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223B1 - 푸시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223B1
KR100755223B1 KR1020050130368A KR20050130368A KR100755223B1 KR 100755223 B1 KR100755223 B1 KR 100755223B1 KR 1020050130368 A KR1020050130368 A KR 1020050130368A KR 20050130368 A KR20050130368 A KR 20050130368A KR 100755223 B1 KR100755223 B1 KR 100755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ush button
housing
button switch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400A (ko
Inventor
겐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2Sold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단자를 작게 하더라도 전단자의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
접점부 (10) 를 수용하여 기판 (50) 에 부착되는 하우징 (3) 과, 하우징 (3) 의 일측면 (4) 에서 노출되어 기판 (50) 의 면과 평행 방향으로 조작가능한 푸시 버튼 (2) 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 (3) 은 접점부 (10) 와 도통된 단자부 (15) 를 측면 (4) 으로부터 도출시키고, 단자부 (15) 는 기판 (50) 에 대한 납땜면 (16) 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 (1) 에 있어서, 단자부 (15) 는 푸시 버튼 (2) 의 조작방향으로 전후 한 쌍씩 하우징 (3) 의 측면 (4) 으로부터 도출되고, 푸시 버튼 (2) 에서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전단자부 (15a) 는 푸시 버튼 (2) 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후단자부 (15b) 보다도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크게 하는 단자 보강부 (17)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치

Description

푸시 버튼 스위치 {PUSH BUTTON SWITCH}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저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고정 접점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단자부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 은 단자를 기판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단자형상의 적용에 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단자 보강부의 형성에 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단자 보강부가 형성된 전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단자 보강부가 형성된 전단자를 기판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3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14 는 제 3 실시형태에서의 단자 보강부의 형성에 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제 4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단자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푸시 버튼 스위치 2 : 푸시 버튼
2a : 접촉부 3 : 하우징
4 : 측면 5 : 하면
10 : 접점부 11 : 고정 접점
12 : 중앙 고정 접점 12c : 전접속편
13 : 주변 고정 접점 13c : 후접속편
14 : 가동 접점 15 : 단자부
15a : 전단자부 15b : 후단자부
16 : 납땜면 17 : 단자 보강부
18 : 절곡선 19 : 공간부
20 : 선단 각부 21 : 측부
22 : 측판 23 : 단차부
24 : 노출면 40 : 땜납
50 : 기판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 2572590호
본 발명은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에 대하여 가로방향에서 조작하는 소형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나 게임기, 각종 오디오기기 등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로는, 절연 수지 등으로 성형된 하우징 위에 중앙 고정 접점과 외측 고정 접점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고정 접점의 상부에는 외측 고정 접점과 맞닿도록 하여 돔 형상의 가동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고정 접점은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단자부와 도통되어 있고, 이 단자부를 외부로 도출하여 기판에 대한 납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푸시 버튼 스위치는, 돔 형상의 가동 접점을 상방에서 누름에 따라 가동 접점이 중앙 고정 접점에 접촉하고 도통되어 스위치 역할을 한다. 또한 누름 조작이 잘 이루어지도록 가동 접점의 상부에 소정 형상의 조작 버튼이 형성된다. 이러한 푸시 버튼 스위치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최근, 휴대전화, 게임기, 포터블 오디오기기 등의 소형화와 함께 이들에 사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 등의 면 장착제품의 장착면적 소형화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가로방향에서 푸시 버튼을 조작하는 스위치에서는, 조작력에 의하여 납땜한 단자부가 기판 상에서 박리되기 때문에 단자부의 소형화는 곤란하다. 