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901B1 -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901B1
KR100754901B1 KR1020070056129A KR20070056129A KR100754901B1 KR 100754901 B1 KR100754901 B1 KR 100754901B1 KR 1020070056129 A KR1020070056129 A KR 1020070056129A KR 20070056129 A KR20070056129 A KR 20070056129A KR 100754901 B1 KR100754901 B1 KR 10075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holder
bolt
bracke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7005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9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A method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a guardrail is provided to install or separate a rail plate and a bracket to or from a post easily. A method for installing a guardrail comprises the steps of: adhering a semicircular holder(200) of a bracket(BK) closel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st(1); fixing the holder to the post integrally by penetrating long bolts(LB) through horizontal long grooves(240) formed on the holder; adhering the inside of a rail plate(100) having trapezoidal projections(110,130) closely to contact wings(290) of the holder by bolts(B); and pressurizing the outside of the rail plate and fixing the rail plate to the holder of the bracket. The method for dismantling a guardrail comprises the steps of: separating the rail plate from the holder of the bracket by removing the bolts fastened to the contact wings; removing the rail plate from the holder; removing the bracket from the post by removing the long bolts penetrated the holder.

Description

가드레일의 설치 및 해체 방법 {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How to Install and Remove Guard Rails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레일판 및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ail plate and a bracket installed by a method of installing a guar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래킷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및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installing a guar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의 해체방법을 도시한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disassembling the guar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지주1: prop

100 : 레일판100: rail plate

110 : 상부돌출부110: upper protrusion

114 : 수직면114: vertical plane

116 : 하부경사면116: lower slope

120 : 중간부120: middle part

130 : 하부돌출부130: lower protrusion

132 : 상부경사면132: upper slope

134 : 수직면134: vertical plane

200 : 홀더200: holder

214 : 상부수직변214: upper vertical side

216 : 상부경사변216: upper slope

220 : 중간변220: middle side

232 : 하부경사변232: lower slope

234 : 하부수직변234: lower vertical side

240 : 수평장공240: horizontal long hole

250 : 경사절개공250: inclined incision

290 : 밀착날개290: close wing

본 발명은 도로 설치되어 차량의 탈선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을 설치 및 해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판을 지주에 보다 견고히 설치하거나 보다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설치 및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a guard rail installed on a road to prevent derailmen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a guard rail that can be more firmly installed or dismantled on a support plate. .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도로에서 이탈되는 차량이 탈선되지 않도록 도로를 따라 도로의 중앙이나 양측의 갓길에 설치되어 도로에서 이탈되는 차량과 충돌한다.In general, the guardrail is installed at the shoulders of the center or both sides of the road along the road so a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derailed from the road and collide with the vehicle that is separated from the road.

또, 가드레일은 차량이 도로의 외측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주로 산길이나 굴 곡로에 설치되며, 도시에서는 보행자가 보호되도록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guardrail is mainly installed on a mountain road or a winding road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fall out of the road, and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roadway to protect pedestrians in the city.

이와 같은 가드레일은 첨부된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첨부된 도 1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32956호(2006.09.29)에 종래기술로 개시된 가드레일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가드레일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이탈되지 않도록 도로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지주(1)의 측방에 차폐판(10)이 길게 장착된다.Such a guardrail is well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FIG. 1, and the attached FIG. 1 illustrates a guardrail disclosed in the prior art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632956 (September 29, 2006). In the guardrail, the shielding plate 1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post 1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road so that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is not separated.

즉, 상기 지주(1)에 지지되는 상기 차폐판(10)은 도로에서 이탈되는 차량과 충돌하면서 차량이 도로에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shield plate 10 supported by the support 1 prevents the vehicle from derailing on the road while colliding with the vehicle that is separated from the road.

이와 같은 상기 차폐판(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강성이 확보되도록 도면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식으로 절곡되어 알파벳의 'W'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Such a shield plate 10 is bent in a zigzag form as shown in the drawing to enlarge the rigid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de of the 'W' shaped cross-section of the alphabet.

또, 상기 차폐판(10)은 상기 지주(1)에 분리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16)가 볼트(3)의 볼팅에 의해 상기 지주(1)에 밀착고정된다.In addition, the shielding plate 10 is enlarged to be detachably integrally fixed to the support 1, as shown in the recessed recessed portion 16 recessed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by bolting the bolt (3) I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1).

즉, 상기 볼트(3)는 상기 차폐판(10)의 상기 함몰부(16)를 관통하여 상기 지주(1)에 체결된다.That is, the bolt 3 is fastened to the support 1 through the recess 16 of the shielding plate 1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드레일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과 일차적으로 충돌되는 상기 차폐판(10)의 상부(12) 및 하부(14)가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므로 상기 차폐판(10)의 상기 상부(12) 및 하부(14)가 충돌되는 차량에 쐐기 처럼 박히면서 사실상 충격을 크게 완화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12 and 14 of the shielding plate 10 which is primarily collided with the vehicle protrude in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enlarged illustration of the shielding plate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part 12 and the lower part 14 of the wedge become lodged in a crashing vehicle and in fact do not significantly alleviate the impact.

즉, 종래기술에 의한 가드레일은 상기 차폐판(10)의 상기 상부(12) 및 하부(14)가 차량에 박히면서 변형하므로 원활하게 변형(펼쳐짐)하지 못함에 따라 차량의 충격을 제대로 완충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oes not properly deform (unfold) the shock of the vehicle because it is deformed while the upper part 12 and the lower part 14 of the shielding plate 10 are stuck in the vehicle and deforms properly. There is no problem.

또, 상기 차폐판(10)이 상기 지주(1)에 밀착고정되므로 차량과 충돌하는 상기 차폐판(10)에 의해 상기 지주(1)가 밀리면서 도괴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ielding plate 10 is fixed to the support 1 closely,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support 1 is pushed and collapsed by the shielding plate 10 colliding with the vehicle.

즉, 상기 지주(1)가 차량의 충격에 의해 도괴되므로 차량의 탈선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That is, since the support 1 is collapsed by the impact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railment of the vehicle cannot be prevented.

또한, 상기 레일판(10)이 상기 볼트(3)에 의해 상기 지주(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차량이 추돌할 경우 충격에 의해 상기 지주(1)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il plate 10 maintains the state fixed to the support 1 by the bolts 3,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il plate 1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1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impact.

즉, 상기 레일판(10)은 상기 볼트(3)가 차량의 충격에 의해 상기 지주(1)에서 이탈되므로 상기 볼트(3)와 함께 상기 지주(1)에서 분리된다.That is, the rail plate 1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1 together with the bolt 3 because the bolt 3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1 by the impact of the vehicle.

또, 상기 레일판(10)을 한사람이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상기 볼트(3)를 체결하거나 분리하여야 하므로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other one must fasten or separate the bolt (3) in the state in which the rail plate 10 is lifted by one person.

또한, 상기 레일판(10)을 상기 지주(1)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레일판(10)이 상기 지주(1)에서 추락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rail plate 1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1, the rail plate 10 falls from the support 1,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 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상부 및 하부돌출부와, 이 상부 및 하부돌출부를 연결하는 수직형성된 중간부로 이루어진 레일판 및; 이 레일판에 대응하는 개방된 측단부가 마련되고, 개방된 측단부의 측방 하부에 경사절개공이 형성된 반원형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개방된 측단부에 절곡형성된 밀착날개로 이루어진 브래킷;을 지주에 설치하거나 지주에서 해체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설치 및 해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rail plate consisting of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on the upper and lower, and the vertically formed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s; An open sid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plate is provided, and a bracket comprising a semi-circular holder having an inclined incision hol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open side end portion, and a close wing bent at the open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guard rail that can be installed or dismantled from the shore.

