텐츠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 여부를 판별한다. 입력버튼(173)이 눌러지는 경우, CPU(11)는 임시적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버리고, 콘텐츠데이터 획득 처리를 종료시킨다.
콘텐츠데이터가 다운로드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될 때, 즉 도 10B에 도시된 선택 스크린에 입력 버튼(171)이 눌러질 때(단계 S8: NO), CPU(11)는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 처리 실행없이 지불처리를 실행하도록 콘텐츠서버(53)에게 요청한다(단계 S10). 지불처리는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CPU(11)는 관리테이블(251)을 업데이트시킨다(단계 S11). 특히 CPU(11)는 UIM 로딩유닛(20)에 현재 장착된 UIM 카드(30)의 인증정보로 관리테이블(251)에 부합하는 콘텐츠 ID를 추가적으로 관련시키고 저장한다. 도 10C는 관리테이블(251)이 업데이트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17)의 LCD에 나타나게 된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것이다. 관리테이블(251)의 업데이트가 종료됨으로서, CPU(11)는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시키고, 콘텐츠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미 다운로드된 경우, 셀룰라폰(10)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를 다시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하고 이 콘텐츠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셀룰라폰(10)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을 막을 수 있다. 셀룰라폰(10)의 통신 트래픽을 막는 것은 가능하다. 사용자는 콘텐츠데이터의 사용을 빠르게 시작할 수 있다. 셀룰라폰의 통신단가(10)는 감소될 수 있다.
단계 S8에서, 콘텐츠데이터가 다운로드되는 것으로 판별될 때, 즉, 도 10B에 도시된 선택스크린에 입력버튼(172)이 눌러질 때(단계 8: YES), CPU(11)는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9). 다운로드 처리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된다.
CPU(11)는 지불처리를 실행하도록 콘텐츠서버(53)에게 요청한다(단계 S10). CPU(11)는 관리테이블(251)을 업데이트 시킨다(단계 S11). 특히, CPU(11)는 새로운 콘텐츠 ID를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에게 준다. CPU(11)는 관리테이블(251)에서 UIM 로딩유닛(20)에 현재 장착된 UIM 카드(30)의 인증 정보에 관련된 콘텐츠 ID를 저장한다. 도 10D는, 콘텐츠데이터가 다운로드되고 관리테이블(251)이 업데이트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17)의 LCD 상에 나타난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것이다.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 및 관리테이블(251)의 업테이트가 종료됨으로서, CPU(11)는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콘텐츠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CPU(11)는 콘텐츠데이터가 단계 S8에서 다운로드되지 않는 것으로 항상 판별할 수 있다. 즉, 선택된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된 경우, CPU(11)는 콘텐츠데이터를 항상 다운로드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콘텐츠의 다른 사용자의 사용에 의식하지 않아도 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콘텐츠데이터가 다른 어떤 사람들로 알게 되지않는 것에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불처리는 단계 S10에서 실행되지만, 사용되는 콘텐츠데이터가 변화되거나 또는 자유롭게 되는 여부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다(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예를 들면, 콘텐츠조사정보(65)는 콘텐츠가 변하거나 자유롭게 되는 것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조를 가진다. 사용된 콘텐츠데이터가 자유롭게 하는 지시 플래그 값이 사용된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조사정보(65)로 설정되는 경우, CPU(11)는 지불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그렇지 않으면, CPU(11)는 지불처리를 실행한다.
(다운로드 처리)
다음으로,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 처리는 도 11을 언급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CPU(11)는 콘텐츠서버(53)로부터 콘텐츠조사정보(65)에 부합하는 콘텐 츠데이터를 획득한다(다운로드한다)(단계 S21). CPU(11)는 다른 메모리영역(253)에서 획득한 콘텐츠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CPU(11)는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에 새로운 콘텐츠 ID를 준다(단계 S22). CPU(11)는 다른 메모리영역(253)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콘텐츠조사정보(665)를 저장한다(단계 S23).
따라서, UIM 카드(30)가 바꾸어질 경우조차도, 동일한 콘텐츠데이터의 획득이 요구될 때, CPU(11)는 상술된 콘텐츠데이터 획득 처리를 실행함으로서 다시 동일한 콘텐츠데이터를 획득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CPU(11)는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유닛(252)의 남은 용량을 판별할 수 있으며, 그리고 판별결과에 의존하여 동작을 변화시킨다. 즉, 단계 S21 이전에, CPU(11)는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의 남은 용량 및 콘텐츠조사정보(65)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다운로드 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데이터의 데이터 용량을 지시하는 메모리영역이 충분한 여부를 판별한다. 메모리영역이 충분할 때, CPU(11)는 상술된 순서도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영역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CPU(11)는 콘텐츠데이터를 절약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한다.