특히 가로 누름 조작에 의한 조작력은 버튼 조작에서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전측의 단자부에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단자부를 작게 한 경우에는 전단자부의 기판에 대한 납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스위치 및 장착면적의 소형화가 저해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자부를 작게 하더라도 전단자부의 부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접점부를 수용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노출되어 상기 기판의 면과 평행 방향으로 조작가능한 푸시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우징은 상기 접점부와 도통된 단자부를 측면으로부터 도출시키고, 그 단자부는 상기 기판에 대한 납땜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푸시 버튼의 조작방향으로 전후 한 쌍씩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푸시 버튼에서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전단자부는 상기 푸시 버튼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후단자부보다도 상기 기판에 대한 납땜 강도를 크게 하는 단자 보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의 납땜면을 확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 하면에 노출면을 갖고, 상기 전단자부의 노출면을 상기 후단자부의 노출면보다 확대함으로써 납땜면을 확대하여 상기 단자 보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 하면으로부터 단차부를 사이에 두고 납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단자부의 단차부는 상기 후단자부의 단차부보다도 내측에 형성되며 납땜면을 확대하여 상기 단자 보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고정 접점과, 그 중앙 고정 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단자부가 도출되는 하우징의 측면측에 배치되는 주변 고정 접점과, 그 주변 고정 접점 위에 배치되어 중앙 고정 접점과 접속분리가 자유로운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자부는 상기 중앙 고정 접점과 도통되고 상기 후단자부는 상기 주변 고정 접점과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의 상기 하우징 측면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을 상방으로 절곡한 절곡부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납땜면의 일부를 상기 푸시 버튼측의 외방으로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의 선단 근방을 그 전단자부의 하우징 측면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절곡선에서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상기 납땜면의 일부를 상기 푸시 버튼측의 외방으로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를 하우징 측면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절곡선에서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상기 납땜면의 일부를 상기 푸시 버튼측의 외방으로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의 선단부를 절결하고 상기 납땜면의 단면길이를 길게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는, 상기 전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측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측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2 는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정면도, 도 3 은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저면도, 도 4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 (1) 는 푸시 버튼 (2) 과 접점부 (10) 를 수용하는 하우징 (3) 과, 접점부 (10) 에 도통됨과 함께 하우징 (3) 의 측면 (4) 으로부터 외방으로 도출되는 단자부 (15) 를 갖고, 푸시 버튼 (2) 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가 전환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푸시 버튼 (2) 이 기판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조작가능한 가로 누름형이다.
하우징 (3)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수지 등의 절연재료로 성형된다. 하우징 (3)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버튼 (2) 과 접점부 (10) 가 수용되어 있고, 푸시 버튼 (2) 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접점부 (10) 가 맞닿거나 또는 격리되어 온 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 (3) 의 상면 (6) 에는 중앙부로부터 하우징 (3) 내로 잘려 늘어뜨려져 후술하는 가동 접점 (14) 과 대향하는 경사편 (7) 이 형성된다.
경사편 (7)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조작가능한 푸시 버튼 (2) 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하우징 (3) 의 상면 (6) 에 U 자 형상의 절결을 형성하고, 이 절결에 둘러싸인 부분을 하방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편 (7) 을 하우징 (3) 의 상면 (6) 을 절곡하여 형성하였지만, 예를 들어 하우징 (3) 의 상면 (6) 에서 늘어뜨려서 부착하는 등, 본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스위치를 조작하는 푸시 버튼 (2) 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고, 하우징 (3) 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선단에 후술하는 가동 접점 (14) 과 접촉하는 접촉부 (2a) 를 갖고, 작동부 (2b) 를 통하여 하우징 (3) 의 전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노 출된 가압부 (2c) 를 갖는다. 가압부 (2c) 를 하우징 (3) 의 안쪽으로 누름으로써 접촉부 (2a) 가 경사편 (7) 과 슬라이딩하여 아래쪽으로 안내되며, 후술하는 클릭 스프링을 겸용하는 가동 접점 (14) 을 하방으로 눌러 반전시킴으로써 각 접점부가 맞닿아 클릭 감촉이 발생하여 스위치가 전환되는 구성으로 한다.
