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193B1 - 네트워크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193B1
KR100754193B1 KR1020050108922A KR20050108922A KR100754193B1 KR 100754193 B1 KR100754193 B1 KR 100754193B1 KR 1020050108922 A KR1020050108922 A KR 1020050108922A KR 20050108922 A KR20050108922 A KR 20050108922A KR 100754193 B1 KR100754193 B1 KR 10075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response
client device
serv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043A (ko
Inventor
알란 메써
존 더블유. 채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1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 장치들과 서버 장치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들을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사이에 접속이 설정되고,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버 장치로 데이터 요청을 전송하면, 서버 장치가 그 요청에 따른 응답에,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버 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대기하도록 서버 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라는 통지 태그를 포함해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 장치로부터 그 응답을 받아 통지 태그를 체크한 후 통지 태그가 있으면 서버 장치와의 연결을 유지하여 그 연결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통지가 보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synchronous notifications to networked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동기 통지 방법을 구현하는 네트워크의 기능 블록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들 및 서버 장치들 사이의 비동기적 통지 전송을 위한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클라이언트 장치 및 서버 장치 사이의 비동기적 통지 방법의 단계들에 대한 흐름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된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내보내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월드 와이드 웹 기술을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장치들과 같은 많은 전자 장치들은,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및 공급하는 HTTP 및 HTML 표준을 지원하는 웹 브라우들의 지원자를 포함한다. 수많은 이유들에 따라 서버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 통지들 이 전송될 수 있는데, 그러한 통지에는, 경고 메시지, 일반 통신을 위한 장치 상태 업데이트 등이 포함된다. 가령 UPNP, HAVi, Jini, 등과 같은 어떤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시스템들은 해석을 위해, 이러한 업데이트들을 프로그램에 입각한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명시적인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통지는 서버 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 사이의 별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대역 밖으로(out-of-band) 전송된다. 예를 들어, UPNP는 GENA 이벤트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그 이벤트의 목적을 이해하고 그 이벤트들에 부합하는 적절한 액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로의 통지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상에서 실제로 그 이벤트가 무엇을 일으킬지에 대한 이해를 가지는 것은 이벤트들의 소스이다.
또, HTTP와 같은 일반적인 웹 기술들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보내기(push) 보다는 소스 (가령, 서버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온다(pull). 어떤 일반 시스템들은 콘텐츠를 서버 장치로부터 클라이언트 장치로 보내지게 함으로써 이러한 프로세스를 간편하게 한다. 이것은 웹 페이지들이 웹 페이지 콘텐츠를 업데이트할 브라우저 동작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 (가령, 데스크 탑 컴퓨터, TV 등)로의 동일한 연결자로 보내지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클라이언트 장치 도메인에서의 웹 콘텐츠 업데이트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일반적 통지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아니다.
다른 솔루션들은, 브라우저가 웹 서버로 계속 연결 오픈되게 함으로써 서버와의 TCP 접속(TCP/IP)을 재설정하지 않고도 다른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게 하여, 웹 트래픽에 있어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접속 및 페이지 전달 지연을 줄이지만, 일반적 통지를 클라이언트 장치들로 보내는 것에 주의를 쏟지는 않는다. 이것은 HTTP1.1의 지속적 접속 방법으로서, 이때 클라이언트는 항상 접속이 열려있도록 하고, 그리고 나서, 이전에 작성된 콘텐츠를 리프레시하거나 새 정보가 공급되도록 전송하는 HTML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것은 클라이언트가 항상 그러한 여분의 데이트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이 비싸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장치들에서 해석되어야 하는 표준화된 이벤트들을 위한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들과 서버 장치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보내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 사이에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버 장치로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보내는 단계; 서버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의 그 요청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서버 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대기하도록 서버 장치와의 연결을 유지하라는 통지 태그를 포함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버 장치로부터 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응답에서 통지 태그를 체크하고, 그 응답이 통지 태그를 포함하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통지를 위해 서버 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 및 서버 장치는 어떤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서버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를 응답에 포함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버 장치로부터의 상기 응답 안에서 상기 요청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것을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로 통지를 전송한 후, 서버 장치는 상기 접속 또는 닫힌 접속을 통해 새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로부터의 통지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응답 요청을 포함하여, 클라이언트 장치가 서버 장치로 응답을 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서버 장치는 상이한 단계들을 밟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통지를 제거하여 클라이언트 장치가 접속을 