또, 서로 중첩되면서 연결되는 복수개의 레일판들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method of a guard rail that can be installed while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a plurality of rail plates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브래킷과 분리된 레일판이 설치나 해체가 실시되는 동안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브래킷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의 설치 및 해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stalling and dismantling a guard rail that can be held on a bracket by an external pressing force while a rail plate separated from the bracket is installed or dismantle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은, 상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상부 및 하부돌출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를 연결하는 수직형성된 중간부로 이루어진 레일판 및; 상기 레일판에 대응하는 개방된 측단부가 마련되고, 개방된 측단부의 측방 하부에 경사절개공이 형성된 반원형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개방된 측단부에 절곡형성된 밀착날개로 이루어진 브래킷;을 지주에 설치하는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상기 브래킷이 배치되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상기 홀더의 개방된 측단부를 끼워서 상기 지주에 상기 홀더을 감싸는 상태로 밀착시키는 브래킷 배치단계; 상기 지주에 밀착된 상기 홀더가 상기 지주에 고정되도록 상기 홀더의 측방에 형성된 수평장공으로 롱볼트를 관통시켜서 상기 지주에 체결하는 브래킷 고정단계; 상기 지주에 고정된 상기 브래킷의 상기 홀더에 상기 레일판이 배치되도록 상기 홀더의 개방된 측단부에 상기 레일판을 밀착시켜서 상기 레일판의 상기 상부돌출부를 구성하는 수직면 및 하부경사면과 상기 중간부와 상기 하부돌출부의 상부경사면 및 수직면을 상기 홀더의 상부수직변과 상부경사변과 수직중간변과 하부경사변 및 하부수직변에 정합시키면서 상기 홀더의 상기 밀착날개에 상기 레일판의 내측면을 밀착시키는 레일판 배치단계 및; 상기 홀더에 배치된 상기 레일판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레일판이 상기 브래킷의 상기 홀더에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판의 외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레일판의 상기 상기돌출부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경사면과 상기 중간부 및 상기 하부돌출부의 상기 상부경사면에 형성된 볼트공으로 볼트를 관통시켜서 상기 밀착날개에 체결하는 레일판 고정단계;를 포함한다.Guard rail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formed in the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on the upper and lower, and a rail plate consisting of a vertically formed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s; A bracket having an open sid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plate, a semi-circular holder having an inclined incision hol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open side end portion, and a close wing bent at the open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A method for installing a guard rail to be installed, comprising: a bracket arrangement step of closely fitting the open side end of the holder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such that the bracket is disposed on the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wrapped in the support; A bracket fixing step of fastening the long bolt through the horizontal long hol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der so that the holder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is fastened to the support; Vertical and lower inclined surfaces,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pl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plate to the open side end of the holder such that the rail plate is disposed on the holder of the bracket fixed to the support. A rail for close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plate to the contact blades of the holder while matching the upper inclined surface and the vertical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to the upper vertical side, the upper inclined side, the vertical middle side, the lower inclined side and the lower vertical side of the holder. Plate placement step; The lower inclined surface constitut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rail plate while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ail plate so that the rail plate is fixed to the holder of the bracket while preventing the rail plate disposed on the holder from falling; And a rail plate fixing step of fastening the bolt to a close contact with the bolt through the bolt hole formed on the upper sloped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and the lower protrusion.

또,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의 해체방법은, 상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상부 및 하부돌출부와,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를 연결하는 수직형성된 중간부로 이루어진 레일판 및; 상기 레일판에 대응하는 개방된 측단부가 마련되어 상기 레일판과 정합상태로 밀착되고, 개방된 측단부의 측방 하부에 경사절개공이 형성된 반원형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개방된 측단부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레일판에 밀착상태로 볼팅고정된 밀착날개로 이루어진 브래킷;을 지주에서 해체하는 가드레일의 해체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의 추락이 방지되면서 상기 레일판이 상기 브래킷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레일판의 상기 상기돌출부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 경사면과 상기 중간부 및 상기 하부돌출부의 상기 상부경사면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을 구성하는 상기 홀더의 상기 밀착날개에 체결된 볼트를 상기 레일판에서 제거하는 레일판 분리단계; 상기 볼트가 제거되어 상기 홀더와 분리된 상기 레일판이 상기 홀더에서 제거되도록 상기 레일판을 상기 홀더에서 이탈시켜서 제거하는 레일판 제거단계 및; 상기 레일판이 제거된 상기 홀더가 상기 지주에서 이탈되어 상기 지주에서 상기 브래킷이 제거되도록 상기 홀더를 관통해서 상기 지주에 체결된 상기 롱볼트를 제거하여 상기 브래킷을 상기 지주에서 제거하는 브래킷 제거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disassembling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trapezoidal shap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rail plate consisting of a vertically formed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s; An open sid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plate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plate, and is formed in a semi-circular holder having an inclined incision formed in the side lower portion of the open side end portion, and bent in an open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In the dismantling method of the guard rail for dismantling the bracket made of a close contact with the bolt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plate, in the dismantling method of the rail plate to prevent the fall of the rail plate while the rail plate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A rail plate for removing bolts from the rail plate, which are fastened to the contact blades of the holder constituting the bracket by penetrating through the bolt holes of the lower inclined surface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Separation step; A rail plate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rail plate from the holder so that the bolt is removed and the rail plate separated from the holder is removed from the holder; A bracket removal step of removing the bracket from the support by removing the long bolt fastened to the support through the holder such that the holder having the rail plate removed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to remove the bracket from the support. Inclu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새롭게 설계된 레일판 및 브래킷의 구조적 특성이 고려된 설치단계나 해체단계에 의해 레일판 및 브래킷을 지주에 설치하거나 해체하므로 새롭게 설계된 레일판 및 브래킷을 용이하게 지주에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ail plate and bracket to install or dismantle the rail plate and bracket by the installation step or disassembly step consider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signed rail plate and bracket to easily install the newly designed rail plate and bracket to the support Can be dismant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 및 해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레일판 및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브래킷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method of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the accompanying Figure 2 is a rail plate installed by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shown in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추돌 차량과 면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와,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 부(110, 130)를 연결하는 수직형성된 중간부(120)로 이루어진 레일판(100)을 후술되는 브래킷(BK)을 통해 지주(1)에 결합시킨다.Referring to Figure 2,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on the upper and lower to absorb the impact while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collision vehicle, 110, 130 ) And a rail plate 100 formed of a vertically formed intermediate portion 12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to the support 1 through a bracket BK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상기 지주(1)에 결합되는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는 중앙부에 차량이 충돌하면서 면접촉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경사를 갖는 상부경사면(112, 132)과, 상기 상부경사면(112, 132)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추돌 차량과 면접촉하는 수직면(114, 134) 및, 상기 수직면(114, 134)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경사를 갖는 하부경사면(116, 136)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of the rail plate 100 coupled to the support 1 have an upper inclined surface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in a diagonal direction as shown in such a manner that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center at the surface contact. (112, 132), the vertical surface (114, 134) formed vertically on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2, 132) and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collision vehicle, and the lower portion having a downward slope in the diago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surface (114, 134) Inclined surfaces 116 and 136.

