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870B1 - 폐기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870B1
KR100753870B1 KR1020060065497A KR20060065497A KR100753870B1 KR 100753870 B1 KR100753870 B1 KR 100753870B1 KR 1020060065497 A KR1020060065497 A KR 1020060065497A KR 20060065497 A KR20060065497 A KR 20060065497A KR 100753870 B1 KR100753870 B1 KR 10075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apron
hopper
wire
apron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수
정래진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2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conveyed and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2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프런 피더(Apron Feeder)를 구비하는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이프런 피더에 대한 과부하를 방지하고 원하는 양의 폐기물을 일정하게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이송장치는 에이프런(12)을 구비하는 에이프런 피더(1)와 호퍼(2)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이송하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 피더(1)와 호퍼(2) 사이에 배출량 조절장치(3)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3)는 에이프런(12)과 호퍼(2)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와이어(35)와, 상기 와이어(35)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이프런 피더를 통해서 이송되는 폐기물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또한 에이프런 피더에 의한 폐기물의 이송을 원할하게 해줄 수 있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콘베어, 에이프런 피더, 정량공급 장치,

Description

폐기물 이송장치{Waste matters convey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폐기물 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이송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2에 나타낸 폐기물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량 조절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도시된 배출량 조절장치의 가동판과 와이어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폐기물 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계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에이프런 피더가 구동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계략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에이프런 피더의 구동에 따른 배출량 조절장치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계략도.
도 9는 도8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에이프런 피더, 2 : 호퍼,
3 : 배출량 조절장치, 5 : 테이블,
12a : 돌기, 35 : 와이어,
본 발명은 에이프런 피더(Apron Feeder)를 구비하는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이프런 피더에 대한 과부하를 방지하고 원하는 양의 폐기물을 일정하게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폐기물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폐기물 이송장치는 기본적으로 에이프런 피더(100)와 호퍼(hopper: 2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이프런 피더(100)는 콘베어 밸트(110)와 이 콘베어 밸트(110)를 구동하는 구동기(1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200)는 콘베어 밸트(110)의 일측 상부에 콘베어 밸트(11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호퍼(200)에는 예컨대 분쇄 또는 파쇄된 폐기물, 예컨대 폐타이어,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 조각 등이 담겨지고, 이들 폐기물 조각들은 호퍼(200)의 하측을 통해 배출된다. 호퍼(200)로부터 배출된 폐기물 조각은 에이프런 피더(100)의 콘베어 밸트(110)로 낙하되고, 콘베어 밸트(110)를 타고 이송되어 적재함(300)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한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 호퍼(200)에 담겨지는 폐기물은 폐비닐, 폐타이어 및 폐플라스틱 등의 파쇄된 조각들이다. 이들 폐기물 조각들은 대체적으로 비중이 매우 작고, 특히 서로 엉키고 달라붙어 뭉쳐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 조각들을 에이프런 피더(100)를 통해 이송하는 경우, 폐기물 조각들이 컨베이어 밸트(110)를 통해 잘 이송되지 않고 호퍼(200)의 내부 전단부(A)에 뭉쳐져서 모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폐기물 덩어리에 의해 컨베이어 밸트(110)가 적정량 이상의 하중을 받음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10)가 원활하게 구동되지 않는 이른 바 과부하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부하 상태는 폐기물 조각들의 원활한 이송을 방해함은 물론 에이프런 피더(100)의 고장의 원인이 되게 된다.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호퍼(200) 내부 또는 외부에 호퍼(200)내의 폐기물을 교반하는 교반기를 설치하는 방법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교반기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요구되고, 또한 교반기의 설치에 의해 호퍼(200)내의 공간활용이 비효율적으로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에이프런 피더의 과부하 상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이프런 피더를 통해 배출되는 폐기물의 양을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그 폐기물의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이송장치는 에이프런을 구비하는 에이프런 피더와 호퍼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이송하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 치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 피더와 호퍼 사이에 배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는 에이프런과 호퍼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일측에 핸들이 구비되고, 타측 원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가동축, 상기 가동부재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봉, 중앙부분에 제1 관통공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따라 고정판을 기준으로 수평이동하는 가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가동판에 클램프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이프런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이송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그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이송장치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에이프런 피더(1)와 호퍼(2)를 구비하고,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이프런 피더(1)에 가해지는 폐기물의 중량을 완화시키고 호퍼(2)로부터 에이프런 피더(1)로 배출되는 폐기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 및 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배출량 조절장치(3)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장치들은 테이블(5)상에 놓여진다.
