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437B1 -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437B1
KR100758437B1 KR1020010026401A KR20010026401A KR100758437B1 KR 100758437 B1 KR100758437 B1 KR 100758437B1 KR 1020010026401 A KR1020010026401 A KR 1020010026401A KR 20010026401 A KR20010026401 A KR 20010026401A KR 100758437 B1 KR100758437 B1 KR 10075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bridge
block
bridge block
plat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286A (ko
Inventor
박창규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2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4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42An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셀의 아노드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아노드 브릿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금셀(20)의 상측에 설치된 제 1 브릿지블록(40)과 아노드 상단부(10a)가 긴밀하게 밀착 이동토록 상기 브릿지블록(40)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50)들을 구비하는 제 1 브릿지부(30) 및, 아노드(10)의 하측으로 배치된 제 2 브릿지블록(70)에 아노드 하단부(10b)에 의하여 수직 이동토록 설치된 제 2 가이드롤(80) 및, 상기 아노드(10)의 양측부를 탄성 지지토록 브릿지블록(70)의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가이드롤(90)을 구비하는 제 2 브릿지부 (60)를 포함하는 도금셀의 아노드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아노드 브릿지장치(1)를 마련한다.
따라서, 도금공정시 사용되는 아노드를 고전류상태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면서 지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강판의 도금 품질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강판도금, 도금셀, 아노드, 브릿지, 가이드롤

Description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BRIDGE APPARATUS FOR GUIDING ANODE IN PLATING SHELL}
도 1은 종래 강판의 납-주석 도금용 도금셀 및 그 내부에 설치되는 아노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금셀의 아노드 및 브릿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에서 제 1 브릿지부를 도시한 정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인 아노드 브릿지장치의 제 1 가이드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아노드 브릿지장치의 제 2 브릿지부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인 아노드 브릿지장치의 제 2 브릿지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아노드 브릿지장치의 제 2 브릿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10.... 아노드
20.... 도금셀 30,60.... 제 1-2 브릿지부
40,70.... 제 1-2 브릿지블록 42.... 돌부
50,80,90.... 제 1-3 가이드롤 52.... 회전축
54a... 자석롤 54b.... 롤몸체
72.... 베이스 플레이트 86.... 이동블록
86a.... 랙기어 92.... 이동브라켓트
96.... 호형 랙기어
본 발명은 제철공장에서 생산되는 강판의 표면 내식성을 높이도록 수행하는 강판의 도금공정시 도금셀내에 배치되는 아노드를 지지하는 브릿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도금셀내에 도금공정시 사용되는 아노드를 고전류상태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아노드의 크랙 또는 단락등을 미연에 방지시키어 강판의 도금 품질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생산되는 강판 즉, 냉연강판은 표면 내식성을 높이거나 또는 외관적으로 미려하게 하도록 도금작업 예를 들어, 강판의 표면에 납-주석도금을 실시하고, 이와 같은 강판의 도금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도금셀에 강판을 통과시키어 강판의 표면 도금을 수행하는 것인데, 도 1 에서는 이와 같 은 종래의 강판 도금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액이 충진된 도금셀(100)내에 설치된 전도롤(110)과 상측의 이송롤(120)을 통하여 강판(130)이 상기 도금셀(100)을 통과하고, 상기 도금셀(100)에는 도금하고자 하는 재질의 아노드 즉, 납-주석 도금인 경우에는 납-주석 아노드(140)가 브릿지(150)를 통하여 배치되고, 결국 + 극성을 띠는 아노드(140)의 납-주석성분이 전해액을 통하여 - 전극을 띠는 전도롤(110)을 거치는 강판(130) 표면에 부착되어 강판의 납-주석도금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는 상기와 같은 도금셀(100)내에 배치되는 납-주석성분의 아노드(14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아노드(140)는 도금셀(100)에 설치되는 브릿지(150)에 꺽인 아노드 상단부(140a)가 고정되어, 도금작업을 수행하면서 일측으로 설치된 실린더(160)를 전진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아노드(140)를 교체하면서 강판의 도금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노드(140)의 교체작업시 실린더(160)를 이용하여 아노드(140)를 순차로 브릿지(150)의 단부측으로 밀어서 교체작업을 수행하지만, 브릿지(150)와 아노드(140)의 접촉면(S)에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밀도가 발생되어 아노드(140)의 두께가 얇은부분(140b)이 손상되거나 또는 심한 경우 단락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결국, 단락된 아노드(140c)의 후 처리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것은 물론, 아노드(140)의 단락에 의하여 강판의 도금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여 강판 도금의 도금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고전류상태에서도 아노드를 안정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브릿지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판 도금셀에 배치되는 아노드를 고전류상태에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아노드의 교체작업시 발생되는 아노드 단락등을 미연에 방지시키도록 한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아노드의 상부를 지지토록 도금셀의 상측에 수평 설치된 제 1 브릿지블록과 상기 아노드 상단부가 긴밀하게 밀착 지지되고 구동수단에 의한 그 이동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브릿지블록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들을 구비하는 제 1 브릿지부 및,