또,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중간부(120)는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돌출부(110)의 상기 하부경사면(116) 및 상기 하부돌출부(130)의 상기 상부경사면(136)에 일체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middle portion 120 of the rail plate 100 is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and the upper projection 110 of the upper projection 110, as show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rojections 110, 130 are integrally connected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6 of the lower protrusion 130.

이와 같은 상기 레일판(100)은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와 상기 중간부(120)가 일체를 이루도록 미도시된 프레스 금형에 의해 절곡형성된다.The rail plate 100 is bent by a press mold (not show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and the intermediate part 120 are integrally formed.

즉,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와 상기 중간부(120)는 절곡에 의해 형성된다.That is,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and the middle portion 120 are formed by bending.

또, 상기 레일판(100)은 볼트(B)에 의해 상기 브래킷(BK)에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 및 후단부와 중간부분에 볼트공(BH)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ail plate 100 has a bolt hole (BH) is formed i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the middle portion as shown to be fixed to the bracket (BK) by the bolt (B).

즉, 상기 레일판(100)은 선단부 및 후단부와 중간부분이 상기 브래킷(BK)에 고정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the middle portion to the bracket (BK).

이와 같은 상기 볼트공(BH)은 상기 볼트(B)의 헤드가 상기 레일판(100)의 상 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에 형성된 상기 수직면(114, 134)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의 상기 상부경사면(112, 132) 및 상기 하부경사면(114, 134)과 상기 중간부(120)에만 형성된다.The bolt hole (BH) is such that the head of the bolt (B)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surface (114, 134)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130) of the rail plate (100). As shown, only the upper slopes 112 and 132, the lower slopes 114 and 134,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120 of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are formed.

또,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볼트공(BH)은,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에 또 다른 레일판(100)의 선단이 중첩될 경우 서로 중첩되면서 교차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에는 종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lt hole (BH)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when the front end of another rail plate 100 overlaps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so as to cross each other overlapping each other. As shown, the front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기 레일판(10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후단 및 선단이 중첩되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은 상기 레일판(100)에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이 중첩될 경우 도면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면서 십자형태로 교차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rear end and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bolt hole (BH)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respectively, to the rail plate 100 When the rail plate 100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enlarged view also crosses each other in a cross shape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as shown in "A".

한편, 상기 볼트(B)는 선단 및 후단이 중첩된 상기 레일판(100)들이 일체를 이루도록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 상기 볼트공(BH)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BK)에 체결되거나 너트(N)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lt (B) through the bolt hole (BH),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A" in the drawing so that the rail plate 100 overlapp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integrated into the bracket ( BK) or is coupled to the nut (N).

즉, 일부분이 서로 중첩되는 상기 레일판(100)들은 상기 볼트(B)에 의해 중첩상태로 고정된다.That is, the rail plates 100, the portions of which overlap each other, are fixed in an overlapping state by the bolts B. FIG.

한편, 상기 볼트(B)에 의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에 고정되는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은, 도로의 굴곡에 따라 설치높이가 조절되도록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으로 교차하는 상기 볼트공(BH)에 의해 유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by the bolt (B),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A"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road It can flow by the bolt hole (BH) intersecting in the shape of a child.

즉, 상기 또 다른 레일판(100)은 상기 볼트(B)가 관통하는 상기 볼트공(BH)이 중첩되면서 십자형태를 이루므로 도로의 굴곡에 의해 중첩되는 부분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약간 어긋날 경우 상기 볼트(B)를 중심으로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another rail plate 100 forms a cross shape while overlapping the bolt hole BH through which the bolt B penetrates, so that the portion overlapped by the bending of the road is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If it does not exactly match and slightly shifts, the installation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flowing in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the bolt (B).

한편, 상기 볼트(B)는 상기 또 다른 레일판(100)이 유동되도록 약간 풀려있어야 하며, 유동이 완료되면 다시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lt (B) should be slightly loosened so that the another rail plate 100 flows, and should be firmly tightened again when the flow is completed.

즉, 상기 또 다른 레일판(100)은 상기 볼트(B)가 약간 풀릴 경우에만 유동할 수 있다.That is, the another rail plate 100 may flow only when the bolt B is slightly loosened.

한편, 상기 브래킷(BK)은 상기 지주(1)에 끼워져서 상기 레일판(100)과 결합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에 대응하는 개방된 측단부가 마련되어 측단부를 통해 상기 지주(1)에 끼워지고, 개방된 측단부의 측방 하부에 경사절개공(250)이 형성되며, 측방에 롱볼트(LB)가 관통하는 수평장공(240)이 형성된 반원형의 홀더(200) 및;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볼트(B)에 의해 상기 레일판(100)과 밀착상태로 결합하는 밀착날개(290);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BK) is fitted to the support (1) is provided with an open side end corresponding to the rail plate 100 as shown to engage with the rail plate 100 is provided through the side end A semi-circular holder (200) fitted to (1), the inclined incision hole 250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open side end portion, the horizontal hole 240 through which the long bolt (LB) penetrates the side; It is formed to be bent in the open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plate 100 by the bolt (B) in close contact 290; consists of.

즉, 상기 브래킷(BK)은 상기 홀더(200)가 상기 지주(1)를 감싸면서 상기 지주(1)와 내주면이 면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롱볼트(LB)에 의해 상기 지주(1)에 고정되고, 상기 밀착날개(290)가 상기 레일판(100)에 밀착되면서 상기 볼트(B)에 의해 상기 레일판(100)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That is, the bracket BK is fixed to the support 1 by the long bolt LB while the holder 200 surrounds the support 1 and the support 1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close wing 29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plate 10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ail plate 100 by the bolt (B).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브래킷(BK)이 상기 홀더(200)는 개방된 측단부가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와 상기 중간부(120)로 이루어진 상기 레일 판(100)에 대응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측단부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부수직변(214)과 상부경사변(216)과 수직중간변(220)과 하부경사변(232) 및 하부수직변(23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corresponds to the rail plate 100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and the intermediate part 120 having open side ends. As shown, the upper vertical side 214, the upper inclined side 216, the vertical middle side 220, the lower inclined side 232 and the lower vertical side 234 are sequential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open side end portion. Is formed.

이와 같은 상기 홀더(200)는 상기 레일판(100)이 개방된 측단부에 정합되면서 결합되도록 도면상의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수직변(214) 및 상기 상부경사변(216)이 상기 레일판(100)에 형성된 상기 상부돌출부(110)의 상기 수직면(114) 및 상기 하부경사면(116)에 밀착되고, 상기 수직중간변(220)이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중간부(120)에 밀착되며, 상기 하부경사변(232) 및 상기 하부수직변(234)이 상기 레일판(100)에 형성된 상기 하부돌출부(110)의 상기 상부경사면(132) 및 상기 수직면(134)에 밀착된다.The holder 200 is such that the upper vertical side 214 and the upper inclined side 216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C" in the drawing so that the rail plate 100 is matched to the open side end.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114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of the upper protrusion 110 formed on the rail plate 100, the vertical intermediate side 220 is the middle of the rail plate 100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vertical surface 134 of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110 formed in the rail plate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ion 120, and the lower inclined side 232 and the lower vertical side 234 are formed on the rail plate 100. Close to)

이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과 밀착되는 상기 홀더(200)는, 상기 하부경사변(232) 및 상기 하부수직변(234)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측단부의 측방 하부에 하광상협 형태의 상기 경사절개공(250)이 형성된다.Thus, the holder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plate 100, the side end portion of the open side as shown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lower inclined side 232 and the lower vertical side 234 The inclined incision hole 250 is formed in the lower light negotiation.