메모리영역을 확보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로서, CPU(11)는 콘텐츠 ID, UIM 카드(30)의 인증 정보, 및 또 다른 것과 관련된 기록 일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그것들을 관리테이블(251)에 저장한다. 메모리영역이 불충분한 경우, CPU(11)는 관리테이블(251)을 조회하여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으로부터 오래된 날짜 및 시간에 관해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를 삭제시킨 다. CPU(11)는 관리테이블(251)로부터 삭제된 콘텐츠 ID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삭제시킨다. 이 결과로 메모리영역이 충분히 확보된 경우, CPU(11)는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한다. 아직까지 메모리영역이 불충분한 경우, 처리는 충분한 메모리영역이 확보될 때까지 반복된다.
( 지불처리 )
다음으로, 지불처리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의 콘텐츠데이터 사용 요금을 지불하는 지시정보를 셀룰라파폰(10)의 사용자가 콘텐츠서버(53)에 전송함으로서, 지불처리는 콘텐츠서버(53)로 실행된다. 콘텐츠서버(53)의 메모리유닛(63)은 각 콘텐츠데이터용 요금을 이전에 저장한다. 지불처리가 실행됨으로서, 메모리유닛(63)은 각 사용자의 사용요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는 셀룰라폰(10)의 통신요금과 아울러 콘텐츠데이터의 사용요금의 이용을 이후 날짜에 청구한다.
우선, 제어기(61)는, 셀룰라폰(10)으로부터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하는 셀룰라폰(10)의 UIM 로딩유닛(20)에 장착된 UIM 카드(30)의 인증정보(전화번호 등)를 획득한다(단계 S31). 즉, 통신유닛(62)은 지불처리가 셀룰라폰(10)으로부터 시작되어진다라는 뜻의 통보를 수신함으로서, 제어기(61)는 지불처리를 시작하고 셀룰라폰(10)의 UIM 로딩유닛(20)에 장착된 UIM 카드(30)의 인증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셀룰라폰(10)에게 요청한다. 셀룰라폰(10)이 요청을 수신함으로서, UIM 로딩유닛(20)에 장착된 UIM 카드(30)의 인증정보는 전송된다. 제어기(61)는 이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제어기(61)는 셀룰라폰(10)으로 사용되는 콘텐츠데이터를 지정한다(단계 S32). 즉, 제어기(61)는 단계 S2로 셀룰라폰(10)에 의해 요청된 콘텐츠조사정보(65)에 기초하여 셀룰라폰(10)에 의해 사용되는 콘텐츠테이터를 상술된 콘텐츠데이터 획득처리에 지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61)는 사용된 콘텐츠데이터의 관리코드를 획득하며, 그리고 이 데이터를 RAM에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제어기(61)는 메모리유닛(63)에서 저장된 요금테이블 데이터베이스(66)로부터 단계 S32에 지정된 콘텐츠데이터의 사용요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33). 예를 들면, 도 13A은 요금테이블 데이터베이스(66)에 저장된 정보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요금테이블 데이터베이스(66)는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하는 요금구조에 관련된 콘텐츠데이터의 관리코드를 저장한다. 제어기(61)는 요금테이블 데이터베이스(66)으로부터 독출된 요금에 관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요금테이블 데이터베이스(66)에 저장된 데이터의 데이터 형태는 상술된 경우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제어기(61)는 단계 S32에서 지정된 콘텐츠데이터가 셀룰라폰(10)에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4). 콘텐츠데이터가 셀룰라폰(10)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때(단계 S34: NO), 제어기(61)는 지불처리를 종료시킨다. 반대로, 콘텐츠데이터가 셀룰라폰(10)에 의해 사용될 때(단계 S34: YES), 제어기(61)는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67)를 업데이트시킨다(단계 S35). 즉, 제어기(61)는 셀룰라폰(10)의 UIM 카드(30)의 인증정보, 단계 S32에 지정된 콘텐츠데이터의 관리코드, 및 또 다른 것에 관련된 사용일시를 설정하며,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67)에 저장한다. 도 13B는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67)에 저장된 데이터의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셀룰라폰(10)이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할 때마다, 제어기(61)는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67)에 1개의 레코드를 기록한다.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67)에 저장된 데이터의 형식은 이 경우에 국한되지 않는다.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는 이 방식으로 지불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제공자는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67)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매달의 청구 날짜에 대한 콘텐츠의 사용 이용료를 사용자에게 청구한다.