상기 아노드의 하측으로 배치된 제 2 브릿지블록과 상기 브릿지블록에 아노드 하단부에 의하여 수직 이동토록 설치된 제 2 가이드롤 및, 상기 아노드의 양측부를 탄성 지지토록 브릿지블록의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가이드롤을 구비하는 제 2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1)의 전체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아노드 브릿지장치(1)는 크게 아노드(10)의 상단부(10a)를 지지하면서 이동시에는 고전류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토록 하는 제 1 브릿지부(30) 및, 상기 아노드(10)의 하단부(10b)를 3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아노드(10)의 교체를 위한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제 2 브릿지부(60)로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제 1,2 브릿지부(30)(6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및 도 5 에서는 상기 제 1 브릿지부(3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브릿지장치(1)의 제 1 브릿지부(30)는, 도금셀(20)내에 배치되는 아노드(10)의 상단부(10a)를 지지토록 도금셀(20)의 내부 상측에 수평 설된 제 1 브릿지블록(40) 및, 상기 아노드 상단부(10a)가 긴밀하게 밀착 지지되고 구동수단 즉, 실린더(도 2의 160)에 의한 그 이동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제 1 브릿지블록(40)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50)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릿지블록(40)은 상기 아노드(10)의 상단부(10a)가 걸리어 고정되는 삼각형상의 돌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롤(50)은 상기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52)에 순차로 장착되는 자석롤(54a)과 롤몸체(54b)로 이루어 진 복수개(50a)(50b)로 이루어 진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와 밀착되는 상기 아노드(10)의 상단부(10a)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롤(50)들에 자력으로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는 지지판(12)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판(12)은 제 1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에 긴밀하게 밀착토록 그 형상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아노드(10)에 삽입 고정되는 여러개의 고정봉(12a)으로서 고정되고, 이와 같은 지지판(12)은 상기 제 1 가이드롤(50)들의 밀착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가이드롤(50)들의 회전축(52)은 상기 제 1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에 볼트 고정되는 브라켓트(46a)에 베어링(46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52)이 통과하는 상기 제 1 가이드롤(50)들의 자석롤 (54a)은 원통 롤몸체(54b)의 내부에 삽입되어 커버(56a)로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52)은 베어링(56b)을 개재하여 커버(5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다음, 도 6 내지 도 8 에서는 상기 제 2 브릿지부(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인 브릿지장치(1)의 제 2 브릿지부(60)는, 상기 아노드(10)의 하측으로 배치된 제 2 브릿지블록(70)과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에 아노드 하단부(10b)에 의하여 수직 이동토록 설치된 제 2 가이드롤(80) 및, 상기 아노드(10)의 양측부를 탄성 지지토록 브릿지블록(70)의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가이드롤(9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은 상기 도금셀(20)의 폭방향으로 수평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72)상에 복수개가 배 열 고정되는데, 상기 아노드(10)의 설치수에 맞추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이드롤(80)은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의 양측에 탄성적으로 연결 설치된 스프링(82)을 개재하여 양측으로 관통되는 지지봉(84)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랙기어(86a)가 수직 고정된 이동블록 (86)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가이드롤(90)은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의 양측으로 형성된 돌부(74)에 피봇(92a) 고정되는 이동브라켓트(92)의 상측에 장착된 지지판(92b)에 탄성 고정되는데, 상기 제 3 가이드롤(90)의 원통몸체(90b)는 상기 지지판(92b)에 베어링(B)과 고정링(R)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90a)에 여러개의 스프링(90c)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어 아노드(10)의 지지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면서 아노드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브라켓트(92)의 하측에 일체로 장착된 호형플레이트(92c)에는 상기 랙기어(86a)와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기어 (94a)으로서 회전하는 구동축(94)의 양측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94b)로서 단속되는 랙기어(96)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브릿지부(30)의 제 1 브릿지블 록(40)의 상부에 삼각형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돌부(42)에 도금셀(20)내의 전도롤 (미도식)과 함께 강판(2)(도 3)을 도금하는 아노드(10)의 상부(10a)가 지지되는데, 상기 아노드(10)의 상부(10a)는 제 1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와 반대로 꺽인 형상을 이뤄 상기 아노드(10)의 상부(10a)는 상기 돌부(42)상에 안착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 1 브릿지블록(40)은 도면에서는 하나로 도시하였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대략 4개 서로 마주보도록 도금셀(20)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 1 브릿지블록(40)사이로 강판(2)이 전도롤을 통하여 이송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제 1 브릿지블록(40)의 삼각형상의 돌부(42)의 양측면에는 제 1 가이드롤 (50a)(50b)들이 제 1 브릿지블록(4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순차로 설치되어 있는데, 실제 도금셀(20)내에 배치되는 아노드(10)의 수와 일치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롤(50)들의 회전축(52)에 순차로 자석롤(54a)과 롤몸체(54b)가 조립되며, 상기 회전축(52)은 제 1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에 볼트 고정되는 브라켓트(46a)에 베어링(46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롤(54a)은 원통 롤몸체(54b)의 내부에 삽입된후, 커버(56a)로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52)은 베어링(56b)을 개재하여 커버(5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노드(10)의 상단부 (10a)에 고정된 지지판(12)이 아노드(10)의 제 1 브릿지블록(40)에 안착 고정시 먼저, 상기 제 1 가이드롤(50)들의 원통몸체(54a)에 밀착되고, 이때 상기 원통몸체 (54a)의 내부에 삽입된 자석롤(54b)에 의하여 상기 아노드의 지지판(12)이 자력으 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아노드(10)의 지지상태를 견고하게 하고, 고전류가 통하는 상태에서 아노드(10)가 제 1 브릿지블록(40)에서 들려올려지는 것을 방지시키어 아노드(10)의 교체작업을 손상 및 단락없이 수행토록 한다.
