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913B1 -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형 디젤 엔진 - Google Patents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형 디젤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913B1
KR100754913B1 KR1020010010782A KR20010010782A KR100754913B1 KR 100754913 B1 KR100754913 B1 KR 100754913B1 KR 1020010010782 A KR1020010010782 A KR 1020010010782A KR 20010010782 A KR20010010782 A KR 20010010782A KR 100754913 B1 KR100754913 B1 KR 10075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ump
tank
lin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273A (ko
Inventor
호퍼로베르트
드쎄끌로드
나딸리실바노
Original Assignee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1008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02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 F02M59/08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of reciprocating-piston or reciprocating-cylinder type characterised by two or more pumping elements with conjoint outlet or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one engin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7/00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02M47/02Fuel-injection apparatus operated cyclically with fuel-injection valves actuated by fluid pressure of accumulator-injector type, i.e. having fuel pressure of accumulator tending to open, and fuel pressure in other chamber tending to close, injection valves and having means for periodically releasing that clos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4Means for damping vibrations or pressure fluctuations in injection pump inlet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39/005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for concentric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2007/0097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for large diesel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유체용 압력 탱크(2)와, 유체를 상기 압력 탱크(2)내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기구(4)와, 상기 펌프 기구(4)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압력 탱크(2) 내로 안내하는 연결 수단(3, 31, 32)을 포함하는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장치가 제안되는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펌프 기구(4) 및 상기 압력 탱크(2)에 연결된 2개의 분리된 압력 라인(3, 31, 32)을 포함한다.
레일시스템, 압력 라인, 압력 탱크, 펌프 기구, 유체, 누설, 회전 홀더

Description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형 디젤 엔진{SUPPLY APPARATUS FOR A COMMON RAIL SYSTEM AND LARGE DIESEL ENGINE WITH THE SAME}
도 1은 복수의 커먼 레일 시스템을 갖는 대형 디젤엔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기구의 실시예의 기호화된 도면.
도 3은 압력 탱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복수의 부품을 갖는 압력 라인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선 V-V에 따른 중간 지지체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선 VI-VI에 따른 중간 지지체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선 VII-VII에 따른 압력 라인의 2개의 단편(segment)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회전 홀더를 갖는 압력 라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펌프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디젤 엔진은 예를 들면,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소 혹은 배와 같은 것의 주요 구동원으로 사용된다. 디젤 엔진은 주로 서행 운전되는 2행정 크로스 헤드 기계 혹은 4행정 기계로 설계된다. 최근의 기술 발전에 따라, 연료 분사 시스템, 가스 교환 시스템 및 예를 들면 오일 제어용 보조 시스템 등이 최신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에서 작동된다. 예를 들면 분사용 연료, 출구 밸브의 작동용 유압 매체 혹은 분사 제어용 작동 매체 등과 같은 유체가 펌프에 의해 고압 하에서 어큐물레이터로 지칭되는 압력 탱크 내로 공급된다. 개별 어큐물레이터로부터 배출된 가압된 유체는, 내연기관의 모든 실린더에 공급되거나, 밸브 및 연료 분사 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자동차 엔진과 같은 소형 내연기관 엔진과 달리,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은, 어큐물레이터로 각각의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 펌프가 통상 어큐물레이터로부터 공간적으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어큐물레이터(압력 탱크)는, 예를 들면 각 경우에 따라 설비가 구비되거나 제거된 튜브형 부품으로 설계되고, 대략 실린더 헤드의 높이에서 엔진을 따라 연장된다. 연료 공급용 고압 펌프 및 가스 교환 제어용 유압 매체는, 예를 들면 기어를 통해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므로, 크랭크축 공간 근처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유로 펌프 및 압력 탱크 사이의 거리는 수 미터 정도가 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10 미터 및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2000 bar에 이르는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펌프와 압력 탱크를 연결시키기 위한 매우 긴 고압의 압력 라인이 필요하다. 압력 라인 내의 유체의 맥동(pulsation)에 기인하는 강한 진동 및 동적 맥동에 의해, 압력 라인은 매우 큰 응력을 받는데, 이는 누수 혹은 파손과 같은 심각한 손상 위험을 초래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연료 펌프와, 연료 펌프에 연결된 연료용 압력 탱크 사이의 압력 라인에 극심한 파손 또는 누수가 생기면, 엔진은 정지되어야만 하고, 이는 배의 추진에 있어서 커다란 기동성 부족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장치로서, 커먼 레일 시스템, 나아가 전체 대형 디젤 엔진의 고장 우려를 크게 감소시켜 작업 안전성이 증가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만족시키는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장치는 독립항의 내용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장치는 유체용 압력 탱크와, 유체를 상기 압력 탱크 내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기구와, 상기 펌프 기구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압력 탱크 내로 안내하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로서, 상기 연결 수단은 2개의 분리된 압력 라인을 포함하고, 각 압력 라인은 펌프 기구와 압력 탱크에 연결된다.
