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886B1 -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 Google Patents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886B1
KR100751886B1 KR1020060085055A KR20060085055A KR100751886B1 KR 100751886 B1 KR100751886 B1 KR 100751886B1 KR 1020060085055 A KR1020060085055 A KR 1020060085055A KR 20060085055 A KR20060085055 A KR 20060085055A KR 100751886 B1 KR100751886 B1 KR 100751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layer
protective layer
floor ma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원
김균호
이종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6008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06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protect the underlying surface, e.g. temporary covers, disposable carpets, absorbent pads, wheelchair pads, hearth r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68Edge fini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와 연결되는 진입 복도와 같이 화물의 운송 과정에서 충격에 노출되기 쉬운 충격면의 보호를 위한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트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및 아크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일 구조를 가진 카펫, 부직포 또는 기모 직물로 형성된 외층; 및 PVC, 고무, 펠트, 스치로폼, 폴리에틸렌 폼 스펀지 및 우레탄 폼 스펀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백킹 층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카펫 보호 층의 폭은 0.5 내지 2.0 m가 되고 그리고 길이는 2.0 내지 30 m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 매트, PVC 백킹, 진입로, 충격면

Description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A Mat for Protecting Entering Fl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의 각각의 카펫 층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가 진입 복도 바닥면에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기와 연결되는 진입 복도와 같이 화물의 운송 과정에서 충격에 노출되기 쉬운 충격면의 보호를 위한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 대한 화물의 수송을 승강기 및 승강기에 연결된 진입 복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화물의 수송을 위한 승강기 또는 진입 복도는 화물의 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충격으로부터 벽을 보호하거나 또는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차단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는 공개번호 10-2000-0065970 "엘리베이터 내벽 보호체"가 있다. 제안된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벽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내장된 보호체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그리고 상하측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결합봉; 결합봉을 지지하도록 각 모서리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봉; 다수 개의 보호재; 및 보호재의 양쪽 측면에 동일한 형상의 다른 보호재의 부착이 가능한 제1 부착면 및 제2 부착면을 가진 보호체를 특징으로 한다. 제안된 선행 발명 또는 공지된 발명은 특별히 충격을 보호하기 위한 소재의 특성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는다. 공지된 충격 보호를 위한 소재는 스티로폼, 두꺼운 종이 또는 합판과 같은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재들은 충격 흡수의 효과 및 외관 면에서 모두 불리한 점을 가진다. 외부 충격으로부터 승강기의 내벽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충격 흡수 효율, 설치의 용이성 및 분리 가능성, 그리고 외관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승강기와 연결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진입 복도의 충격 면을 보호할 수 있는 발명으로 공지된 선행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에서 승강기 입구까지의 진입 복도를 이삿짐과 같은 화물 운반시에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및 아크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일 구조를 가진 카펫, 부직포 또는 기모 직물로 형성된 외층; 및 PVC, 고무, 펠트, 스치로폼, 폴리에틸렌 폼 스펀지 및 우레탄 폼 스펀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백킹 층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카펫 보호 층의 폭은 0.5 내지 2.0 m가 되고 그리고 길이는 2.0 내지 30 m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층은 파일 형태로 컷(cut) 또는 루프(loop)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펫 보호 층의 가장자리는 오버로킹 사로 오버록 처리되거나 바이어스 테이프로 박음질이 된 바이어스 바인딩으로 마감 또는 1~5 cm 폭의 고무 또는 PVC 판을 접착하여 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펫 보호 층의 마감을 위하여 카펫 보호 층의 가장 자리는 고무나 PVC판으로 형성된 외층에 비하여 1~5cm 넓은 백킹 층을 가지거나 또는 카펫 보호 층의 가장 자리의 절단 부위에 추가적으로 1~5 cm 폭의 고무 또는 PVC 판이 접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파일 형태의 파일 높이는 2.0 내지 7.0 mm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백킹 층의 두께는 1.5 내지 3.5 mm가 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된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으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의 각각의 카펫 층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펫 층 또는 카펫 보호 층(C)은 외층(11), 접착 층(12) 및 백킹 층(13)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층(11)은 카펫, 부직포(non-woven) 또는 기모 가공된 직물이 될 수 있다. 카펫은 주로 나일론으로 제조가 되지만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또는 아크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층(21)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아크릴로부터 제조된 터프트 또는 파일 형태의 카펫이 될 수 있지만 특별히 카펫 형태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할 때 외층(11)은 흡음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외층(11)은 파일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외층(11)은 파일 형태의 구조를 가진 모켓(Moquette) 또는 벨벳(velvet) 직물, 또는 경편이나 환편 직물을 기모(napping) 가공한 스웨이드조 기모 직물 형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외층(11)은 부직포가 될 수 있다. 파일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외층(11)의 경우 특별히 파일의 형태 또는 높이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컷(Cut) 또는 루프(Loop) 형태가 될 수 있고 그리고 높이는 2.0 내지 7.0 ㎜가 될 수 있다.