닫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버 장치가 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통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서버 장치는 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새 통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들로 비동기 통지를 보내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를 포함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서버 장치로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이 클라이언트 장치와 서버 장치는, 클라이언트가 서버 장치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요청을 수신한 서버 장치가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응답에, 클라이언트 장치에 대해 서버 장치로부터 통지를 기다리도록 서버 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라는 통지문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장치는 응답 안에서 통지 태그를 체크하고, 응답이 통지 태그를 포함하면, 통지문을 위해 서버 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여, 다음에 서버 장치가 그 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벤트 통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서버 장치들이 훨씬 낮은 복잡도를 가진 클라이언트 장치들로 통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가령,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해석(interpretation) 코드가 필요로 되지 않는다), 서버 장치들로 하여금 클라이언트 장치들의 이벤트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전형적 방법은,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여분의 데이터가 도달할지 모를 상황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속 유지의 필요성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홈 네트워크 장치들과 같은 많은 전자 장치들은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콘텐츠를 공급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HTTP 및 HTML 표준을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들의 지원자를 포함한다. 수많은 이유들에 따라 서버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 통지들이 전송될 수 있는데, 그러한 통지에는, 경고 메시지, 일반 통신을 위한 장치 상태 업데이트 등이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통지는 서버 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 사이의 별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대역 밖으로(out-of-band) 전송된다. 이벤트들의 소스가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서 이벤트가 무엇을 발생할지에 대한 지식을 가지지만, 일반적인 시스템들은 클라이언트 장치가 그 이벤트의 목적을 이해하고 그 이벤트들에 부합하는 적절한 액션을 행할 것을 요한다.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HTTP와 같은 웹 기술들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들을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는 표준화된 이벤트들을 위해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서버가 클라이언트 장치상에 직접 디스플레이할 이벤트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이것은 서버 장치로 하여금 훨씬 덜 복잡한 클라이언트 장치로 통지를 전송할 수 있게 만들고(가령,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해석 코드가 필요로 되지 않음), 서버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의 이벤트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웹 콘텐츠 푸쉬(push) 기술을 이용하여, 유지할 접속 회수를 한정하면서 경고 및 상태 업데이트와 같은 통지가,삽입형 장치들과 같은 컴퓨터들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홈 네트워크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적 통지 방법을 구현하는 네트워크(10)의 기능적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네트워크(10)는 클라이언트 장치들(20), 서버 장치들(30), 및 이 네트워크(10)를 인터넷(50), 웹 서버(60) 및 웹 브라우저(70)로 연결시키는 옵션 사항으로서의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20) 및 서버 장치들(30)은 각각, 그들 사이의 통신 및 프로토콜을 위한 HTTP 프로토콜을 구축한다. 여기 기술된 예에서는 HTTP 프로토콜이 네트워크(10)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킹을 활용하는 다른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들(가령,UDP 또는 TCP 접속, 1394 접속, 등)과도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 장치(30)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 및 서버 장치(30)는 각각 HTTP TCP/IP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한다. 전형적 클라이언트 장치(20)로는 TV, DVD, 컴퓨터, 등등이 있을 수 있다. 또, 전형적 서버 장치(30)들에 TV, DVD, 컴퓨터 등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들(20)과 서버 장치들(30) 사이의 비동기적 통지(통신)를 구현하는 시스템(8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더 나아가, 도 3은 도 2의 클라이언트 장치(20) 및 서버 장치(30) 사이의 비동기적 통지 방법의 단계들로 된 흐름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20)와 서버 장치(30) 사이의 접속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20)(가령, 컴퓨터, TV, 등)로부터 서버 장치(20)(가령, 컴퓨터, DVD, 등)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이뤄진다(101 단계). 서버 장치(30)가 나중에 클라이언트 장치(20)로 어떤 통지를 보내고자 할 때, 서버 장치(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로 보낼 콘텐츠 메시지 중 하나에 태그(가령, 통지 헤더)를 붙여, 클라이언트 장치(20)로 하여금 서버 장치(30)와의 연결 개방을 유지하여 서버 장치(30)로부터 통지문에 대한 새 웹 트래픽을 대기하라고 요청한다(102 단계).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서버 장치(3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것을 클라이언트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103 단계). 이때, 특정 메시지가 통지 헤더를 포함하면,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사용자 요청 후에 연결을 닫지 않고, 그 연결이 통지에 개방되게 유지한다. 그 통지와 관련 없는, 다른 웹 콘텐츠는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서버 장치(30)로부터 요청될 수 있고, 이들은 통지를 대기하는 동안에 클라이언트 장치(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존재한다. 한 예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가 그 통지를 포스트할 프레임을 설정하는데, 그것은 iframe 또는 새 윈도우일 수도 있다. 또, 클라이언트가 단지 그 통지 텍스트를 스크린의 중간에 놓고 타임아웃이나 사용자에 의해 그 통지가 사라질 때마다 콘텐츠를 갱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는 콘텐츠의 다양한 부분들에 대한 프레임 사용과 관련된다. 그 경우, 서버 장치로부터의 통지 연결이 아직 개방되어 있는 한 프레임이 클라이언트 장치의 브라우저 (온 또는 오프 스크린) 상에서 남아있을 수 있다. 프레임들은 다른 진행중인 콘텍스트들과 분리되고 그 안에 새 콘텍스트가 설정될 수 있는 스크린 영역을 제공한다.