즉, 상기 홀더(200)는 상기 경사절개공(25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at is, the holder 200 may absorb the impact by the inclined incision 250.

이와 같은 상기 홀더(200)는 추돌 차량에 의해 상기 레일판(1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도록 도면의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경사변(232) 및 상기 하부수직변(234)이 상기 경사절개공(250)을 중심으로 소성변형한다.The holder 200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D" of the drawing so that the shock applied to the rail plate 100 by the collision vehicle, the lower slope side 232 and the lower vertical side ( 234 is plastically deformed around the inclined cut hole 250.

즉, 상기 홀더(200)는 충격에 의해 개방측 하단부가 찌그러지면서 변형한다.That is, the holder 200 is deformed while the open lower end is crushed by the impact.

한편,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밀착날개(290)는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가 상기 레일판(10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레일판(100)에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에서 연장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ose wing 290 of the bracket (BK) as shown to be fixed to the rail plate 100 in an open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plate 100 It extends from the open side end of the holder 200.

이와 같은 상기 밀착날개(29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홀더(200)의 측방에 이격상태로 형성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0)의 상기 상부수직변(214)과 상기 상부경사변(216)과 상기 수직중간변(220)과 상기 하부경사변(232)과 상기 하부수직변(236)의 측방으로 각각 직각절곡되어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The close wing 290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upper vertical side 214 and the upper inclined side 216 of the holder 200 as shown to be spaced apart on the side of the holder 200. ) And the vertical intermediate side 220 and the lower inclined side 232 and the lower vertical side 236, respectively, are bent at right angles to enlarge the inner side of the rail plate 100 as shown in " C " It adheres to the side.

즉, 상기 밀착날개(290)는 상기 레일판(1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레일판(100)의 내측면을 지지한다.That is, the close wing 29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plate 100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plate 100.

또, 상기 밀착날개(290)는 상기 레일판(100)의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B)에 의해 상기 레일판(100)을 구성하는 상기 상부돌출부(110)의 상기 하부경사면(116)과 상기 중간부(120) 및 상기 하부돌출부(130)의 상기 상부경사면(132)에 볼팅고정된다.In addition, the upper wing portion 290 constituting the rail plate 100 by the bolt (B)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C" to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plate 100, the contact blade 290. Bolting is fixed to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of 110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2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20 and the lower protrusion 130.

즉, 상기 레일판(100)은 상기 볼트(B)가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브래킷(BK)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주(1)의 측방에서 차량을 방호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protects the vehicle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1) in a state that is fixed to the bracket (BK) as the bolt (B) is fastened to the close wing (290).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기 레일판(100) 및 상기 브래킷(200)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기 지주(1)에 설치 및 해체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의 해체방법을 도시한 블럭도로써, 도 4 및 도 5는 중복설명의 방지를 위해 도 2 및 도 3의 설명시 도면부호를 괄호로 병기하여 설명한다.The rail plate 100 and the bracke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and disassembled method of the pos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installing a guar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assembling the guard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numerals in parentheses in the description of FIGS. 2 and 3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 설치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에 상기 브래킷(BK)이 배치되도록 상기 지주(1)의 외측으로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를 끼워서 상기 지주(1)에 상기 홀더(200)을 감싸는 상태로 밀착시킨다.(도 4의 S1/ 브래킷 배치단계)Referring to Figure 2, the guardrail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holder (1) of the holder 200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 so that the bracket (BK) is disposed on the support (1) Inserting the open side end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200 in a state of wrapping (S1 / bracket arrangement step of Figure 4).

즉,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는 내주면이 상기 지주(1)의 외주면에 밀착된다.That is,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1).

이와 같이 상기 지주(1)에 상기 홀더(200)가 밀착되면, 상기 지주(1)에 밀착된 상기 홀더(200)가 상기 지주(1)에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0)의 측방에 형성된 수평장공(240)으로 롱볼트(LB)를 관통시켜서 상기 지주(1)에 체결한다.(도4의 S2/ 브래킷 고정단계)As such, when the hold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1, the holder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1 is fixed to the support 1, and thus the side of the holder 200 is fixed. The long bolt (LB) through the horizontal hole 240 formed in the fastening to the support (1). (S2 / bracket fixing step of Figure 4)

즉, 상기 브래킷(BK)은 상기 롱볼트(LB)에 의해 상기 홀더(200)가 상기 지주(1)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지주(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That is, the bracket BK is integrally fixed to the support 1 as the holder 200 is fixed to the support 1 by the long bolt LB.

또, 상기 브래킷(BK)이 상기 지주(1)에 고정되면, 상기 지주(1)에 고정된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에 상기 레일판(100)이 배치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에 상기 레일판(100)을 밀착시켜서 상기 홀더(200)의 상기 밀착날개(290)에 상기 레일판(100)의 내측면을 밀착시킨다.(도 4의 S3/ 레일판 배치단계)In addition, when the bracket (BK) is fixed to the support (1), as shown in the rail plate 100 is disposed on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fixed to the support (1) The rail plate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pen side end of the holder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plate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blade 290 of the holder 200. S3 / Rail Plate Placement Step)

즉, 상기 홀더(200)의 상부수직변(214)과 상부경사변(216)과 수직중간변(220)과 하부경사변(232) 및 하부수직면(234)은, 후술되는 도 3의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상부돌출부(110)를 구성하는 수직면(114) 및 하부경사면(116)과 상기 중간부(120)와 상기 하부돌출부(130)의 상부경사면(132) 및 수직면(134)과 정합된다.That is, the upper vertical side 214, the upper inclined side 216, the vertical middle side 220, the lower inclined side 232 and the lower vertical side 234 of the holder 200, an enlarged view of FIG. As shown in "C", the vertical surface 114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constituting the upper protrusion 110 of the rail plate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20 and the lower protrusion 130. It is mated with the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vertical surface 134.

또한, 상기 밀착날개(290)에 상기 레일판(100)이 밀착되면, 상기 홀더(200)에 배치된 상기 레일판(1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에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외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상기돌출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경사면(116)과 상기 중간부(120) 및 상기 하부돌출부(130)의 상기 상부경사면(132)에 형성된 볼트공(BH)으로 볼트(B)를 관통시켜서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한다.(도 4의 S4/ 레일판 고정단계)In addition, when the rail plate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wing 290, the rail plate 100 prevents the rail plate 100 disposed on the holder 200 from falling down, and thus the rail plate 100 is attached to the bracket BK.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constituting the protruding portion 110 of the rail plate 100 a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rail plate 100 is pressed to be fixed to the holder 200. And through the bolt hole (BH) formed in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2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20 and the lower protrusion 130 is fastened to the close wing 290 (Fig. 4). S4 / Rail plate fixing step)

즉, 상기 레일판(100) 및 상기 브래킷(BK)은 상기 볼트(B)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상기 밀착날개(290) 및 상기 레일판(100)에 의해 일체를 이룬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and the bracket BK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close wing 290 and the rail plate 100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bolt B.

