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306B1 -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306B1
KR100752306B1 KR1020010023583A KR20010023583A KR100752306B1 KR 100752306 B1 KR100752306 B1 KR 100752306B1 KR 1020010023583 A KR1020010023583 A KR 1020010023583A KR 20010023583 A KR20010023583 A KR 20010023583A KR 100752306 B1 KR100752306 B1 KR 10075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guide
trolley bar
fixed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854A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23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3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면부에 다수의 고정볼트가 형성되고 전면부에 간격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 가이드베이스; 상기 가이드베이스의 돌출부에 중앙부에 형성된 함몰부가 삽입되고 전면부 중앙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측면에 일측단이 고착되고 스크류너트가 삽입되어 타측단이 핸들에 체결되는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볼트공에 체결된 고정애자에 삽착되어 고정트롤리바의 자유단과 양측단이 접촉되는 가변트롤리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이드의 상ㆍ하 이송에 의하여 크레인의 수리작업시 가변트롤리바를 고정트롤리바에서 착탈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전류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URCES OF ELECTRICITY OF TROLLEY BA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집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섹션스위치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트롤리바 2: 카본브러시(CARBON BRUSH)
3: 암(ARM) 4: 집전장치 베이스
5: 고정애자 6: 거더(GIRDER)
7: 트롤리바 고정대 8: 절연부
9: 가이드 10: 가이드베이스
11: 핸들 12: 스크류샤프트
13: 스크류너트 14: 너트고정브래킷
15: 가변트롤리바 16: 고정볼트
17: 철부(凸部) 18: 요부(凹部)
19: 반구형 홈
본 발명은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대 이상의 크레인(CRANE)이 동일라인(LINE) 선상에서 병행기동될 시 설비이상이 발생하면 일정구간의 전원만을 차단시켜, 수리되는 크레인 이외의 크레인은 계속 기동할 수 있도록 한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집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섹션스위치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따르면, 크레인에 전류를 집전하기 위한 카본브러시(2)(CARBON BRUSH)는 크레인의 기동중의 충격이나 구성되는 설비의 노후화에 의해 트롤리바(1)에서 이탈되어 탈락되거나 또는 트롤리바(1)의 고정애자(5)가 거더(6)에서 절단되어 이에 지지된 트롤리바(1)가 하부로 처지게 되면 각각의 상이 단락되어 정정되며 이로 인하여 크레인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이상 발견시 종래에는 트롤리바(1)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고 장시간 점검ㆍ정비해야 했기 때문에 동일 트롤리바(1)를 사용하는 나머지 크레인은 동일 라인에 있기 때문에 모두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보수를 하기위해 종래에는 트롤리바(1)의 각 구간별로 수작업에 의해 전원을 차단한 후 절단되고 절연부(8)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트롤리바(1)를 구간별로 나누어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섹션스위치(도면 미도시)가 부설되고 절연부(8)에 의해 구간차단을 시켰다.
그러나 상기 카본브러시(22)의 스케일(SCALE)이 상기 절연부(8)에 적층되어 이것을 통하여 전류가 전도된다.
그러나 상기 절연부(8) 표면에 스케일(SCALE)이 적층되어 이것을 통하여 전류가 전도된다.
따라서 안전한 작업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져 작업자가 작업을 기피하는 상황이 발생되고 궁극적으로는 트롤리바(1)를 절단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수리후 이 절단된 트롤리바(1)를 재조립하여 전원을 공급시키는 악순환이 재발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트롤리바의 일정구간을 완전히 분리ㆍ이탈시켜 전원을 차단하게 하여 다른 크레인은 계속 기동이 되게하고 고장난 크레인만 수리가 가능하게 하여 설비의 휴지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후면부에 다수의 고정볼트가 형성되고 전면부에 간격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 가이드베이스; 상기 가이드베이스의 돌출부에 중앙부에 형성된 함몰부가 삽입되고 전면부 중앙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측면에 일측단이 고착되고 스크류너트가 삽입되어 타측단이 핸들에 체결되는 스크류샤프트와; 상기 볼트공에 체결된 고정애자에 삽착되어 고정트롤리바의 자유단과 양측단이 접촉되는 가변트롤리바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따르면 양측단의 중앙부가 삼각형상으로 함몰부가 형성된 주상체인 가이드(9) 상부에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실의 스크류샤프트(12)의 일측단이 체결되고 이 스크류샤프트(12)에 브래킷(14)이 돌출형성된 스크류너트(13)가 관통된 후 타측단에 핸들(11)이 체결된다.
상기 스크류너트(13)에 돌출형성된 브래킷(14)은 거더(6)에 고정되어 스류너트(13)의 회전을 방지하며 가이드(9)의 상하 이송만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9)의 전면부 중앙에는 다수의 볼트공(9-1)이 형성되어 고정애자(5)가 체결되고 이 고정애자(5)의 전면부에 형성된 '┏ ┓'형상의 체결부에 의해 가변트롤리바(15)가 체결된다.
상기 함몰부가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9)는 거더(6)에 고정볼트(16)로 체결된 가이드베이스(10)의 돌출부에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가변트롤리바(15)의 양측단은 하측으로 끝단이 구형인 철(凸)부(17)가 형성되어 고정트롤리바(20) 끝단에 형성된 요(凹)부(18)에 착탈된다.