하우징 (3) 에 수용되는 접점부 (1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 (11) 과 가동 접점 (14) 으로 구성된다. 고정 접점 (11) 은, 상면이 볼록형으로 형성된 대략 원형의 중앙 접촉부 (12a) 를 갖는 중앙 고정 접점 (12) 과, 중앙 고정 접점 (12) 을 좌우방향에서 사이에 둔 대칭위치에 상면이 볼록형으로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주변 접촉부 (13a, 13a) 를 갖는 주변 고정 접점 (13) 으로 이루어진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고정 접점 (11) 의 형상에 대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중앙 고정 접점 (12) 은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접촉부 (12a) 와 도통되고 하우징 (3) 의 전면을 향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중앙 연결부 (12b) 와, 중앙 연결부 (12b) 에 대략 직교하여 도통되어 하우징 (3) 의 좌우 양측 쪽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전접속편 (12c) 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주변 고정 접점 (13) 은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각 주변 접촉부 (13c) 와 도통되어 중앙 연결부 (12b) 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변 연결부 (13b) 와, 주변 연결부 (13b) 와 도통되어 하우징 (3) 의 좌우 양측방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후접속편 (13c) 을 갖는다. 즉, 전접속편 (12c) 과 후 접속편 (13c) 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각 고정 접점 (11) 은, 하우징 (3) 의 내저면에 중앙 접촉부 (12a) 와 주변접촉부 (13a, 13a) 를 노출시켜 인서트 성형되어 고정됨으로써 하우징 (3) 에 내포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각 접속편 (12c, 13c) 의 양단에는 각각 하우징 (3) 의 좌우 양측면 (4, 4) 에서 돌출되어 노출되는 단자부 (15, 15) 가 형성된다. 즉, 하우징 (3) 의 양측면 (4, 4) 에서부터는 중앙 고정 접점 (12) 과 도통되는 전단자부 (15a, 15a) 와, 주변 고정 접점과 도통되는 후단자부 (15b, 15b) 가 전후 한 쌍씩 도출된다. 도 6 에 단자부 (15) 주변의 확대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 (15) 는 양 접속편 (12c, 13c) 과의 단부에 단차부 (23) 를 각각 갖고 있고, 단차부 (23) 에 의해 한 끝이 절곡되며 그 끝은 하우징 (3) 의 하면 (5) 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즉, 단자부 (15) 는 각각 하우징 (3) 의 하면 (5) 에 노출되는 노출면 (24) 을 갖고 있고, 하우징 (3) 의 하면 (5) 을 따라 하우징 (3) 측면 (5) 으로부터 도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단자부 (15a) 의 단차부 (23) 를 하우징 (3) 내부의 소정 위치로 하고, 후단자부 (15b) 의 단차부 (23) 를 하우징 (3) 의 측면 (4) 근방으로 하였다. 즉, 전단자부 (15a) 는 후단자부 (15b) 보다도 하우징 (3) 의 내측으로부터 도출된다.
하우징 (3) 으로부터 도출되는 단자부 (15) 의 하면은 기판 (50) 상에 부착되는 납땜면 (16) 이고, 푸시 버튼 스위치 (1) 전체가 기판 (50) 과 납땜부 (16) 의 접합에 의해 고정된다. 즉, 하우징 (3) 의 하면 (5) 에 노출되는 노출면 (24) 도 기판 (50) 에 대한 납땜면 (16) 이다. 또한 전단자부 (15a) 는 하우징 (3) 의 후측에 폭이 넓게, 후단자부 (15b) 는 하우징 (3) 의 전측에 폭이 넓게 각각 형성되어 있어, 납땜면 (16) 의 확대가 도모되어 있다.
푸시 버튼 (2) 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전단자부 (15a) 는 푸시 버튼 (2) 조작에 의해 후단자부 (15b) 보다도 큰 하중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전단자부 (15a) 에는 후단자부 (15b) 보다도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크게 하는 단자 보강부 (17) 가 형성된다.