커먼 레일 시스템의 정상 상태에서, 펌프 기구는 2개의 압력 라인을 통해 커먼 레일 시스템의 압력 탱크 내로 유체를 공급한다. 만약 2개의 압력 라인 중 하나에, 예를 들면 심한 누수와 같은 손상이 생기면, 다른 압력 라인을 통해 압력 탱크로 유체가 계속 공급될 수 있으므로, 커먼 레일 시스템은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있다. 따라서, 압력 라인이 손상되었을 때, 대형 디젤엔진은 적어도 감소된 동력으로 계속 작동될 수 있다. 만약 배의 주 엔진의 문제라면, 이러한 종류의 손상에서도 배는 계속적으로 운항할 수 있고 감소된 속력으로 계속 항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압력 라인은, 압력 탱크가 연결되어 있는 일단과 펌프 기구가 연결되어 있는 타단에 차단 기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단을 통해, 압력 라인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압력 라인은 커먼 레일 시스템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펌프 기구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가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되거나 압력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압력 라인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단편(segments)(311, 321)을 포함하며, 압력 라인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가 인접한 상기 단편 사이의 각 연결부 근처에 각각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 연결체로 형성되는 연결부는 특히 굽힘 진동에 영향을 받기 쉬운데, 굽힘 진동은 긴 구간에 걸쳐 지지되지 않은 압력 라인에서 발생한다. 각각의 경우, 연결부 근처에 지지체를 제공함으로써, 굽힘 진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연결부에서 효과적으로 감쇄되며, 이를 통해 연결부의 손상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지지체는, 예를 들면 압력 라인을 둘러싸며, 통상 고압 압력 라인에 구비되어야 하는 보호관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2개의 상기 압력 라인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2개의 압력 라인을 위한 상기 단편들은 대응하는 쌍이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교체용으로 보다 적은 수의 부품이 요구되고, 압력 라인이 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2개의 압력 라인에 누설이 있는 경우, 2개의 압력 라인 중 손상되지 않은 단편으로 정상 작동이 가능한 1개의 압력 라인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커먼 레일 시스템의 계속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각 압력 라인에 복수의 중간 지지체가 상기 압력 라인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며, 하나의 압력 라인의 인접한 상기 중간 지지체 사이의 거리는 다른 하나의 압력 라인의 인접한 상기 중간 지지체 사이의 거리와 상이하다. 이는 2개의 압력 라인에 대한 부하 범위가 다르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동일한 진동수 및/또는 동일한 파장의 굽힘 진동이 2개의 압력 라인에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압력 라인이 동시에 혹은 동일 부위에 손상이 발생되는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중간 지지체는 엔진에 고정된다.
만약 모든 실린더의 공용 어큐물레이터로서 커먼 레일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압력 탱크에, 예를 들면 누설을 통해, 바람직하지 않은 큰 압력 강하가 발생하면, 대형 디젤 엔진은 공지의 장치에서 작동이 중지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많은 장점을 갖는 변형예로서, 상기 압력 탱크는, 2개의 분리된 저장 유닛; 및 상기 2개의 압력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라인으로부터 상기 2개의 저장 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분배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애가 발생한 경우, 손상된 저장유닛은 커먼 레일 시스템으로부터 결합해제가 가능하고, 실린더가 정상 작동중인 저장 유닛에 연결된 상태로, 모터가 비상 작동 모드로 계속 운전될 수 있다.
장애가 있는 경우, 누설 혹은 손상 위치가 가능한 한 신속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누설 제한 수단이 각 압력 라인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 공급 용량의 증가 및 여분을 위해, 펌프 기구는 유체를 2개의 압력 라인 내로 공급하는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펌프 기구가 맥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중간 저장소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펌프는 분리된 각 펌프 라인을 통해 중간 저장소에 연결되고, 2개의 압력 라인은 중간 저장소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저장소를 통해, 펌프에 의해 생성된 맥동과 같은 동적 압력 성분이, 유체가 압력 라인 내로 공급되기 전에 상당히 감쇄된다. 이러한 수단을 통해, 압력 라인의 기계적 응력, 나아가 누설의 위험 혹은 누설에 따른 여러 손상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펌프라인의 각각은 펌프 저장소를 구비하거나, 펌프 저장소로서 설계되고, 상기 펌프 저장소는 연관된 상기 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맥동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중간 저장소의 체적에 1대 2 내지 1대 8 비율의 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제적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를 통해, 각 펌프에 의해 발생된 맥동이 보다 소형의 펌프 저장소에 의해 1차로 개별적으로 감쇄되고, 모든 펌프에 의해 공급된 전 유체의 맥동은 대형의 공용 중간 저장소에서 추가로 감쇄된다.
본 발명의 공급장치는 모든 유형의 대형 디젤엔진에 적당하고, 특히, 2행정 혹은 4행정으로 작동하는 대형 디젤엔진에 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는, 모든 종류의 커먼 레일 시스템, 특히 연료 분사용 시스템, 가스 교환 밸브, 특히 출구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시스템, 및 분사 시스템 제어용 유압 시스템에 적합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수단 및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은 다수의 실린더(101) 중 하나를 갖는 대형 디젤 엔진(10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엔진은 예를 들면 배 혹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의 주 구동원으로 사용된다. 특히, 이 대형 디젤 엔진(100)은 길이 방향으로 소기를 하는 저속 운전 2행정 크로스헤드 대형 디젤 엔진으로 설계되고, 전자적으로 혹은 전기-유압적으로 각각 제어되는데, 이는 가스 교환 및 분사의 기계적-유압적 제어를 위한 고전적 의미의 제어축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사, 가스 교환 및 시동 시스템과 같은 적절한 보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분사 시스템 및 유압 시스템은 전자기식 파일럿 밸브에 의해 제어 가능한데, 이 밸브는 제어 장치로부터 나온 전기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제어 장치는 크랭크각에 의해 엔진 속도와, 추가 상태 변수, 분사를 위한 개별 이상 시간 및 개별 이상 연료량 혹은 각각의 출구 밸브의 개방 및 폐쇄 시점을 결정하고, 대응하는 전기적 제어신호를 파일럿 밸브에 보내며, 파일럿 밸브는 그에 따라 연관된 분사 시스템 혹은 유압 시스템을 각각 작동시킨다.
적어도 분사 및 가스 교환이 커먼 레일 원리에 따라 수행되는, 복수의 커먼 레일 시스템이 대형 디젤 엔진(100)에 제공되는데, 이는 이러한 종류의 각 시스템에 있어서 모든 실린더에 연결된 개별 공통 압력 탱크가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압력 탱크에서는, 예를 들면 분사를 위한 유체 혹은 출구 밸브의 작동을 위한 유압 매체와 같은 유체가 고압 환경 하에 저장되어 여러 실린더(101)를 위해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각각 공급장치를 갖는 2개의 커먼 레일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하나는 연료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출구 밸브의 작동을 위한 것이다. 분사 시스템을 위한 공급장치는 연료를 위한 압력 탱크(2a), 연료를 압력 탱크(2a) 내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 기구(4a) 및 펌프 기구(4a)에 의해 공급되는 연료가 압력 탱크(2a) 내로 안내하는 연결수단(3a)을 포함한다. 펌프 기구(4a)는 크랭크축 기어(104)와 여기에 맞물린 기어(105)를 통해 엔진(100)의 크랭크축(103)에 의해 구동되고, 예를 들면 2000 bar, 특히 약 1200 bar 정도의 고압 하에서 연료를 압력 탱크(2a) 내로 공급하며, 압력 탱크는 여기에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을 모든 실린더의 분사 장치에 연료를 공급한다.