상기 요부(18)의 내측저면에는 다수의 반구형 홈(19)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기재된 크레인 집전장치부의 이상 발견시 또는 기타 긴급보수를 요해 전류를 차단해야 하는 경우에 핸들(11)을 회전시키면 스크류샤프트(12)도 같이 회전하게 되어 이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9)가 가이드베이스(10)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9) 전면부에 고정되어 있는 가변트롤리바(15)는 거더(6)측에 고정된 고정트롤리바(20)에서 분리이탈되어 전류가 단전된다.
이후, 소정의 수리작업을 실시한 후 상기 핸들(11)을 역회전 시키면 상기 가이드(9)가 하강하여 분리된 가변트롤리바(15) 양측단의 철부(17)가 고정트롤리바(20)에 형성된 요부(18)에 안착되어 전류가 통전된다.
상기 요부(18) 내측저부에 다수로 형성된 홈(19)에 의해서 동절기 또는 하절기 온도변화에 의해서 고정트롤리바(20)가 수축ㆍ팽창되어도 길이방향 연신변화량에 맞게 가변트롤리바(15)의 철부(17)가 가변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의 상ㆍ하 이송에 의하여 크레인의 수리작업시 가변트롤리바를 고정트롤리바에서 착탈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전류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후면부에 다수의 고정볼트(16)가 형성되고 전면부에 간격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 가이드베이스(10);
    상기 가이드베이스(10)의 돌출부에 중앙부에 형성된 함몰부가 삽입되고 전면부 중앙에는 다수의 볼트공(9-1)이 형성된 가이드(9)와;
    상기 가이드(9)의 상측면에 일측단이 고착되고 스크류너트(13)가 삽입되어 타측단이 핸들(11)에 체결되는 스크류샤프트(12)와;
    상기 볼트공(9-1)에 체결된 고정애자(5)에 삽착되어 고정트롤리바(20)의 자유단과 양측단이 접촉되는 가변트롤리바(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트롤리바(15)의 양측단은 연직하방으로 끝단이 구형인 철부(17)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트롤리바(20)의 자유단은 상측이 개방된 요부(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18)는 내측저면에 다수의 반구형 홈(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KR1020010023583A 2001-04-30 2001-04-30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KR10075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583A KR100752306B1 (ko) 2001-04-30 2001-04-30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583A KR100752306B1 (ko) 2001-04-30 2001-04-30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854A KR20020083854A (ko) 2002-11-04
KR100752306B1 true KR100752306B1 (ko) 2007-08-29

Family

ID=2770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583A KR100752306B1 (ko) 2001-04-30 2001-04-30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50B1 (ko) * 2009-10-27 2012-02-24 주식회사 신한이엔에스 트롤리 바의 전원단속장치 및 전원단속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2402A (en) * 1979-03-15 1980-09-20 Toshiba Corp Emergency stop controller for unattended vehicle
JPH0986229A (ja) * 1995-09-20 1997-03-31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の接地装置
KR200206144Y1 (ko) * 1996-12-26 2001-01-15 이구택 이동대차의 전원공급장치
JP2001339802A (ja) * 2000-05-29 2001-12-07 Tadao Nagano トロール線と電車負荷との摺動接続集電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2402A (en) * 1979-03-15 1980-09-20 Toshiba Corp Emergency stop controller for unattended vehicle
JPH0986229A (ja) * 1995-09-20 1997-03-31 East Japan Railway Co 電車線の接地装置
KR200206144Y1 (ko) * 1996-12-26 2001-01-15 이구택 이동대차의 전원공급장치
JP2001339802A (ja) * 2000-05-29 2001-12-07 Tadao Nagano トロール線と電車負荷との摺動接続集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854A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5194C (en) Section insulator for a rigid catenary
CN113904266B (zh) 不停电作业架空线路并沟线夹绝缘电动安装工具
KR101831904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
KR100824584B1 (ko)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US9329581B2 (en) Safety control system
CN107845542A (zh) 一种便于拆装的继电器模组
CN201663385U (zh) 一种用于安装驱鸟装置的近电作业工具
KR102333247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KR100752306B1 (ko) 트롤리바의 가변형 전원제어장치
CN103683091A (zh) 远距离线夹带电作业装拆杆
KR102035529B1 (ko) 배전선로의 고장감시장치
KR101674902B1 (ko) 관절형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CN104752988B (zh) 架空线路搭电引线构件及其操作机构
KR101393440B1 (ko) 전력 공급용 급전선
CN215681535U (zh) 一种强电井低压封闭母线故障抢修装备
CN106571260B (zh) 一种直流电动手动两用隔离开关
CN108597937A (zh) 一种新型双投高压隔离开关的位置检测防护装置
CN210224649U (zh) 一种高速公路etc车道的led灯条用的控制柜
CN106948244A (zh) 悬臂式全电动步行板换装车
CN209233221U (zh) 一种便于维修0.4千伏带电作业的配电柜
KR101149264B1 (ko) 전기로용 전극봉의 승하강 구동 제어 장치
CN202494746U (zh) 一种监测汇流排接触是否良好的预警装置
KR101444811B1 (ko) 전력개폐기 구동로드 고정기구
CN206388632U (zh) 一种隔离开关操作装置
KR102306243B1 (ko) 점검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과 통합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