(전체적인 셀룰라폰 시스템의 처리 흐름)
본 발명의 이해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셀룰라폰(10) 및 콘텐츠서버(53)가 상술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함께 작업하는 환경을 도 14를 언급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셀룰라폰(10)의 CPU(11)는 사용되는 콘텐츠데이터를 선택하고, 무선통신유닛(13)을 제어하고, 콘텐츠데이터에 부합하는 콘텐츠조사정보(65)를 전송하기 위해 콘텐츠서버(53)에게 요청한다(단계 S41).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는 메모리유닛(63)으로부터 요청 콘텐츠조사정보(65)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신유닛(62)을 제어한다(단계 S42). 셀룰라폰(10)의 CPU(11)는, 콘텐츠서버(53)로부터 콘텐츠조사정보(65)를 수신하며, 그리고 콘테츠 데이터가 콘텐츠조사정보(65) 및 관리테이블(251)에 기초하여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3).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또는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되고 다시 다운로드 된 경우, CPU(11)는 무선통신유닛(13)을 제어하고,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콘텐츠서버(53)에게 요청한다(단계 S44).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는 메모리유닛(63)으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데이터를 획득하며, 그리고 셀룰라폰(10)에 콘텐츠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신유닛(62)을 제어한다(단계 S45). 셀룰라폰(10)의 CPU(11)는 콘텐츠서버(53)로부터 콘텐츠데이터를 수신하며, 그리고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단계 S46).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된 경우, CPU(11) 및 제어기(61)는 단계 S44내지 S46의 처리를 건너뛴다.
셀룰라폰(10)의 CPU(11)는 콘테츠 데이터가 사용중이라는 뜻의 통보를 콘텐츠서버(53)에 전송하기 위해 무선통신유닛(13)을 제어한다(단계 S47). 또는, 지불처리가 실행중이라는 뜻의 통보가 전송될 수 있다. 콘텐츠서버(53)의 제어기(61)가 이 통보를 수신함으로서, 지불처리는 제어기에 의해 실행된다(단계 S48). 지불처리가 종료됨으로서, 지불처리가 종료되었다는 뜻의 통보를 셀룰러폰(10)에 전송하기 위해 제어기(61)는 통신유닛(62)을 제어한다(단계 S49). CPU(11)는 지불처리가 종료되었다는 뜻의 통보를 수신함으로서, 관리테이블(251)은 업데이트된다(단계 S50). 즉, CPU(11)는 UIM 카드(30)의 인증정보에 더 관련된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의 콘텐츠 ID를 저장한다. CPU(11)는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하기 시작한다(단계 S51).
상술된 설명에서 본 바와 같이, 선택된 콘텐츠데이터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 가 콘텐츠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된 경우, 셀룰라폰(10)은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지 않고, 이미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하고 재생한다. 관리테이블(251)을 변화시킴으로서, 과다한 데이터의 저장을 막는 것은 가능하다. 이것은 메모리영역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메모리 사용의 효과성은 개선될 수 있으며, 그리고 데이터는 더 작은 데이터 용량으로 공유될 수 있다. 나머지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하지 않음으로서, 불필요한 통신 이용료의 원인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콘텐츠데이터를 이미 다운로드 한 경우,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없이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하는 것, 또는 콘텐츠데이터를 새롭게 다운로드하고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서 이미 저장된 콘텐츠데이터로부터 개별적으로 콘텐츠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선택하는 구조를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실시예의 수정된 예로서, 콘텐츠조사정보(65)는 소정의 키이워드 및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때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이미 있을 경우조차도 다시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구조는 사용될 수 있다.
즉, 비휘발성메모리(25)는 도 1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테이블(254)을 저장한다. 항목이름은 콘텐츠조사정보(65)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를 지시한다. 종류란 예를 들면, 관리코드, 제목, 생성 일시, 데이터 용량, 또는 콘텐츠데이터의 버전이다. 또는 종류란, 콘텐츠데이터가 저장되는 URL(특유 주소원)일 수 있다. 조건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CPU(11)는, 동일한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있는 경우조차도 다시 콘텐츠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조건은 논리 표현, 공식, 문자열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조건 테이블(254)로 저장된 정보는 입력유닛(18)의 입력 키이 등으로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임의적으로 변하게 된다. 정보는 이전에 ROM(23)에 저장될 수 있다.