이와 같이 상기 볼트(B)를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할 경우 상기 레일판(100)의 일부분이 상기 홀더(200)에 우선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작업자가 한손이나 다리를 이용해서 가압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으로 상기 볼트(B)를 관통시켜서 상기 레일판(100)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상기 홀더(200)의 상기 밀착날개(290)에 우선적으로 체결하여 상기 레일판(100)의 중간부분을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S4-1/ 중간부분 고정단계)As described above, when the bolt B is fastened to the contact blade 290, a part of the rail plate 100 is preferentially fixed to the holder 200 so that a worker may move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plate 100. Presses using one hand or leg and passes the bolt B through the bolt hole BH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as shown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t is preferable to fix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rail plate 100 to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by first fastening the contact blade 290 of the holder 200 located. S4-1 / Middle part fixing step)

즉, 상기 레일판(100)은 작업자에 의해 가압되므로 상기 볼트(B)가 체결되기 전에 상기 홀더(200)에서 추락하지 않으며, 상기 볼트(B)가 상기 레일판(100)의 중간부분에 체결된 후에는 상기 볼트(B)의 체결력으로 인해 상기 홀더(200)에서 추락하지 않는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is pressurized by the operator so that the bolt (B) does not fall from the holder 200 before the bolt (B) is fastened, and the bolt (B) is fasten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After the fall, it does not fall from the holder 200 due to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 (B).

또, 상기 레일판(100)의 중간부분이 상기 볼트(B)에 의해 볼팅되면,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가 상기 홀더(200)에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으로 상기 볼트(B)을 관통시켜서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에 위치한 상기 홀더(200)의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하여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를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S4-2/ 선단부 고정단계)In addition, when the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s bolted by the bolt (B), as shown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to be fixed to the holder 200 of the rail plate 100 The bolt hole (BH) formed in the front end to penetrate the bolt (B) to the close contact with the blade 290 of the holder 200 located in the front end of the rail plate 100 of the rail plate 100 It is preferable to fix the tip portion to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S4-2 / tip fixing step of Figure 4)

즉, 상기 레일판(100)은 중간부분이 고정된 후 상기 볼트(B)에 의해 선단부가 상기 홀더(200)에 고정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holder 200 by the front end portion by the bolt (B) after the middle portion is fixed.

또한,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가 상기 볼트(B)에 의해 볼팅되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가 상기 홀더(200)에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으로 상기 볼트(B)를 관통시켜서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위치한 상기 홀더(200)의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하여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를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S4-3/ 후단부 고정단계)In addition, when the front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bolted by the bolt (B),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as shown so as to be fixed to the holder 200 after the rail plate 100 The bolt plate (BH) formed at the end to pass through the bolt (B) is fastened to the contact blade 290 of the holder 200 located in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by the rail plate 100 It is preferable to fix the rear end of the bracket 200 to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S4-3 / back end fixing step of FIG. 4).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브래킷(BK)에 완전하게 고정되면, 상기 레일판(100)과 동일하게 형성된 또 다른 레일판(100)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연결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 부에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를 중첩시킨다.(도 4의 S5/ 레일판 중첩단계)On the other hand, if the rail plate 100 is completely fixed to the bracket (BK)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other rail plate 100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ail plate 100 is the rail plate 100 As shown to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the front end of another rail plate 100 is superimposed (S5 / rail plate overlapping step of Figure 4).

즉, 상기 레일판(100)은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과 일부분이 겹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partially overlaps with the other rail plate 100.

이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들의 일부분(후단부 및 선단부)이 중첩되면, 상기 레일판(100)들의 후단부 및 선단부가 설정된 부위만큼만 중첩되도록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의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에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의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을 위치시켜서 횡방향 및 종방향의 상기 볼트공(BH)을 십자형태로 중첩시킨다.(도 4의 S6/ 볼트공 중첩단계)As described above, when a part (rear end and front end) of the rail plates 100 overlap, the enlarged view in the drawing so that the rear end and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rail plates 100 overlap only as much as a predetermined portion, as shown in "A". O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of the front end of the rail plate 100 in the bolt hole (BH) formed laterally i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of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The bolt holes B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ositioned to overlap the bolt holes BH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cross shape.

즉, 상기 레일판(100)들은 횡방향 및 종방향의 상기 볼트공(BH)들이 중첩됨에 따라 설정된 부위만큼만 중첩된다.That is, the rail plates 100 overlap only as much as a portion set as the bolt holes B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verlap.

또, 상기 레일판(100)이 설정된 부위만큼만 중첩되면, 상기 볼트공(BH)이 중첩된 상기 레일판(100)들이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공(BH)에 상기 볼트(B)를 관통시켜서 중첩부위를 볼팅한다.(도 4의 S7/ 중첩부위 결합단계)In addition, when the rail plate 100 is overlapped only by the set portion, the bolt hole (BH)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C" so that the rail plate 10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bolt hole ( Bolting the overlapped portion by passing through the bolt (BH) (S7 / combined overlapping step of Figure 4).

즉, 상기 레일판(100)들은 상기 볼트(B)에 의해 중첩부위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면서 연속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is continuous while the overlapping portion is integrally coupled by the bolt (B).

한편, 상기 볼트(B)로 상기 레일판(100)들의 중첩부위를 결합할 경우 상기 레일판(100)들이 가결합되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중첩되는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이 도로의 굴곡에 따라 설치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볼트(B)를 느슨하게 볼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S7-1/ 가결합단계)On the other hand, whe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with the bolt (B) is coupled to the other rail plate 100 overlapping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coupled to the rail plate 100 It is preferable to loosen the bolt (B)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road. (S7-1 / temporary coupling step of Figure 4)

즉,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선단부가 결합되는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은, 상기 볼트공(BH)들이 십자형태로 중첩됨에 따라 선단부가 도로의 굴곡에 따라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약간씩 이동하면서 설치높이가 조절된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the bolt hole (BH) crosses in the cross shape as the cross-section of the road as the cross-section of the roa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longitudinal The installation height is adjusted while moving slightly in the direction.

이와 같이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의 설치높이가 조절되면, 중첩된 상기 레일판(100)들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B)를 완전하게 볼팅한다.(도 4의 S7-2/ 결합완료단계)As such, whe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other rail plate 100 is adjusted, the bolt B is completely bolted so that the overlapping rail plate 100 is firmly coupled. (S7-2 / coupling of FIG. 4) Completion step)

즉, 상기 레일판(100)들은 상기 볼트(B)가 완전히 볼팅됨에 따라 중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is firmly fixed in an overlapping state as the bolt (B) is completely bolt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판(100)은 상기 지주(1)의 측방에서 차량을 방호하도록 도면상의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BK)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1)의 측방을 차폐한다.Referring to FIG. 3, the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bracket BK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C" in the drawing so as to protect the vehicle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1. Shield the side of the.

즉, 상기 레일판(100)은 상기 볼트(B)에 의해 상기 브래킷(BK)에 고정되므로 상기 브래킷(BK)을 통해 상기 지주(1)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bracket BK by the bolt B, and thus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1 through the bracket BK.