카펫은 백킹(backing) 섬유, 바닥 층 또는 기포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백 킹 섬유 층, 바닥 층 또는 기포 사이에는 접착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백킹 섬유 층, 바닥 층 또는 기포는 카펫의 제조 과정에서 표면 섬유와 함께 형성되어 카펫 층과 일체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의 외층은 파일 구조를 가지는 카펫 층이 되고 그리고 백킹 섬유 층, 바닥 층 또는 기포가 별도의 층으로 제조되지 않고 카펫의 제조 과정에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 별도의 접착 층(12) 및 백킹 층(13)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백킹 층(13)이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접착 층(12)이 필요하게 된다. 백킹 층(13)은 예를 들어 고무 백킹 층이나 PVC 백킹 층(13)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접착 층(12)은 공지된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 보호 층(C)의 경우 접착층(12)은 단지 외층(11)과 백킹층(13)을 접착시키기 위해서만 사용이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접착 층(12)의 두께는 얇을수록 유리하다. 그리고 백킹 층(13)은 카펫 보호 층(11)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그리고 외층(11)의 의하여 흡수된 진동 또는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은 백킹 층(13)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이 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가 될 수 있다. 백킹 층(13)에 대한 다른 대안은 펠트, 스치로폼, 또는 PE폼 또는 우레탄 폼과 같은 폼 형태의 스펀지가 될 수 있다.
카펫 보호층(C)은 일정한 폭 및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펫 보호층(C)은 폭이 0.5 내지 2.0 m 그리고 길이가 2.0 내지 30미터로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카펫 보호 층(C)은 최종적으로 롤 형태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카페 롤을 전개하는 방법으로 설치가 된다.
카펫 보호 층(C)은 주로 진입로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의 카펫 보호 층(C) 및 카펫 보호 층(C)의 설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카페 보호 층(C)은 감을 수 있는 형태로 된다. 감겨진 상태의 카페 보호 층(C)은 봉 형태로 되고 그리고 진입로에 설치할 필요가 있은 경우 진입로의 해당하는 길이만큼 펼쳐지게 된다. 카펫 보호 층(C)은 중심 봉에 감겨지거나 또는 중심 봉이 없이 감겨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롤 카펫 형태"란 카펫 보호 층이 회전 드럼과 같은 중심 봉에 감겨진 형태 또는 중심 봉이 없이 감겨져 있거나 또는 감겨질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은 크기로 규격화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의 가장자리는 마감처리가 되어야 한다.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의 마감은 오버로킹 사로 오버록 처리되거나 되거나 바이어스 테이프로 박음질이 된 바이어스 바인딩으로 처리 또는 1~5 cm 폭의 고무 또는 PVC 판을 접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카펫 보호 층(C)의 가장 자리의 마감을 위한 다른 대안으로 고무 또는 PVC 판으로 형성된 벡킹 층이 외층에 비하여 1 내지 5 ㎝ 정도의 연장된 폭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대안으로 카펫 보호 층(C)의 측면 절단 부위에 1 내지 5 ㎝ 폭의 고무 또는 PVC판을 접착하여 카펫 보호 층(C)의 가장 자리를 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는 진입로의 바닥면 또는 내벽과 같은 충격면에 설치되어 충격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는 화물의 수송 또는 보행을 위한 진입로에 용이하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6)

  1. 카펫 보호층을 가지는 진입로의 충격 면을 보호하기 위한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에 있어서,
    상기 카펫 보호층은 롤 카펫 형태를 가지고 그리고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 테레프탈레이트로 및 아크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일 구조를 가진 카펫; 부직포 또는 기모 직물로 형성된 외층; 및 PVC, 고무, 펠트, 스치로폼, 폴리에틸렌 폼 스펀지 및 우레탄 폼 스펀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백킹 층;을 포함하고, 그리고 카펫 보호층의 폭은 0.5 내지 2.0 m가 되고 그리고 길이는 2.0 내지 30 m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층은 파일 형태로 컷(cut) 또는 루프(loop)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펫 보호층의 가장자리는 오버로킹 사로 오버록 처리되거나, 바이어스 테이프로 박음질이 된 바이어스 바인딩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1~5 cm 폭의 고무 또는 PVC 판을 접착하여 마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카펫 보호층의 마감을 위하여 카펫 보호층의 가장 자리는 고무나 PVC판으로 형성된 외층에 비하여 1~5cm 넓은 백킹 층을 가지거나 또는 카펫 보호 층의 가장 자리의 절단 부위에 추가적으로 1~5 cm 폭의 고무 또는 PVC 판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
  5. 청구항 2에 있어서, 파일 형태의 파일 높이는 2.0 내지 7.0 mm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백킹 층의 두께는 1.5 내지 3.5 mm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로 전용 바닥 매트.
