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453B1 -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453B1
KR102335453B1 KR1020200090341A KR20200090341A KR102335453B1 KR 102335453 B1 KR102335453 B1 KR 102335453B1 KR 1020200090341 A KR1020200090341 A KR 1020200090341A KR 20200090341 A KR20200090341 A KR 20200090341A KR 102335453 B1 KR102335453 B1 KR 10233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paper
wall portion
foam paper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수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3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base 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기포지와 파일부와 백킹지 이루어진 인조잔디 매트, 상기 백킹지를 지지하는 충격흡수패드 및 상기 기포지에 포설되어 상기 기포지의 이웃한 제1 격벽부의 사이에 위치한 충진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포지는 파일사가 터프팅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1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터프팅된 상기 파일사의 길이 보다 짧다.

Description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Primary backing substrate and artificial turf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진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흡수성능을 보완할 수 있는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 구조체는 정리된 지반에 형성된 기초층, 기초층의 위에 형성되는 충격흡수패드 및 충격흡수패드의 위에 놓이는 인조잔디 매트를 포함한다.
인조잔디 매트는 기포지, 상기 기포지에 결합된 파일사 및 기포지에 결합되어 파일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백킹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조잔디 구조체가 현장에 시공된 후 파일사의 직립성, 경기자의 충격흡수 등의 목적으로 충진재가 포설된다. 충진재로는 규사, 황토, 고무칩, 왕겨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충진재가 경기자의 경기 과정에서 또는 우수 등에 의해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충진재의 유실로 경기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충진재를 주기적으로 보충하여야 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36714호 (2017.12.12.)
본 발명은 충진재의 유실을 방지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흡수성능을 보완할 수 있는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지는 파일사가 터프팅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1 격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터프팅된 상기 파일사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기포지는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제1 격벽부와 교차하여 충진재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의 돌출 길이는 10 mm 내지 40 mm일 수 있다.
이웃한 상기 제1 격벽부, 이웃한 제2 격벽부의 간격은 100mm 내지 300mm일 수 있다.
상기 기포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 격벽부 및 제2 격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융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와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는 각각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섬유와 제2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융착층은 융점이 낮은 섬유의 융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섬유의 융점은 120℃ 내지 150℃이고, 상기 제2 섬유의 융점은 200℃ 내지 260℃일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본체부가 길이 방향(Y)을 따라 접히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격벽부는, 상기 본체부가 폭 방향(X)을 따라 접히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포지는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를 따라 형성되어 접힌 상기 제1 격벽부, 상기 제2 격벽부가 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티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는 전술한바와 같은 기포지,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터프팅되어 있는 파일부, 상기 기포지와 결합되어 상기 파일부를 고정하는 백킹지, 상기 백킹지를 지지하는 충격흡수패드 및 상기 기포지에 포설된 충진재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재는 상기 기포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격벽부의 높이보다 높게 포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시 사용자의 이동간 또는 공의 바운드 또는 우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충진재가 제1 격벽부에 걸리게 되면서 충진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충진재 유실에 따른 충진재의 추가 포설에 따른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격벽부는 본체부에 터프팅된 파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파일부의 직립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의 접힘으로 형성된 제2 격벽부는 파일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제2 격벽부는 넘어지지 않으며 충진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포지에 일정간격으로 제1 및 제2 격벽부가 형성되어 있어 충격흡수성에도 보조적인 역할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기포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기포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기포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포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인조잔디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기포지가 적용된 인조잔디 구조체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기포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는 인조잔디 매트(20), 충격흡수패드(30) 및 충진재(40)를 포함하며 충진재의 유실을 예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는 기초층(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초층(10)은 정리된 지반에 형성되며, 자갈과 석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갈과 석분은 기초층(10)의 위에서 각 층을 이룬다. 각 층은 지름이 23mm 내지 27mm인 자갈로 이루어져 지반 위에서 두께가 100mm 내지 200mm인 제1 자갈층, 제1 자갈층의 위에서 지름이 10mm 내지 15mm인 자갈로 이루어져 60mm 내지 100mm 두께로 형성된 제2 자갈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석분은 제2 자갈층의 위에서 30mm 내지 40mm 두께로 형성된다.