출구 밸브(102)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시스템용 공급장치는 펌프 기구(4b)를 포함하는데, 펌프 기구는 동일한 방법으로 크랭크축(103) 혹은 보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예를 들면 유압 오일 혹은 제어 오일과 같은 유압 매체를 연결수단(3b)을 통하여 압력 탱크(2a) 내로 이송하는데, 여기에서 모든 실린더(101)의 출구 밸브(102)의 작동을 위한 예를 들면 200 bar의 압력 하에서 준비상태가 된다.
공간적 배치를 통해, 연결수단(3a, 3b)의 펌프 기구(4a, 4b) 및 연결된 압력 탱크(2a, 2b) 사이의 길이는 전형적으로 각각의 경우 수 미터에 이르고, 예를 들면 약 10 미터 혹은 그 이상에 이른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분사 장치의 유압적 작동을 위해 기능하는 공급장치를 갖는 제3 커먼 레일 시스템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압력 탱크의 유압 매체는 동일한 방법으로 고압 하에서 저장되고, 그 공급장치는 출구 밸브(102)의 작동을 위한 시스템의 그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압력 탱크(2a, 2b)는 시설물을 갖거나 혹은 갖지 않는 튜브형 부품으로 설계되고, 각각의 경우, 대략 실린더 헤드의 높이에서 엔진(100)을 따라 연장된다.
도 2는 커먼 레일 시스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기호화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공급장치는 전체에 걸쳐 참조부호(1)로 지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가 연료 분사를 위한 커먼 레일 시스템용으로 사용되는가 혹은 유압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사용되는가 혹은 다른 커먼 레일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가는 상관관계가 적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들이 앞으로의 설명에서 더 이상 구별되지 않을 것이다. 이후의 설명은 대형 디젤 엔진에서의 임의의 커먼 레일 시스템에 대하여 일반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참조 부호의 기호 "a" 및 "b"는 앞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고, 압력 탱크는 참조부호(2)로, 연결수단은 부호(3)으로 펌프 기구는 부호(4)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수단(3)은 각각이 펌프 기구(4) 및 압력 탱크(2)에 연결된 2개의 분리된 압력 라인(31, 32)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압력 라인(31, 32)은 각각의 경우 단순한 선으로 기호화되어 도시되어 있고, 그 상세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 계속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압력 라인(31, 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연장될 필요없이, 곡선, 굽은 선 혹은 다른 방향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실제의 응용에 있어, 이는 엔진 전체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의 각각의 경우의 공간 조건, 펌프 기구(4) 및 압력 탱크(2) 각각의 공간적 배치, 및 펌프 기구(4)로부터 압력 탱크(2)로 압력 라인(31, 32)을 안내하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또 다른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커먼 레일 시스템에 대해서 일반적인 것처럼, 압력 탱크(2)는 모든 실린더(101)에 연결되거나 실린더(101)의 작동부재(예를 들면, 분사장치, 출구밸브)에 각각 연결된다. 이 것이 도 2에서 참조부호(Z1 내지 Zn)로 표시된 선으로 나타나 있고, 여기에서 n은 대형 디젤 엔진의 총 실린더 수이다. 각각의 차단밸브(106)가 이들 선(Z1 내지 Zn)의 각각에 제공되어 각각의 실린더(101)는 압력 탱크(2)에 개별적으로 결합 해제될 수 있다.
펌프 기구(4)는 한편으로는 충분한 유동률을 확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여분을 위해 적어도 2개, 특히 3개의 펌프(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펌프(41) 중의 하나가 고장나면, 나머지 펌프(41)가 압력 탱크(2) 내로 충분한 유체를 공급할 수 있어서 대형 디젤 엔진의 연속적인 동작을 확실하게 한다.
3개의 펌프가 출구 밸브(102)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 시스템용 펌프 기구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를 위한 커먼 레일 시스템을 위해서 펌프 기구는 4, 6개의 펌프 혹은 매우 압력이 큰 고압 펌프를 엔진의 실린더의 크기 및 숫자에 따라 가질 수 있다.
압력 라인(31, 32)의 각각은, 압력 탱크(2)에 연결된 단부 및 펌프 기구(4)에 연결된 단부에 예를 들면 차단밸브와 같은 차단 기구(11)를 가진다. 문제점이 없는 동작상태를 의미하는 정상상태에서, 펌프 기구(4)는 2개의 라인을 거쳐 압력 탱크(2) 내로 유체를 평행하게 공급한다. 2개의 라인(31, 32) 중 하나에 심한 누수 혹은 다른 손상이 발생하면, 이 압력 라인은 그 단부에 있는 두 차단 기구(11)를 폐쇄하여 시스템으로부터 폐쇄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손상된 압력 라인(31, 32)을 통해 유체가 시스템으로부터 통제 불가능하게 빠져나가, 예를 들면 압력 탱크(2)에서의 큰 폭의 압력 강하 혹은 바람직스럽지 않게 압력 탱크(2)가 비게 될 위험이 없어진다. 그 후, 공급장치(1)는 손상된 압력 라인(31, 32)의 차단 기구(11)를 폐쇄한 후에 하나의 압력 라인(31, 32)만으로 연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서, 커먼 레일 시스템은 적어도 감소된 성능으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실질적인 이유로, 각각의 압력 라인(31, 32)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단편(311, 321)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결합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한 인접한 단편(311, 321) 사이의 연결부(5)는 도 2에서 상징적 의미로만 도시되었고, 도 4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이하에 더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종류 혹은 연결부(5)의 나사 결합은 일반적으로 굽힘 진동에 영향을 받기 쉬운데, 굽힘 진동은 보다 긴 구간에 걸쳐 지지되지 않은 압력 라인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굽힘 진동이 발생되지 않거나 혹은 연결부(5)에서 매우 감쇄되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압력 라인(31, 32)은 각 연결부(5)의 근처에서 고정되며, 이 경우, 지지체(6)에 의해 고정된다. 각각의 경우, 지지체(6)는 연결부(5)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위치된다. 도 4와 관련하여, 이러한 지지체(6)가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가를 보다 상세히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압력 라인(31, 3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압력 라인(31, 32)을 형성하는 단편(311, 321)들은 각각의 경우 쌍으로 동일하며, 이 것은 하나의 압력 라인(31)의 각각의 단편(311)에 대해 다른 압력 라인(32)에 구조적으로 동일한 단편(321)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은 교체용으로 보다 적은 수의 부품이 필요하고 압력 라인(31, 32)이 보다 간단하고 보다 경제적으로 제조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필요하다면, 하나의 압력 라인(31 혹은 32)의 단편들은 각각 다른 압력 라인(31 혹은 32)에 삽입될 수 있다.