납땜 강도는 납땜면 (16) 의 크기에 비례한다. 즉, 단자 보강부 (17) 는 전단자부 (15a) 의 노출면 (16a) 중 후단자부 (15b) 보다 하우징 (3) 의 내측에 있는 부분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단자부 (15) 를 기판 (50) 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의 (a) 는 전단자부 (15a) 와 기판 (50) 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의 (b) 는 후단자부 (15b) 와 기판 (50) 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자부 (15a) 는 납땜면 (16) 이 후단자부 (15b) 의 납땜면 (16) 보다도 하우징 (3) 하면 (5) 의 내측으로부터 형성되어 단자 보강부 (17) 가 형성되기 때문에, 후단자부 (15b) 에 대하여 단자 보강부 (17) 정도만큼 기판 (50) 에 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전단자부 (15a) 와 후단자부 (15b) 의 하우징 (3) 의 측면 (4) 으로부터의 도출량은 동일하기 때문에 하우징 (3) 으로부터의 도출량을 크게 하지 않고도 전단자부 (15a) 의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단 자부 (15) 자체를 소형화하더라도 푸시 버튼 (2) 에 의한 조작 하중이 특히 가해지는 전단자부 (15a) 의 납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푸시 버튼 스위치 (1)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 (23) 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단자부 (15a) 는 하우징 (3) 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고정 접점 (12) 에 도통되고, 후단자부 (15b) 는 중앙 고정 접점 (12) 을 하우징 (3) 의 좌우방향 사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주변 고정 접점 (13) 에 도통된다. 즉, 중앙 고정 접점 (12) 은 주변 고정 접점 (13) 보다도 단자부 (15) 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 고정 접점 (12) 과 도통되는 전단자부 (15a) 를 후단자부 (15b) 에 비하여 더 하우징 (3) 의 내측까지 납땜면 (16) 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전단자부 (15a) 를 후단자부 (15b) 보다도 하우징 (3) 하면 (5) 의 내측으로부터 도출시켜 단자 보강부 (17) 를 형성하더라도 중앙 고정 접점 (12) 까지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전단자부 (15a) 의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고정 접점 (11) 에 플럭스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부 (15) 는 하우징 (3) 측면 (4) 으로부터 직선적으로 도출시키는 형상으로 하였지만,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 (15) 의 선단을 상방으로 절곡하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단자부 (15) 의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납땜의 육안 확인이 용이해진다.
또, 하우징 (3) 은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 고정 접점 (13) 의 주변 접촉부 (13a) 에 외주 하단을 맞닿게 하여 배치된 가동 접점 (14) 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접점 (14) 은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탄성이 있는 원형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동 접점 (14) 의 상부에는,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가요성이 있는 대략 원형의 절연필름 (30) 이 고착되어 있다. 이 절연필름 (30) 은 가동 접점 (14) 의 중앙 정점부 (14a) 에도 고착되어 있으며, 원형 돔 형상의 가동 접점 (14) 을 하우징 (3) 내의 소정 위치에 유지함과 함께 스위치 접점 부분에 대한 분진, 플럭스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 절연필름 (30) 의 상부에 푸시 버튼 (2) 이 배치되며, 푸시 버튼 (2) 의 조작에 의해 절연필름 (30) 을 사이에 두고 가동 접점 (14) 을 누른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접점 (14) 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팔각형, 사각형 등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 (1) 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 (1) 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푸시 버튼 (2) 과 접점부 (10) 를 수용하는 하우징 (3) 과, 접점부 (10) 에 도통됨과 함께 하우징 (3) 의 측면 (4) 으로부터 외방을 향해 도출되는 단자부 (15) 로 구성되어 있고, 전단자부 (15a) 를 후단자부 (15b) 보다도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크게 하는 단자 보강부 (17) 의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하우징 (3) 의 측면 (4) 으 로부터 도출된 전후 한 쌍의 단자부 (15, 15) 중 전단자부 (15a) 에는, 그 선단에 단자 보강부 (17) 가 형성된다. 단자 보강부 (17) 는 전단자부 (15a) 의 선단 각부 (20) 를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전단자부 (15a) 의 선단 각부 (20) 가 상방으로 절곡하여 세워져 납땜면 (16) 이 푸시 버튼 (2) 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도 10 은 단자 보강부 (17) 의 형성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의 (a) 는 단자 보강부 (17) 의 형성전, 도 10 의 (b) 는 단자 보강부 (17) 의 형성후에 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11 은 도 10 의 (b) 의 B-B 단면도이다. 단자 보강부 (17) 는 전단자부 (15a) 의 선단 각부 (20) 에서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절곡선 (18) 에서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절곡선 (18) 은 전단자부 (15a) 의 하우징 (3) 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하고, 이 절곡선 (18) 을 따라 전단자부 (15a) 선단을 상방으로 절곡하여 세움으로써 도 10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강부 (17) 가 형성된다.