CPU(11)는 조건테이블(254)에 저장된 조건이 상술된 콘텐츠데이터 획득처리에 콘텐츠서버(53)로부터 획득한 콘텐츠조사정보(65)에 기초하여 만족되는 여부를 고려하여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판별처리는 단계 S4 후 및 단계 S5 이전에 CPU(11)에 의해 실행된다. 조건테이블(254)에 저장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CPU(11)는 상술된 순서도에 따라 단계 S5 후에 처리를 실행한다. 반대로 조건테이블(254)에 저장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CPU(11)는 단계 S9에 다운로드 처리의 흐름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조건 테이블(254)이 도 15에 도시된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가정하자. 콘텐츠조사정보(65)의 관리코드가 번호 "9"로 시작할 때, 제목은 "트래픽 정보"를 포함할 때, 생성일시가 1개월 전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때 또는 URL이 "https://"로 시작할 때,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이미 저장된 경우 조차에도 CPU(11)는 콘텐츠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시작한다(단계 S9). CPU(11)는 지불처리의 실행을 요청하며(단계 S10), 새로운 콘텐츠 ID를 다운로드 콘텐츠데이터에 주고, 관리테이블(251)을 업데이트시킨다(단계 S11). 그 결과, 셀룰라폰(10)은 기밀이 요구된 정보, 종종 업데이트된 것으로 알려진 정보, 최신 데 이터 등의 제공을 필요로 하는 정보의 재사용 없이 콘텐츠데이터를 항상 다운로드한다.
상술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예이며, 그리고 본 발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 PDA(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 및 PHS(간이휴대전화)와 같은 다른 통신단말에 적용가능하다. 셀룰라폰(10)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구조의 세부사항 및 각 유닛의 동작의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영역 일탈없이 적합하게 수정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는 음악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문자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일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콘텐츠데이터는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통신으로 얻은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광학디스크와 같은 외부 메모리 매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은 비휘발성메모리(25)에 국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외부 메모리(40)에 저장되고 사용되는 외부메모리(40)일 수 있다.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콘텐츠데이터가 이미 저장된 여부의 판별은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조사정보, 또는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가 일치된 여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다운로드된 콘텐츠데이터가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영역(252)에 저장된 콘텐츠데이터에 일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메모리영역은 어느 하나의데이터를 삭제함으로 확보될 수 있다.
콘텐츠조사정보(65)는 콘텐츠를 사용하는 소정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면, 사용콘텐츠를 요구하는 서비스에 과한 정보, 재생을 필요로 하는 번호 갯 수, LCD의 해상도, 재생프로그램 종류 및 버전). 즉, 콘텐츠조사정보(65)가 단계 S3에서 획득된 후, 그리고 단계 S4에서 판별되기 전, CPU(11)는 셀룰라폰(10)의 기능이 조건을 만족시킨 여부를 판별하며, 그리고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단계 S4로 흐름처리는 실행된다.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콘텐츠데이터 획득처리는 종료된다. 이 경우에서, 셀룰라폰(10)이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하는 조건을 충족하지 않다는 뜻의 메시지는 디스플레이유닛(17)의 LCD에 출력되고, 오디오 출력유닛(21)에 연결된 스피커(22)로부터 안내음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콘텐츠데이터 메모리유닛(252)은 사용가능한 콘텐츠데이터를 저장하여, 메모리가 효과적으로 사용되게 하는 것은 가하다. 셀룰라폰(10)은 콘텐츠의 사용 여부를 판별하기 때문에, 통신트래픽을 차단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 및 변화는 본 발명의 기술 요점 및 기술의 넓은 영역에 일탈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되있으며, 본 발명의 영역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영역은 실시예보다 첨부된 청구항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균등한 청구항의 의미내에서, 그리고 청구항내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영역에서 간주되어진다.
이 출원은 2005년 9월 1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5-253410 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리고 명세서, 청구항,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한다. 일본 특허 출원의 명세서는 본 명세서의 참조로서 여기에 완전히 병합된다.