압력 라인(31, 32)의 길이가 긴 결과, 압력 라인(31, 32)의 요동 및 진동, 특히 굽힘 진동을 적어도 감쇄시키거나 피하기 위해, 지지체(6) 외에 압력 라인(31, 32)을 고정하기 위한 또 다른 중간 지지체(7)가 또한 제공된다. 도 2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 엔진 혹은 엔진 하우징에 고정되는 중간 지지체(7)가, 하나의 압력 라인(31)의 인접한 중간 지지체(7) 사이의 거리(d1)가 다른 압력 라인(32)의 인접한 중간 지지체(7) 사이의 대응하는 거리(d2)와 다르도록 배치되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예를 들면 하나의 압력 라인(31)의 굽힘 요동이 그 진동수 및/또는 파장에 있어 다른 압력 라인(32)의 굽힘 요동과 다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부하 스펙트럼이 2개의 압력 라인(31, 32)에 대해 달라지므로써, 2개의 압력 라인(31, 32)이 동시에 손상될 위험이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도 3은 압력 탱크(2)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 압력 탱크(2)는 2개의 압력 라인(31, 32)과 저장유닛(21, 22)의 각각에 연결된 분배기(23)와 2개의 분리된 저장유닛(21, 22)을 포함한다. 하나의 저장유닛(21)은 처음의 i 유닛에 연결되는데, 여기에서 i는 1 ≤i ≤(n-1) 이고, n은 엔진의 총 실린더수를 의미한다. 이 것은 도 3에서 선(Z1 내지 Zi)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른 저장유닛(22)이 선(Z(i+1) 내지 Zn)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n-i) 실린더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엔진에서 짝수 수의 실린더에 대해서는 i = n/2 이고, 홀수 수의 실린더에 대해서는 i = (n/2 ±0.5) 이다.
분배기(23)는 하나의 저장유닛(21)으로부터 다른 저장유닛(22)으로 연장되는 연결선(233)을 포함한다. 하나의 저장유닛(21)을 위한 제1 저장 차단밸브(231)와 다른 저장유닛(22)을 위한 제2 저장 차단밸브(232)가 연결선(233)에 제공된다. 2개의 압력 라인(31, 32)이 2개의 저장 차단밸브(231, 232) 사이의 연결선(233) 내로 개방된다. 만약 저장 차단밸브(231, 232)가 개방되면, 압력 라인(31, 32)으로부터 나온 유체는 두 저장유닛(21, 22)으로 유동한다. 거꾸로, 만약 하나의 제1 저장 차단밸브(231) 혹은 제2 저장 차단밸브(232)만이 개방되고, 다른 하나가 폐쇄되면, 유체는 개방된 하나의 밸브로 유동하거나, 혹은 다른 하나의 저장유닛(21 또는 22)으로 유동한다. 압력 탱크(2)의 변형을 통해, 공급장치(1)의 작업 안정성이 보다 증가된다. 예를 들면, 2개의 저장유닛(21, 22) 중의 하나에 큰 압력 강하가 누설 혹은 다른 손상의 결과로서 나타나면, 대응하는 저장유닛(21, 22)은 연결된 저장 차단밸브(231 혹은 232)를 폐쇄함으로써 커먼 레일 시스템과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유닛(21)에 손상이 발생하면, 제1 저장 차단밸브(23)가 폐쇄되어, 압력 라인(31, 32)로부터의 유체는 저장유닛(22)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이 저장유닛(22)에 연결된 실린더((i+1) 내지 n)는 동작 가능하게 남아있고, 대형 디젤 엔진은 이들 실린더들로 비상 동작모드로 계속해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전체 대형 디젤 엔진의 정지는 그 수리동안에도 이런 종류의 손상에 의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지지체(6) 및 중간 지지체(7)의 연결부(5)의 압력 라인(31, 32)의 가능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설명은 하나의 압력 라인(31)에 대해서 이루어지지만, 다른 압력 라인(32)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압력 라인(31)의 종방향 축선(A)에 의해 결정되는 방향은 이하에서 축방향으로 언급될 것이다.
도 4는 압력 라인(31)의 종방향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2개의 단편(311)은 나사 연결로 표시된 연결부(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단면 표시선(V-V)에 따른 중간 지지체(7)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4의 단면 표시선(VI-VI)에 따른 지지체(6)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7는 도 4의 단면 표시선(VII-VII)에 따른 연결부(5)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강으로 제조된 압력 라인(31)은 안전상의 이유로 복수의 섹션들을 포함하는 보호관(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보호관(8)은 안전상의 이유로 제공되며 압력 라인(31)의 누설 혹은 파단의 경우 가압된 유체가 통제되지 않은 상태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5), 지지체(6) 및 중간 지지체(7)는 보호관(8)에 일체로 되어 있다.
서로 인접한 2개의 단편(311)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5)(도4 및 도 7 참조)가, 여기서는 나사 연결로서 설계된 연결부(5)가 제공된다. 연결부(5)는 2개의 플랜지(81) 사이에 설치된 베이스판(51)을 포함한다. 플랜지(81)는 각각의 경우 보호관(8)의 섹션의 일단에 제공된다. 베이스판(51)은 또한 2개의 나사(52)에 의해 대형 디젤 엔진에 고정된다. 베이스판(51)은 압력 라인(31)의 인접한 단편(311)의 2개의 대향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나사 조각(53)이 배치되어 있는 중앙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보어를 갖는다. 보어(54)는 각각의 경우 나사조각(53)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제공되고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완전히 베이스 판(51)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고정핀(55)이 각각의 경우 이들 보어(54)에 고정된다. 고정핀(55)은 축방향으로의 나사조각(53)의 이동 및 축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베이스판(51)에는 각각의 경우 축방향 보어로 설계되고, 주시용 나사(58)와 함께 축방향으로 베이스판(51)을 완전히 지나 연장되는 오버플로(56) 및 제한 장치(57)가 제공된다. 이러한 요소들의 기능은 이하에 보다 더 설명될 것이다.