또,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보강부 (17) 의 절곡 각도 θ 는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한다. 절곡 각도 θ 를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함으로써 단자 보강부 (17) 와 기판 (50) 사이에 공간부 (19) 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공간부 (19) 에 땜납 (40) 을 충전함으로써 단자 보강부 (17) 의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절곡선 (18) 을 하우징 (3) 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하여 단자 보강부 (17) 를 형성함으로써, 단자 보강부 (17) 의 납땜면 (16) 은 단 자부 (15) 의 하우징 (3) 으로부터의 도출 방향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인 푸시 버튼측을 향한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전단자부 (15a) 의 단자 보강부 (17) 를 기판 (50) 에 납땜함으로써, 전단자부 (15a) 의 하우징 (3) 으로부터의 도출 방향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 양쪽 방향에 대하여 납땜할 수 있다.
즉, 전단자부 (15a) 에 단자 보강부 (17) 를 형성함으로써 전단자부 (15a) 의 하우징 (3) 으로부터의 도출 방향 및 그것과 직교하는 하우징 (3) 의 전후방향의 방향에 대한 납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전단자부 (15a) 의 기판 (50) 에 대한 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자부 (15) 자체를 소형화하더라도 푸시 버튼 (2) 조작에 의한 조작하중이 크게 가해지는 전단자부 (15a) 의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스위치 (1)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 (1) 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 (1) 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푸시 버튼 (2) 와 접점부 (10) 를 수용하는 하우징 (3) 과, 접점부 (10) 에 도통됨과 함께 하우징 (3) 의 측면 (4) 으로부터 외방을 향해 도출되는 단자부 (15) 로 구성되어 있고, 전단자부 (15a) 에 형성되는 단자 보강부 (17) 의 형상이 제 2 실시형태와는 다른 것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단자부 (15a) 에는 푸시 버튼 (2) 측의 측부 (21) 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단자 보강부 (17) 가 형성된다. 즉, 전단자부 (15a) 의 납땜면 (16) 의 일부가 푸시 버튼 (2) 측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도 14 는 단자 보강부 (17) 의 형성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의 (a) 는 단자 보강부 (17) 의 형성전, 도 14 의 (b) 는 단자 보강부 (17) 의 형성후에 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단자부 (15a) 는 푸시 버튼 (2) 측의 측부 (21) 에 측판 (22) 을 갖고 있고, 이 측부 (21) 를 절곡선 (18) 으로 하여 측판 (22) 을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단자 보강부 (17) 가 형성된다. 즉, 절곡선 (18) 은 전단자부 (15a) 의 도출 방향과 평행해진다. 또, 단자 보강부 (17) 의 절곡 각도를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함으로써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절곡선 (18) 을 하우징 (3) 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하여 단자 보강부 (17) 를 형성함으로써, 단자 보강부 (17) 의 납땜면 (16) 은 푸시 버튼 (2) 측을 향한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전단자부 (15a) 를 기판 (50) 에 납땜하면 단자 보강부 (17) 에 의해 푸시 버튼 (2) 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납땜할 수 있어, 전단자부 (15a) 의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단자부 (15) 자체를 소형화하더라도 푸시 버튼 (2) 조작에 의한 조작 하중이 크게 가해지는 전단자부 (15a) 의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스위치 (1)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 (1) 단자부 (15) 의 확대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푸시 버튼 스위치 (1) 는, 제 2 또는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푸시 버튼 (2) 과 접점부 (10) 를 수용하는 하우징 (3) 과, 접점부 (10) 에 도통됨과 함께 하우징 (3) 의 측면 (4) 으로부터 외방을 향해 도출되는 단자부 (15) 로 구성되어 있고, 전단자부 (15a) 에 형성되는 단자 보강부 (17) 의 구성이 제 2 또는 제 3 실시형태와는 다른 것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보강부 (17) 를 전단자부 (15a) 의 선단부에 형성한다. 단자 보강부 (17) 는 전단자부 (15a) 의 선단 대략 중앙부가 절결형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납땜면 (16) 의 단면을 길게 할 수 있어 단면방향에 대한 설치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단자 보강부 (17) 의 단면형상은 푸시 버튼 (2) 의 조작방향 및 하우징 (3) 의 외방을 향한 형상이기 때문에, 단자 보강부 (17) 를 기판 (50) 에 납땜함으로써 이들 각 방향에 대하여 납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단자부 (15) 자체를 소형화하더라도 푸시 버튼 (2) 조작에 의한 조작하중이 크게 가해지는 전단자부 (15a) 의 기판 (50) 에 대한 납땜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스위치 (1) 전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보강부 (17) 의 절결 형상을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삼각형 내지 다각형으로 하는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하우징 (3) 의 형상에 대해서는 대략 사각형으로 하였지만, 각 접점부 (10) 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바닥부를 대략 원형 상으로 하는 등 본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단자부는 푸시 버튼의 조작방향으로 전후 한 쌍씩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도출되고, 푸시 버튼에서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전단자부는 푸시 버튼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후단자부보다도 기판에 대한 납땜 강도를 크게 하는 