서버 장치(30)가 클라이언트 장치(20)로 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통지하고자 한다(104 단계). 서버 장치(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를 찾아 서버 장치(30)로부터의 통지를 대기하도록 클라이언트 장치(20)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연결이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서버 장치(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와의 그 연결을 통해 새 웹 콘텐츠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통상적 실시예는 MIME 첨부나 <HTML>/</HTML> 마크업으로 디마크된(demarked) 별도의 웹 페이지로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과 같은, 웹 푸쉬 콘텐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이, 클라이언트가 항상 HTTP 1.1에 규정된 지속적 연결을 이용하는 배경이며, 이때 클라이언트는 항 상 서버로부터의 새 입력에 주의한다.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자신의 접속들 중 하나를 통해 새 데이터를 수신한다(105 단계). 클라이언트 장치(20)는 그 새 데이터 (가령, 콘텐츠)를 자신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거나, 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도 1의 네트워크(10) 내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여기서 설명한 프레임 베이스 접근 방식에서, 새 콘텐츠는 기존 프레임의 크기를 재조정하여 새 콘텐츠에 알맞도록 할 수 있다. 또 그와는 달리, 새 통지문을 위한 새 윈도를 생성하거나 디스플레이들을 바꿀 수도 있다.
통지문이 응답을 요구할 때, 사용자는 표시된 디스플레이 소자를 클릭한다 (그 통지 안쪽인지 아닌지의 여부 불문)(106 단계). 이것은 사용자에게 스크린 상의 "OK"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응답하라고 요청하는 데이터를 서버가 이전에 전송했던 부분이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서버 장치(30)로 통지에 대한 요청을 전송한다. 선택된 버튼은 링크되어 있어서, 서버로 새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106 단계의 응답에 따라, 서버 장치(30)는, 가령, 그 통지를 삭제하거나 (그 통지를 원래의 콘텐츠로 교체함), 그 통지를 업데이트하거나 (가령, 반복하거나), 연결 등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30)로 새 통지를 보내는 등의 선택을 할 수 있다.
나중에, 서버 장치(30)는 '통지 채널 제거' 요청을 포함하는 통지나 콘텐츠를 리턴할 수 있다(107 단계). 이것은 클라이언트 장치(20)로 하여금, 사용자 요청이 새 통지 채널을 서버 장치(30)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20)로부터 요청되게 만들 때까지, 일단 통지를 수신하여 이행한 연결을 닫게 만든다(108 단계). '통지 채널 제거' 요청은 서버로부터의 응답 헤더 안에 지시된다는 점에서 통지 요청과 유사하게 구현된다.