나사 조각(53)은 중앙의 축방향의 관통보어(532)를 갖는데, 이 것은 압력 라인(31)의 2개의 인접한 단편(311) 사이의 유체의 유동 연결을 형성한다. 나사 조각(53)은 각각의 경우 압력 라인(31)의 단편(311)의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외측 나사(531)를 그 2개의 축방향 단부에 구비한다. 슬리브(313)는 단편(311)의 단부에 고정되고, 단편(311)의 단부를 넘어 돌출한다. 슬리브(313)는 외측 나사(531)와 협동하여 단편(311)이 나사 조각(53)에 압력 고정되는 방법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내측 나사(314)를 구비한다. 외측 단편(311)은 나사 조각(53)의 다른 축방향 단부에 동일한 방법으로 나사결합되어 2개의 인접한 단편(311)들이 서로 연결된다.
연결부(5)에 인접하여, 즉, 연결부(5)로부터 거리(H) 만큼 이격되어, 압력 라인(31, 32)을 위한 지지체(6; 도 4 및 도 6 참조)가 제공되며, 그 주요 기능은 연결부(5)의 전진을 피하거나 혹은 크게 감소시켜 연결부(5)가 이러한 종류의 굽힘 요동에 의한 응력을 받지 않거나 혹은 작게 받도록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지지체(6)가 단편(311)에 가까이 있어야만 한다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단편(311) 사이의 연결부(5)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해, 연결부(5) 와 지지체(6)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는 이유로 거리(H)가 사전에 결정된다.
지지체(6)는 보호관(8)의 섹션의 플랜지를 형성한다. 판(61)에 축방향으로 중앙 관통 보어(62)가 제공되며, 이 것을 통해서는 압력 라인(31)이 통과한다. 보어(62)에는, 그 사이에 압력 라인(31)이 배치되는 제1 죠우(63) 및 제2 죠우(64)가 배치된다. 압력 라인(31)과 대향하지 않는 제1 죠우(63)의 외측은 중앙 보어(62)의 내벽의 형상과 일치한다. 제2 죠우(64)는 제1 죠우(63)을 향해 2개의 나사(66)에 의해 당겨질 수 있는데, 나사(66)는 각각의 경우 판(61) 및 제1 죠우(63)를 거쳐 제2 죠우(64)까지 연장되어 압력 라인(31)은 2개의 죠우(63, 64) 사이에 물려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6) 자체는 엔진에 부가적으로 고정될 필요없다.
중앙 보어(62)에 인접하여, 판(61)은 또한 축방향 보어로서 형성된 오버플로(65)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8)은 지지체(6) 및 연결부(5) 사이의 섹션에서 큰 외경을 갖는다. 이 확대된 섹션에는 오버플로관(82)이 제공되고, 이 관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체(6)의 오버플로(65)를 연결부(5)의 오버플로(56)에 연결한다.
중간 지지체(7)(도 4 및 5 참조)는 2개의 플랜지(83) 사이에 배치된 판(71)을 구비한다. 플랜지(83)는 각각의 경우 보호관(8)의 섹션의 일단에 배치되고 나사(76)에 의해 판(71)에 고정된다. 판(71)은 나사(77)에 의해 대형 디젤 엔진에 고정된다. 지지체(6)의 판(61)의 경우에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그 내를 압력 라인(31)이 통과하는 중앙 관통보어(72)가 중간 지지체(7)의 판(71)에 축방향으로 제공된다. 보어(72)에는 압력 라인(31)이 그 사이에 배치된 제1 죠우(73) 및 제2 죠우(74)가 배치된다. 압력 라인(31)을 등진 제1 죠우(73)의 외측은 그 형상이 중앙 보어(72)의 내벽에 일치한다. 제2 죠우(74)는 제1 죠우(73)를 향해 2개의 나사(75)에 의해 당겨질 수 있는데, 나사(75)는 각각의 경우 판(71) 및 제1 죠우(73)를 거쳐 제2 죠우(74)까지 연장되어 압력 라인(31)은 2개의 죠우(73, 74) 사이에 물려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각각의 압력 라인(31, 32)의 실시예에서, 누설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 압력 라인에 공급된다. 이러한 수단은 각각이 보호관(8)중 하나의 섹션에 의해 그리고 압력 라인(31, 32) 중의 하나에 의해 경계지게 되는 다수의 탱크(84)를 포함한다. 각각의 탱크(84)에 대해서, 오버플로 관(82)이 제공되는데, 이 것을 통해 유체는 탱크(84)로부터 펌프 기구(4)에 가까이 놓인 인접한 탱크로 흐를 수 있다. 주시수단, 여기서는 연결부(5)의 주시용 스크류(58)에 의해 이 탱크(84) 내에 유체가 존재하는가가 테스트되며, 주시수단은 각각의 탱크(84)에 제공된다.
이러한 종류의 탱크(84)가 도 4에 도시된다. 이 것은 큰 외경을 갖고 연결부(5)와 지지체(6) 사이에 배치된 보호관(8)의 섹션에 의해, 그리고 압력 라인(31), 지지체(6)의 판(61) 및 연결부(5)의 베이스판(51)에 의해 경계되어 진다.
이러한 종류의 개별 탱크(84)가 각각의 연결부(5) 및 연결된 지지체(6) 사이의 압력 라인(31, 32)에 제공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제 만약 도시된(도 4) 압력 라인(31)의 상부 단편(311)에 누설 혹은 파단이 발생하면, 흘러나오는 유체는 먼저 탱크(84)를 채우게 된다. 이 탱크가 다 채워지면, 유체는 판(61)의 중앙 보어(62)를 통해 상승하여 판(61)의 오버플로(65)를 거쳐 오버플로 관(82) 내로 진입한다. 연결부(5)의 베이스판(51)의 오버플로(56) 및 오버플로 관(82)를 거쳐, 유체는 펌프 기구(4)에 가까이 위치한 인접한 다음의 하위 탱크로 흘러간다. 따라서, 누설 위치 및 펌프 기구(4) 사이의 모든 탱크가 연속적으로 채워진다. 펌프 기구(4)에 가장 가까이 위치된 탱크를 의미하는 최하위 탱크가 채워진 후, 누설은 예를 들면 플로터 스위치(floater switch) 혹은 다른 감지기와 같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상응하는 경고 신호가 발생된다.