단자 보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푸시 버튼 조작에 의한 하중이 큰 전단자부의 기판에 대한 납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자부를 소형화하더라도 충분한 납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푸시 버튼 스위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단자 보강부는 전단자부의 납땜면을 확대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전단자부의 기판에 대한 납땜 강도를 확대된 납땜면의 크기에 비례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단자부는 하우징 하면에 노출면을 갖고, 전단자부의 노출면을 후단자부의 노출면보다 확대함으로써 납땜면을 확대하여 단자 보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단자부의 하우징 측면으로부터의 도출량을 변경하지 않고 스위치 전체의 기판에 대한 납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단자부를 후단자부보다도 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단자부는 하우징 하면으로부터 단차부를 사이에 두고 납땜면을 구비하고, 전단자부의 단차부는 후단자부의 단차부보다도 내측에 형성되며 납땜면을 확대하여 단자 보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 지는 것에 의해, 단부의 위치를 바꾸어 납땜면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전단자부를 후단자부보다도 기판에 대하여 강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전단자부는 중앙 고정 접점과 도통되고 후단자부는 주변 고정 접점과 도통되는 것에 의해, 납땜되는 단자의 노출면을 크게 하더라도 고정 접점에 대한 연면(延面) 거리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할 때 플럭스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단자부는 하우징 측면으로부터 도출된 단자도출부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하우징 측면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한 납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납땜의 육안 확인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단자 보강부는 전단자부의 납땜면의 일부를 푸시 버튼측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전단자부의 하우징 측면으로부터의 도출 방향 및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쪽 방향에 대한 납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자부를 소형화하더라도 충분한 납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푸시 버튼 스위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전단자부의 납땜면은 전단자부의 하우징 측면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또는 평행한 절곡선에서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납땜면의 일부를 푸시 버튼측에 노출시켜서 단자 보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전단자부의 납땜면의 일부를 용이하게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단자 보강부는 전단자부의 선단부를 절결하고 납땜면의 단면길이를 길게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납땜면의 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푸시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전단자부는 하우징의 후측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후단자부는 하우징의 전측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납땜면을 크게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공통의 띠형 금속재로부터 고정 접점을 포함한 전단자부와 후단자부의 재료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접점부를 수용하여 기판에 부착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노출되어 상기 기판의 면과 평행 방향으로 조작가능한 푸시 버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점부와 도통된 단자부를 측면으로부터 도출시키고, 그 단자부는 상기 기판에 대한 납땜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푸시 버튼의 조작방향으로 전후 한 쌍씩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도출되고, 상기 푸시 버튼에서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전단자부는 상기 푸시 버튼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후단자부보다도 상기 기판에 대한 납땜 강도를 크게 하는 단자 보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의 납땜면을 확대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부는 단차부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하우징 하면에 노출면을 가지고, 상기 전단자부의 노출면을 상기 후단자부의 노출면보다 확대함으로써 납땜면을 확대하여 상기 단자 보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 하면으로부터 단차부를 사이에 두고 납땜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향해 상기 단자부가 신장되는 방향에 있어 상기 전단자부의 단차부를 형성하는 절곡위치를, 상기 후단자부의 단차부를 형성하는 절곡위치보다도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단자부의 단차부는 상기 후단자부의 단차부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납땜면을 확대하여 상기 단자 보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 고정 접점과, 상기 중앙 고정 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단자부가 도출되는 하우징의 측면측에 배치되는 주변 고정 접점과, 그 주변 고정 접점 위에 배치되어 중앙 고정 접점과 접속분리가 자유로운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단자부는 상기 중앙 고정 접점과 도통되고 상기 후단자부는 상기 주변 고정 접점과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의 상기 하우징 측면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을 상방으로 절곡한 절곡부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납땜면의 일부를 상기 푸시 버튼측의 외방으로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의 선단 근방을 그 전단자부의 하우징 