상기 에이프런 피더(1)는 특정한 구성의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 피더(1)는 양측에 체인(11)이 구비된 에이프런(12)과, 양측에 상기 체인(11)과 결합되는 스프로켓(13)을 구비하여 상기 에이프런(12)을 구동하는 구동축(14) 및, 이 구동축(14)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축(14)과 대향하는 단부에는 상기 에이프런(1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구동축(14) 및 지지축은 지지대(5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12)의 상면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12a)가 구비된다. 이들 돌기(12a)들은 에이프런(12)의 상면에 쌓이는 폐기물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호퍼(2)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에이프런(12)으로 부터 일정 거리 이상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도 4는 도 2에서 배출량 조절장치(3)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배출량 조절장치(3)는 고정판(31)과 다수의 와이어(35)가 결합되는 가동판(3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판(31)은 테이블(5)상에 설치되는 지지대(5c)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고정판(31)은 각각 중앙 부분에 관통구멍이 마련된 2장의 판재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서 베어링(31a)이 삽입 설치된다. 이 베어링(31a)은 가동축(3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의 양측에는 가이드봉(33)을 삽입하여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1b)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봉(33)은 가동판(32)이 수평방향으로 가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동축(34)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표면에 나사부(34b)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사용자가 본 가동축(3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34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판(32)은 중앙 부분에 관통공(32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32a)의 내벽에는 가동판(32)의 나사부(34b)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관통공(32a)의 양측에는 가이드봉(33)이 삽입되는 관통공(3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판(32)의 하측에는 와이어(35)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32c)이 구비된다.
도 5는 상기 가동판(32)과 와이어(35)의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서 와이어(35)는 클램프(36)를 통해 가동판(32)과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36)는 가동판(32)의 결합공(32)을 통해 삽입된 후 너트에 의해 가동판(32)에 고정 결합된다.
클램프(36)를 통해 가동판(32)에 결합되는 각각의 와이어(35)는 U자 형상을 이루고, 와이어(35)를 가동판(32)에 결합하였을 때 그 끝부분이 호퍼(35) 밑부분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설정된다.
물론, 여기서 와이어(35)와 가동판(32)의 결합구조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데, 다만 와이어(35)는 가동판(32)에 유동 자유도를 갖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이송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배출량 조절장치(3)의 작동에 따라 에이프런(12)과 와이어(35)가 이루는 각이 변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9는 도8에 대한 요부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이송장치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호퍼(2) 내부에 이송할 폐기물을 적재한 후 에이프런 피더(1)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호퍼(2)의 하부를 통해 에이프런(12)상에 놓쳐지는 폐기물이 에이프런(12)을 타고 이동하다가 적재함으로 낙하되어 적재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호퍼(2)와 에이프런 피더(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배출량 조절장치(3)에 의해 에이프런 피더(1)을 통해 적재함으로 배출되는 폐기물의 양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3)와 에이프런(12)에 설치되는 돌기(12a)에 의해 에이프런 피더(1)를 통한 폐기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량 조절장치(30)는 에이프런(12)과 호퍼(2) 사이에 놓여지는 다수의 와이어(35)와 이 와이어(35)를 에이프런(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가동판(32)을 구비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판(32)은 에이프런(12)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와이어(35)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면서 에이프런(12)의 상측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호퍼(2)에 투입된 폐기물이 와이어(35)에 얹어져서 설치되게 되므로 와이어(35)의 경사각에 따라 폐기물의 배출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즉, 와이어(35)에 의해 폐기물이 일정한 경사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배출되는 폐기물은 호퍼의 중심에 위치한 폐기물이 먼저 배출되게 되고, 그 다음으로 도면상 호퍼의 좌측, 그리고 마지막으로 호퍼의 우측에 위치한 폐기물이 순차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사용자가 배출량 조절장치(30)의 핸들(34b)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가동판(32)이 에이프런(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가동판(32)이 수평이동하게 되면 가동판(32)에 결합되는 와이어(35)가 수평이동함으로써 와이어(35)와 에이프런(12)이 이루는 경사각이 변동되게 된다. 가동판(32)이 호퍼(2)로부터 멀어질수록 와이어(35)와 에이프런(12)이 이루는 경사각이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폐기물의 배출 경사각이 변동된다.
상기 와이어(35)는 호퍼(2)내에 담겨있는 폐기물에 의해 에이프런(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키고, 또한 와이어(35) 하부에 위치하는 폐기물과 와이어(35)상부, 즉 호퍼(2)내에 위치하는 폐기물과의 마찰력을 저하시킨다. 이는 에이프런(12)의 구동을 보다 완화시킴은 물론, 와이어(35) 하부에 위치하는 폐기물의 원활한 이송을 제공한다.