Claims (13)

  1. 외부장치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장치로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대응지어 저장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외부메모리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로부터 상기 고유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유닛;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지시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 및
    상기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에 의해서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된 것으로 판별될 때,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번호와 상기 고유 정보의 대응지음을 변경하고, 그렇지 않을 때,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동작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이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된 것으로 판별할 때, 상기 독출유닛으로 독출된 상기 고유 정보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된 상기 동일한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번호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고유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일치 판별유닛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일치 판별유닛이 상기 독출유닛으로 독출된 상기 고유 정보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된 상기 동일한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고유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하면, 상기 동작제어유닛은 상기 독출유닛으로 독출된 상기 고유 정보를 지닌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된 상기 동일한 데이터와 대응지어지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의 판별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선택지시가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획득해서, 상기 획득된 데이터의 데이터의 번호와, 상기 독출유닛으로 독출된 상기 고유 정보를 대응지어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하는 메모리제어유닛, 및
    상기 동작제어유닛의 처리가 우선되는지 또는 상기 메모리제어유닛의 처리가 우선되는지를 선택하는 선택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유닛은, 무선통신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외부장치에 접속해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며, 그리고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와 다른 전자장치를 식별시키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유닛은 각각 저장된 데이터용 데이터의 콘텐츠를 조사하기 위해 이용하는 조사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수신유닛이 상기 데이터의 상기 선택지시를 수신할 때,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선택지시로 지시된 데이터에 부합하는 조사정보를 획득하는 조사정보획득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이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상기 조사정보가 상기 조사정보획득유닛에 의해 획득한 조사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관리코드, 제목, 생성 일시, 데이터 크기, 및 버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번호와 상기 고유 정보의 대응지음을 저장한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저장하며, 그리고
    상기 조사정보획득유닛으로 획득된 조사정보에 부합하는 데이터의 데이더 크기가 상기 메모리유닛의 잔여 저장가능한 데이터 용량보다 더 클 때, 상기 제거유닛은 오래된 날짜 및 시간 순으로 상기 데이터의 번호가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거하는 삭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소정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소정 조건을 충족하지 않을 때, 상기 동작제어유닛은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조사정보가 사용되는 소정의 조건을 저장하며,
    상기 동작제어유닛은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또는 상기 조사정보획득유닛으로 획득된 조사정보에 기초해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때, 상기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의 판별결과에 상관없이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및 통신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콘텐츠를 조사하는 조사정보를 대응지어 저장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또는 저장된 조사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부터 전송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 또는 조사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전송유닛;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와, 상기 전자장치에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대응지어 저장하는 메모리유닛;
    장착된 상기 외부메모리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로부터 상기 고유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유닛;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지시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 및
    상기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이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된 것으로 판별할 때,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번호와 상기 고유 정보의 대응지음을 변경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동작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데이터마다, 상기 데이터를 사용하는 요금정보를 저장하는 요금 데이터베이스;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된 상기 외부메모리매체상의 고유 정보와,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사용 이력을 대응지어 저장하는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요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요금정보와, 상기 사용자-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메모리매체의 상기 고유 정보마다 상기 데이터의 사용 요금을 계산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저장유닛 및 전송유닛을 가지는 서버 및, 메모리유닛, 독출유닛, 수신유닛,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 및 동작제어유닛을 갖고 통신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전자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저장유닛이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콘텐츠를 조사하기 위해 이용하는 조사정보를 대응지어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전송유닛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저장유닛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또는 조사정보를 전송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 또는 조사정보를 상기 전자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메모리유닛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메모리단계;
    상기 독출유닛이 장착된 상기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메모리매체로부터 상기 고유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단계;
    상기 수신유닛이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이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유닛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데이터 유/무 판별단계; 및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유닛에 이미 저장된 것으로 상기 데이터 유/무 판별단계에서 판별되었을 때, 동작제어유닛은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번호와 상기 고유 정보의 대응지음을 변경시키고, 그렇지 않을 경우, 동작제어유닛은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동작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방법.