측면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절곡선에서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상기 납땜면의 일부를 상기 푸시 버튼측의 외방으로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를 하우징 측면으로부터의 도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절곡선에서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상기 납땜면의 일부를 상기 푸시 버튼측의 외방으로 노출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강부는 상기 전단자부의 선단부를 절결하고 상기 납땜면의 단면길이를 길게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측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측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KR1020050130368A 2005-01-28 2005-12-27 푸시 버튼 스위치 KR100755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22087A JP2006210195A (ja) 2005-01-28 2005-01-28 押釦スイッチ
JPJP-P-2005-00022087 2005-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00A KR20060087400A (ko) 2006-08-02
KR100755223B1 true KR100755223B1 (ko) 2007-09-04

Family

ID=3684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368A KR100755223B1 (ko) 2005-01-28 2005-12-27 푸시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210195A (ko)
KR (1) KR100755223B1 (ko)
CN (1) CN100545976C (ko)
TW (1) TWI29118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59B1 (ko) 2011-02-08 2012-06-08 주식회사 마그마 푸쉬 스위치장치
US8507818B2 (en) 2011-03-10 2013-08-13 Magma Co., Ltd. Push switch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0283A (ja) * 2008-01-17 2009-07-30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09231062A (ja) * 2008-03-24 2009-10-08 Smk Corp 基板実装用スイッチの端子構造
JP5083057B2 (ja) * 2008-06-13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0118336A (ja) * 2008-10-14 2010-05-27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電子機器
JP5573291B2 (ja) 2010-03-30 2014-08-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6029106B2 (ja) * 2013-06-25 2016-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665A (ko) * 1997-05-19 1998-12-05 가따오까 마사따까 전기부품 및 이 전기부품의 부착구조
JP2002279855A (ja) * 2001-03-21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面実装型電子部品
JP2004350236A (ja) * 2003-05-26 2004-12-09 Murata Mfg Co Ltd 帯域選択透過回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0221A (ja) * 1997-07-18 1999-02-12 Yazaki Corp プリント基板用接続端子
JP3472223B2 (ja) * 2000-03-02 2003-12-02 株式会社サガミ電子工業 タクトスイッチ
JP3780185B2 (ja) * 2001-08-06 2006-05-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気部品、並びに電気部品の製造方法
JP2005019112A (ja) * 2003-06-25 2005-01-20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665A (ko) * 1997-05-19 1998-12-05 가따오까 마사따까 전기부품 및 이 전기부품의 부착구조
JP2002279855A (ja) * 2001-03-21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面実装型電子部品
JP2004350236A (ja) * 2003-05-26 2004-12-09 Murata Mfg Co Ltd 帯域選択透過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59B1 (ko) 2011-02-08 2012-06-08 주식회사 마그마 푸쉬 스위치장치
US8507818B2 (en) 2011-03-10 2013-08-13 Magma Co., Ltd. Push swit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00A (ko) 2006-08-02
CN1812029A (zh) 2006-08-02
TW200636784A (en) 2006-10-16
TWI291187B (en) 2007-12-11
JP2006210195A (ja) 2006-08-10
CN100545976C (zh)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223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JP508305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EP1056106A1 (en) Push button switch including dome-shaped movable contact having reverse function
JP2008071564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EP1351269A2 (en) Slide 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2376485A (zh) 滑动移位接触开关
JP4862697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5302462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10135319A (ja) 多段動作スイッチ
JP2006244977A (ja) 押釦スイッチ
JP2010212172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537602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9170283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246119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4311128A (ja) 押釦スイッチ
JP2006210194A (ja) 押釦スイッチ
JP2014053273A (ja) 接触部材
JP5429315B2 (ja) 接触部材
US8455776B2 (en) Push switch
JP2010020911A (ja) 押釦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557349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104952656B (zh) 按压开关
JP6055157B2 (ja) 押釦スイッチ
JP569642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4207057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