충격흡수패드(30)는 경기자의 충격을 흡수하여 경기자를 보호한다. 충격흡수패드(30)는 기초층(10)의 위에 위치하고 있다. 기초층(10)이 없는 경우 충격흡수패드(30)는 지반에 놓일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30)는 고무,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30)에는 오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인조잔디 매트(20)는 기포지(21), 파일부(22) 및 백킹지(23)를 포함하며 충격흡수패드(30)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파일부(22)는 파일사들이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기포지(21)에 터프팅되어 있다. 파일사들의 단면 모양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파일사를 이루는 본체의 주변으로 날개가 형성되거나, 본체가 타원형, 직사각형, 마름모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사의 단면 모양은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파일부(22)는 기포지(2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터프팅되어 폭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다. 파일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e)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파일사들의 길이는 기포지(21)를 기준으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일부 파일사들은 크림프 가공된 것일 수 있다.
백킹지(23)는 기포지(21)에 결합되어 파일사가 기포지(2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백킹지(23)는 부직포, 필름, 코팅층 따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인조잔디 구조체의 기초층(10), 충격흡수패드(30), 인조잔디 매트의 파일부(22) 및 백킹지(23)의 세부적인 구성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공지된 인조잔디 구조체(등록특허 제10-2000917호), 인조잔디(등록특허 제10-2060037호),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등록특허 제10-1764691호)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포지(21)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기포지는 메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포지(21)는 직포, 부직포와 메쉬가 적층 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기포지(21)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포지(21)는 파일사가 터프팅될 수 있는 본체부(211), 그리고 본체부(21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1 격벽부(212a)를 포함한다. 본체부(211)와 제1 격벽부(212a)는 융착층(214)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211)와 제1 격벽부(212a)는 융점이 다른 제1 섬유와 제2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섬유의 융점은 120℃ 내지 150℃일 수 있고, 제2 섬유의 융점은 200℃ 내지 260℃일 수 있다. 이에 본체부(211)에 제1 격벽부(212a)를 배치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고, 이때 제1 섬유들이 제2 섬유보다 빨리 녹으면서 서로 융착되어 융착층(214)을 형성하고, 융착층(214)에 의해 본체부(211)와 제1 격벽부(212a)는 서로 결합된다.
하지만, 제1 격벽부(212a)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체부(211)에 고정할 수도 있다. 제1 격벽부(212a)와 본체부(211)의 결합은 기포지(2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격벽부(212a)는 본체부(21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본체부(211)의 폭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다. 배열된 간격은 등간격을 이루며, 파일사를 본체부(211)에 터프팅할 때 니들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한다.
제1 격벽부(212a)는 본체부(211)의 일면을 기준으로 10 mm 내지 40mm로 돌출되어 있다. 제1 격벽부(212a)는 프리 파일(Free Pile) 하단까지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프리 파일(Free Pile) 높이는 충진재층 최고 높이 이하에서 표면 파일사의 끝단부 까지의 길이이며, 제품에 따라 상이하다.
여기서 제1 격벽부(212a)의 돌출 길이(L1)는 기포지(21)의 일면을 기준으로 터프팅된 파일사의 길이(L2)보다 짧다.
그리고 이웃한 제1 격벽부(212a)의 간격(G)은 100 mm 내지 300 mm일 수 있다. 간격(G)이 100 mm 미만인 경우 충진재 유실 방지 효율은 향상되나 기포지 제조에 따른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간격(G)이 300 mm 초과하는 경우 충진재 유실 방지 효율 및 충격흡수성능 향상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부(211)에 제1 격벽부(212a)가 형성된 기포지(21)에 파일사를 터프팅한다. 이때 니들은 이웃한 제1 격벽부(212a)의 사이 즉, 본체부(211)에 터프팅하게 된다. 니들의 간격에 따라 이웃한 제1 격벽부(212a)의 사이에 위치하는 파일부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인조잔디 구조체(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211)에 파일부(22)가 형성되었을 때 파일부(22)와 이웃한 제1 격벽부(212a)는 파일부(2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파일부(22)의 직립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파일사가 터프팅된 기포지(21)에 백킹지(23)를 결합하여 기초층(10)에 배치된 충격흡수패드(30)에 설치한다. 그리고 인조잔디 매트(20)에 충진재(40)를 포설한다. 충진재(40)는 규사, 황토, 고무칩, 왕겨 등을 포함하고 있다. 충진재(40)의 포설 높이(H1)는 기포지(21)를 기준으로 제1 격벽부(212a)의 돌출 길이(L1) 보다 높다. 이에 제2 격벽부(213)는 충진재(40)에 매립되며 일부 충진재(40)는 이웃한 제1 격벽부(212a)의 사이에 있다. 충진재(40)는 우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웃한 제1 격벽부(212a)의 사이에 있는 충진재(40)는 제1 격벽부(212a)에 걸려 유실되지 않는다. 기포지(21)가 직포, 부직포, 메쉬 구조로 형성되어 우수는 제1 격벽부(212a)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격벽부(212a)에 의해 우수에 따른 충진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격벽부(212a)가 부직포 따위로 이루어져 돌출되어 있으므로 경기자가 제1 격벽부(212a)를 밟았을 때 눌릴 수 있다. 경기자의 발이 제1 방향 격벽부(212a)에 걸리지 않는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충진재가 제1 격벽부에 걸리게 되면서 충진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충진재 유실에 따른 충진재의 추가 포설에 따른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제2 격벽부를 더 포함한다.