KR1020060085055A 2006-09-05 2006-09-05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KR100751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055A KR100751886B1 (ko) 2006-09-05 2006-09-05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055A KR100751886B1 (ko) 2006-09-05 2006-09-05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886B1 true KR100751886B1 (ko) 2007-08-23

Family

ID=3861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055A KR100751886B1 (ko) 2006-09-05 2006-09-05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8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96B1 (ko) 2009-09-22 2010-02-26 주식회사 성남화학 쿠션 카페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42055B1 (ko) 2013-08-26 2013-12-18 김가희 발코니용 매트의 제조방법
CN104382464A (zh) * 2014-11-07 2015-03-04 黄爱娟 一种丘陵地毯
CN104523109A (zh) * 2014-12-10 2015-04-22 广州同欣康体设备有限公司 弹性安全地垫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4899A (ko) * 1996-03-25 1997-10-13 전종윤 건축용 바닥 완충재
KR19990022687A (ko) * 1995-06-09 1999-03-25 쉐릴 샹드랑 치수 안정성 및 보전성을 가진 카페트 및 적층 배킹
KR20000047383A (ko) * 1998-12-08 2000-07-25 성재갑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687A (ko) * 1995-06-09 1999-03-25 쉐릴 샹드랑 치수 안정성 및 보전성을 가진 카페트 및 적층 배킹
KR970064899A (ko) * 1996-03-25 1997-10-13 전종윤 건축용 바닥 완충재
KR20000047383A (ko) * 1998-12-08 2000-07-25 성재갑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96B1 (ko) 2009-09-22 2010-02-26 주식회사 성남화학 쿠션 카페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42055B1 (ko) 2013-08-26 2013-12-18 김가희 발코니용 매트의 제조방법
CN104382464A (zh) * 2014-11-07 2015-03-04 黄爱娟 一种丘陵地毯
CN104523109A (zh) * 2014-12-10 2015-04-22 广州同欣康体设备有限公司 弹性安全地垫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3780A (en) Modular carpet tile mat construction and process of making same
KR100751886B1 (ko)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JPH031966B2 (ko)
US20040068952A1 (en) Anchor sheet framework and subflooring
JP6093961B2 (ja) 床構造及びアンダーレイシート
US6572952B1 (en) Shock absorbing carpet system
ES2160557T3 (es) Cinta textil adhesiva.
KR100789151B1 (ko) 카펫 층을 가진 충격 면 보호 구조
US6012261A (en) Method of installing wall-to-wall carpet
KR102335453B1 (ko)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JP2808225B2 (ja) 表装材
KR100824977B1 (ko) 승강기 내벽의 보호를 위한 카펫 보호 장치 셋
JPWO2019195299A5 (ko)
KR100731990B1 (ko) 충격 면 보호 장치
JP2567905Y2 (ja) 床 材
KR100701803B1 (ko) 접이 방식의 충격 면 보호 구조
KR100789145B1 (ko) 충격 면 보호 장치
JP7446679B2 (ja) 表装システム
JP2543744Y2 (ja) 床 材
KR100789144B1 (ko) 충격 면 보호 장치
JPH09250108A (ja) 人工芝の設置方法
JPH04122214A (ja) タイルカーペット
AU769155B2 (en) Anchor sheet framework and subflooring
JP3138391U (ja) 養生マット
TWM586293U (zh) 地板的襯墊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