그 후, 베이스판(51)의 주시용 스크류(58)가 압력 탱크(2)에 가장 가까운 탱크에서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개방되며, 이 것을 통해 유체가 그 탱크에 존재하는가가 각각의 경우 결정될 수 있으며, 그 하부 단부에 막 개방된 주시용 스크류(58)가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각의 손상된 압력 라인(31, 32)의 단편(311)이 제한될 수 있다.
물론, 주시용 스크류(58)가 아닌 다른 주시수단, 예를 들면 윈도우를 통해 보기 혹은 개별 탱크에 유체가 존재하는 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누설이 발생한 후, 상응하는 압력 라인(31, 또는 32)은 대응하는 차단 기구(11)를 폐쇄하여 폐쇄되어져, 더 이상 유체는 흘러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탱크(84)의 일부는 누설 위치에 따라 여전히 유체가 채워진다. 유체는 개별 탱크(84)로부터 제한 장치(57)를 통해 흘러나올 수 있는데, 제한 장치는 연결부(5)의 베이스판(51)의 보어로서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5)는 탱크(84)의 하단을 형성한다. 제한 장치(57)는 더 이상 유체가 "공급" 되지 않는 채워진 탱크(84)가 예를 들면 15분 정도의 시간 후에 저절로 비워질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 시간 간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손상된 단편(311 또는 321)을 제한하기에 충분하다. 각각의 탱크(84)에 제공된 제한 장치(57)는 따라서 누설부를 통해 흘러나오는 유체가 통제된 방법으로 흐르도록 하게 된다. 그 후, 보호관은 유체가 외부로 통제되지 않은 채 흘러나올 위험없이 개방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수단을 기호화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이 수단은 연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1)에 특히 장점을 갖는다. 대형 디젤 엔진의 연료로서 중유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공급 및 분사에 대해 충분히 낮은 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중 유는 일반적으로 100℃가 넘는 온도로 가열되어야만 한다.
압력 라인(31, 32)을 통해 공급되는 예열된 중유를 통해, 압력 라인은 심하게 가열된다. 압력 라인(31, 32)의 긴 길이 때문에 온도에 의해 신장된 길이는 수 밀리미터에 달할 수 있다. 연료를 위한 압력 라인(31, 32)은 보통 그 일단에서 펌프 기구(4)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서 압력 탱크(2)에 고정되기 때문에, 열에 의한 길이 변화는 큰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압력 라인(31, 32)을 변형함으로써 흡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8a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르면, 회전 홀더(9)가 각각의 압력 라인(31, 32)에 제공되는데, 이 것은 압력 라인(31, 32)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축선을 중심으로 압력 라인(31, 32)이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었다. 충분히 이해될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압력 라인만이 도 8에 도시되었다. 물론, 이러한 종류의 회전 홀더(9)는 또한 다른 압력 라인에도 제공된다.
일측으로는 압력 라인(31, 32)에 굳게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엔진에 고정되는 회전 홀더(9)는 압력 라인(31, 32)이 단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되는데, 이 축선은 도 8의 평면에 수직이고, 회전 홀더(9)를 지나는 것이다. 가능한 회전운동이 이중 화살표(R)로 표시되었다. 또한, 2개의 홀더(91)가 제공되어 압력 라인(31, 32)을 엔진에 고정시키는데 이 홀더는 도 8의 평면에서, 즉, 압력 라인(31, 32)이 회전하는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방으로 휘어진 형태이다.
열에 의한 변형은 회전 홀더(9)에 의해 통제된 방법으로 흡수되는데, 이 것은 열에 의한 위치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압력 라인(31, 32)이 제어되는 상태로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8의 평면에 수직으로 압력 라인을 통제되지 않게 방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8에서, 냉온 상태의 압력 라인(31, 32)이 실선(K)에 의해, 고온 상태의 압력 라인(31, 32)이 파선(W)으로 도시되어 있다. 열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면 회전 홀더(9)에서 압력 라인은 회전하여 설정된 통제된 방법으로 변형된다.
도 9는 펌프 기구(4)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3개의 펌프(41) 및 중간 저장소(42)가 이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각각의 펌프(41)는 각각의 분리된 펌프라인(43)을 통해 중간 저장소(42)에 연결되고 공진된 방법으로 그 출구 측에 역지 밸브(45)를 구비한다. 2개의 압력 라인(31, 32)은 각각의 경우 그 일단에서 중간 저장소(42)에 연결되고, 그 타단에서 압력 탱크(2)(도 9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공급되는 유체는 공급라인(44)을 통해 펌프(41)에 도달한다. 또한, 라인(49)은 또한 유체용 저압 시스템에 연결된 중간 저장소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중간 저장소(42)는 펌프(41)가 동작되기 전에 이 라인(49)을 통해 저압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중간 저장소(42)는 압력 탱크(2)에 비해 아주 작은 체적을 갖는다. 압력 탱크(2)는 예를 들면 15 dm3 의 체적을 갖고, 중간 저장소(42)는 예를 들면 1.2 dm3 의 체적을 갖는다. 중간 저장소(42)는 펌프(41)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 요동 및 맥동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2 또는 3개의 적은 수의 펌프(41)만이 커먼 레일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고 이러한 펌프가 큰 변위 체적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맥동과 같은 강한 압력 요동이 압력 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응력작용은 압력 라인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될 유체가 압력 라인(31, 32) 내로 흘러가기 전에 이러한 동적 압력 성분을 적어도 감쇄시키는 기능을 하는 중간 저장소(42)가 여기에 설명된 펌프 기구(4)의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펌프 저장소(46)가 맥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또 다른 뛰어난 방편으로서 분리된 펌프라인(43)들 각각에 제공된다. 각각의 경우 펌프 저장소(46)는 연관된 펌프(41)에 의해 발생된 맥동을 개별적으로 감쇄시켜 맥동은 유체가 중간 저장소(42)로 들어가기 전에 이미 감쇄된다. 그 후, 펌프 저장소를 통해 또 다른 댐핑 효과가 유체가 압력 라인(31, 32)으로 들어가기 전에 발생한다. 펌프 저장소(46)는 각각의 경우 중간 저장소(42) 보다 상당히 적다. 각 펌프 저장소(46)의 체적은 중간 저장소(42)의 체적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특히 약 2.5 배 정도로 작다.