한편,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는 상기 레일판(100)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지주(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격이 완화되도록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경사절개공(250)을 중심으로 찌그러진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is enlarged so tha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rail plate 100, the rail plate 1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1) while the shock is alleviated "D As shown in the lower portion is crushed around the inclined incision hole 250.

즉, 상기 브래킷(BK)은 측방에 상기 경사절개공(250)이 형성됨에 따라 변혀 이 가능하다.That is, the bracket (BK) is possible to be changed as the inclined incision hole 250 is formed on the side.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레일판(100) 및 상기 홀더(200)는 상기 지주(10)에 설치된다.By the above method, the rail plate 100 and the holder 200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10.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지주(1)에 고정된 상기 레일판(100) 및 상기 브래킷(BK)을 해체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설치방법의 역순)으로 해체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ismantle the rail plate 100 and the bracket (BK) fixed to the support (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disassembl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installation method).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판(100)의 추락이 방지되면서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브래킷(BK)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분리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을 작업자가 손이나 신체로 가압한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상기돌출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경사면(116)과 상기 중간부(120) 및 상기 하부돌출부(130)의 상기 상부경사면(132)의 볼트공(BH)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BK)을 구성하는 상기 홀더(200)의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된 볼트(B)를 상기 레일판(100)에서 제거한다.(도 5의 S11/ 레일판 분리단계)Referring to FIG. 2,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rail plat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BK while being prevented from falling by the worker. After pressurizing to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constituting the protrusion 110 of the rail plate 100, the middle portion 120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2 of the lower protrusion 130 as shown The bolt (B) fastened to the contact blade 290 of the holder 200 constituting the bracket (BK) through the bolt hole (BH) of the) is removed from the rail plate (100). 5, S11 / Rail plate removal step)

즉, 상기 브래킷(BK)에 고정된 상기 레일판(100)은 상기 볼트(B)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와 분리되되, 상기 홀더(200)에서 이탈되면서 추락하지는 않는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fixed to the bracket (BK)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as the bolt (B) is removed, but fall off from the holder (200) It doesn't.

이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을 상기 브래킷(BK)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가 상기 홀더(200)에서 우선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레일판(100)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을 통해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된 상기 볼트(B)를 상기 레일판(100)에서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S11-1/ 선단부 분리단계)As such, when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BK, the front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preferentially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so that the fall of the rail plate 100 is preven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first remove the bolt B fastened to the close contact 290 through the bolt hole BH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rail plate 100 from the rail plate 100. (S11-1 / Front end separation step of FIG. 5)

즉, 상기 레일판(100)은 선단부에 체결된 상기 볼트(B)만 제거되므로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에서 추락하지 않는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does not fall from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since only the bolt B fastened to the front end is removed.

또,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가 분리되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가 상기 홀더(200)에서 분리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을 통해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된 상기 볼트(B)를 상기 레일판(100)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S11-2/ 후단부 분리단계)In addition, when the front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the bolt hol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as shown so that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bolt (B) fastened to the close contact 290 through the BH) from the rail plate 100. (S11-2 / rear end separation step of Figure 5)

즉, 상기 레일판(100)은 선단부가 상기 홀더(200)에서 분리된 후 후단부가 상기 홀더(200)에서 분리된다.That is, the front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and the rear end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또한,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가 분리되면,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홀더(200)에서 완전히 분리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가압(작업자에 의한 가압)한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을 통해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된 상기 볼트(B)를 상기 레일판(100)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의 S11-3/ 중간부분 분리단계)In addition, when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the rail plate 100 is pressurized by the operator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the rail plate 10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As shown in the state to remove the bolt (B) fastened to the close wing 290 through the bolt hole (BH) formed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from the rail plate (100). It is preferable to (S11-3 / intermediate separation step of Figure 5).

즉, 상기 레일판(100)은 후단부가 상기 홀더(200)에서 분리된 후 중간부분이 상기 홀더(200)에서 분리되며, 분리되어도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홀더(200)에서 이탈되면서 추락하지 않는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after the rear end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the middl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even if separated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or does not fall.

한편,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및 중간부분의 분리가 완료되면, 상기 볼트(B)가 제거되어 상기 홀더(200)와 분리된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홀더(200)에서 제거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00)을 상기 홀더(200)에서 이탈시켜서 제거한다.(도 5의 S12/ 레일판 제거단계)On the other hand, when separa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the rear end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s completed, the bolt (B) is removed and the rail plate 100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is the holder 200 As shown to be removed from the rail plate 100 is removed by removing it from the holder 200. (S12 / rail plate removal step of Figure 5)

즉, 상기 레일판(100)은 상기 홀더(200)에서 분리된 후 작업자의 손이나 신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홀더(200)에 밀착된 상태(추락하지 않고 작업자의 지지력에 의해 홀더에 단순히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홀더(200)에서 완전히 이탈된 후 이동된다.That is,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and is supported by the worker's hand or bod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200 (it does not fall and is simply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by the support force of the worker). In a state of being in a state of being completely removed from the holder 200 by a worker and then moved.

또, 상기 레일판(100)의 이탈이 완료되면, 상기 레일판(100)이 제거된 상기 홀더(200)가 상기 지주(1)에서 이탈되어 상기 지주(1)에서 상기 브래킷(BK)이 분리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0)를 관통해서 상기 지주(1)에 체결된 상기 롱볼트(LB)를 제거하여 상기 브래킷(200)을 상기 지주(1)에서 제거한다.(도 5의 S13/ 브래킷 제거단계)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of the rail plate 100 is completed, the holder 200 from which the rail plate 100 has been removed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st 1 so that the bracket BK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st 1. As shown, the long bolt LB fastened through the holder 200 and fastened to the support 1 is removed to remove the bracket 200 from the support 1 (S13 of FIG. 5). / Bracket removal step)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레일판(100) 및 상기 홀더(200)는 상기 지주(1)에서 완전히 해체된다.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rail plate 100 and the holder 200 are completely dismantled from the support 1.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의 설치 및 해체방법은, 상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상부 및 하부돌출부와, 이 상부 및 하부돌출부를 연결하는 수직형성된 중간부로 이루어진 레일판 및; 이 레일판에 대응하는 개방된 측단부가 마련되고, 개방된 측단부의 측방 하부에 경사절개공이 형성된 반원형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개방된 측단부에 절곡형성된 밀착날개로 이루어진 브래킷;의 구조적 특성이 고려된 설치단계나 해체단계에 의해 레일판 및 브래킷을 지주에 설치하거나 해체하므로 새롭게 설계된 레일판 및 브래킷을 용이하게 지주에 설치하 거나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ethod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rail plate comprising upper and lower protrusions having a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vertically formed intermediate portions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n open sid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plate, a semi-circular holder having an inclined incision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open side end portion, and a bracket including a close-up wing bent at the open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Since the rail plate and bracket are installed or dismantled by the considered installation or dismantling step, the newly designed rail plate and bracket can be easily installed or dismantled on the support.

또, 레일판을 브래킷에 고정하거나 해체할 경우 레일판의 중간부분을 브래킷에 우선적으로 고정하거나 해체하므로 레일판이 설치나 해체도중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rail plate is fixed or dismantled to the bracket, the middle part of the rail plate is preferentially fixed or dismantled to the bracket, so that the rail plat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uring installation or dismantling.