에이프런(12)의 상측에 놓쳐지는 폐기물은 에이프런(12)에 구비되는 돌기(12a)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이송되는 폐기물의 양은 와이어(35)의 하부에 위치하는 폐기물의 양에 대응된다. 따라서, 와이어(35)와 에이프런(12)의 설치각도가 변경되면 와이어(35)의 하부에 쌓여지는 폐기물의 양이 변동되고, 결국 에이프런(12)을 통해 배출되는 폐기물의 양이 변동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에이프런 피더(1)의 에이프런(12)에 구비되는 돌기(12a)는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 아니다. 이 돌기(12a)는 에이프런(12)상에 놓여지는 폐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돌기(12a)를 생략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출량 조절장치(3)도 에이프런(12)과 호퍼(2)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35)의 설치각도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의 가동부재도 채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이프런 피더를 통해서 이송되는 폐기물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또한 에이프런 피더에 의한 폐기물의 이송을 원할하게 해줄 수 있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에이프런을 구비하는 에이프런 피더와 호퍼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이송하도록 된 폐기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 피더와 호퍼 사이에 배출량 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장치는 에이프런과 호퍼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일측에 핸들이 구비되고, 타측 원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가동축,
    상기 가동부재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봉,
    중앙부분에 제1 관통공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봉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관통공의 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따라 고정판을 기준으로 수평이동하는 가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가동판에 클램프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런의 상면에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이송장치.
KR1020060065497A 2006-07-12 2006-07-12 폐기물 이송장치 KR10075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497A KR100753870B1 (ko) 2006-07-12 2006-07-12 폐기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497A KR100753870B1 (ko) 2006-07-12 2006-07-12 폐기물 이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920U Division KR200429639Y1 (ko) 2006-07-12 2006-07-12 폐기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870B1 true KR100753870B1 (ko) 2007-08-31

Family

ID=3861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497A KR100753870B1 (ko) 2006-07-12 2006-07-12 폐기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3897A (zh) * 2012-10-15 2015-06-1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物体的下落冲击缓和装置
CN109607125A (zh) * 2018-12-20 2019-04-12 海盐华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感应进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543A (ja) * 1991-11-14 1993-06-08 Yoshinori Kamihoriuchi 定量輸送装置
JPH09240842A (ja) * 1996-03-06 1997-09-16 Kurimoto Ltd 定量供給装置
JP2000107699A (ja) 1998-08-04 2000-04-18 Komatsu Ltd 廃棄物選別処理装置
JP2003155757A (ja) 2001-11-21 2003-05-30 Hokuhai:Kk 移動式土壌改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543A (ja) * 1991-11-14 1993-06-08 Yoshinori Kamihoriuchi 定量輸送装置
JPH09240842A (ja) * 1996-03-06 1997-09-16 Kurimoto Ltd 定量供給装置
JP2000107699A (ja) 1998-08-04 2000-04-18 Komatsu Ltd 廃棄物選別処理装置
JP2003155757A (ja) 2001-11-21 2003-05-30 Hokuhai:Kk 移動式土壌改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3897A (zh) * 2012-10-15 2015-06-1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物体的下落冲击缓和装置
CN104703897B (zh) * 2012-10-15 2017-09-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物体的下落冲击缓和装置
CN109607125A (zh) * 2018-12-20 2019-04-12 海盐华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感应进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3839C (en) Proportional gate mechanism for a conveyor and method
KR100753870B1 (ko) 폐기물 이송장치
JPH034901Y2 (ko)
KR200429639Y1 (ko) 폐기물 이송장치
US7464808B2 (en) Gripping intake system for dual belt conveyor
DE10345322A1 (de) Futtermischwagen
CA2573086C (en) A grain and fertiliser conveyer
JP5274137B2 (ja) 粒状物体払い出し装置
RU2014106940A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грецких орехов
KR102347278B1 (ko) 실린더를 이용한 간헐이송 체인컨베이어시스템
KR101205399B1 (ko) 재료 포장 장치
KR100885718B1 (ko) 푸시형 캡핑기
EP3543662B1 (en)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having a conveying device
JP4286071B2 (ja) 搬送装置とそれを備えた破砕設備
KR101973767B1 (ko) 사료 이송 공급용 누적 체인 컨베이어
JP3225330B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
KR200202799Y1 (ko) 곡물이송장치
KR102347280B1 (ko) 수직 체인컨베이어를 이용한 부품 간헐이송시스템
KR100902821B1 (ko)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CN115417069B (zh) 一种桥梁施工用物料的运输装置
CN116767888B (zh) 一种恒量连续进料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310853Y1 (ko) 첨가제 정량 공급장치
KR102144229B1 (ko) 슈트부 막힘 방지장치
CN219905751U (zh) 一种玻璃钢夹砂管上料防堵设备
KR20140009827A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