이와 같이, 서버 장치(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 상에 특별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없이, 기존의 표준 웹 기술들을 이용하고 이벤트를 위한 별도의 채널을 필요로 함도 없이, 클라이언트 장치(20)로 통지문을 발송할 수 있다. 또, 서버(30)는 클라이언트 장치(20)가 업데이트를 위해 서버 장치(20)를 폴링하는데 따른 지연 없이,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가전 기기들, 데스크 탑 환경, 내장형(embedded) 환경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 서버 장치(3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20)로 통지 요건을 시그날링할 방법이 존재하는 한, 버추얼 네트워크 컴퓨팅(VNC)과 같은 비-웹적인 디스플레이 기술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20)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 장치(20)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다른 형태로 된 실시예들을 허용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예로서 간주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었고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폭 넓은 양태를 그 예시된 실시예들에만 국한해서는 안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도 1 내지 3의 전형적 구조들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들, 로직 회로들, ASIC, 펌웨어 등등과 같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소정의 바람직한 버전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다른 버전들 역시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의 개념 및 범주는 여기 포함된 바람직한 버전들의 설명에 국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적 통지 전송 방법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에 통지를 전송할 때 별도의 채널이 필요로 되지 않으면서, 수신하는 장치는 지속적 통지 대기 시간과 그에 소모되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3)

  1. 네트워크 연결 서버가 해당 네트워크의 장치들로 비동기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장치들 중 하나와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장치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요청에 응하여, 상기 장치로 하여금 통지문을 기다리도록 접속을 유지하라는 통지 태그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d) 어떤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응답에 상기 장치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장치로의 다른 채널 연결을 통해 상기 장치로 새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장치로의 같은 채널 연결을 통해 상기 장치로 새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장치로의 통지는, 상기 장치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요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e) 상기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e) 상기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f)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가 접속을 닫도록 통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e) 상기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f)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장치로의 통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e) 상기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는
    (f)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장치로 새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0. 네트워크의 장치들이 서버와 비동기 통지를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장치들 중 하나와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장치로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c) 상기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응답 안에서 통지 태그를 체크하고, 상기 응답이 통지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통지를 위해 상기 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 및
    (e)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장치로부터 소정 이벤트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응답을 통해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f) 상기 장치로부터 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f)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장치로부터 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로부터의 통지는, 응답하라는 요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g) 상기 장치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h) 상기 장치로부터 통지 제거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h)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장치로부터 업데이트된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h)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장치로부터 새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19. 클라이언트 장치들 및 서버 장치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클라이언트 장치 및 서버 장치 사이에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서버 장치로 데이터 요청을 보내는 단계;
    (c)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 안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서버 자치로부터의 통지를 대기하도록 서버 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라는 통지 태그를 포함하는 단계;
    (d)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응답 안에서 통지 태그를 체크하고, 그 응답이 통지 태그를 포함하면, 통지를 위해 서버 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 및
    (f)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응답 안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통해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요청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g)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새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h)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g)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새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상기 서버로부터의 통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응답 요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g)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 응답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h)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i)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통지를 없애는 단계; 및
    (j)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접속을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h)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i)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통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h)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i)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새 통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방법.
  31. 전자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간에 접속이 설정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 및 서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및 서버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서버 장치로 데이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요청을 받은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통지를 대기하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서버 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라는 통지 태그를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안에 포함하고;
    상기 응답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응답 안에서 통지 태그를 체크하여, 통지 태그가 그 응답 안에 포함되어 있으면, 통지를 받도록 상기 서버 장치와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이벤트 통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 지 전송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응답 안에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전송 후,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새 데이터를 더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의 통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의 응답 요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서버 장치로 응답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할 때,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통지를 제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상기 접속을 닫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할 때,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의 통지를 업데이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할 때,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접속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새 통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을 수신할 때,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응답에 기반해 선택적으로 작업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및 서버 장치는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웹 브라우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웹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통지 전송 시스템.