도면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격벽부(213)는 본체부(211)의 폭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본체부(211)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2 격벽부(213)는 제1 격벽부(212a)와 교차하여 결합되어 있다. 제2 격벽부(213)와 제1 격벽부(212a)에 의해 본체부(211)에 둘레가 폐쇄된 충진재 공간(211a)이 형성된다. 충진재 공간(211a)의 둘레를 형성하는 제2 격벽부(213)와 제1 격벽부(212a)는 충진재 공간(211a)의 충진재 유실을 방지한다. 제2 격벽부(213)의 구성은 전술된 제1 격벽부 (212a)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재가 충진재 공간에 갇히게 되면서 충진재의 유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다만 제1 격벽부가 다른 구조를 갖는다.
도면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격벽부(212b)는 본체부(211)가 길이 방향(Y)을 따라 접히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격벽부(212b)의 본체부(211)의 폭 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웃한 제1 격벽부(212b)의 사이에 위치한 본체부(211)에 파일사가 터프팅될 수 있다. 돌출된 제1 격벽부(212b)는 파일사들의 터프팅으로 형성된 파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일부들은 제1 격벽부(212b)를 지지할 수도 있다. 돌출된 제1 격벽부(212b)는 넘어지지 않으며 충진재가 걸리어 유실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격벽부(212b)가 본체부(211)로부터 돌출된 길이, 그리고 이웃한 제1 격벽부(212b)의 사이 간격은 도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격벽부(212a)와 같다.
한편, 도면 도 6을 더 참고하면, 제1 격벽부(212b)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Y)을 따라 스티치라인(215)이 형성되어 있다. 스티치라인(215)은 제1 격벽부(212b)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접힌 제1 격벽부(212a)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의 접힘으로 형성된 제1 격벽부(212b)는 파일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제1 격벽부는 유동적이며 충진재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부(211)가 폭 방향으로 접히어 제2 격벽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격벽부는 본체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며 제1 격벽부(212b)와 교차하고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기포지에 충진재(40)가 포설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파일부(22)의 파일사가 크림프 가공된 것인 경우 충진재(40)의 포설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인조잔디 구조체는 무충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1 격벽부와 제2 격벽부는 충격흡수성을 발휘하여 경기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경기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인조잔디 구조체 10: 기초층
20: 인조잔디 매트 21: 기포지
211: 본체부 211a: 충진재 공간
212a, 212b: 제1 격벽부 213: 제2 격벽부
214: 융착층 215: 스티치라인
22: 파일부 23: 백킹지
30: 충격흡수패드 40: 충진재

Claims (12)

  1. 파일사가 터프팅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1 격벽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 격벽부의 사이에 형성된 융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 격벽부는 각각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섬유와 제2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융착층은 융점이 낮은 섬유의 융착으로 형성된
    기포지.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Y)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는 기포지.
  3. 제2항에서,
    상기 본체부의 폭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Y)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제1 격벽부와 교차하여 충진재 공간을 형성하는 제2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기포지.
  4. 제3항에서,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격벽부와 상기 제2 격벽부의 돌출 길이는 10 mm 내지 40 mm인 기포지.
  5. 제4항에서,
    이웃한 상기 제1 격벽부, 이웃한 상기 제2 격벽부의 간격은 100mm 내지 300 mm인 기포지.
  6. 제1항에서,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일면을 기준으로 터프팅된 상기 파일사의 길이 보다 짧은 기포지.
  7. 제3항에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2 격벽부는 각각 융점이 서로 다른 제1 섬유와 제2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융착층은 융점이 낮은 섬유의 융착으로 형성된 기포지.