다음, 도 6 내지 도 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노드(10)의 상부(10a)가 제 1 브릿지블록(40)에 안착 지지되면, 본 발명의 브릿지장치(1)에서 특징적으로 상기 아노드(10)의 하부(10b)도 동시에 지지하는데, 상기 아노드(10)의 하부가 하강하면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에 설치된 제 2 가이드롤(80)을 누르고, 결국 상기 제 2 가이드롤(80)의 하강작동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제 3 가이드롤 (90)이 회전하면서 상기 아노드(10)의 하부(10b) 양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아노드(10)는 제 1 및 제 2 브릿지블록(40)(70)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구동수단 즉, 실린더(도 2의 160)가 전진 작동하면 각각의 아노드(10)들은 그 안착 지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어, 아노드(10)의 유동으로 인한 아노드(10)의 손상 및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및 제 3 가이드롤 (80)(90)들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의 양측에 탄성적으로 연결 설치된 스프링(82)을 개재하여 양측으로 관통되는 지지봉(84)에 이동블록(86)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노드(10)의 하단(10b)가 제 2 가이드롤(80)을 누르면,상기 이동블록(86)이 일체로 하강하고, 결국 상기 이동블록(86)의 하측으로 수직 설치된 랙기어(86a)는 일체로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의 양측으로 형성된 돌부(74)에 피봇(92a) 고정되는 이동브라켓트(92)의 상측에 장착된 지지판(92b)에 탄성 고정된 제 3 가이드롤(90)은 상기 이동브라켓트(92)의 하측에 일체로 장착된 호형플레이트(92c)에 형성된 랙기어(96)가 상기 랙기어(86a)와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기어(94a)으로서 회전하는 구동축(94)의 양측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94b)로서 맞물리면서 이동하고, 결국 상기 이동브라켓트(92)은 피봇(92a)을 축으로 위로 회전하고, 결국 일체로 상기 제 3 가이드롤(90)은 상기 아노드(10)의 하단부(10b) 양측부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가이드롤(90)의 몸체(90b)는 상기 이동브라켓트(92)의 상측 지지판(92b)에 베어링(B) 및 고정링(R)을 통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축(90a)에 여러개의 스프링(90c)을 통하여 연결되고, 결국 상기 제 3 가이드롤(90)은 보다 탄성적으로 아노드(10)를 고정할 수 있어 상기 아노드(10)는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은 상기 도금셀(20)의 폭방향으로 고정된 베이스(72)에 상기 아노드(10)의 배치수와 동일하게 순차로 배열 장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 단순하게 브릿지에 아노드가 지지된 상태에서 아노드를 교체할 때 발생되는 마찰이 본 발명의 제 1-3 가이드롤들에 의하여 방지되면서, 아노드(10)의 상,하부(10a)(10b)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 교체될 수 있어 아노드(10)의 교체시 발생되는 단락현상이 효율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에 의하면, 강판의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아노드의 교체작업시 브릿지가 고전류상태에서도 아노드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정적인 아노드의 교체작업으로 강판 도금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교체시 아노드의 단락이 미연에 방지됨으로서, 강판 도금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아노드(10)의 상부(10a)를 지지토록 도금셀(20)의 상측에 수평 설치된 제 1 브릿지블록(40)과 상기 아노드 상단부(10a)가 긴밀하게 밀착 지지되어 상기 아노드(10)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토록 상기 제 1 브릿지블록(40)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롤 (50)들을 구비하는 제 1 브릿지부(30); 및,
    상기 아노드(10)의 하측으로 배치된 제 2 브릿지블록(70)과 상기 브릿지블록 (70)에 아노드 하단부(10b)에 의하여 수직 이동토록 설치된 제 2 가이드롤(80) 및, 상기 아노드(10)의 양측부를 탄성 지지토록 브릿지블록(70)의 양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가이드롤(90)을 구비하는 제 2 브릿지부(60)를 포함하는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릿지블록(40)은 상기 아노드(10)의 상단부 (10a)가 걸리어 고정되는 삼각형상의 돌부(42)를 갖추고,
    상기 제 1 가이드롤(50)은 상기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52)에 순차로 장착되는 자석롤(54a)과 롤몸체(54b)로 이루어 진 복수개(50a)(50b)로 구성되고,