KR1020050108922A 2005-07-19 2005-11-15 네트워크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KR100754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85,201 2005-07-19
US11/185,201 US20070022198A1 (en) 2005-07-19 2005-07-19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synchronous notifications to networked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43A KR20070011043A (ko) 2007-01-24
KR100754193B1 true KR100754193B1 (ko) 2007-09-03

Family

ID=3768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922A KR100754193B1 (ko) 2005-07-19 2005-11-15 네트워크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22198A1 (ko)
JP (1) JP2009502087A (ko)
KR (1) KR100754193B1 (ko)
CN (1) CN101223737A (ko)
WO (1) WO20070325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2141B2 (en) * 2007-12-19 2013-11-12 Canon Kabushiki Kaisha Avoiding deadlock in network printing
US9497290B2 (en) * 2010-06-14 2016-11-15 Blackberry Limited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delta file for HTTP streaming
US8954555B2 (en) * 2011-10-27 2015-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push notifications to reduce open browser connections
US9780994B2 (en) 2013-07-18 2017-10-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tification normalization
US9706002B2 (en) * 2013-07-18 2017-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ush notification via file sharing service synchronization
US9699625B2 (en) 2013-07-18 2017-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ush notification middleware
JPWO2015177924A1 (ja) * 2014-05-23 2017-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94009B2 (en) * 2014-08-29 2018-0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ient device and host device subscription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04A (ko) * 1994-12-16 1996-07-22 가네꼬 히사시 무선기의 간헐적 수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
KR19990072918A (ko) * 1998-02-24 1999-09-27 미따라이 하지메 데이타통신시스템,데이타통신방법,및데이타통신장치
JP2004282477A (ja) 2003-03-17 2004-10-07 Seiko Epson Corp 非同期プロセッサを備えた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KR20050004064A (ko) * 2003-07-01 2005-01-12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이동국, 및, 채널 송신제어방법
KR20050038977A (ko) * 2003-10-2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KR20050050954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하는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0637B2 (en) * 1995-11-17 2005-07-19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lerts on a browser running on a portable handheld device
JPH10187614A (ja) * 1996-10-28 1998-07-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複数wwwブラウザの同期ページ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0326207A (ja) * 1997-05-26 1998-12-08 Hitachi Ltd Wwwサーバのセション維持管理方式
JPH1145217A (ja) * 1997-07-25 1999-02-16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伝送システム
US6138158A (en) * 1998-04-30 2000-10-24 Phone.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pulling data using wideband and narrowband transport systems
JP4634547B2 (ja) * 1998-06-30 2011-02-16 株式会社東芝 リアルタイム情報配信方法
US7305475B2 (en) * 1999-10-12 2007-12-04 Webmd Health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client application to operate offline from a server
JP2001218192A (ja) * 2000-01-31 2001-08-10 Toshiba Corp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
JP2002116962A (ja) * 2000-10-05 2002-04-19 Toshiba Corp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監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90740B2 (ja) * 2001-09-29 2012-03-07 シーベ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ェブブラウザに対する非同期メッセージのプッシュ
US20030135585A1 (en) * 2002-01-11 2003-07-17 Binder Garritt C. Network communication
JP2004054822A (ja) * 2002-07-24 2004-02-19 Oki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
US7254608B2 (en) * 2002-10-31 2007-08-07 Sun Microsystems, Inc. Managing distribution of content using mobile agents in peer-topeer networks
JP2004295334A (ja) * 2003-03-26 2004-10-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計算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010913A (ja) * 2003-06-17 2005-01-13 Toshiba Corp セッション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404A (ko) * 1994-12-16 1996-07-22 가네꼬 히사시 무선기의 간헐적 수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회로 및 방법
KR19990072918A (ko) * 1998-02-24 1999-09-27 미따라이 하지메 데이타통신시스템,데이타통신방법,및데이타통신장치
JP2004282477A (ja) 2003-03-17 2004-10-07 Seiko Epson Corp 非同期プロセッサを備えた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KR20050004064A (ko) * 2003-07-01 2005-01-12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이동국, 및, 채널 송신제어방법
KR20050038977A (ko) * 2003-10-2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KR20050050954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어하는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3737A (zh) 2008-07-16
WO2007032596A1 (en) 2007-03-22
US20070022198A1 (en) 2007-01-25
KR20070011043A (ko) 2007-01-24
JP2009502087A (ja)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193B1 (ko) 네트워크 장치들로 비동기적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EP19272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user interface
EP1808789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mote user interfaces
US7032002B1 (en) Service broker for processing data from a data network
US8819560B2 (en) Dispatching events to multiple browser windows/tabs using a single connection
US75128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published information in a browser
US201601500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real-time cloud services
US91004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real-time cloud services
KR100813969B1 (ko)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복구하는방법 및 장치
US201002506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ateful web-based computing
US78999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evices on a local network remotely-accessible
US20100250756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stablishing A Shared Browsing Session Between A User Of A Web Browser With A User Of Another Web Browser
US104987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data
US2010025075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stablishing A Shared Browsing Session Between A User Of A Web Browser With A User Of Another Web Browser
EP1286260A1 (en) Method for translating a HAVi DDI user interface to the HTML world and vice-versa
JP2003203024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接続した被制御装置をインターネットを通じて制御する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US20060230153A1 (en) Network communication using push technology
KR20080112914A (ko) 이벤트 메시지 수신 방법,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피제어 장치 및 제어 포인트
JP622139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Book et al. An Instant Message-Driven User Interface Framework for Thin Client Applications
Jin et al. Dynamic user interface update using web based framework
KR20050078547A (ko) 댁내에 설치되는 주거 게이트웨이의 재부팅을 원격으로제어하는 방법
JP2001142813A (ja) 非接続型プロトコル基盤のウェブサービス上で接続型プロトコル基盤のサービス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