  8. 제7항에서,
    상기 제1 섬유의 융점은 120℃ 내지 150℃이고, 상기 제2 섬유의 융점은 200℃ 내지 260℃인 기포지.
  9. 파일사가 터프팅될 수 있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1 격벽부
    상기 제1 격벽부는, 상기 본체부가 길이 방향(Y)을 따라 접히어 돌출되어 형성된
    기포지.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격벽부를 따라 형성되어 접힌 상기 제1 격벽부가 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티치라인을 더 포함하는 기포지.
  11.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메쉬를 포함하는 기포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기포지,
    파일사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터프팅되어 있는 파일부,
    상기 기포지와 결합되어 상기 파일부를 고정하는 백킹지,
    상기 백킹지를 지지하는 충격흡수패드 및
    상기 기포지에 포설된 충진재
    를 포함하며,
    상기 충진재는 상기 기포지를 기준으로 상기 기포지에 형성된 제1 격벽부의 높이보다 높게 포설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200090341A 2020-07-21 2020-07-21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33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341A KR102335453B1 (ko) 2020-07-21 2020-07-21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341A KR102335453B1 (ko) 2020-07-21 2020-07-21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453B1 true KR102335453B1 (ko) 2021-12-06

Family

ID=7893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341A KR102335453B1 (ko) 2020-07-21 2020-07-21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4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74B1 (ko) * 2022-05-30 2023-05-18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과열 방지 인조잔디 시스템
KR102705074B1 (ko) * 2023-12-14 2024-09-12 비아이랜드주식회사 항균성, 충격흡수성 및 배수성이 뛰어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17032B1 (ko) 2023-05-31 2024-10-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폐인조잔디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충격흡수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207U (ja) * 1992-01-17 1993-08-13 東レ株式会社 合成樹脂製人工芝生成形物
JPH0731906U (ja) * 1993-11-11 1995-06-16 ユニチカ株式会社 ゴルフ用人工芝生
KR20170136714A (ko) 2016-06-02 2017-12-12 전욱 인조 잔디 구장의 칩 유실 판별 및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207U (ja) * 1992-01-17 1993-08-13 東レ株式会社 合成樹脂製人工芝生成形物
JPH0731906U (ja) * 1993-11-11 1995-06-16 ユニチカ株式会社 ゴルフ用人工芝生
KR20170136714A (ko) 2016-06-02 2017-12-12 전욱 인조 잔디 구장의 칩 유실 판별 및 사용자 활동 분석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74B1 (ko) * 2022-05-30 2023-05-18 주식회사 필드글로벌 과열 방지 인조잔디 시스템
KR102717032B1 (ko) 2023-05-31 2024-10-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폐인조잔디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충격흡수패드
KR102705074B1 (ko) * 2023-12-14 2024-09-12 비아이랜드주식회사 항균성, 충격흡수성 및 배수성이 뛰어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453B1 (ko) 기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ES2392095T3 (es) Sistema de césped de hierba artificial
AU724371B2 (en) Textile lattice for reinforcing bitumen-bonded layers
KR101995797B1 (ko) 인조잔디
ES2261382T3 (es) Sistema de cesped artificial.
US4181450A (en) Erosion control matting
ES2321625T3 (es) Instalacion de aislamiento acustico para un revestimiento de pared, techo o suelo.
EP2480722B1 (en) Damping floor for example for playing fields
US8935824B2 (en) Stitch bonded cleaning material
US9243359B2 (en) Fabric-faced floor coverings with micro-spring face structures
JP5909311B2 (ja) 人工芝生の敷設構造及び人工芝生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0683449B1 (ko) 흡방음용 인조잔디
KR102382126B1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51886B1 (ko) 진입 복도면의 보호를 위한 바닥 매트
JP6712727B2 (ja) 人工芝部材敷設面の排水構造
KR102228959B1 (ko) 수분 제어 섬유구조체
JP2009299256A (ja) 弾性舗装体
KR102374720B1 (ko) 인조잔디 구조체
KR102185792B1 (ko)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인조 잔디 배수판
KR101287994B1 (ko) 인조잔디 및 그 제조방법
KR102277146B1 (ko) 양면제직구조의 인조잔디 및 그 제직방법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JPS5917924Y2 (ja) 透水性敷物
JP6472316B2 (ja) 土壌流出防止シート
ES2743454T3 (es) Estructura de mechones insertados para paisaje y depor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