또한, 레일판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된 볼트공을 십자형으로 중첩시킨 후 볼트를 느슨하게 체결하므로 이미 설치된 레일판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또 다른 레일판을 도로의 굴곡에 따라 설치높이를 조절하면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lt hole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are superimposed crosswise, the bolts are loosely fastened so that another rail plat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already installed rail plate can be installed while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road. There is also an effect.

Claims (6)

상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와,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를 연결하는 수직형성된 중간부(120)로 이루어진 레일판(100) 및; 상기 레일판(100)에 대응하는 개방된 측단부가 마련되고, 개방된 측단부의 측방 하부에 경사절개공(250)이 형성된 반원형의 홀더(200)와,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에 절곡형성된 밀착날개(290)로 이루어진 브래킷(BK);을 지주(1)에 설치하는 가드레일의 설치방법에 있어서,A rail plate 100 including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having a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vertically formed intermediate portions 12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An open sid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plate 100 is provided, and a semi-circular holder 200 having an inclined incision hole 250 formed at a side lower portion of the open side end portion, and an open side of the holder 200. I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guard rail for installing a bracket (BK) consisting of a close wing 290 bent at the end; 상기 지주(1)에 상기 브래킷(BK)이 배치되도록 상기 지주(1)의 외측으로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를 끼워서 상기 지주(1)에 상기 홀더(200)을 감싸는 상태로 밀착시키는 브래킷 배치단계(S1);The open side end of the holder 200 is inser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 so that the bracket BK is disposed on the support 1, and the holder 200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pport 1. To arrange the bracket step (S1); 상기 지주(1)에 밀착된 상기 홀더(200)가 상기 지주(1)에 고정되도록 상기 홀더(200)의 측방에 형성된 수평장공(240)으로 롱볼트(LB)를 관통시켜서 상기 지주(1)에 체결하는 브래킷 고정단계(S2);The support 200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long bolt LB through a horizontal long hole 240 formed on the side of the holder 200 so that the holder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1 is fixed to the support 1. Fixing bracket to fasten to (S2); 상기 지주(1)에 고정된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에 상기 레일판(100)이 배치되도록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에 상기 레일판(100)을 밀착시켜서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상부돌출부(110)를 구성하는 수직면(114) 및 하부경사면(116)과 상기 중간부(120)와 상기 하부돌출부(130)의 상부경사면(132) 및 수직면(134)을 상기 홀더(200)의 상부수직변(214)과 상부경사변(216)과 수직중간변(220)과 하부경사변(232) 및 하부수직변(234)에 정합시키면서 상기 홀더(200)의 상기 밀착날개(290)에 상기 레일판(100)의 내측면을 밀착시키는 레일판 배치단계(S3); 및The rail plate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pen side end of the holder 200 such that the rail plate 100 is disposed on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fixed to the support 1. The vertical surface 114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constituting the upper protrusion 110 of the rail plate 100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2 and the vertical surface 134 of the middle portion 120 and the lower protrusion 130. To the upper vertical side 214, the upper inclined side 216, the vertical intermediate side 220, the lower inclined side 232 and the lower vertical side 234 of the holder 200, Rail plate arrangement step (S3) to close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plate 100 to the close wing (290); And 상기 홀더(200)에 배치된 상기 레일판(1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브래킷(BK)의 상기 홀더(200)에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외측면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상기돌출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경사면(116)과 상기 중간부(120) 및 상기 하부돌출부(130)의 상기 상부경사면(132)에 형성된 볼트공(BH)으로 볼트(B)를 관통시켜서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하는 레일판 고정단계(S4);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설치방법.The outer surface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the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holder 200 of the bracket BK while preventing the rail plate 100 disposed on the holder 200 from falling. Formed on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constituting the protrusion 110 of the rail plate 100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2 of the intermediate part 120 and the lower protrusion 130 in a pressurized state. And a rail plate fixing step (S4) of fastening the bolt (B) through the bolt hole (BH) to the close contact blade (29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 고정단계(S4)는,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plate fixing step (S4), 상기 레일판(100)의 일부분이 상기 홀더(200)에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레일판(10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으로 상기 볼트(B)를 관통시켜서 상기 레일판(100)의 중간부분을 상기 밀착날개(290)에 우선적으로 체결하는 중간부분 고정단계(S4-1);The bolt hole (BH)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s pressed so that a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holder 200. A middle portion fixing step (S4-1) of first penetrating the bolt (B) to fasten the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to the contact blade (290);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가 상기 홀더(200)에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으로 상기 볼트(B)을 관통시켜서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하는 선단부 고정단계(S4-2); 및Fastening to the close blade 290 by passing the bolt (B) through the bolt hole (BH) formed in the tip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the tip of the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holder 200. A front end fixing step (S4-2); And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가 상기 홀더(200)에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으로 상기 볼트(B)를 관통시켜서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하는 후단부 고정단계(S4-3);를 포함하는 가드레일의 설치방 법.The bolt B is formed through the bolt hole BH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fixed to the holder 200. How to install the guardrail comprising a; rear end fixing step (S4-3) to fast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판(100)과 동일하게 형성된 또 다른 레일판(100)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를 중첩시키는 레일판 중첩단계(S5);The other end of the rail plate 100 at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another rail plate 100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ail plate 10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Rail plate overlapping step (S5) to overlap; 상기 레일판(100)들의 후단부 및 선단부가 설정된 부위 만큼만 중첩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의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에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의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을 위치시켜서 횡방향 및 종방향의 상기 볼트공(BH)을 십자형태로 중첩시키는 볼트공 중첩단계(S6); 및The rail in the bolt hole (BH)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of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only the rear end and the front end of the rail plate 100 overlap as much as the set portion Bolts B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at the tip of the plate 100 to cross the bolt holes BH in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in a cross shape. Ball overlapping step (S6); And 상기 볼트공(BH)이 중첩된 상기 레일판(100)들이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공(BH)에 볼트(B)를 관통시켜서 중첩부위를 볼팅하는 중첩부위 결합단계(S7);을 더 포함하는 가드레일 설치방법.The overlapping portion coupling step (S7) for bolting the overlapping portion by passing the bolt (B) through the bolt hole (BH) so that the rail plate 100 is overlapped with the bolt hole (BH); Guardrail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위 결합단계(S7)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verlapping portion coupling step (S7), 상기 레일판(100)들이 가결합되어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중첩되는 또 다른 상기 레일판(100)이 도로의 굴곡에 따라 설치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볼트(B)를 느슨하게 볼팅하는 가결합단계(S7-1); 및The rail plate 100 is coupled to another bolt to loosen the bolt (B) so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road is another rail plate 100 overlapping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Provisional coupling step (S7-1); And 상기 또 다른 레일판(100)의 설치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중첩된 상기 레일 판(100)들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볼트(B)를 완전하게 볼팅하는 결합완료단계(S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설치방법.When the installation height adjustment of the another rail plate 100 is completed, the coupling completion step (S7-2) for completely bolting the bolt (B) so that the rail plate 100 is superimposed firmly; Guardrail install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상부 및 하부에 돌출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와, 상기 상부 및 하부돌출부(110, 130)를 연결하는 수직형성된 중간부(120)로 이루어진 레일판(100) 및; 상기 레일판(100)에 대응하는 개방된 측단부가 마련되어 상기 레일판(100)과 정합상태로 밀착되고, 개방된 측단부의 측방 하부에 경사절개공(250)이 형성된 반원형의 홀더(200)와, 상기 홀더(200)의 개방된 측단부에 절곡형성되어 상기 레일판(100)에 밀착상태로 볼팅고정된 밀착날개(290)로 이루어진 브래킷(BK);을 지주(1)에서 해체하는 가드레일의 해체방법에 있어서,A rail plate 100 including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having a trapezoidal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vertically formed intermediate portions 12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10 and 130; Semi-circular holder 200 is provided with an open side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plate 100 in close contact with the rail plate 100, the inclined cut hole 250 is formed in the side lower portion of the open side end portion And a bracket (BK) formed of a close wing 290 fixed and bolted to the rail plate 100 in a state of being bent at an open side end of the holder 200; a guard for dismantling from the support 1 In the method of disassembling the rail, 상기 레일판(100)의 추락이 방지되면서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브래킷(BK)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상기 상기돌출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경사면(116)과 상기 중간부(120) 및 상기 하부돌출부(130)의 상기 상부경사면(132)의 볼트공(BH)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BK)을 구성하는 상기 홀더(200)의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된 볼트(B)를 상기 레일판(100)에서 제거하는 레일판 분리단계(S11);The lower slope surface 116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6 constituting the protruding portion 110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BK while the rail plate 100 is prevented from falling. Fastening to the contact blade 290 of the holder 200 constituting the bracket (BK) through the bolt hole (BH)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132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20 and the lower protrusion 130. Rail plate separation step (S11) for removing the bolt (B) from the rail plate 100; 상기 볼트(B)가 제거되어 상기 홀더(200)와 분리된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홀더(200)에서 제거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을 상기 홀더(200)에서 이탈시켜서 제거하는 레일판 제거단계(S12); 및Rail plate to remove the rail plate 100 from the holder 200 so that the bolt (B) is removed to remove the rail plate 100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from the holder 200 Removing step (S12); And 상기 레일판(100)이 제거된 상기 홀더(200)가 상기 지주(1)에서 이탈되어 상 기 지주(1)에서 상기 브래킷(BK)이 제거되도록 상기 홀더(200)를 관통해서 상기 지주(1)에 체결된 상기 롱볼트(LB)를 제거하여 상기 브래킷(200)을 상기 지주(1)에서 제거하는 브래킷 제거단계(S13);를 포함하는 가드레일의 해체방법.The holder 200 from which the rail plate 100 is removed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1 to penetrate the holder 200 so that the bracket BK is removed from the support 1. Removing the long bolt (LB) coupled to the bracket to remove the bracket 200 from the strut (1) removing the bracket (S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 분리단계(S11)는,According to claim 5, The rail plate separation step (S11),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가 상기 홀더(200)에서 우선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레일판(100)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을 통해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된 상기 볼트(B)를 상기 레일판(100)에서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선단부 분리단계(S11-1);The tip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s preferentially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so that the contact is made through the bolt hole BH formed at the tip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so as to prevent the rail plate 100 from falling. A tip separating step (S11-1) for preferentially removing the bolt (B) fastened to the blade (290) from the rail plate (100);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가 상기 홀더(200)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을 통해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된 상기 볼트(B)를 상기 레일판(100)에서 제거하는 후단부 분리단계(S11-2); 및The bolt B fastened to the close wing 290 through the bolt hole BH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so that the rear end of the rail plate 10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Rear end separation step (S11-2) for removing the from the rail plate 100; And 상기 레일판(100)이 상기 홀더(200)에서 완전히 분리되도록 상기 레일판(10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레일판(10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BH)을 통해 상기 밀착날개(290)에 체결된 상기 볼트(B)를 상기 레일판(100)에서 제거하는 중간부분 분리단계(S11-3);을 포함하는 가드레일의 해체방법.The bolt hole (BH) formed in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rail plate 100 is pressed so that the rail plate 10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holder 200. Disassembling step (S11-3) of removing the bolt (B) fastened to the close contact (290) from the rail plate (100) through the).
KR1020070056129A 2007-06-08 2007-06-08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KR100754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129A KR100754901B1 (en) 2007-06-08 2007-06-08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129A KR100754901B1 (en) 2007-06-08 2007-06-08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901B1 true KR100754901B1 (en) 2007-09-04