안전상의 이유로, 각 펌프라인(43)은 그 단부에 또 다른 역지 밸브(4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밸브는 중간 저장소(42)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펌프 기구(4) 나아가 전체 공급장치는 펌프라인(43)에 파단 혹은 또 다른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계속적으로 작동 가능한데, 이 것은 손상된 펌프라인(43)의 역지 밸브(47)가 공급장치로부터 손상된 펌프라인(43)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변형예로서, 개별 펌프라인(43) 자체가 각각의 경우 펌프 저장소(46)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별 체적은 예를 들면 상응하게 큰 라인 단면을 통해 펌프라인(43)이 연관된 펌프(41)에 의해 생성된 맥동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독립의 펌프 저장소(46)가 필요하지 않다.
물론, 2개 이상의 압력 라인이 압력 탱크(2)와 펌프 기구(4) 사이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의 실시예가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장치에 의하면, 커먼 레일 시스템, 나아가 전체 대형 디젤 엔진의 고장 우려를 크게 감소시켜 작업 안전성이 증가된다.

Claims (13)

  1. 유체용 압력 탱크(2);
    상기 유체를 상기 압력 탱크(2) 내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기구(4); 및
    상기 펌프 기구(4)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압력 탱크(2) 내로 안내하는 연결 수단(3);
    을 포함하는 대형 디젤 엔진의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로서,
    상기 연결 수단은 2개의 분리된 압력 라인(31, 32)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압력 라인은 상기 펌프 기구(4)와 상기 압력 탱크(2)에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압력 라인은, 상기 압력 탱크(2)에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펌프 기구(4)에 연결되는 타단에 차단 기구(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라인(31, 32)은 각각 서로 연결된 복수의 단편(segments)(311, 321)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라인(31, 32)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6)가 인접한 상기 단편(311, 321) 사이의 연결부(5) 근처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압력 라인(31, 3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2개의 압력 라인(31, 32)의 상기 단편(311, 321)들은 대응하는 쌍이 동일하게(pair-wise identical)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압력 라인(31, 32)에는, 상기 압력 라인(31, 32)을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중간 지지체(7)가 구비되고,
    하나의 상기 압력 라인(31)의 인접한 상기 중간 지지체(7) 사이의 거리(d1)는 다른 하나의 압력 라인(32)의 인접한 상기 중간 지지체(7)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탱크(2)는 2개의 분리된 저장 유닛(21, 22); 및 상기 2개의 압력 라인(31, 32)에 연결되는 분배기(23);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23)는 상기 유체를 상기 압력 라인(31, 32)으로부터 상기 2개의 저장 유닛(21, 22) 모두로 또는 하나의 저장 유닛(21)으로 또는 다른 하나의 저장 유닛(22)으로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압력 라인(31, 32)에는 누설 제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압력 라인(31, 32)은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보호관(8)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누설 제한 수단은 복수의 탱크(84)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탱크(84)는 상기 보호관(8)의 섹션 중 하나와 상기 압력 라인(31, 32) 중 하나에 의해 한정되고,
    각각의 상기 탱크(84)에는, 상기 유체가 상기 탱크(84)로부터 상기 펌프 기구(4)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인접 탱크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오버플로 관(82)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탱크(84)에는, 상기 탱크(84) 내의 유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제어 수단(5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압력 라인(31, 32)에는, 상기 압력 라인(31, 3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축에 대한 상기 압력 라인(31, 32)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홀더(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기구(4)는 복수의 펌프(41); 및 맥동(pressure pulsation)을 감쇄시키기 위한 중간 저장소(42);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펌프(41)는 각각의 펌프 라인(43)을 통해 상기 중간 저장소(42)에 각각 연결되고,
    2개의 상기 압력 라인(31, 32)은 상기 중간 저장소(4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펌프 라인(43)은 상기 중간 저장소(42)에 연결되는 일단에 역지 밸브(4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펌프 라인(43)은 펌프 저장소(46)를 구비하거나, 펌프 저장소로서 설계되고,
    상기 펌프 저장소(46)는, 연관된 상기 펌프(41)에 의해 발생되는 맥동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펌프 저장소(46)와 상기 중간 저장소(42)의 체적의 비율이 1:2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13.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대형 디젤 엔진으로서,
    상기 공급 장치는,
    유체용 압력 탱크(2);
    상기 유체를 상기 압력 탱크(2) 내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기구(4); 및
    상기 펌프 기구(4)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압력 탱크(2) 내로 안내하는 연결 수단(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수단은 2개의 분리된 압력 라인(31, 32)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압력 라인은 상기 펌프 기구(4)와 상기 압력 탱크(2)에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압력 라인은, 상기 압력 탱크(2)에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펌프 기구(4)에 연결되는 타단에 차단 기구(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디젤 엔진.