  13. 통신네트워크를 거쳐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컴퓨터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데이터 번호와, 상기 컴퓨터로부터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대응지어 저장하는 메모리유닛;
    장착된 상기 제거가능한 외부메모리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메모리매체로부터 상기 고유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유닛;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지시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 및
    상기 데이터 유/무 판별유닛이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와 동일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유닛에 이미 저장된 것으로 판별할 때, 상기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번호와 상기 고유 정보의 대응지음을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제어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선택지시로 지시된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동작제어유닛;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60083767A 2005-09-01 2006-08-31 전자장치, 데이터 처리시스템, 데이터 처리방법 및기록매체 KR100760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53410 2005-09-01
JP2005253410A JP4389854B2 (ja) 2005-09-01 2005-09-01 電子機器、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11A KR20070026211A (ko) 2007-03-08
KR100760454B1 true KR100760454B1 (ko) 2007-09-20

Family

ID=3760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767A KR100760454B1 (ko) 2005-09-01 2006-08-31 전자장치, 데이터 처리시스템, 데이터 처리방법 및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78669B2 (ko)
EP (1) EP1760984B1 (ko)
JP (1) JP4389854B2 (ko)
KR (1) KR100760454B1 (ko)
CN (1) CN1925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247B1 (en) * 2006-12-21 2011-11-0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e audible data services
JP4840158B2 (ja) * 2007-01-25 2011-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メモリシステム
JP4483921B2 (ja) * 2007-09-25 2010-06-16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通信システム
JP5298596B2 (ja) * 2008-03-27 2013-09-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行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及び発行サーバ
US8954042B2 (en) 2008-05-19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 likelihood of advertisement display
US9560470B2 (en) * 2014-05-01 2017-01-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pdating a vehicle head unit with content from a wireless device
CN105307150A (zh) * 2014-06-24 2016-0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通信卡的实现方法及装置
JP6636879B2 (ja) * 2016-08-19 2020-01-29 キオクシア株式会社 記憶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90243805A1 (en) * 2017-05-09 2019-08-08 Sorting Hat Technologies Pvt. Ltd.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nd seamless playing of content modules
CN112118352B (zh) * 2020-08-31 2021-05-25 京东数字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通知触发消息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6719A (ja) * 2003-04-16 2004-11-25 Nec Corp 携帯端末及びその情報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535B2 (ja) 1997-11-07 2007-04-18 ソニー株式会社 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4393733B2 (ja) * 2001-11-27 2010-0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携帯可能情報記録媒体
JP4142287B2 (ja) 2001-12-25 2008-09-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端末、コンテンツの使用制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の実行制限方法
NZ533176A (en) * 2001-12-25 2005-10-28 Ntt Docomo Inc Device and method for restricting content access and storage
JP2004023182A (ja) 2002-06-12 2004-01-22 Kenwood Corp 移動通信端末
JP4361781B2 (ja) 2003-12-02 2009-11-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6719A (ja) * 2003-04-16 2004-11-25 Nec Corp 携帯端末及びその情報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3367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0984A2 (en) 2007-03-07
JP4389854B2 (ja) 2009-12-24
KR20070026211A (ko) 2007-03-08
US7778669B2 (en) 2010-08-17
JP2007066159A (ja) 2007-03-15
CN1925685B (zh) 2012-08-08
EP1760984A3 (en) 2010-02-10
CN1925685A (zh) 2007-03-07
EP1760984B1 (en) 2013-07-03
US20070049343A1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454B1 (ko) 전자장치, 데이터 처리시스템, 데이터 처리방법 및기록매체
JP5443506B2 (ja) 移動電子装置の動作方法及び移動電子装置
JP200135699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WO2008129773A1 (ja) 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で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JPWO2005103919A1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提供システム
EP1557769A1 (en) Server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contents
JP4203300B2 (ja) 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917614B2 (ja) 電子機器においてコンテンツベースの義務を実施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8140124B2 (en) Terminal apparatus with data output capability
JP4935574B2 (ja) 情報通信端末及び情報通信端末におけるコンテンツ処理方法
JP4791561B2 (ja) 端末機種提示システム
JP4488360B2 (ja) データ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4096655A (ja) 携帯電話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リモートアクセス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5236507A (ja) 携帯電話機の機能更新方法および携帯電話機
JP2005293078A (ja) 携帯電話機を利用した自動文字コード認識、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641834B (zh) 一种文件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JP3857606B2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データ登録方法、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データ登録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144007B1 (ko)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이미지 정보 다운로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5303352A (ja) 携帯端末及び広告配信システム
KR100838210B1 (ko)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 이용에 대한 정액 요금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US7881700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ssage displaying method
JP2001339501A (ja) 携帯電話、携帯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装置
KR100673168B1 (ko) 단축키별 멀티미디어 정보 표시 서비스 설정 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키별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방법
KR20060021073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통화 연결음 미리 듣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2004021714A (ja) データ配信端末及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