Family

ID=3873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129A KR100754901B1 (en) 2007-06-08 2007-06-08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90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38A (en) * 1995-06-30 1997-01-14 Kawatetsu Steel Prod Corp Guard rail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ed guard rail
JPH0949216A (en) * 1995-08-09 1997-02-18 Kawatetsu Steel Prod Corp Media strip protection fence
KR0113979Y1 (en) * 1994-10-26 1998-04-14 윤영호 Guard rail
US6290427B1 (en) 1999-02-16 2001-09-18 Carlos M. Ochoa Guardrail beam with enhanced stability
US6533249B2 (en) 1999-09-23 2003-03-18 Icom Engineering, Inc. Guardrail beam with improved edge reg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367060Y1 (en) 2004-08-20 2004-11-08 박중석 Guardrail plate of a guardrail for a roa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979Y1 (en) * 1994-10-26 1998-04-14 윤영호 Guard rail
JPH0913338A (en) * 1995-06-30 1997-01-14 Kawatetsu Steel Prod Corp Guard rail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ed guard rail
JPH0949216A (en) * 1995-08-09 1997-02-18 Kawatetsu Steel Prod Corp Media strip protection fence
US6290427B1 (en) 1999-02-16 2001-09-18 Carlos M. Ochoa Guardrail beam with enhanced stability
US6533249B2 (en) 1999-09-23 2003-03-18 Icom Engineering, Inc. Guardrail beam with improved edge reg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367060Y1 (en) 2004-08-20 2004-11-08 박중석 Guardrail plate of a guardrail for a r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576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pport of Guard Rail
KR101191142B1 (en) Fixing device of post for guide rail
KR100754901B1 (en)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of guardrail
KR101630851B1 (en) Safety fence for shock-absorbing using elastic joi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101608448B1 (en) Shielding plate opened by a hinge
KR101134563B1 (en) Guard rail
KR101374392B1 (en) Guardrail device
KR101036550B1 (en) Guard rail structure for impack absorption
KR101835859B1 (en) Structure of reinforcement post with guard rail for dyke
KR101298689B1 (en) Couplings structure of guardrail fence
KR20120001920U (en) Extention guard rail pillar combined with guard rail for road
KR100686698B1 (en) An apparatus of absorbing impact energy for a road and bridge
KR20120008771A (en) A median strip for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55790B1 (en) A guard fen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190671B1 (en) Guardrail
KR101611344B1 (en) Guardrail for a bridge
KR101353774B1 (en) Guard beam connection member and guard fence having the same
KR102138669B1 (en) Removal apparatus of spring for repair and decomposition of railroad
KR20140013197A (en) Safety device for construction of railroad bridge track,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installing method of safety device
KR102186947B1 (en) Expandable guard rail to install safety facilities
KR101286738B1 (en) strips for road
CN113832877B (en)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steel structure
KR101259931B1 (en) Guardrail end terminal
KR200268165Y1 (en) Handrail structure on a bridge or an overpass for preventing falling
KR101217832B1 (en) Vehicle protection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