KR1020010010782A 2000-03-01 2001-03-02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형 디젤 엔진 KR100754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810168 2000-03-01
EP00810168.5 2000-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73A KR20010087273A (ko) 2001-09-15
KR100754913B1 true KR100754913B1 (ko) 2007-09-04

Family

ID=817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782A KR100754913B1 (ko) 2000-03-01 2001-03-02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형 디젤 엔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43140B1 (ko)
JP (1) JP4475831B2 (ko)
KR (1) KR100754913B1 (ko)
CN (1) CN1184417C (ko)
AT (1) ATE264454T1 (ko)
DE (1) DE50101950D1 (ko)
DK (1) DK1143140T3 (ko)
PL (1) PL199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9792B2 (en) 2006-03-20 2020-02-25 General Electric Company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733625B2 (en) 2006-03-20 2017-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Trip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train
US10308265B2 (en) 2006-03-20 2019-06-04 Ge Global Sourcing Llc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3931120B2 (ja) * 2002-07-10 2007-06-13 ボッシュ株式会社 蓄圧式燃料噴射装置
US9950722B2 (en) 2003-01-06 2018-04-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DE602005013369D1 (de) * 2004-03-05 2009-04-30 Bosch Corp Kraftstoffzufuhrvorrichtung
DE102004028152B4 (de) * 2004-06-07 2012-11-08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Common-Rail-Einspritzsysteme
DE102004060003A1 (de) * 2004-12-14 2006-07-06 Man B & W Diesel Ag Kraftstoffversorgungsanlage in Form eines Common-Rail-Systems für mehrere Zylinder einer Brennkraftmaschine
US7234449B2 (en) * 2005-07-14 2007-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mon fuel rail fuel system for locomotive engine
US9156477B2 (en) 2006-03-20 2015-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isolating powered units in a vehicle system
US9828010B2 (en) 2006-03-20 2017-11-2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code for determining a mission plan for a powered system using signal aspect information
KR101361590B1 (ko) 2006-07-18 2014-02-11 베르트질레 슈바이츠 악티엔게젤샤프트 왕복 피스톤 엔진의 샤프트용 허브 홀더
DE102006049224B4 (de) 2006-10-18 2018-08-02 Man Diesel & Turbo S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CN101449051B (zh) * 2007-05-29 2011-03-30 曼柴油机和涡轮公司,德国曼柴油机和涡轮欧洲股份公司的联营公司 十字头式大型二冲程柴油发动机及其运转方法
US7630823B2 (en) 2007-09-20 2009-12-0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el injection event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8006197B4 (de) * 2008-01-26 2020-06-04 Man Energy Solutions S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8045193A1 (de) 2008-08-30 2010-03-04 Man Diesel S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10169068A (ja) * 2009-01-26 2010-08-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モンレール上流側圧力変動制御装置
US9834237B2 (en) 2012-11-21 2017-12-05 General Electric Company Route examining system and method
DE102012218525B4 (de) * 2012-10-11 2015-06-0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US9669851B2 (en) 2012-11-21 2017-06-06 General Electric Company Route examination system and method
CN106585943B (zh) * 2016-12-27 2018-10-02 武昌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热交换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7191A1 (en) * 1991-04-04 1992-10-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 fuel injection device of an engine
WO1994027039A1 (en) * 1993-05-06 1994-11-24 Cummins Engine Company, Inc. Variable displacement high pressure pump for common rail fuel injection systems
DE4335171C1 (de) * 1993-10-15 1995-05-04 Daimler Benz Ag Kraftstoffeinspritzanlage für eine mehrzylindrige Dieselbrennkraft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909813A (ko) * 1968-09-17 1970-03-19
US4149568A (en) * 1977-12-07 1979-04-17 Caterpillar Tractor Co. Double walled fuel line
GB2060800B (en) * 1979-08-08 1983-07-13 Giro Eng Ltd Fitting for double wall tubing
JPH0868368A (ja) * 1994-08-29 1996-03-12 Zexel Corp 蓄圧式燃料噴射装置
JP2000045906A (ja) * 1998-07-29 2000-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圧燃料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7191A1 (en) * 1991-04-04 1992-10-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 fuel injection device of an engine
WO1994027039A1 (en) * 1993-05-06 1994-11-24 Cummins Engine Company, Inc. Variable displacement high pressure pump for common rail fuel injection systems
DE4335171C1 (de) * 1993-10-15 1995-05-04 Daimler Benz Ag Kraftstoffeinspritzanlage für eine mehrzylindrige Diesel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101950D1 (de) 2004-05-19
JP2001280219A (ja) 2001-10-10
CN1184417C (zh) 2005-01-12
EP1143140A1 (de) 2001-10-10
PL199672B1 (pl) 2008-10-31
JP4475831B2 (ja) 2010-06-09
CN1311392A (zh) 2001-09-05
KR20010087273A (ko) 2001-09-15
DK1143140T3 (da) 2004-05-10
EP1143140B1 (de) 2004-04-14
ATE264454T1 (de) 2004-04-15
PL346036A1 (en) 200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913B1 (ko) 커먼 레일 시스템용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대형 디젤 엔진
JP4417988B2 (ja) 2行程クロスヘッドエンジンの液圧装置
EP0959245B1 (en) Fuel feeding system
US6776140B2 (en) Fuel supply installation in the form of a common-rail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plurality of cylinders
KR20140048856A (ko) 연료 분사 시스템
KR100749277B1 (ko) 대형 2 행정 멀티 실린더 디젤 엔진의 연료 분사 장치
KR101917389B1 (ko) 수동 용량 제한 밸브
CN115038606A (zh) 用于燃料电池系统的箱设备
US20020023624A1 (en) Hydraulic fuel system
CN103038465B (zh) 用于气缸润滑的中央润滑系统
CN101165336B (zh) 内燃机的燃料供给设备
JP3519089B2 (ja) 内燃機関用の液圧作動式燃料ポンプの作動方法及び該液圧作動式燃料ポンプ
JP6384366B2 (ja) 燃料噴射装置
JP4074859B2 (ja) マルチシリンダ2行程クロスヘッド内燃機関
JP2003510510A (ja) 液体を制御する弁
KR101948936B1 (ko) 유체 주입 장치
JP5936764B2 (ja) 流量制限器を備えたモジュール式のコモンレール燃料噴射装置のインジェクタ
DE19754132B4 (de) Common Rail Einspritzsystem für Brennkraftmaschinen
KR100847561B1 (ko) 실린더 주유장치의 성능시험장치
JP7190860B2 (ja) 注水ポンプ
KR20020029439A (ko)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용 인젝터
KR100845624B1 (ko) 커먼 레일 유압시스템
DE10320558A1 (de) Einspritzregelung bei bivalenter Kraftstoffdirekteinspritzung
KR20240059303A (ko) 대형선박엔진의 유압축압기 시험 시스템
CN102251895A (zh) 十字头型的大型单流式双冲程柴油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