    상기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와 밀착되는 상기 아노드(10)의 상단부(10a)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롤(50)들에 자력으로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는 지지판(12)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롤(50)들의 회전축(52)은 상기 제 1 브릿지블록(40)의 돌부(42)에 볼트 고정되는 브라켓트(46a)에 베어링(46b)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52)이 통과하는 자석롤(54a)은 원통 롤몸체 (54b)의 내부에 삽입되어 커버(56a)로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52)은 베어링(56b)을 개재하여 커버 (5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은 상기 도금셀(20)의 폭방향으로 수평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72)상에 복수개가 배열 고정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롤(80)은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의 양측에 탄성적으로 연결 설치된 스프링(82)을 개재하여 양측으로 관통되는 지지봉(84)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랙기어(86a)가 수직 고정된 이동블록(86)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롤(90)은 상기 제 2 브릿지블록(70)의 양측으로 형성된 돌부(74)에 피봇(92a) 고정되는 이동브라켓트(92)의 상측에 장착된 지지판(92b)에 탄성 고정되며,
    상기 이동브라켓트(92)의 하측에 일체로 장착된 호형플레이트(92c)에는 상기 랙기어(86a)와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기어(94a)으로서 회전하는 구동축(94)의 양측으로 설치된 피니언기어(94b)로서 단속되는 랙기어(9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KR1020010026401A 2001-05-15 2001-05-15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KR10075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401A KR100758437B1 (ko) 2001-05-15 2001-05-15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401A KR100758437B1 (ko) 2001-05-15 2001-05-15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286A KR20020087286A (ko) 2002-11-22
KR100758437B1 true KR100758437B1 (ko) 2007-09-14

Family

ID=2770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401A KR100758437B1 (ko) 2001-05-15 2001-05-15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4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6000A (ja) * 1982-08-03 1984-02-10 Nippon Steel Corp 鋼のNi電気メッキ法
JPS5924768U (ja) * 1982-08-07 1984-02-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メツキ用陽極電極
JPH0444376A (ja) * 1990-06-12 1992-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気体レーザ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6000A (ja) * 1982-08-03 1984-02-10 Nippon Steel Corp 鋼のNi電気メッキ法
JPS5924768U (ja) * 1982-08-07 1984-02-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メツキ用陽極電極
JPH0444376A (ja) * 1990-06-12 1992-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気体レー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286A (ko) 200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6642A (en) Oscillation device for plating system
US5332487A (en) Method and plating apparatus
JPH083155B2 (ja) ストリップの電解被覆装置及びその方法
CN114790565A (zh) 导电装置及水平电镀设备
KR100758437B1 (ko) 도금셀의 아노드 브릿지장치
EP0261691B1 (en) Plating cell with edge masks
CN211227403U (zh) 一种电镀装置
KR101620409B1 (ko) 롤러 클리닝장치
US3799861A (en) Electrical contact for equipment used in the electrolytical production of metals,particularly copper
KR101394448B1 (ko) 어스롤 세정유닛 및 수평셀 전기도금장치
CN210916329U (zh) 一种用于调节阳极位置的调节机构以及电镀槽
CN209941131U (zh) 一种旋转式自动卸料电镀滚桶
CN213266769U (zh) 一种应用于碱性锌镍合金电镀的阳极结构
KR200218294Y1 (ko) 후행 스트립의 선단부 안내장치
CN219059171U (zh) 一种便于对工件电镀的电镀槽
CN220099241U (zh) 一种带料电镀用双边导电装置
KR100782738B1 (ko) 전도 롤 표면의 금속 분말 제거장치
CN2937160Y (zh) 电极棒
KR100984102B1 (ko) 전도롤과 도금강판간의 밀착정도 조정장치
CN211170929U (zh) 一种电镀加工用的遮蔽装置
EP1425948A2 (en) A method of etching copper on cards
KR102119955B1 (ko) 롤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도금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7089912B (zh) 水平夹持式电镀装置
CN220907713U (zh) 一种镀铬飞巴
JPS6330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